캉커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캉커칭(康克清)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여성 혁명가이자 정치인으로, 주더의 부인이었다. 어부 집안에서 태어나 어린 나이에 양녀로 팔려간 캉커칭은 홍군에 입대하여 전투 요원으로 활약했다. 1929년 주더와 결혼했으며, 대장정에도 참여하여 '여사령관'으로 불렸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에는 여성 운동과 아동 보호에 헌신했으며, 중화전국여성연합회 주석 등을 역임했다. 문화 대혁명 기간에는 고난을 겪었으나 복권되었으며, 199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저우 사범대학 동문 - 마윈
영어 교사 출신인 마윈은 1999년 알리바바를 공동 창업하여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며 중국 최대 IT 기업으로 성장시켰으나, 2018년 회장직에서 물러난 후 자선 사업과 교육 분야에 집중하며 최근에는 도쿄대학교 방문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 항저우 사범대학 동문 - 마오부이
마오부이는 중국의 싱어송라이터로, 2017년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우승하며 데뷔하여 일상 생활을 다룬 음악으로 젊은 세대의 공감을 얻고, 2024년 네 번째 앨범을 발매했다. - 중화인민항일군사정치대학교 동문 - 허쯔전
허쯔전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마오쩌둥의 세 번째 부인으로, 공산당 입당 후 혁명 활동과 '융신 봉기'를 주도하고 마오쩌둥의 비서로 대장정에 참여했으며, 소련 유학 후 귀국하여 정치 활동을 하다 상하이에서 생을 마감했다. - 중화인민항일군사정치대학교 동문 - 뤄룽환
뤄룽환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중국 공산당의 주요 지도자 중 한 명으로서 추수 봉기, 장정, 제2차 중일 전쟁, 국공 내전 등에서 활약했으며 인민해방군 참모총장, 원수 등을 역임했다. - 국가지도자의 배우자 - 줘린
줘린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이며 덩샤오핑의 세 번째 부인으로, 혁명 운동 참여와 문화 대혁명 시기 고초, 그리고 덩샤오핑 복권 후 정치적 동반자 역할 수행 등의 생애를 살았다. - 국가지도자의 배우자 - 사피아 파르카시
사피아 파르카시는 무아마르 카다피의 두 번째 부인으로, 리비아 내전 중 알제리로 피신하여 현재 이집트 카이로에 거주하며 국제 사회의 제재를 받았고 2016년 리비아 귀국이 허용되었다.
캉커칭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캉구이슈 (康桂秀) |
출생일 | 1911년 9월 7일 |
사망일 | 1992년 4월 22일 |
배우자 | 주더 |
부모 | 캉니앙고우 (康年苟) |
소속 정당 | 중국 공산당 |
경력 | |
직책 | 사실상의 중국 국가 원수 배우자 |
임기 시작 | 1975년 1월 17일 |
임기 종료 | 1976년 7월 6일 |
직책 | 중화전국부녀연합회 주석 |
임기 시작 | 1978년 |
임기 종료 | 1988년 |
이전 | 차이창 |
이후 | 천무화 |
개인 정보 | |
출생지 | 청나라 항저우 |
사망지 | 중국 베이징 |
로마자 표기 | Kang Keqing |
2. 생애
캉커칭은 객가 어부 집안에서 태어났다.[2] 가난 때문에, 캉커칭의 부모는 다섯 딸을 다른 가족에게 어린 신부로 팔았다. 캉커칭은 태어난 지 40일 만에 소작인에게 맡겨졌으나, 이후 뤄씨 가족의 딸로 보살핌을 받았다.[3] 농가에서 자라면서 양부모의 주요 노동력이 되었다.[4]
