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평 전투는 1951년 4월 23일부터 25일까지 한국 전쟁 중 중공군 춘계 공세의 일환으로 벌어진 전투이다. 대한민국 육군 제6사단의 방어선이 붕괴된 후, 영국 연방군 제27여단이 가평 북쪽에서 중공군의 진격을 막기 위해 투입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제3대대,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 연대 제2대대가 중공군의 공격을 받아 치열한 전투를 벌였으며, 특히 캐나다군은 고립된 상황에서도 677고지를 사수하며 중공군의 공세를 저지했다. 유엔군은 가평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많은 사상자를 냈으며, 이 전투는 영연방군의 용맹함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평군의 역사 - 가평 전투 (1951년 5월)
가평 전투는 1951년 5월 중공군 춘계공세 당시 가평군에서 미국 제213 야전포병대대가 중공군의 공격을 저지한 전투로, 포위망 속에서 맹렬한 포격과 백병전으로 적을 격퇴하여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 뉴질랜드가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코만도 작전
코만도 작전은 한국 전쟁 중 미 제8군이 제임스타운 선 확보를 목표로 철원-금화 철도 보호와 적 요새 점령을 시도했으나, 막대한 피해와 전선 교착 심화, 국제적 비판을 야기하며 폴차지 작전으로 이어진 작전이다. - 뉴질랜드가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제1차 마량산 전투
제1차 마량산 전투는 1951년 10월 한국 전쟁 중 코만도 작전의 일환으로 영국군 제1영연방사단이 임진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 인민지원군과 벌인 전투로, 특히 제28영국연방여단이 마량산을 점령했으나 한 달 뒤 중공군에게 다시 빼앗겼으며, 호주 육군의 한국 전쟁 최대 업적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1951년 4월 - 파리 조약 (1951년)
1951년 파리 조약은 유럽 석탄 및 강철 공동체(ECSC)를 설립하여 서독 등 6개국의 전쟁 재발 방지, 프랑스와 독일의 화해, 유럽 통합의 출발점을 마련했으나, 냉전으로 동유럽이 배제되는 한계가 있었다. - 1951년 4월 - 율동 전투
율동 전투는 한국 전쟁 중 필리핀 제10대대 전투단이 율동 지역에서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중공군에 맞서 싸워 미 제3사단의 후퇴를 지원한 전투로, 필리핀군의 용맹함을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지고 한국과 필리핀 간의 우호 관계를 상징하는 사건이다.
가평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전투명 | 가평 전투 |
부분 | 중공군 춘계공세 중 |
날짜 | 1951년 4월 22일 ~ 4월 25일 |
장소 | 경기도 가평군 북면 목동리 및 이곡리 일대 |
결과 | 유엔군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유엔 (UNC) |
참가국 1 | |
지휘관 1 | 브라이언 버크 조지 테일러 이안 브루스 퍼거슨 제임스 라일리 스톤 A. G. 란가라지 장도영 매슈 리지웨이 제임스 밴 플리트 |
지휘관 2 | 원유첸 덩위에 펑더화이 쑹스룬 |
부대 1 | 제27 영국 연방 여단 미들섹스 연대 RNZA 제16야전연대 3RAR PPCLI 제6사단 A 중대 72 중전차 대대 제5기병연대 213 야전 포병 대대 제2 화학 박격포 대대 74 공병 전투 대대 |
부대 2 | 제118 사단, 제60 사단 |
병력 1 | 1개 여단 ≈ 2,000명 |
