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육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나다 육군은 캐나다군의 육군 구성군으로, 1867년 캐나다 연방 이전에는 영국군이 방위를 담당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냉전 기간 동안 서독에 주둔한 NATO 병력에도 참여했다. 1968년 해군 및 공군과의 통합 이후 규모가 축소되었지만, 걸프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등 다양한 군사 작전에 참여하고 유엔 평화유지 활동을 수행했다. 캐나다 육군은 오타와 국방본부의 지휘를 받으며, 4개의 지리적 구역으로 나뉘어 조직되어 있다. 현재 정규군에는 3개의 기계화 여단 전투단이 있으며, 육군 예비군은 지리적 경계를 따라 편성되어 있다. 캐나다 육군은 다양한 계급 체계를 가지며, 정규 장교는 캐나다 왕립 군사 대학 등에서 교육받고, 다양한 장비와 제복을 사용한다. 또한, 캐나다 육군 저널을 발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육군 - 이집트 육군
이집트 육군은 고대 이집트에서 시작되어 무함마드 알리 시대에 근대화되었고, 여러 전쟁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현대적인 군대로 운영되고 있다. - 나라별 육군 - 이란 육군
이란 육군은 페르시아 제국 시대부터 이어진 역사를 바탕으로 이란 혁명 이후 이란 이슬람 공화국 육군으로 개편되었으며, 자체 생산 장비를 포함한 기갑, 보병, 특수 부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캐나다 육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별칭 | |
후원자 | |
장비 | |
기념일 | |
훈장 |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
상징 | |
2. 역사
1968년, 캐나다는 육군, 해군, 공군을 통합했다. 비공식적으로 기동 부대(현역 및 예비역 포함)를 캐나다 지상군으로 칭하며 '육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려 했으나, 1980년대까지 동의를 얻지 못했다. 초기 기동 부대는 헬리콥터를 이용한 전략적 지상 공격을 포함하여 미국 해병대의 통합 전투 방식과 유사한 형태를 띠었다.
1975년, 캐나다군 재편 과정에서 항공 부대가 재배치되어 공군의 장점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기동 부대는 기동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지상군 역할을 전담하게 되었다. 1997년에는 기동군이 통합군 지상군으로 다시 한번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1년 8월 16일, 통합군 지상군은 공식적으로 캐나다 육군이라는 이름을 되찾게 되었다.[1]
2. 1. 형성
1867년 캐나다 연방(Canadian Confederation) 이전에는, 영국 북아메리카에서 모집된 영국군의 "방위군(Fencible)" 연대와 캐나다 민병대 부대를 포함한 영국군(British Army)이 캐나다 방위를 담당했다. 캐나다 육군의 현재 연대 중 일부는 이러한 연방 이전 민병대와 방위군 부대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간다.[1] 1855년 민병대법(Militia Act of 1855) 통과 이후, 상비 활동 민병대(Permanent Active Militia)가 편성되었고, 후대에 여러 정규군 부대가 창설되어, 그 후손들이 왕립 캐나다 기병 포병(Royal Canadian Horse Artillery), 왕립 캐나다 용기병대(Royal Canadian Dragoons), 왕립 캐나다 연대(Royal Canadian Regiment)가 되었다.[1] 19세기에 정규 캐나다군이 참여한 주요 작전으로는 1885년 북서부 반란(North-West Rebellion)과 제2차 보어 전쟁(Second Boer War)이 있다.[1]

2. 2.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중, 캐나다 육군은 해외 파병을 위한 자원병 부대인 캐나다 원정군(CEF)을 창설하였으며, 이는 캐나다의 전쟁 노력에 있어 주된 참여였다.[10][11]2. 3. 제2차 세계 대전