1924년, 완안 현의 중국 공산당 당원이 북벌의 일환으로 캉커칭의 마을에 도착하여 혁명 활동을 시작했고, 성 평등과 결혼의 자유에 대한 개념을 선포했다.[3] 캉커칭은 14세경에 홍군의 일원이 되었으며,[2] 뤄탕완 마을 여성 연합회의 상임 서기로 선출되어 지역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머리를 짧게 잘랐다.[3] 어린 시절 학업 기회를 박탈당했던 캉커칭은 이 시점부터 학업을 추구하기 위해 노력했다.[5]
1927년, 장제스가 공산주의자들에게 반대하면서 폭력적인 갈등이 발생했고, 캉커칭의 양부모는 그녀의 결혼을 주선하려 했다.[3] 캉커칭은 1928년 9월에 집을 나와 게릴라 부대에 합류하여 중국 홍군과 함께 피난처를 찾았다.[3] 1930년 12월 30일에는 주더와 결혼했다.[5] 1932년, 홍군 학교에서 훈련을 받은 여성 자원 부대의 지도자가 되었다.[5]
아그네스 스메들리는 저우더 전기에 캉커칭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西万安区农民游击队代表团来了,其中有妇女领袖康克清。她扛着步枪,就像是身体的一部分,像男人一样敏捷而果断地走着。她是一位20多岁的女性,中等身材,短发,穿着朴素干净的蓝色夹克和农家女宽松的长裤。她的脸上长着麻子,人们因此说她不漂亮。但他们承认她那双又大又黑的眼睛很美,闪耀着信念的光芒,当她微笑时,美丽的红唇间闪耀着两排洁白的牙齿。她真的是文盲,因为小时候被富裕的地主买来当田间工人。她能认出几个字,但非常聪明,人们这样评价她:‘她的思想像机关枪射出的子弹一样清晰而直接。’중국어[6]
캉커칭은 대장정에 참여한 소수의 여성 중 한 명이었다.[7] 1935년 10월, 쓰촨에 공산주의 기지를 세우려는 장궈타오의 실패 이후 병에 걸렸지만, 주더의 도움으로 의사를 데려와 캉커칭이 금산을 통해 들것에 실려 갈 수 있도록 했다.[4]
1935년 3월 2일 중국 공산당 홍군에 소위 계급으로 입대하여 1950년 3월 23일 중화인민공화국 지상군 대좌로 예편하였다.[1] 이후 중국공산당 인민보위아동전국위원회 비서장을 역임하였다.[1] 1954년 9월 27일부터 1959년 4월 27일까지 주더가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부주석을 역임하였기에, 같은 기간 동안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부주석 부인이었다.[1]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 중화전국여성연합회 주석, 쑹칭링 기금회 회장을 역임했다.[1]
문화 대혁명 중, 자택 연금에 처해졌으나,[2] 문혁 이후 복권되었다.[2] 사인방 실각 후, 중화인민공화국 여성 연맹의 수석으로 취임하여 조직의 지배권을 집중화시켰다.[2] 중국 공산당의 제11차 및 제12차 중앙위원회 위원 멤버였다.[2] 1985년에 은퇴했으며, 1992년 4월 22일에 베이징에서 사망했다.[2]
2. 1. 초기 생애
청나라 저장성 항저우 출신의 어부였던 친아버지 캉저우(康哲武, 강철무) 슬하 3녀 중 막내딸로 출생하였고, 1917년 6세 때 중화민국 장시성 지안 부 완안 구역에 거주하는 농부였던 5촌 아저씨 캉스이(康世儀, 강세의)에게 양녀로 입양되었다.[2] 이후 중화민국 장시 성 지안 부 완안 구역에서 성장하였다. 본명은 캉구이슈였다.[2]캉커칭은 객가 어부 집안 출신으로,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부모는 다섯 딸을 다른 가족에게 어린 신부로 팔았다.[2] 캉커칭은 태어난 지 40일 만에 뤄치구이(罗奇圭|뤄치구이중국어)라는 소작인에게 맡겨졌으나, 뤄씨 가족의 친딸은 사망하였고, 이후 캉커칭은 뤄씨 가족의 딸로서 자랐다.[3] 농가에서 자라면서 캉커칭은 양부모의 주요 노동력이었다.[4] 홍군에 입대하기 전까지 노예처럼 일하며 생활했다.