병력 2 | 2개 사단 ≈ 20,000명 |
사상자 | |
사상자 1 | 3 RAR: 32명 사망, 59명 부상 2 PPCLI: 12명 사망, 35명 부상 16 야전 연대: 2명 사망, 5명 부상 72 중전차 대대: 3명 사망, 12명 부상 제5 기병 연대: 10명 사망, 다수 부상 총: 59명 사망, 최소 111명 부상 |
사상자 2 | ≈ 1,000–5,000명 사망, 다수 부상 |
기타 정보 | |
![]() |
2. 배경
2. 1. 6.25 전쟁 초기 전황
1951년 2월부터 4월까지 유엔군은 킬러 작전과 리퍼 작전을 통해 성공적인 반격 공세를 펼쳤다. 킬러 작전에서 미 제8군은 중공군을 한강 북쪽으로 몰아냈고, 리퍼 작전으로 3월 중순 서울을 탈환했다. 유엔군은 다시 38선 이북으로 진출했다.[194] 그러나 더글라스 맥아더 유엔군 총사령관과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의 갈등으로 맥아더는 해임되고 매슈 리지웨이 장군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다.[197] 1951년 4월 14일, 제임스 밴 플리트 장군이 리지웨이의 뒤를 이어 미 제8군과 주한 유엔군 사령관이 되었다.[218]이후 유엔군은 용기 작전(3월 말), 러그드 작전(4월 초) 등을 통해 38선 북쪽의 캔자스 선과 유타 선까지 진출했다.[195] 매화산 전투 이후 제27보병여단은 미 제9군단의 예비군으로 복무했다.[196] 1951년 4월, 제27보병여단은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제3대대, 프린세스 패트리샤캐나다 경보병 연대 제2대대, 미들섹스 연대 제1대대, 아르길 서덜랜드 하일랜더즈 제1대대로 구성된 4개 대대였다.[197] 3월 23일 배질 코드 여단장이 홍콩으로 떠나면서 브라이언 아서 버크가 여단을 지휘하게 되었다.[197] 뉴질랜드 제16포병연대는 88mm 오드넌스 QF 25파운더 야전포로 제27보병여단을 지원했다.[198][199]

제27여단은 미 제24보병사단에 배속되어 3월 말 조종암 계곡을 따라 북진하여 3월 31일 벤튼 선에 도달했다. 이후 가평천의 좁고 깊은 계곡을 따라 동쪽으로 10km 진격했다.[204] 4월 3일부터 12일 동안 제27여단은 러그드 작전의 일환으로 강을 따라 30km를 진격했다. 이 지역은 중공군이 강력하게 방어하지는 않았지만, 언덕 꼭대기에 숨은 소규모 보병 집단이 능숙하게 방어했다. 4월 8일, 여단은 격렬한 저항에 부딪히면서 "캔자스 선"에 도달했다.[195] 4월 11일 맥아더 해임 이후, 짧은 작전 휴식 후 여단은 유타 선을 향해 5km 진격했다. 중공군의 저항은 더욱 거세졌고, 여단의 초기 목표는 4월 13일이 되어서야 미들섹스 연대가 점령했다.[205]
유타 선으로 가는 길은 900m 높이의 사딘 고지와 샐먼 고지가 가로막고 있었다. 미들섹스 연대는 4월 14일 사딘 고지를 점령하려다 실패했고,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제3대대에게 임무가 넘어갔다.[205] 제3대대 A 중대는 능선을 점령하며 중공군 10명을 사살하고 20명에게 부상을 입혔으며, 아군은 8명이 부상당했다.[206] 다음 날 아침, 제3대대 C 중대가 가벼운 저항 속에 샐먼 고지를 점령했다. 고지 점령 후 중공군의 포격으로 아군 2명이 부상당했고, 이후 공습으로 중공군의 반격 시도를 저지했다.[207] 한편, 프린세스 패트리샤캐나다 경보병 연대 제2대대는 우측으로 진격하여 4월 15일 795고지를 점령했다. 중공군의 지연 작전에 직면한 캐나다군은 다음 날 아침까지 최종 목표였던 826고지를 점령하지 못했다.[208]
2. 2. 영연방 제27여단의 배치