영국이 1939년 9월 3일 나치 독일과 그 동맹국들에 대한 선전포고를 한 후, 윌리엄 라이온 매켄지 킹 총리는 캐나다 의회와 협의하여 1939년 9월 10일 선전포고를 하였다. 이에 캐나다 육군은 캐나다 현역 부대(Canadian Active Service Force)를 창설하였다. 이 부대는 초기에는 제1캐나다 사단으로 구성되었으며, 나중에는 제1캐나다 육군을 형성할 정도로 증강되었다.[12] 1940년 11월 19일,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상임 현역 의용군(Permanent Active Militia)을 캐나다 육군(현역)(Canadian Army (Active))으로, 비상임 현역 의용군(Non-Permanent Active Militia)은 캐나다 육군(예비군)(Canadian Army (Reserve))으로 개명하는 국무원령이 발표되었다.[12]2. 4. 냉전과 그 이후
캐나다 육군은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1950년 12월 최초 부대가 한국에 상륙하여 킬러 작전과 가평 전투에 참가한 부대의 일원이었다. 캐나다군은 또한 냉전 기간 동안 서독에 주둔한 NATO 병력에도 참여했다.1968년 해군과 공군과의 통합 이후 몇 년 동안 캐나다 육군의 규모는 축소되었지만, 캐나다군은 캐나다 동맹국들과 여러 군사 작전에 참여했다. 이러한 작전에는 1991년의 걸프 전쟁과 2001년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이 포함되며,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유엔의 후원하에 다양한 평화유지 활동을 수행했다.[13] 캐나다가 일반적으로 영국과 미국의 계획을 지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캐나다 육군은 수에즈 사태, 베트남 전쟁, 또는 이라크 전쟁에는 직접 참전하지 않았다.[14]
1968년에 육·해·공 삼군을 통합하고, 비공식적이지만 기동 부대를 현역과 예비역 모두 포함하는 캐나다 지상군에 언급하도록 하여 1980년대까지 캐나다 육군으로서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육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려 했으나 동의를 얻지 못했다. 기동 부대의 초기 조직에는 헬리콥터를 이용한 전략적 지상 공격도 포함되어 있어 지상군에 추가함으로써 미국 해병대의 통합 전투에 가까워졌다. 1975년 캐나다군 재편에 따라 항공 부대는 조직으로서 재배치되어 모든 공군의 장점을 갖추게 되었다. 기동 부대는 기동군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독점적인 지상군이 되었다. 1997년 기동군을 통합군 지상군으로 변경했다. 2011년 8월 16일 통합군 지상군은 공식적으로 캐나다 육군으로 개칭되었다.
3. 조직
캐나다 육군의 지휘는 오타와에 있는 국방본부 내 캐나다 육군 사령관이 담당한다. 육군은 4개의 지리적 구역으로 나뉘며, 각 구역은 특정 지역에 주둔한다.[15]
4개의 지역 사령부 외에도 캐나다 육군 교리 및 훈련 센터가 존재한다. 이 센터는 온타리오주 맥노턴 막사, 킹스턴 CFB에 본부를 두고 소장이 지휘하며, 육군 훈련 및 교리 개발을 감독하고 통합하며 제공한다. 여기에는 뉴브런즈윅주 게이지타운 CFB에 있는 전투 훈련 센터와 알버타주 웨인라이트 CFB에 있는 캐나다 기동 훈련 센터 등 여러 학교와 훈련 기관이 포함된다.[17]
캐나다 육군의 보병 및 기갑 연대는 영국군의 전통과 역사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다. 많은 연대가 영국군 연대를 본떠 만들어졌으며, 공유된 역사의식을 영속시키기 위해 공식적인 "동맹" 또는 제휴 시스템이 만들어졌다. 전투 명예와 군기와 같은 전통들도 캐나다 연대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캐나다 육군 내 최고직은 1964년까지 참모총장이었으나, 캐나다 군대의 통합에 앞서 기동사령관이 되었다.[18] 1993년 육군참모총장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9] 2011년 "캐나다 육군"이라는 이름으로 되돌아온 후, 이 직책은 캐나다 육군 사령관이 되었다.

캐나다 육군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23][24]
사단 | 구성 |
---|---|
제2 캐나다 사단 | |
제3 캐나다 사단 | |
제4 캐나다 사단 | |
제5 캐나다 사단 | |
제6 캐나다 전투 지원 여단 |
또한, 사령부는 다음 기관을 포함하는 캐나다 육군 교리 및 훈련 센터를 포함한다.