1929년 17세 때, 43세였던 주더와 결혼했다. 주더에게는 여섯 번째 부인이었다.[3]
2. 2. 홍군 시절
1917년 중화민국 장시성 지안 부 완안 구역에 거주하는 농부 캉스이(康世儀)에게 양녀(養女)로 입양되어 중화민국 장시 성 지안 부 완안 구역에서 성장하였다.[3] 14세경에 홍군의 일원이 되었다.[2] 1928년 9월에 집을 나와 게릴라 부대에 합류하여 중국 홍군과 함께 피난처를 찾았다.[3]아그네스 스메들리의 저우더 전기에는 그녀에 대한 다음과 같은 묘사가 있다.
"서쪽 완안 지구에서 농민 파르티잔 대표단이 왔는데, 그들 중에는 여성 지도자 캉이 있었다. 그녀는 마치 자신의 신체의 일부인 것처럼 소총을 들고 있었고, 남자들처럼 날렵하고 결단력 있게 걸었다. 20대 중반의 여성으로, 키는 중간 정도이고 머리는 짧았으며, 평범한 깨끗한 파란색 재킷과 농민 여성의 헐렁한 긴 바지를 입고 있었다. 그녀의 얼굴에는 곰보 자국이 있었고, 사람들은 이 때문에 그녀가 아름답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들은 그녀의 크고 검은 눈이 아름답고 확신의 불꽃으로 빛나며, 그녀가 미소 지을 때 아름다운 붉은 입술 사이로 두 줄의 하얀 이가 빛났다는 것을 인정했다. 그녀는 정말 문맹이었는데, 어릴 때 그녀를 사서 들판 노동자로 사용했던 부유한 지주의 노예였기 때문이다. 그녀는 몇 글자를 인식할 수 있었지만, 매우 지적이었고, 사람들은 그녀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그녀의 생각은 기관총에서 발사된 총알처럼 명확하고 직접적이다."[6]
캉은 1930년 12월 30일에 주더와 결혼했다.[5] 1932년, 그녀는 홍군 학교에서 훈련을 받은 새로 창설된 여성 자원 부대의 지도자가 되었다.[5] 그녀는 홍군에서 여성 지도자가 되었고, 대장정에 참여한 소수의 여성 중 한 명이었다.[7] 제4군 부대에서 캉은 주더, 장궈타오와 함께 파견되었다.
1935년 10월, 캉은 쓰촨에 공산주의 기지를 세우려는 장궈타오의 실패한 시도 이후 병에 걸렸다. 장궈타오는 캉을 남편과 격리시키고 제4군이 산시로 이동할 때 그녀를 버려두려 했지만, 주더는 의사를 데려와 캉이 금산을 통해 들것에 실려 갈 수 있도록 했다.[4] 캉커칭은 옌안에 머물고 있던 미국 언론인 헬렌 포스터 스노우와 인터뷰를 가졌다. 그녀는 군사 상황에 대해 논평하며, 포스터 스노우에게 군대 규모가 문제지만, 무기 문제가 시급하다고 말했다.[8]
캉커칭은 전투 요원이었으며, 권총 두 정과 마우저 권총 한 정을 휴대하는 사격병이었다. 15세 때 이미 징강산에서 싸웠다. 말을 받았고, 승마도 잘했지만, 기승하는 일은 없이 피로한 병사의 소총을 세 정이나 네 정이나 대신 짊어지고 도보로 행군했다.
대장정 시작 직전, 800명의 한 부대에 배속되었는데, 사령관이 전사했기 때문에 그 후임이 되었고, 적을 섬멸한 것으로 인해 "여사령관"이라고 불렸다.
캉커칭은 "대장정은 매일 산책을 나가는 것과 같다"라고 말할 정도로 강건한 여성이었다. 적의 기습으로 인한 탄환 세례 속에서 도주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그녀는 전투 중에 한 번도 부상당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소총과 배낭을 짊어지면서 큰 낫으로 밭에서 벼를 베는 작업을 했다.