1951년 2월부터 4월까지 유엔군의 반격은 대체로 성공적이었다.[3] 미 제8군은 작전 킬러 동안 중공군을 한강 북쪽으로 밀어냈고, 작전 리퍼 동안 서울은 3월 중순에 다시 점령되었으며, 유엔군은 다시 한번 38선에 접근했다.[194] 매화산 전투 이후, 제27영국 연방 여단[5]은 유엔군이 꾸준히 북쪽으로 밀고 나가면서 미 제9군단 예비대로 배치되었다.[196] 준장 바실 코아드는 3월 23일 인도적인 이유로 홍콩으로 떠났고, 여단은 브라이언 버크 준장의 지휘를 받았다.[197]제16야전 포병 연대, 왕립 뉴질랜드 포병 (16 Fd Regt)은 88mm 25파운더 야전포를 갖추고 제27여단을 직접 지원했다.[198][199] 제3 RAR은 이안 브루스 퍼거슨 중령의 지휘를 받았다.[200] 제2 PPCLI는 제임스 스톤 중령이 지휘했다.[201] 중앙 지역에 배치된 이 여단은 미 제24보병사단, 대한민국 제2보병사단, 미 제7보병사단 및 대한민국 제6보병사단을 포함하는 미 제9군단의 일부였으며, 윌리엄 M. 호지 소장의 전체 지휘를 받았다.[202][203]
이 기간 동안 제27여단은 미 제24사단에 배속되어 3월 말 초정 계곡을 통해 북쪽으로 진격하여 3월 31일 ''벤턴 선''에 도달했다. 그 후 여단은 해제되어 동쪽으로 10km 떨어진 가평천의 깊고 좁은 계곡을 따라 제9군단과 함께 진격했다.[204] 4월 3일부터 제27여단은 작전 러기드의 일환으로 강을 따라 30km를 진격했다. 계곡은 중공군에 의해 강력하게 점유되지는 않았지만, 계곡을 내려다보는 언덕 꼭대기에 참호를 구축한 소규모 보병 부대에 의해 능숙하게 방어되었다. 측면 언덕과 능선을 따라 진격하면서 여단은 4월 8일 ''캔자스 선''에 도달하기 전에 격렬한 저항에 직면하면서 연속적인 진지를 점령했다.[195] 짧은 작전 중단 후, 더글러스 맥아더 해임 다음 날인 4월 11일에 ''유타 선''까지 5km의 진격이 시작되었다. 중공군의 저항이 눈에 띄게 강화되었고, 그 결과 여단의 초기 목표는 4월 13일까지 점령되지 않았다.[205]
''유타 선''으로 가는 길은 두 개의 900m 언덕, 즉 북쪽으로 1km 떨어진 '정어리' 지형과 그보다 800m 더 북쪽에 있는 '연어'로 지배되었다. 미들섹스 중대는 4월 14일 정어리를 점령하려다 두 번이나 격퇴되었고, 그 임무는 제3 RAR에 할당되었다.[205] 제3 RAR A 중대는 그 후 능선을 점령하여 중공군 10명을 사살하고 20명에게 부상을 입혔으며, 제3 RAR은 8명의 부상자를 냈다.[206] 다음 날 아침, 연어는 가벼운 저항 속에서 총 한 발도 쏘지 않고 C 중대에 의해 점령되었다. 점령 후 중공군 포격으로 2명이 부상을 입었고, 공습은 중공군이 시도한 반격을 막았다.[207] 한편, 제2 PPCLI는 오른쪽 측면에서 진격을 계속하여 4월 15일 '터봇' 지형(795 고지)을 점령했다. 중공군의 격렬한 지연 작전에 직면한 제2 PPCLI는 다음 날 아침까지 최종 목표인 '트라우트' 지형(826 고지)을 점령하지 못했다.[208]
3. 중공군 춘계공세
1951년 4월 17일, 제27보병여단은 유타선에 도달한 후 전선에서 물러나 해당 지역을 대한민국 제6사단에 인계했다. 이후 버크는 서울에서 동해안으로 가는 주요 도로에 있는 가평 북쪽의 예비 진지로 이동할 것을 대대에게 명령했다.[209] 정보부는 중국인민지원군의 새로운 공세가 임박했음을 알려주었고, 여단이 예비진지에서 휴식을 취하는 동안 이들은 3시간 전에 제9군단을 지원하기 위해 이동했다.[210] 지난 7달 동안 연속적으로 작전을 수행했기 때문에 영국군은 예비군 기간 동안 여단의 대부분을 쉬게 할 예정이었다. 아르길 대대와 미들섹스 대대는 홍콩에서 오는 새로운 2개 대대로 대체될 예정이었고, 버크와 제27여단 본부는 4월 말 여단장 조지 테일러와 제28보병여단으로 대체될 예정이었다. 전쟁에 대한 캐나다의 지원 증대의 일환으로, 캐나다군은 5월에 새로 창설된 제25캐나다보병여단으로 전환될 예정이었다. 여단 본부 선발대와 아르길 대대는 4월 19일 서울을 떠나 홍콩으로 출발할 예정이었고, 남아있는 영국군 대대는 2주 후에 떠날 예정이었다.[210][211]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제3대대는 전환되지 않고 전쟁 전 기간 동안 여단의 일환으로 남아있을 예정이었고, 대신에 독자적인 보충 체계를 운용했다.[210][212]