- CADTC 사령부
- 지휘 참모 대학
- 육군 훈련국
- 민군 협력 활동국
- 육군 교리국
- 심리전국
- 전투 훈련 센터
- 환경국
- 통신 및 전자학교
- 디지털화 사무소
- 교훈 관리 센터
- 평화 지원 훈련 센터
- 캐나다 기동 훈련 센터
3. 1. 정규군
캐나다 육군 정규군에는 세 개의 기계화 여단 전투단이 있다. 정규군의 약 3분의 2는 영어권 부대이고, 3분의 1은 프랑코폰이다. 기계화 여단에는 로열 캐나다 연대,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 로열 22e 연대의 세 개 보병 연대 대대가 포함된다.
1953년부터 1971년까지 정규군 보병은 각각 두 개의 대대를 유지하는 7개의 연대로 구성되었다(로열 22e 연대는 세 개의 대대를, 캐나다 근위대는 1953년부터 1957년까지 네 개의 대대를 보유, 캐나다 공수 연대는 세 개의 특수부대로 편성). 캐나다 근위대와 캐나다 공수 연대 외에도 캐나다 여왕 소유 라이플 연대와 캐나다 블랙 와치(로열 하이랜드 연대)도 정규군에서 복무한 부대를 운용했다.
캐나다군 통합 이후 몇 년 동안 정규군의 여러 부대가 해산되거나 전력이 0으로 감소되었다. 1968년 9월 15일, 여왕 소유 라이플 연대 제2대대는 전력이 0으로 감소되어 보충 전투 서열로 이관되었고, 몇 주 후, 캐나다 근위대 제1대대는 1968년 10월 1일에 해산되었다.
1970년에는 몇몇 부대의 전력이 추가로 0으로 감소되었다. 여왕 소유 라이플 연대 제1대대는 1970년 4월 27일 전력이 0으로 감소되어 보충 전투 서열로 이관되었고, 그 부대원들은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 제3대대를 구성했다. 1970년 6월 중순부터 7월 초까지 추가 감축이 이루어졌고, 포트 개리 기병대의 정규군 부대는 1970년 6월 16일에 해산되었다. 블랙 와치 제1대대와 제2대대는 1970년 7월 1일 전력이 0으로 감소되어 보충 전투 서열로 이관되었다. 며칠 후인 1970년 7월 6일, 캐나다 근위대 제2대대는 전력이 0으로 감소되어 보충 전투 서열로 이관되었고, 그 부대원들은 로열 캐나다 연대 제3대대의 일부가 되었다. 캐나다 근위대가 전력이 0으로 감소된 후, 왕실 근위대의 역할은 예비군의 두 개 보병 연대로 되돌아갔다. 각 대대는 1976년에 대대 번호 지정을 포기했다.
1990년대에 정규군은 추가적인 조직 개편을 거쳤다. 캐나다 공수 연대는 1995년에 해산되었고,[20] 1957년에 창설된 제8 캐나다 기갑 연대(프린세스 루이즈)의 정규군 연대는 1994년 독일 라르에서 제4 캐나다 기계화 여단 전투단이 해체되면서 정규군과 예비군의 혼합 "전체 전력" 부대로 전환되었다가 1997년에 예비군 연대로 환원되었다.[21]
3. 2. 예비군
육군 예비군은 캐나다 육군의 예비 전력이며 주전역에서 가장 큰 부대이다. 육군 예비군은 지리적 경계를 따라 인원이 부족한 여단으로 편성되어 있다(행정 목적). 육군 예비군은 매우 활동적이며 2002년 이후 모든 정규군 배치에 대거 참여하여, 경우에 따라 개별 증원이나 때때로 편성된 하급 부대(예: 중대) 형태로 각 배치의 최대 40%를 차지하기도 했다.[22] LFR 연대는 이론적으로는 전체 대대를 지원할 행정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소대의 전개 가능한 병력만 보유하고 있다. 이들은 전쟁 시 신병을 적시에 수용하기 위해 그러한 형태로 유지되고 있다. 육군 예비군의 현재 병력은 약 18,500명이다.[22] 2008년 4월 1일, 육군 예비군은 이전 통신 예비군의 모든 부대를 흡수했다.- '''대서양 지역군'''
제36 캐나다 여단군 | 제37 캐나다 여단군 | 제72 통신군 | 기타 |
---|---|---|---|
- '''퀘벡 지역군'''
제34 캐나다 여단군 | 제35 캐나다 여단군 | 제71 통신군 | 기타 |
---|---|---|---|
- '''중부 지역군'''
제31 캐나다 여단군 | 제32 캐나다 여단군 |
---|---|
- '''서부 지역군'''
제38 캐나다 여단군 | 제39 캐나다 여단군 | 제41 캐나다 여단군 | 기타 |
---|---|---|---|
3. 3. 편제
