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화인민항일군사정치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인민항일군사정치대학교는 1931년 장시성 루이진에서 중국 붉은 군대 학교로 설립되어, 중국 공산당의 항일 투쟁 시기에 군사 및 정치 간부를 양성한 교육 기관이다. 학교는 여러 차례 명칭 변경과 이전을 거쳐, 1937년 중국 인민 항일 붉은 군대 대학으로 개명되었으며, 린뱌오, 류보청, 마오쩌둥 등이 주요 직책을 맡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동북 지역으로 이동하여 동북민주연군군사정치대학으로 개편되었고,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인민해방군 국방대학교에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폐교된 대학교 - 잉골슈타트 대학교
    잉골슈타트 대학교는 1472년에 설립되어 인문주의를 장려하고 종교개혁 시기 가톨릭 신앙의 보루 역할을 했으며, 18세기 재정난으로 란츠후트로 이전된 후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의 기원이 되었다.
  • 폐교된 대학교 - 윈난 육군강무학교
    윈난 육군강무학교는 1909년 윈난성 쿤밍에 설립되어 신해혁명과 호국전쟁의 혁명군 거점 역할을 했고, 차이어를 비롯한 졸업생들은 윈난 파를 형성하여 중화민국 초기에 영향을 미쳤으며, 주더, 예젠잉 등 중국 공산당 주요 인사를 배출했고, 현재 건물은 박물관으로 보존되어 있다.
  • 장시성의 역사 - 남당
    남당은 오대십국 시대 강남을 중심으로 서지고(이병)가 건국하여 당을 계승했다는 명분으로 성립되었으나, 이경과 이유 시대에 문화적,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음에도 후주와 송의 압력으로 쇠퇴하여 송에 멸망, 문화적 유산과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 장시성의 역사 - 강남도 (당)
    강남도는 당나라 시대 중국 남부의 광대한 지역을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733년 강남동도와 강남서도로 분할되었으며, 당나라 말기에는 절도사와 관찰사들이 등장하여 후대 봉건 체제에 영향을 미쳤다.
중화인민항일군사정치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항일군정대학 정문
항일군정대학 정문과 모토
모토단결, 긴장, 엄숙, 활발
모토 (원어)团结、紧张、严肃、活泼
모토 (로마자 표기)Tuánjié, jǐnzhāng, yánsù, huópō
설립일1931년
폐교일1945년
종류공립
위치옌안, 산시성, 중국
이전 명칭중국인민항일군사정치대학
약칭항대
조직
소속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교육위원회
인물
총장 (1937-1943)린뱌오
총장 (1943-1945)쉬샹첸

2. 역사

1931년 장시성 루이진에서 중화인민항일군사정치대학교가 설립되었으며, 당시에는 '''중국 붉은 군대 학교'''(중국어 간체: 中国红军学校, 정체: 中國紅軍學校)로 불렸다. 1933년에는 '''중국 붉은 군대 대학'''(중국어 간체: 中国红军大学, 정체: 中國紅軍大學)으로 확장되었다. 1934년 제5차 반(反) 포위 토벌전 중, 산시성 북서부의 안딩현 와야바오 마을로 이전하여 '''산베이 붉은 군대 학교'''(중국어 간체: 陕北红军学校, 정체: 陝北紅軍學校)와 통합, '''중국 노동자 농민 붉은 군대 학교'''(중국어 간체: 中国工农红军学校, 정체: 中國工農紅軍學校)를 설립했다. 1936년에는 '''서북 항일 붉은 군대 대학'''(중국어 간체: 西北抗日红军大学, 정체: 西北抗日紅軍大學)으로 변경되었고, 저우 쿤이 총장, 위안 구오핑이 정치 위원이었다.