한편, 철의 삼각지대로의 진군 작전이었던 돈틀리스 작전에 대한 계획이 시작되었다. 철의 삼각지대는 남쪽의 철원군과 김화군, 그리고 북쪽의 평양 사이에 있는 중국인민지원군과 조선인민군의 중요한 군사집결지이자 통신연결점이었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 계획에는 미국 제8군이 연이은 진지에 지연 작전을 수행하여 중국인민지원군의 또 다른 공세를 예방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었다.[210]중국인민지원군과 조선인민군의 포병부대와 병참체계의 가시적인 강화를 포함하여 공산군의 공격이 임박했다는 추가적인 징후로 리지웨이는 밴 플리트에게 ''와이오밍선''을 넘어서 공격을 가하지 말라고 명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감이 있었던 리지웨이는 공세의 규모를 넓혀 동부 구역에 '앨라배마선'이라는 제2차 목표선을 지정했다. 그러나 밴 플리트는 4월 21일 공세를 개시했지만 그 다음 날 중국인민지원군과 조선인민군의 더 강력한 공세를 마주해야 했다.[218]
중공군 춘계공세는 한강 북쪽에 있는 미국 제1군단과 제9군단을 완전히 격파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공세에는 중국인민지원군 집단군 3개(제3집단군, 제9집단군, 제19집단군)와 조선인민군 군단 3개(제1군단, 제3군단, 제5군단)이 참여했으며, 펑더화이가 이들 부대의 총사령관이었다.[213][214][215][216] 서울을 점령하는 것이 최우선의 목표였기 때문에, 4월 22일에 공세가 개시되었다. 미군 제1군단이 점령한 서부 지역의 임진강을 도하하는 주 공격에는 서울을 향해 진격하는 337,000명의 병력이 포함되어 있었다. 부차적인 임무에는 149,000명의 병력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 임무는 더 동쪽의 소양강을 건너 미국 제9군단 대부분과 미국 제10군단 일부에 소속된 중앙 및 동부 구역을 공격하는 것이었다.[217] 여기에 214,000명의 중국인민지원군이 공세를 지원했다. 총 700,000명 이상의 중국인민지원군이 공세에 참여하는 것이었다.[218] 준비의 일환으로, 전투에 단련된 제13집단군의 제39군과 제40군은 쑹스룬이 지휘하는 제9군집단 휘하 부대로 전환되었고, 제40군 사령관 원유첸은 가평에서 임진강으로 향하는 유엔군 증원군을 막는 한편, 대한민국 제6사단을 격멸하는 임무를 맡았다.[219][220]
152,000명의 대한민국 국군, 245,000명의 미군, 11,500명의 영연방군, 그리고 기타 유엔 회원국에서 온 병력 10,000명을 포함한 418,000명의 유엔군이 공세를 맞닥뜨렸다.[218] 그러나, 미국 제8군이 전선을 따라 대규모 침투를 막을 만큼 충분히 강하지 않았기 때문에, 중국인민지원군 보병 상당수가 유엔군의 측면을 휩쓸고, 유엔군의 철수를 막기 위해 전체 부대들을 포위했다.[221] 제1군단 구역에서 서울로 향하는 중국인민지원군의 주요 공격로에 놓여있었던 부대는 제29보병여단이었다. 임진강에 주둔한 여단은 이틀 동안 중국인민지원군 2개 사단을 저지하여 서울 점령을 막았지만, 영국군의 전쟁 중 가장 참혹한 교전으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전투 중 글로스터셔 연대 1대대의 대부분은 설마리 전투에서 완강한 저항으로 죽거나 포로가 되었다. 대대의 지휘관 제임스 카네 중령은 그의 대대가 포위된 이후 빅토리아 훈장을 받았다.[222] 결국 제29여단은 캔자스선을 방어하는 중에 1,091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중국인민지원군 제63군에 상당한 피해를 입고 약 10,0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스터셔 연대의 손실은 영국과 유엔 사령부 내에서 논란을 야기했다.[223] 한편, 더 동쪽의 제9군단 구역에서는 중국인민지원군 제40군 제118사단과 제20군 제60사단이 4월 22일 밤 대한민국 제6사단을 공격할 준비를 마쳤다.[224]