캐나다 육군의 지휘는 오타와에 있는 국방본부 내 캐나다 육군 사령관이 담당한다. 육군은 4개의 지리적 구역으로 나뉜다.[15]4개의 지역 사령부 외에도, 소장이 지휘하고 온타리오주 맥노턴 막사, 킹스턴 CFB에 본부를 둔 캐나다 육군 교리 및 훈련 센터는 시뮬레이션 및 디지털화를 포함한 육군 훈련 및 교리 개발의 감독, 통합 및 제공을 담당한다. 여기에는 뉴브런즈윅주 게이지타운 CFB에 있는 전투 훈련 센터와 알버타주 웨인라이트 CFB에 있는 캐나다 기동 훈련 센터와 같은 여러 학교와 훈련 기관이 포함된다.[17]
캐나다 육군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23][24]
사단 | 구성 |
---|---|
제2 캐나다 사단 | |
제3 캐나다 사단 | |
제4 캐나다 사단 | |
제5 캐나다 사단 |
또한, 사령부는 다음 기관을 포함하는 캐나다 육군 교리 및 훈련 센터를 포함한다.
- CADTC 사령부
- 지휘 참모 대학
- 육군 훈련국
- 민군 협력 활동국
- 육군 교리국
- 심리전국
- 전투 훈련 센터
- 환경국
- 통신 및 전자학교
- 디지털화 사무소
- 교훈 관리 센터
- 평화 지원 훈련 센터
- 캐나다 기동 훈련 센터
지역군 | 여단군 | 구성 부대 |
---|---|---|
대서양 지역군 | 제36 캐나다 여단군 | |
제37 캐나다 여단군 | ||
제72 통신군 | ||
기타 | ||
퀘벡 지역군 | 제34 캐나다 여단군 | |
제35 캐나다 여단군 | ||
제71 통신군 | ||
기타 | ||
중부 지역군 | 제31 캐나다 여단군 | |
제32 캐나다 여단군 | ||
기타 | (없음) | |
서부 지역군 | 제38 캐나다 여단군 | |
제39 캐나다 여단군 | ||
제41 캐나다 여단군 | ||
제73 통신군 | ||
기타 |
4. 인원
캐나다 육군의 군 계급은 공적, 자격, 훈련 및 복무 기간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부여된다. 하사관은 상병 계급까지, 장교는 대위 계급까지 이전 계급 복무 기간에 따라 자동 승진한다. 연대 상사(Regimental Sergeant Major)는 최고 준위 장교(Chief Warrant Officer)가, 부관(Adjutant)은 대위가 담당하는 등 일부 계급은 특정 임무와 관련이 있다.[25]
캐나다 왕립 기갑 부대(Royal Canadian Armoured Corps)의 훈련을 받은 이병은 트루퍼(trooper)이고, 포병대의 같은 계급은 건너(gunner)이다. 이 외에도 이병 계급은 퓨실리어(fusilier), 사퍼(sapper), 라이플맨(rifleman), 크래프츠맨(craftsman), 가드스맨(guardsman) 등으로 불린다.[25]
장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선발된다.
- 정규 장교 훈련 계획(Regular Officer Training Plan): 캐나다 왕립 군사 대학(RMC) 또는 캐나다 민간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는다.
- 직접 입대 장교 계획(Direct Entry Officer Plan): 대학교 학위나 기술 디플로마 소지자를 위한 계획이다.
- 계속 교육 장교 훈련 계획(Continuing Education Officer Training Plan): 장교 복무 자격은 있지만 학위가 없는 지원자를 위한 계획으로, 군 복무 중 학위를 취득한다.[33]
- 대학교 훈련 계획(부사관)(University Training Plan (Non-Commissioned Members)): 정규군 장교 경력을 쌓을 선발된 부사관을 위한 계획으로, RMC 또는 캐나다 민간 대학교에 다닌다.[34]
- 진급 임관 계획(Commissioning from the Ranks Plan): 군 경험과 장교 근무 적합성을 갖춘 사람들에게 적용된다.[35]
- 특수 요건 임관 계획(Special Requirements Commissioning Plan): 고위 부사관의 기술과 경험을 활용하고, 자격 있는 최고 준위 준장에게 경력 향상 기회를 제공한다.[36]
- 보조 특수 교육(Subsidized special education): 의무 장교 훈련 계획 또는 치과 장교 훈련 계획을 포함한다.[37]
복무 중인 장교를 임관하기 위한 장교 후보생 훈련 계획 등은 현재 시행되지 않는다.