1937년 1월 20일, "중국 인민 항일 붉은 군대 대학"(중국어 간체: 中国人民抗日红军大学, 정체: 中國人民抗日紅軍大學)으로 개명되었다. 린뱌오가 총장, 류보청이 부총장, 마오쩌둥이 교육위원회 주석을 맡았으며, 1943년 3월 쉬샹첸이 린뱌오의 뒤를 이어 총장이 되었다.

1937년 8월 1일에는 1272명의 학생으로 구성된 제3기가 시작되었으며, 3개 대대와 13개 학원대 외에 노간부군사대, 청년군사대, 노간부유격훈련대 등이 있었다. 제1대대(대대장: 한진지)는 군사전문대, 제2대대(대대장: 쑤전화, 정치협리원: 왕적군)는 정치전문대, 제3대대(대대장: 류중런, 정치협리원: 리간후이)는 청년대였다. 1938년 3월부터 5월에 걸쳐 제3기생이 잇달아 졸업하고, 곧바로 전장으로 향했다.

1938년 4월 16일에 시작된 제4기는 5562명의 학생으로, 8개 대대 43개 학원대로 편성되었다. 907명은 팔로군과 신사군의 간부, 4655명은 중국 각지에서 온 청년이었으며, 그 외에도 동남아시아의 화교와 조선인, 베트남인, 일본인 등이 있었다. 같은 해 8월 1일, 제1대대 및 제2대대 학생들이 졸업했다. 그 외 부대의 학생들도 12월에 졸업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중국 공산당의 "북향 발전, 남향 방어" 방침에 따라, 항일군정대학은 간부 및 군대와 함께 동북부로 이동했다. 1946년 2월, 안둥 성통화에 설립되어, 동북민주연군군사정치대학으로 개명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이 대학은 인민해방군 국방대학교에 통합되었다.

2. 1. 설립 배경

1931년 장시성 루이진에서 중화인민항일군사정치대학교가 설립되었으며, 당시에는 '''중국 붉은 군대 학교'''(중국어 간체: 中国红军学校, 정체: 中國紅軍學校)로 불렸다. 1933년에는 '''중국 붉은 군대 대학'''(중국어 간체: 中国红军大学, 정체: 中國紅軍大學)으로 확장되었다. 1934년 제5차 반(反) 포위 토벌전 중, 산시성 북서부의 안딩현 와야바오 마을로 이전하여 '''산베이 붉은 군대 학교'''(중국어 간체: 陕北红军学校, 정체: 陝北紅軍學校)와 통합, '''중국 노동자 농민 붉은 군대 학교'''(중국어 간체: 中国工农红军学校, 정체: 中國工農紅軍學校)를 설립했다. 1936년에는 학교 이름을 '''서북 항일 붉은 군대 대학'''(중국어 간체: 西北抗日红军大学, 정체: 西北抗日紅軍大學)으로 변경했다. 저우 쿤이 총장, 위안 구오핑이 정치 위원이었다.

1937년 1월 20일, 학교는 "중국 인민 항일 붉은 군대 대학"(중국어 간체: 中国人民抗日红军大学, 정체: 中國人民抗日紅軍大學)으로 개명되었다. 린뱌오가 총장, 류보청이 부총장, 마오쩌둥이 교육위원회 주석을 맡았다. 1943년 3월, 쉬샹첸이 린뱌오의 뒤를 이어 총장이 되었다.

2. 2. 발전 과정

1931년 장시성 루이진에서 중화인민항일군사정치대학교가 설립되었으며, 당시에는 '''중국 붉은 군대 학교'''(중국어 간체: 中国红军学校, 정체: 中國紅軍學校)로 불렸다. 1933년에는 '''중국 붉은 군대 대학'''(중국어 간체: 中国红军大学, 정체: 中國紅軍大學)으로 확장되었다. 1934년 제5차 반(反) 포위 토벌전 중, 산시성 북서부의 안딩현 와야바오 마을로 이전하여 '''산베이 붉은 군대 학교'''(중국어 간체: 陕北红军学校, 정체: 陝北紅軍學校)와 통합, '''중국 노동자 농민 붉은 군대 학교'''(중국어 간체: 中国工农红军学校, 정체: 中國工農紅軍學校)를 설립했다. 1936년에는 '''서북 항일 붉은 군대 대학'''(중국어 간체: 西北抗日红军大学, 정체: 西北抗日紅軍大學)으로 변경되었고, 저우 쿤이 총장, 위안 구오핑이 정치 위원이었다.