3. 1. 공세 준비
1951년 4월 17일, 제27보병여단은 유타선에 도달한 후 전선에서 물러나 해당 지역을 대한민국 제6사단에 인계했다. 이후 버크는 서울에서 동해안으로 가는 주요 도로에 있는 가평 북쪽의 예비 진지로 이동할 것을 대대에게 명령했다.[209] 정보부는 중국인민지원군의 새로운 공세가 임박했음을 알려주었고, 여단이 예비진지에서 휴식을 취하는 동안 이들은 3시간 전에 제9군단을 지원하기 위해 이동했다.[210] 지난 7달 동안 연속적으로 작전을 수행했기 때문에 영국군은 예비군 기간 동안 여단의 대부분을 쉬게 할 예정이었다. 아르길 대대와 미들섹스 대대는 홍콩에서 오는 새로운 2개 대대로 대체될 예정이었고, 버크와 제27여단 본부는 4월 말 여단장 조지 테일러와 제28보병여단으로 대체될 예정이었다. 전쟁에 대한 캐나다의 지원 증대의 일환으로, 캐나다군은 5월에 새로 창설된 제25캐나다보병여단으로 전환될 예정이었다. 여단 본부 선발대와 아르길 대대는 4월 19일 서울을 떠나 홍콩으로 출발할 예정이었고, 남아있는 영국군 대대는 2주 후에 떠날 예정이었다.[210][211]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제3대대는 전환되지 않고 전쟁 전 기간 동안 여단의 일환으로 남아있을 예정이었고, 대신에 독자적인 보충 체계를 운용했다.[210][212]
한편, 철의 삼각지대로의 진군 작전이었던 돈틀리스 작전에 대한 계획이 시작되었다. 철의 삼각지대는 남쪽의 철원군과 김화군, 그리고 북쪽의 평양 사이에 있는 중국인민지원군과 조선인민군의 중요한 군사집결지이자 통신연결점이었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 계획에는 미국 제8군이 연이은 진지에 지연 작전을 수행하여 중국인민지원군의 또 다른 공세를 예방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었다.[210]중국인민지원군과 조선인민군의 포병부대와 병참체계의 가시적인 강화를 포함하여 공산군의 공격이 임박했다는 추가적인 징후로 리지웨이는 밴 플리트에게 ''와이오밍선''을 넘어서 공격을 가하지 말라고 명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감이 있었던 리지웨이는 공세의 규모를 넓혀 동부 구역에 '앨라배마선'이라는 제2차 목표선을 지정했다. 그러나 밴 플리트는 4월 21일 공세를 개시했지만 그 다음 날 중국인민지원군과 조선인민군의 더 강력한 공세를 마주해야 했다.[218]
중공군 춘계공세는 한강 북쪽에 있는 미국 제1군단과 제9군단을 완전히 격파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공세에는 중국인민지원군 집단군 3개(제3집단군, 제9집단군, 제19집단군)와 조선인민군 군단 3개(제1군단, 제3군단, 제5군단)이 참여했으며, 펑더화이가 이들 부대의 총사령관이었다.[213][214][215][216] 서울을 점령하는 것이 최우선의 목표였기 때문에, 4월 22일에 공세가 개시되었다. 미군 제1군단이 점령한 서부 지역의 임진강을 도하하는 주 공격에는 서울을 향해 진격하는 337,000명의 병력이 포함되어 있었다. 부차적인 임무에는 149,000명의 병력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 임무는 더 동쪽의 소양강을 건너 미국 제9군단 대부분과 미국 제10군단 일부에 소속된 중앙 및 동부 구역을 공격하는 것이었다.[217] 여기에 214,000명의 중국인민지원군이 공세를 지원했다. 총 700,000명 이상의 중국인민지원군이 공세에 참여하는 것이었다.[218] 준비의 일환으로, 전투에 단련된 제13집단군의 제39군과 제40군은 쑹스룬이 지휘하는 제9군집단 휘하 부대로 전환되었고, 제40군 사령관 원유첸은 가평에서 임진강으로 향하는 유엔군 증원군을 막는 한편, 대한민국 제6사단을 격멸하는 임무를 맡았다.[219][220]