캐나다 육군 장교의 직무 훈련은 전투 훈련 센터(Combat Training Centre)의 학교(장갑, 포병, 보병, 전기 및 기계 기술자 등 군 통제 직종) 또는 캐나다군 학교(캐나다군 행정 및 물류 학교, 국방 공보 교육 센터 등)에서 이루어진다.
4. 1. 계급 및 휘장
캐나다 육군의 군 계급은 공적, 자격, 훈련 및 계급 복무 기간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에 따라 부여된다. 그러나 하사관의 경우 상병 계급까지, 장교의 경우 대위 계급까지는 이전 계급의 복무 기간에 따라 자동적으로 승진한다. 일부 계급은 특정 임무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연대 상사(Regimental Sergeant Major)는 최고 준위 장교(Chief Warrant Officer)가, 부관(Adjutant)은 대위가 담당한다.일부 부대 또는 특정 부서에서는 전통에 따라 계급 명칭이 다를 수 있다. 캐나다 왕립 기갑 부대(Royal Canadian Armoured Corps)의 훈련을 받은 이병은 트루퍼(trooper)이고, 포병대의 같은 계급은 건너(gunner)이다. 이병 계급의 다른 명칭으로는 퓨실리어(fusilier), 사퍼(sapper), 라이플맨(rifleman), 크래프츠맨(craftsman), 가드스맨(guardsman) 등이 있다.[25]
NATO 코드 | OF-10 | OF-9 | OF-8 | OF-7 | OF-6 | OF-5 | OF-4 | OF-3 | OF-2 | OF-1 | ||||||||||||||
---|---|---|---|---|---|---|---|---|---|---|---|---|---|---|---|---|---|---|---|---|---|---|---|---|
장군 | 중장 | 소장 | 준장 | 대령 | 중령 | 소령 | 대위 | 중위 | 소위 | |||||||||||||||
NATO 코드 | OR-9 | OR-8 | OR-7 | OR-6 | OR-5 | OR-4 | OR-3 | OR-2 | OR-1 | |||||||||||||||||||||||||||
---|---|---|---|---|---|---|---|---|---|---|---|---|---|---|---|---|---|---|---|---|---|---|---|---|---|---|---|---|---|---|---|---|---|---|---|---|
최고 준위 장교(Chief warrant officer) | 수석 준위 장교(Master warrant officer) | 준위 장교(Warrant officer) | 상사(Sergeant) | 상급 하사(Master corporal) | 하사(Corporal) | 이병(훈련병) | 이병(기본병) | |||||||||||||||||||||||||||||
4. 2. 장교 훈련
장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선발된다.
- 정규 장교 훈련 계획(Regular Officer Training Plan): 지원자는 캐나다 왕립 군사 대학(RMC) 또는 캐나다 민간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는다.
- 직접 입대 장교 계획(Direct Entry Officer Plan): 이미 대학교 학위나 기술 디플로마를 소지한 사람들을 위한 계획이다.
- 계속 교육 장교 훈련 계획(Continuing Education Officer Training Plan): 특정 장교 직책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계획으로, 장교로서의 복무 자격은 있지만 학위가 없는 지원자를 유치하기 위한 것이다. 지원자는 군 복무 중 학위를 취득한다.[33]
- 대학교 훈련 계획(부사관)(University Training Plan (Non-Commissioned Members)): 정규군에서 장교로서의 경력을 쌓을 선발된 복무 부사관을 육성하기 위한 계획이다. 일반적으로 이 계획에 선발된 지원자는 RMC 또는 캐나다 민간 대학교에 다닌다.[34]
- 진급 임관 계획(Commissioning from the Ranks Plan): 다른 계획을 통해 임관된 장교 수를 보충하기 위한 장교를 제공하며, 일정한 군 경험을 쌓았고 장교로서의 근무에 적합한 자질을 갖춘 사람들에게만 적용된다.[35]
- 특수 요건 임관 계획(Special Requirements Commissioning Plan): 장교 직책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고안된 계획이다. 이를 통해 캐나다군은 고위 부사관의 기술과 경험을 활용할 수 있으며, 선발된 자격 있는 최고 준위 준장에게 경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36]
- 보조 특수 교육(Subsidized special education): 의무 장교 훈련 계획 또는 치과 장교 훈련 계획을 포함한다.[37]
또한, 복무 중인 장교를 임관하기 위한 장교 후보생 훈련 계획(Officer Candidate Training Plan) 및 장교 후보생 훈련 계획(남성)(Officer Candidate Training Plan (Men))과 같은 다른 임관 계획이 있었지만, 현재는 시행되지 않는다.