1937년 1월 20일, "중국 인민 항일 붉은 군대 대학"(중국어 간체: 中国人民抗日红军大学, 정체: 中國人民抗日紅軍大學)으로 개명되었다. 린뱌오가 총장, 류보청이 부총장, 마오쩌둥이 교육위원회 주석을 맡았으며, 1943년 3월 쉬샹첸이 린뱌오의 뒤를 이어 총장이 되었다.

1937년 8월 1일에는 1272명의 학생으로 구성된 제3기가 시작되었으며, 1938년 4월 16일에 시작된 제4기는 5562명의 학생으로, 8개 대대 43개 학원대로 편성되었다. 제4기에는 팔로군과 신사군의 간부, 중국 각지에서 온 청년, 동남아시아 화교, 조선인, 베트남인, 일본인 등이 포함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중국 공산당의 "북향 발전, 남향 방어" 방침에 따라, 항일군정대학은 간부 및 군대와 함께 동북부로 이동했다. 1946년 2월, 안둥 성통화에 설립되어, 동북민주연군군사정치대학으로 개명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이 대학은 인민해방군 국방대학교에 통합되었다.

2. 3. 한국과의 관계

3. 교육

3. 1. 교육 방침

단결, 긴장, 엄숙, 활발(tuánjié, jǐnzhāng, yánsù, huópō/团结、紧张、严肃、活泼중국어)을 교훈으로 삼았다.[5] 교가는 항일군정대학교가(군교지가)이다.[6]

3. 2. 교수진 및 동문

번호사진이름취임퇴임참고
1
75px
린뱌오19371943
2
75px
쉬샹첸19431945


  • 천겅
  • 펑위허
  • 겅뱌오
  • 궈수성
  • 허창궁
  • 허진녠
  • 후야오방
  • 후주팅
  • 라이촨주
  • 리타오
  • 리셴녠
  • 류후이농
  • 류시핑
  • 류야오루
  • 뤄빙후이
  • 뤄화성
  • 뤄룽환
  • 모원화
  • 펑쉐펑
  • 치신
  • 사오스핑
  • 쑤전화
  • 탄관산
  • 탄정
  • 왕웨이저우
  • 왕젠안
  • 왕핑
  • 시헝한
  • 샹쉬안
  • 샤오원지우
  • 쉬스유
  • 양청우
  • 양더즈
  • 양리산
  • 야오지밍
  • 쩡시성
  • 장아이핑
  • 장춘칭
  • 장징우
  • 자오얼루
  • 저우춘취안
  • 저우젠핑
  • 저우원룽
  • 저우쯔쿤
  • 아이 쓰치
  • 두 핑자이
  • 펑 다페이
  • 펑 즈궈
  • 궈 화뤄
  • 한 전지
  • 리 둥차오
  • 랴오 관셴
  • 류 샤오칭
  • 뤄 스원
  • 런 바이거
  • 쉬 마오융
  • 양 란스
  • 장 칭푸
  • 장 루신
  • 장 원화
  • 자오 서우이

4. 분교

1938년 12월, 허창공(何長工)을 교장, 저우춘취안/周纯全중국어을 부교장으로 하여 타이항 항일 근거지에서 제1분교가 창설되었다. 정치부 주임은 황어우둥/黄欧东중국어, 훈련부장은 웨이궈칭(韋国清)이었다. 제5기 제5, 제6대대의 전 학생과 제3, 제4대대의 일부를 기반으로 산베이공학(陝北公學)과 서북항일청년훈련반(西北抗日青年訓練班)의 일부를 통합하여 창설되었다. 분교 중 가장 먼저 창설되었고, 역사도 길었으며, 규모도 최대였다.