152,000명의 대한민국 국군, 245,000명의 미군, 11,500명의 영연방군, 그리고 기타 유엔 회원국에서 온 병력 10,000명을 포함한 418,000명의 유엔군이 공세를 맞닥뜨렸다.[218] 그러나, 미국 제8군이 전선을 따라 대규모 침투를 막을 만큼 충분히 강하지 않았기 때문에, 중국인민지원군 보병 상당수가 유엔군의 측면을 휩쓸고, 유엔군의 철수를 막기 위해 전체 부대들을 포위했다.[221] 제1군단 구역에서 서울로 향하는 중국인민지원군의 주요 공격로에 놓여있었던 부대는 제29보병여단이었다. 임진강에 주둔한 여단은 이틀 동안 중국인민지원군 2개 사단을 저지하여 서울 점령을 막았지만, 영국군의 전쟁 중 가장 참혹한 교전으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전투 중 글로스터셔 연대 1대대의 대부분은 설마리 전투에서 완강한 저항으로 죽거나 포로가 되었다. 대대의 지휘관 제임스 카네 중령은 그의 대대가 포위된 이후 빅토리아 훈장을 받았다.[222] 결국 제29여단은 캔자스선을 방어하는 중에 1,091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중국인민지원군 제63군에 상당한 피해를 입고 약 10,0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스터셔 연대의 손실은 영국과 유엔 사령부 내에서 논란을 야기했다.[223] 한편, 더 동쪽의 제9군단 구역에서는 중국인민지원군 제40집단군 제118사단과 제20집단군 제60사단이 4월 22일 밤 대한민국 제6보병사단을 공격할 준비를 마쳤다.[224]
3. 2. 대한민국 제6사단의 붕괴와 영연방 여단의 투입
대한민국 육군 제6사단은 가평천 계곡 북쪽 끝에서 방어선을 구축하고 있었다. 사단장 장도영 준장은 중공군의 공격이 예상되자, 1951년 4월 23일 오후 4시에 공세를 중단하고 제19보병연대와 제2보병연대에게 방어 태세로 전환할 것을 명령했다. 제7보병연대는 후방에서 예비 진지를 구축했다.[225][228] 제6사단은 뉴질랜드군 포병과 미국 제213야전포병대대의 M101 105mm 곡사포 지원을 받고 있었으나,[226][227] 방어 준비 시간이 부족하여 고지대만 점령하고 계곡과 측면은 취약한 상태였다.[228]오후 5시, 중공군 제118사단과 제60사단이 공격을 개시하여 취약한 방어선을 돌파했다.[38][228] 전선이 무너지자 제6사단은 무기, 장비, 차량을 버리고 흩어져 남쪽으로 후퇴했다. 오후 11시, 장도영은 모든 부대와의 통신이 두절되었음을 인정했다.[39][229] 다음 날 오전 4시, 뉴질랜드군은 철수를 결정했으나, 한국군 저항 소식을 듣고 미들섹스 연대를 엄호하며 계곡으로 복귀했다. 그러나 해질녘에 제6사단의 붕괴가 명백해지자 뉴질랜드군은 다시 철수했다.[36][39][226][229]
동쪽의 미국 제1해병사단은 중공군 제39군에 맞서 강력하게 저항했다.[39][229] 그러나 중공군 제39군과 제40군은 제1해병사단의 반격을 막는 임무만 맡았기 때문에, 제6사단의 붕괴로 인한 기회를 활용하지 못했다.[39][40][229][230]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엔군 전방진지들이 점차 방어하기 어려워지자, 밴 플리트는 캔자스선으로 철수를 명령했다.[41][231] 호지는 미 해병대에게 북한강 뒤쪽, 화천군과 제6사단이 점령할 새 위치 사이에 방어선을 구축하도록 명령했다. 2,500명의 후위 부대가 늦게 도착했지만 전투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42][231]
돌파를 우려한 호지는 4월 23일, 제27여단에게 가평 북쪽에 방어진지를 구축하라고 명령했다. 제27여단은 서울로 이어지는 핵심 도로이자 중요한 보급로였던 17번 도로를 방어하는 임무를 맡았다.[36][43][226][232] 제27여단은 아르길 연대가 부산으로 철수하고 미들섹스 연대가 예비부대가 되면서 3개 대대로 줄어들었다.[44][233] 계곡 폭 때문에 지속적인 방어가 불가능하여, 버크는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제3대대를 강 동쪽의 504고지에, 패트리샤 공주 캐나다 경보병연대제2대대를 서쪽의 677고지에 배치했다. 북서쪽의 수덕산은 무방비 상태였다.[60][234]