캐나다 육군 장교의 직무 훈련은 전투 훈련 센터(Combat Training Centre)의 학교 중 하나(장갑, 포병, 보병, 전기 및 기계 기술자 등 군 통제 직종) 또는 캐나다군 학교(예: 캐나다군 행정 및 물류 학교 또는 국방 공보 교육 센터)에서 이루어진다. 후자는 육군이 아닌 부서에서 관리하는 경력 분야의 장교를 대상으로 한다.
5. 장비
캐나다는 과학 기술 부문이 매우 발달한 산업 국가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캐나다는 자체적인 보병 전투 장갑차, 대전차 유도 미사일 및 소화기를 생산해 왔다. 정규군과 예비군 부대는 2030년대 중반까지 현대 위협에 대처할 수 있는 최첨단 장비를 운용한다. 196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국방 예산이 대폭 삭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육군은 비교적 잘 장비되어 있다.[38] 육군은 현재 G-바겐 및 7000-MV를 포함하여 약 10,500대의 유틸리티 차량을 운용하고 있으며, LAV III 및 레오파르트 2를 포함한 약 2,700대의 장갑 전투 차량도 운용하고 있다.[39] 육군은 또한 M777 곡사포 및 LG1 Mark II를 포함한 약 150문의 야전 포병을 운용하고 있다.[40]
2016년 육군은 RG-31 나일라와 코요테 정찰차량을 텍스트론 전술 장갑 순찰 차량으로 교체했다.[41]
육군 보병은 C7 소총 또는 C8 카빈을 기본 돌격 소총으로 사용하며, 수류탄병은 부착된 M203 수류탄 발사기가 장착된 C7을 사용하고, C9 분대 자동화기를 사용한다.[42] 캐나다 육군은 또한 SIG Sauer P320[43] 및 SIG Sauer P226을 사용한다.
C7/C8 계열의 최신 변형은 캐나다군 전반에 걸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C7은 최근 C7A2 형태로 업데이트되었다. 주요 내부 구성 요소는 동일하지만 소총의 다용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 변경이 이루어졌다.[44]
전술 통신은 Iris 디지털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공된다.
종류 | 모델 | 비고 |
---|---|---|
주력전차 | 레오파르트 2A4M, 레오파르트 2A6 | |
주력전차 | 레오파르트 C1, 레오파르트 C2 | |
피라냐 I | AVGP - AVGP 쿠거, AVGP 그리즐리, AVGP 허스키 | |
피라냐 II | 코요테 정찰전투차 | |
피라냐 II | 바이슨 장갑병원수송차 | |
피라냐 III | LAV III | |
MRAP | RG-31 | |
MRAP | 쿠거 장갑차 | |
MRAP | 맘바 장갑병원수송차 | |
MRAP | 버팔로 (지뢰제거차) | |
곡사포 | LG1 105mm 곡사포 | |
곡사포 | M777 155mm 곡사포 | |
다연장 로켓 | 하이마스 |
6. 제복
캐나다 육군은 예복(정복), 연회복(연회복), 근무복(근무복), 작전복/야전복, 그리고 직능별 제복 등 다양한 제복을 운용한다. 캐나다의 제복은 1900년부터 1968년 캐나다군 통합까지 영국군 제복과 병행하여 개발되었지만, 상당한 차이점을 유지해 왔다. 각기 다른 기능을 위한 여러 제복의 채택은 제복을 독특하게 "캐나다식"으로 만드는 과정이 되었다.