1938년 12월, 진차지 항일 근거지에서 제5기 제7대대와 제1대대 제4지대, 제2, 3, 4대대의 일부, 샨베이 공학 쉰이 분교, 서북 항일 청년 훈련반 및 중앙 조직부 훈련반의 일부를 통합하여 제2분교가 조직되었다. 교장은 천보쥔이, 부교장은 사오스핑이, 정치부 주임은 위안쯔친이, 훈련부장은 쉬더차오가 맡았다.

1939년 7월, 항일군정대학 총교가 옌안을 떠난 후, 옌안에 남아있던 제1, 2, 5대대의 일부와 교직원을 기반으로 창설되었다. 쉬광다, 천치한/陳奇涵중국어, 궈화뤄/郭化若중국어가 교장을 맡았고, 장전펑이 교육장, 리이민이 정치부 주임이었다. 제3분교는 주로 포병 및 공병 간부와 러시아어 인재를 양성했다. 1941년 10월,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는 제3분교의 군사 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옌안의 팔로군 공정학교와 포병교도영을 편입했다. 같은 해 11월 21일, 팔로군 군정학원의 일부와 합병하여 군사학원으로 확대되었다.

1940년 3월, 신사군 제6지대 수영학교와 항일군정대학 총교 화중 파견 대대를 기반으로 화중 근거지에 설립되었다. 교장은 펑쉐펑(彭雪楓)과 장아이핑이, 부교장은 우즈푸(吴芝圃)와 장전(张震)이, 교육장은 팡중펑(方中锋)과 류칭밍(刘清明)이, 정치부 주임은 샤오왕둥(肖望东)과 리간후이(李干辉)가 맡았다. 1944년 9월 11일, 교장이자 신사군 제4사 사단장이었던 펑쉐펑이 전사하자, 중공 중앙 화중국과 신사군 정치부는 제4분교를 쉐펑 군정 학교로 개명하기로 결정했다. 제4분교는 5년 정도 운영되었으며, 7기 학생을 모집했다. 신사군 내의 분교 중 가장 먼저 설립되었고, 운영 기간도 길었으며, 장강 이남과 화중 지역의 청년들을 많이 받아들였다.

1940년 11월 하순, 화중 항일 근거지에서 신사군 강북 지휘부 군정 간부 학교 일부, 신사군 수북 지휘부 간부 학교, 신사군 완동 간부 학교, 항대 총교 제2 화중 파견 대대를 기반으로 창설되었다. 천이가 교장 겸 정치 위원, 뢰전주/賴傳珠중국어와 풍정/馮定중국어이 부교장, 사상군/謝祥軍중국어이 교육장, 여립금/余立金중국어이 정치부 주임, 설모교/薛暮橋중국어가 훈련 부장이었다. 염성 반소탕 기간 중 일부 학생은 남하하여 쑤중동태 지역에서 활동하고, 신사군 제1사 간부 학교와 합병하여 항대 쑤중 대대를 편성했다.

1941년 10월, 일부 간부와 교원을 골간으로 신사군 제3사가 도착하여, 새롭게 제5분교가 설립되었다. 신사군 제3사 사장 황커청이 교장을 겸임하고, 정치 위원은 우성쿤, 부교장은 장싱파, 교육장은 왕신후, 정치부 주임은 당극/唐克중국어였다. 원래 제5분교는 항일군정대학 화중 총분교로 개칭되었다. 1942년, 일본군의 소탕 작전으로 폐교하지만, 1944년 여름에 다시 개교했다.

1940년 11월, 항일군정대학 총교에서 파견된 9개 학원대와 팔로군 제129사단 수영학교를 기반으로 태항산 항일 근거지에서 창설되었다.