이 고지들은 강력한 자연 방어 지형을 형성했지만, 측면 보호가 없고 중앙 지역이 점령되지 않아 취약했다.[60][234] 각 대대는 분리된 중대 규모 방어진지에 배치되어 7km의 방어선을 형성했다. 넓은 방어 지역 때문에 각 중대는 넓게 분산되어 상호 지원이 어려웠다. 여단 본부는 4km 남쪽에 위치했다.[45][235] 미 제9군단은 제27여단에 미 제213야전포병대대 105mm 곡사포 포대와 제2화학박격포대대의 M2 4.2인치 박격포 12문, 그리고 미 제72중전차대대 A중대의 M4 셔먼 전차 15대를 배속했다.[8][9][198][199]
캐나다군은 677고지에 참호를 파고 비커스 기관총 6문을 배치하여 방어력을 강화했다.[46][236] 오스트레일리아군은 504고지를 점령하고, D중대는 산 정상, A중대는 북서쪽 산등성이, B중대는 강가의 작은 언덕, C중대는 예비대로 배치되었다.[60][234] 미 제9군단의 요구로 버크는 퍼거슨에게 죽둔리 근처 낮은 지대에 사령부를 배치하도록 지시했는데, 이는 퍼거슨의 상황 인식과 전투 통제 능력을 제한하고 침투에 노출될 수 있었다.[47][237] 오스트레일리아군은 서둘러 방어 진지를 준비했지만, 포병 전방 관측자들은 어두워질 때까지 도착하지 못해 방어 사격 임무를 수행할 수 없었다.[48][238]

미 제72중전차대대 A중대장 케네스 W. 코흐는 오스트레일리아군을 지원하기 위해 분대를 파견했다. 504고지 동쪽 측면 도로를 따라 전차 1개 분대가 B중대 앞 북쪽 전초기지를 점령했고, 다른 분대는 B중대와 함께 서쪽 고지를 점령했으며, 코흐의 지휘전차는 대대 본부 근처에 배치되어 가평천 여울을 방어했다. 그러나 전차 부대는 보병 지원 없이 배치되었다.[60][234] M4 셔먼 전차는 76mm 주포와 M2 브라우닝 1정, M1919 브라우닝 2정으로 무장하여 방어를 강화했다. 중공군은 전차가 없었고, 보병 부대가 3.5인치 대전차 로켓포를 소량 보유하고 있었다.[49][239]
오후 8시, 흩어진 대한민국 국군이 제27여단 전선 사이로 철수했고, 대부분 오스트레일리아군 쪽으로 이동했다.[36][226] 제6사단은 제27여단 후방에서 재편했지만, 병력은 절반으로 줄었다.[37][227] 중공군 제118사단은 가평천 계곡을 따라 진군하며 대한민국 국군을 추격했다. 북에서 동으로 난 계곡을 따라 진군한 중공군 제354연대는 오후 10시에 오스트레일리아군 지점에 도달했다.[50][51][52][53][37][54][227][240]

3. 3. 방어 진지 구축
대한민국 육군 제6보병사단은 가평 계곡 북쪽 끝에서 방어선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중공군의 공격을 예상한 사단장 장도영 장군은 진격을 멈추고 제19연대와 제2보병연대에 방어선 구축을 명령했다.[12][35][38] 제7보병연대는 예비대로 후방에 배치되었다.[35][38] 제6사단은 제16 뉴질랜드 포병연대와 미 제213야전포병대대의 M101 곡사포 1개 포대의 지원을 받았다.[36][37] 그러나 충분한 준비 시간 부족으로 인해, 전방의 한국군은 산꼭대기만 점령하고 계곡과 측면은 노출된 상태였다.[38]17시에 중공군 제118사단과 제60사단이 공격을 시작하여 한국군 방어선의 틈새를 돌파했다.[38] 한국군은 무기와 장비를 버리고 후퇴했으며, 23시경 장도영 장군은 부대와의 통신이 두절되었다고 인정했다.[39] 제16 뉴질랜드 포병연대는 철수했다가 한국군 저항 보고에 따라 복귀했으나, 한국군 부대 붕괴가 확인되자 다시 철수했다.[36][39]
미 해병 제1사단은 동쪽에서 중공군 제39군에 맞서 방어선을 유지했으나, 한국군 철수로 측면이 노출되었다.[39] 그러나 중공군은 미 해병대의 반격을 막는 임무만 맡았기 때문에, 이 기회를 활용하지 않았다.[39][40] 유엔군 위치가 불안정해지자, 밴 플리트는 '캔자스 선'으로의 철수를 명령했다.[41]
미 제8군 사령관 제임스 밴 플리트 중장의 명령에 따라, 북한강 방어선이 무너지면 가평 일대의 방어를 위해 영국군 제27여단이 투입되었다. 제27여단은 가평 북쪽에 방어 위치를 구축하여 한국군 방어 실패 시 서울로 가는 주요 도로인 17번 국도를 차단하는 임무를 맡았다.[36][43]