1968년 통합 이전에는 세 부대의 제복이 영국군 및 기타 영연방 국가 군대의 제복과 유사했지만, 국가 식별자와 일부 연대 장구류는 제외되었다. 피터 매케이(Peter MacKay) 국방장관은 2013년 7월 8일 캐나다 정부가 캐나다 육군 계급 휘장, 명칭 및 휘장을 전통적인 형태로 복원할 의향이 있다고 발표했다.[31]
캐나다 육군의 보편적인 정복에는 진홍색 튜닉, 진홍색 바지 줄무늬가 있는 밤색 바지, 그리고 울즐리 헬멧이 포함된다. 그러나 캐나다 육군의 여러 연대는 육군의 보편적인 디자인에서 연대별로 편차를 허용받고 있는데, 여기에는 일부 기갑 연대, 캐나다 스코틀랜드 연대 및 모든 소총/볼티주르 연대가 포함된다.[32] 육군 연대의 정복은 캐나다 민병대에서 유래했으며, 결국 전투에서 의전용으로 전환되었다.
현재 근무복은 이전 버전의 근무복과 유사하지만, 다른 형태와 추가된 어깨 끈을 가진 소총녹색 튜닉과 바지를 포함한다. 현재 근무복은 1980년대 후반에 캐나다군의 다른 부대에 지급된 다른 "독특한 환경 제복"과 함께 도입되었다. 1968년 군 통합부터 1980년대 독특한 근무복 도입까지 캐나다군의 부대들은 유사한 소총녹색 근무복을 착용했다.
캐나다 육군은 1960년대 초 "전투복"이라고 불리는 올리브 드랍색 셔츠를 도입하면서 전투용 제복을 지급하기 시작했다. 올리브 드랍색 제복은 1990년대 후반 육군이 CADPAT 위장 전투복을 채택할 때까지 사소한 변경 사항과 함께 계속 사용되었다. CADPAT 채택으로 캐나다군은 모든 부대에 디지털 위장 패턴을 채택한 최초의 군대가 되었다.
7. 기지 및 훈련 센터
- 캐나다 제2사단
:** 제2사단 지원기지 몬트리올
:** 발카르티에 주둔지
:** 생장 주둔지
:** 제2사단 훈련센터 발카르티에
- 캐나다 제3사단
:** 제3사단 지원기지 에드먼턴
:** 와인라이트 주둔지
:** 실로 주둔지
:** 제3사단 훈련센터 와인라이트
:** 제3사단 훈련센터 파견대 실로
- 캐나다 제4사단
:** 제4사단 지원기지 페타와
:** 킹스턴 캐나다군 기지
:** 제4사단 훈련센터 미포드
- 캐나다 제5사단
:** 제5사단 지원기지 게이지타운
:** 제5사단 훈련센터 게이지타운
:** 제5사단 훈련센터 파견대 알더샷
8. 캐나다 육군 저널
1947년부터 캐나다 육군은 동료 평가를 거치는 학술지인 '''캐나다 육군 저널(Canadian Army Journal)'''을 발간해왔다. 1965년, 캐나다 군의 통합 이전에 이 저널은 다른 부대의 유사한 간행물과 통합되었다. 1980년, 원래 저널의 후속으로 ''캐나다 육군 교리 공보(Canadian Army Doctrine Bulletin)''가 발행되기 시작했고, 2004년에 이 출판물은 원래 이름으로 돌아왔다.[46]
참조
[1]
서적
An Act to regulate the militia of this province and to repeal the acts now in force for that purpose [microform]: assented to 19th of May, 1855.
https://archive.org/[...]
S. Derbyshire and G. Desbarats
2020-03-26
[2]
웹사이트
War Of 1812 Battle Honours
http://www.forces.gc[...]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2020-03-09
[3]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Canada
McClelland & Stewart
[4]
학술지
Canadian Army collection
https://www.uvic.ca/[...]
2020-03-24
[5]
웹사이트
About the Canadian Armed Forces
https://www.canada.c[...]
Government of Canada
2023-09-20
[6]
웹사이트
Canadian Army
http://reg.gg.ca/her[...]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2017-02-14
[7]
웹사이트
Juno the Canadian Army Mascot
https://www.canada.c[...]
Government of Canada
2021-06-04
[8]
웹사이트
https://scholars.wlu[...]