1941년 7월 하순, 팔로군 제120사단 교도단을 주축으로, 진서북 항일 근거지에서 창설되었다.

1941년 5월, 신사군 강북 지휘부 군정 간부 학교의 일부를 기반으로 화중 항일 근거지에 창설되었다.

1942년 5월, 항대(抗大) 쑤중(蘇中) 대대와 신사군(新四軍) 제1사 간부학교를 기반으로 쑤중 항일 근거지에서 창설되었다.

1942년 2월, 신사군 제5사 수영학교를 기반으로 어예변 근거지에서 창설되었다.

산시성친수에서 1944년 가을 항일군사정치대학 태악분교를 기반으로 조직되었다. 허베이성섭현에서는 1945년 봄 항대 태행 대대를 기반으로 조직되었다.

4. 1. 제1분교

1938년 12월, 허창공(何長工)을 교장, 저우춘취안/周纯全중국어을 부교장으로 하여 타이항 항일 근거지에서 제1분교가 창설되었다. 정치부 주임은 황어우둥/黄欧东중국어, 훈련부장은 웨이궈칭(韋国清)이었다. 제5기 제5, 제6대대의 전 학생과 제3, 제4대대의 일부를 기반으로 산베이공학(陝北公學)과 서북항일청년훈련반(西北抗日青年訓練班)의 일부를 통합하여 창설되었다. 분교 중 가장 먼저 창설되었고, 역사도 길었으며, 규모도 최대였다.

4. 2. 제2분교

1938년 12월, 진차지 항일 근거지에서 제5기 제7대대와 제1대대 제4지대, 제2, 3, 4대대의 일부, 샨베이 공학 쉰이 분교, 서북 항일 청년 훈련반 및 중앙 조직부 훈련반의 일부를 통합하여 제2분교가 조직되었다. 교장은 천보쥔이, 부교장은 사오스핑이, 정치부 주임은 위안쯔친이, 훈련부장은 쉬더차오가 맡았다.

4. 3. 제3분교

1939년 7월, 항일군정대학 총교가 옌안을 떠난 후, 옌안에 남아있던 제1, 2, 5대대의 일부와 교직원을 기반으로 창설되었다. 쉬광다, 천치한/陳奇涵중국어, 궈화뤄/郭化若중국어가 교장을 맡았고, 장전펑이 교육장, 리이민이 정치부 주임이었다. 제3분교는 주로 포병 및 공병 간부와 러시아어 인재를 양성했다. 1941년 10월,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는 제3분교의 군사 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옌안의 팔로군 공정학교와 포병교도영을 편입했다. 같은 해 11월 21일, 팔로군 군정학원의 일부와 합병하여 군사학원으로 확대되었다.

4. 4. 제4분교

1940년 3월, 신사군 제6지대 수영학교와 항일군정대학 총교 화중 파견 대대를 기반으로 화중 근거지에 설립되었다. 교장은 펑쉐펑(彭雪楓)과 장아이핑이, 부교장은 우즈푸(吴芝圃)와 장전(张震)이, 교육장은 팡중펑(方中锋)과 류칭밍(刘清明)이, 정치부 주임은 샤오왕둥(肖望东)과 리간후이(李干辉)가 맡았다. 1944년 9월 11일, 교장이자 신사군 제4사 사단장이었던 펑쉐펑이 전사하자, 중공 중앙 화중국과 신사군 정치부는 제4분교를 쉐펑 군정 학교로 개명하기로 결정했다. 제4분교는 5년 정도 운영되었으며, 7기 학생을 모집했다. 신사군 내의 분교 중 가장 먼저 설립되었고, 운영 기간도 길었으며, 장강 이남과 화중 지역의 청년들을 많이 받아들였다.