양딩화에 따르면, 캉커칭은 홍군에 입대했을 때는 문맹이었지만, 대장정 즈음에는 도하 명령서를 쓸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2. 3.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35년 3월 2일 중국 공산당 홍군에 소위 계급으로 입대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1949년 10월 1일 당시에는 이미 홍군 대좌 신분이었으며, 이듬해 1950년 3월 23일 중화인민공화국 지상군 대좌로 예편하였다.[1]이후 중국공산당 인민보위아동전국위원회 비서장을 역임하였다.[1] 1954년 9월 27일부터 1959년 4월 27일까지 주더가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부주석을 역임하였기에, 같은 기간 동안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부주석 부인이었다.[1]
주더는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부주석 재직 당시였던 1959년 3월 20일에 중화인민공화국 육군 원수로 예편하였으며, 이후 같은 해 1959년 4월 27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부주석으로 재임하였다.[1] 캉커칭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 중화전국여성연합회 주석, 쑹칭링 기금회 회장을 역임했다.[1]
캉커칭은 전투 요원이었으며, 권총 두 정과 마우저 권총 한 정을 휴대하는 사격병이었다.[2] 15세 때 이미 징강산에서 싸웠다.[2] 말을 받았고, 승마도 잘했지만, 기승하는 일은 없이 피로한 병사의 소총을 세 정이나 네 정이나 대신 짊어지고 도보로 행군했다.[2]
1929년, 17세 때, 43세였던 주더와 결혼했다.[2] 주더에게는 여섯 번째 부인이었다.[2] 두 사람 사이에 자녀는 없었다.[2]
대장정 시작 직전, 800명의 한 부대에 배속되었는데, 사령관이 전사했기 때문에 그 후임이 되었고, 적을 섬멸한 것으로 인해 "여사령관"이라고 불렸다.[2]
캉커칭은 "대장정은 매일 산책을 나가는 것과 같다"라고 말할 정도로 강건한 여성이었다.[2] 적의 기습으로 인한 탄환 세례 속에서 도주한 적도 있었다.[2] 그러나 그녀는 전투 중에 한 번도 부상당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2]
소총과 배낭을 짊어지면서 큰 낫으로 밭에서 벼를 베는 작업을 했다.[2] 양딩화에 따르면, 캉커칭은 홍군에 입대했을 때는 문맹이었지만, 대장정 즈음에는 도하 명령서를 쓸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2]
당 간부 부인들의 대부분이 가정적이지 않았고, 캉커칭도 예외는 아니었다.[2] 주더의 아내였지만, 남편을 돌본 적은 없었고, 동지라고 불렀다.[2] 대장정을 마친 후에도 고급 간부를 목표로 학문에 몰두했다.[2]
아동 보호와 부인 운동에 헌신했다.[2] 문화 대혁명 중, 자택 연금에 처해졌다.[2] 문혁 이후 복권되었다.[2]
사인방 실각 후, 중화인민공화국 여성 연맹의 수석으로 취임하여 조직의 지배권을 집중화시켰다.[2] 중국 공산당의 제11차 및 제12차 중앙위원회 위원 멤버였다.[2]
쑹칭링 기금의 회장을 역임했다.[2] 1985년에 은퇴했으며, 1992년 4월 22일에 베이징에서 사망했다.[2]
3. 여성 운동과 여성 해방 사상
1924년, 완안 현의 중국 공산당 당원이 북벌의 일환으로 캉의 마을에 도착하여 성 평등과 결혼의 자유에 대한 개념을 선포했다.[3] 캉은 봉건주의, 제국주의, 관료 자본주의가 여성 노동자의 주요 적이라는 생각을 선포했다.[2]
그녀는 뤄탕완 마을 여성 연합회(罗塘湾乡妇女协会|뤄탕완샹 부녀협회중국어)의 상임 서기로 선출되었으며, 지역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머리를 짧게 잘랐다.[3]
아그네스 스메들리의 저우더 전기에는 그녀에 대한 묘사가 있다.