2024-02-01
[9]
뉴스
Navy and air force to be royal once again
https://www.cbc.ca/n[...]
2011-08-15
[10]
웹사이트
Soldiers of the First World War - CEF
http://www.collectio[...]
2013-09-10
[11]
웹사이트
History & Heritage
http://www.army-arme[...]
2021-01-11
[12]
웹사이트
The Army Programme for 1941
https://www.canada.c[...]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Canada)
[13]
웹사이트
Canada in Afghanistan: Overview of Military and Development Activities
http://www.mapleleaf[...]
2013-09-10
[14]
웹사이트
Canada's 'No' To Iraq War A Defining Moment For Prime Minister, Even 10 Years Later
http://www.huffingto[...]
2013-09-10
[15]
웹사이트
Canadian Army reverts to British-style ranks and designations
http://o.canada.com/[...]
2013-09-10
[16]
웹사이트
1st Canadian Division moves to CJOC
http://www.forces.gc[...]
2015-11-20
[17]
간행물
Leader in Land Operations: LFDTS Land Force Doctrine and Training System
Department of National Defence
2011
[18]
웹사이트
Integration and Unification of the Canadian Forces
http://www.navalandm[...]
[19]
학술지
Chasing the Silver Bullet: the Evolution of Capability Development in the Canadian Army
http://www.journal.f[...]
[20]
간행물
Canadian Forces Publication A-DH-267-003/AF-002—Part Two: Infantry Regiments
[21]
간행물
Canadian Forces Publication A-DH-267-003/AF-001—Part One: Armour, Artillery and Field Engineer Regiments
[22]
웹사이트
Canadian Army Reserve
https://www.canada.c[...]
2024-10-16
[23]
웹사이트
4th Canadian Division - Ontario
https://www.canada.c[...]
Canadian Army
2022-04-20
[24]
웹사이트
Canadian Combat Support Brigade - Canadian Army
http://www.army-arme[...]
2019-10-01
[25]
웹사이트
canadiansoldiers.com article on Rank and Responsibility
http://canadiansoldi[...]
2013-06-27
[26]
웹사이트
Dress instructions {{!}} Section 2 Rank insignia and appointment badges
https://www.canada.c[...]
2024-10-21
[27]
웹사이트
Ranks and appointment
https://www.canada.c[...]
Government of Canada
2021-05-28
[28]
웹사이트
The Canadian Armed Forces modernizes military ranks in French
https://www.canada.c[...]
Government of Canada
2022-02-03
[29]
웹사이트
Ranks and appointment
https://www.canada.c[...]
Government of Canada
2021-05-28
[30]
웹사이트
The Canadian Armed Forces modernizes military ranks in French
https://www.canada.c[...]
Government of Canada
2022-02-03
[31]
웹사이트
Canadian Forces to go back to the future with British-style ranks
https://www.cbc.ca/n[...]
2013-07-10
[32]
서적
Canadian Armed Forces Dress Instruction
http://www.cmp-cpm.f[...]
Canadian Armed Forces
2001-06-01
[33]
간행물
CF Military Personnel Instructions 09/05
[34]
간행물
CFAO 9-13—University Training Plan—Non-Commissioned Members
[35]
간행물
CFAO 11-9—Commissioning From The Ranks Plan
[36]
보고서
CFAO 11-14—Special Requirements Commissioning Plan
[37]
웹사이트
The Canadian Officer Selection System
https://docs.google.[...]
2016-04-10
[38]
서적
9.3 Military Forces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39]
웹사이트
Equipment: Vehicles
http://www.army-arme[...]
2013-07-16
[40]
웹사이트
Equipment: Weapons
http://www.army-arme[...]
2013-07-16
[41]
웹사이트
Integrated soldier system project
https://www.canada.c[...]
2013-03-13
[42]
웹사이트
Equipment: Weapons
http://www.forces.gc[...]
2012-06-14
[43]
웹사이트
Canadian Armed Forces Receive New C22 (SIG Sauer P320) Modular Pistols
https://militaryleak[...]
2023-05-30
[44]
뉴스
Canadian Armed Forces Assault Rifle
http://www.canadianf[...]
[45]
웹사이트
Approval of a Badge
https://www.gg.ca/en[...]
Official website of the Governor General
[46]
웹사이트
Canadian Army Journal
http://www.army.forc[...]
2005-10-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