4. 5. 제5분교

1940년 11월 하순, 화중 항일 근거지에서 신사군 강북 지휘부 군정 간부 학교 일부, 신사군 수북 지휘부 간부 학교, 신사군 완동 간부 학교, 항대 총교 제2 화중 파견 대대를 기반으로 창설되었다. 천이가 교장 겸 정치 위원, 뢰전주/賴傳珠중국어와 풍정/馮定중국어이 부교장, 사상군/謝祥軍중국어이 교육장, 여립금/余立金중국어이 정치부 주임, 설모교/薛暮橋중국어가 훈련 부장이었다. 염성 반소탕 기간 중 일부 학생은 남하하여 쑤중동태 지역에서 활동하고, 신사군 제1사 간부 학교와 합병하여 항대 쑤중 대대를 편성했다.

1941년 10월, 일부 간부와 교원을 골간으로 신사군 제3사가 도착하여, 새롭게 제5분교가 설립되었다. 신사군 제3사 사장 황커청이 교장을 겸임하고, 정치 위원은 우성쿤, 부교장은 장싱파, 교육장은 왕신후, 정치부 주임은 당극/唐克중국어였다. 원래 제5분교는 항일군정대학 화중 총분교로 개칭되었다. 1942년, 일본군의 소탕 작전으로 폐교하지만, 1944년 여름에 다시 개교했다.

4. 6. 제6분교

1940년 11월, 항일군정대학 총교에서 파견된 9개 학원대와 팔로군 제129사단 수영학교를 기반으로 태항산 항일 근거지에서 창설되었다.

4. 7. 제7분교

1941년 7월 하순, 팔로군 제120사단 교도단을 주축으로, 진서북 항일 근거지에서 창설되었다.

4. 8. 제8분교

1941년 5월, 신사군 강북 지휘부 군정 간부 학교의 일부를 기반으로 화중 항일 근거지에 창설되었다.

4. 9. 제9분교

1942년 5월, 항대(抗大) 쑤중(蘇中) 대대와 신사군(新四軍) 제1사 간부학교를 기반으로 쑤중 항일 근거지에서 창설되었다.

4. 10. 제10분교

1942년 2월, 신사군 제5사 수영학교를 기반으로 어예변 근거지에서 창설되었다.

4. 11. 기타 분교

산시성친수에서 1944년 가을 항일군사정치대학 태악분교를 기반으로 조직되었다. 허베이성섭현에서는 1945년 봄 항대 태행 대대를 기반으로 조직되었다.

5. 평가

6. 학교 동문


  • 천겅
  • 펑위허
  • 겅뱌오
  • 궈수성
  • 허창궁
  • 허진녠
  • 후야오방
  • 후주팅
  • 라이촨주
  • 리타오
  • 리셴녠
  • 류후이농
  • 류시핑
  • 류야오루
  • 뤄빙후이
  • 뤄화성
  • 뤄룽환
  • 모원화
  • 펑쉐펑
  • 치신
  • 사오스핑
  • 쑤전화
  • 탄관산
  • 탄정
  • 왕웨이저우
  • 왕젠안
  • 왕핑
  • 시헝한
  • 샹쉬안
  • 샤오원지우
  • 쉬스유
  • 양청우
  • 양더즈
  • 양리산
  • 야오지밍
  • 쩡시성
  • 장아이핑
  • 장춘칭
  • 장징우
  • 자오얼루
  • 저우춘취안
  • 저우젠핑
  • 저우원룽
  • 저우쯔쿤

참조

[1] 뉴스 http://finance.china[...] 2015-08-20
[2] 뉴스 http://www.wenwu.gov[...] 2015-10-28
[3] 뉴스 http://news.ifeng.co[...] 2015-08-25
[4] 뉴스 http://www.sxdaily.c[...] 2015-10-28
[5] 뉴스 http://www.mod.gov.c[...] 2015-06-21
[6] 뉴스 http://www.dangjian.[...] 2015-05-15
[7] 웹사이트 http://www.peoplech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