캉커칭의 여성 해방 투쟁에 대한 이념은 '투쟁 속에서 해방을 추구하고, 생산에서 평등을 추구한다'(在斗争中求解放、在生产中求平等|짜이 더우정중 추제팡, 짜이 성찬중 추핑덩중국어)는 슬로건에 담겨있다. '투쟁 속에서 해방'은 여성이 평등을 얻기 위해 혁명 투쟁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생산에서의 평등'은 여성에게 남성과 동등한 권한을 부여해야 함을 의미했다. 여기에는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에 근본적인 것으로 간주한 노동의 권리도 포함되었다. 캉커칭은 '평등'이 정치, 문화, 과학, 기술로도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
4. 약력
1911년 청나라 저장성 항저우에서 어부였던 친아버지 캉저우(康哲武, 강철무) 슬하 3녀 중 막내딸로 출생하였고, 6세 시절이던 1917년에 중화민국 장시성 지안 부 완안 구역 거주자이자 농부였던 5촌 아저씨 캉스이(康世儀, 강세의)에게 양녀로 입양되어 이후 중화민국 장시 성 지안 부 완안 구역에서 성장하였다.[1] 1929년 주더와 결혼하였다.(결혼 당시 이미 주더는 4번째 결혼)[1] 1935년 3월 2일 중국 공산당 홍군에 소위 계급으로 입대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1949년 10월 1일 당시에는 이미 홍군 대좌 신분이었으며, 이듬해 1950년 3월 23일 중화인민공화국 지상군 대좌로 예편하였다.[1]
이후 중국공산당 인민보위아동전국위원회 비서장을 역임하였다.[1]
- 중화민국 저장 성 항저우 홍군군관학교 졸업[1]
- 중화민국 저장 성 항저우 홍군대학교 졸업[1]
- 중화인민항일군사정치대학교 졸업[1]
연도 | 내용 |
---|---|
1926년 | 공산주의 청년단에 참가[1] |
1927년 | 부녀협회 상임비서[1] |
1928년 | 홍군의 주더 부대에 들어감. 징강산에서 마오쩌둥과 합류[1] |
1929년 | 주더와 결혼[1] |
1931년 | 중국 공산당 입당[1] |
1932년 | 장시성 루이진에서 홍군 총사령부 직속 여자 의용대 대대장, 직속대 정치지도원 역임[1] |
1934년 | 대장정에 참가, 중화 소비에트 공화국 임시 중앙 정부 집행위원회 후보 위원[1] |
1936년 | 홍사방면군 당교 총지서기[1] |
1937년 | 팔로군 총사령부 직속대 대장, 정치처 주임, 당 총지서기, 진둥난 부녀 구국회 명예 주임, 중공 중앙 부녀위원회 위원, 해방구 전시 아동 보육회 부주임[1] |
1951년 | 신중국 아동 옹호위원회 비서장[1] |
1953년 | 전국 부녀 연합회 상무위원[1] |
1955년 | 동 연합회 서기, 정치협상 상무위원[1] |
1977년 | 당 중앙 위원[1] |
1978년 | 정치협상 부주석, 부녀 연합회 주석[1] |
1980년 | 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1] |
1982년 | 당 중앙 위원. 중국 부녀 대표단 단장으로 방일[1] |
1983년 | 정치협상 부주석[1] |
1985년 | 은퇴[1] |
참조
[1]
뉴스
Kang Keqing, 80, Women's Aide And Veteran of the Long March
https://www.nytimes.[...]
1992-04-23
[2]
간행물
康克清妇女解放思想初探
[3]
간행물
上世纪三十年代客家女性革命史研究——以康克清等三人为例
[4]
간행물
长征中的朱德和康克清
[5]
간행물
康克清:学而时习之
[6]
서적
The Great Road: The Life and Times of Chu Teh
Monthly Review Press
1956
[7]
서적
The Great Road
[8]
간행물
康克清与海伦・斯诺的友谊
[9]
간행물
Mianhuai jing'ai de Kang Keqing dajie 缅怀敬爱的康克清大姐 [Respectful commemoration of elder sister Kang Keqing]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