여단은 세 개의 대대로 구성되었으나, 미들섹스 연대는 예비로 유지되었다.[44] 버크 준장은 제3호주왕립연대(3 RAR)와 제2캐나다 경보병 연대(2 PPCLI)를 계곡 양쪽 고지대에 배치했다.[60] 수덕산(794고지)은 방어되지 않았다.[60] 제16 뉴질랜드 포병연대가 복귀할 때까지 여단은 포병 지원이 부족했고, 통신선 문제로 제3호주왕립연대(3 RAR)는 특히 고립될 위험이 있었다.[60]
각 대대는 중대 규모로 분산 배치되었고, 여단 본부는 계곡 남쪽 4km 지점에 위치했다.[45] 미 제9군단은 미 제213야전포병대대 1개 포대와 제2화학박격포 대대 B 중대의 12문 M2 박격포를 제27여단에 배속했다.[8][9] 미 제72중전차 대대 A 중대의 15대 셔먼 전차도 지원에 투입되었다.[8][9] 제3호주왕립연대(3 RAR) 위치 근처에는 미 제74공병전투대대 소속 2개 중대가 배속되었다.[43]
|thumb|right|가평 전투 직전 미군 M4A3E8 셔먼 전차, 1951년 4월 23일|alt=경작지에 있는 주력 전차. 뒤에는 지도를 들고 있는 두 명의 군인]]
제2캐나다 경보병 연대(2 PPCLI)는 677고지에 참호를 파고 비커스 기관총을 배치했다.[46] 제3호주왕립연대(3 RAR)는 504고지에 방어 진지를 구축했으나, 포병 전방 관측병이 늦게 도착하여 방어 화력 임무를 등록할 수 없었다.[48] 미군 전차 소대는 제3호주왕립연대(3 RAR)를 지원하기 위해 배치되었으며, 504고지 동쪽 도로를 따라 전개했다.[60] 미군 전차는 보병 지원 없이 배치되었으나, .50 구경과 30 구경 기관총으로 무장하여 방어를 강화했다.[49] 중공군은 전차가 없었고, 대전차 로켓도 부족했다.[49]
20시까지 한국군이 제3호주왕립연대(3 RAR) 위치를 통과하여 후퇴했다.[36] 대한민국 제6사단은 제27여단 뒤에서 재편성되었으나, 병력은 절반 미만으로 줄었다.[37] 중공군 제118사단과 제60사단은 가평 계곡을 따라 진격을 계속하여 한국군을 추격했다.[50][51][52][53][37][54] 22시경, 중공군 제354연대가 제3호주왕립연대(3 RAR) 위치에 도달했다.[37]
4. 전투 경과
4. 1. 오스트레일리아군의 방어전 (4월 23일 ~ 24일)
4. 1. 1. 야간 전투

미국 제1해병사단이 임진강 전선을 강화하는 것을 성공적으로 막아낸 중국인민지원군 40군은 4월 23일 제27여단으로 관심을 돌렸다.[230][241] 전투는 4월 23일과 24일 밤에 시작되어 4월 27일 밤 늦게까지 계속되었는데, 덩위가 지휘하는 중국인민군 제118사단과 제60사단이 영국 제27 영연방여단의 2개 전진대대와 교전을 벌였다.[242][238][243][244][245] 504고지에서는 중국인민지원군이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제3대대의 700명과 최초로 가평에서 교전했고, 전투 초반에 미들섹스 연대와 16명의 뉴질랜드 포병대 사수는 거의 고립되었다.[217] 하지만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제3대대의 저항으로 결국 전장에서 안전하게 철수할 수 있었고, 미들섹스 연대는 강 서쪽 둑을 따라 예비 거점으로 이동했다.[217] 중국인민지원군 제60사단과 중국인민지원군 제354연대 2개 대대는 504고지 북서쪽 평원에서 전진하는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2개의 중대에 반복적인 공격을 가했다.[234] 대규모의 중국인민지원군이 밤새 공격을 계속했지만, 오스트레일리아 왕립대대 제3연대가 24일 여단 본부로 후퇴할 때까지 여단의 오른쪽 측면을 방어하였다.[234] 그리고 나서 중국인민지원군은 다음날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연대 제2대대의 700명의 병사들에게 관심을 돌렸다.[234]
중국인민지원군은 퇴각하는 한국군을 이용하여 전투 초기에 여단 진지로 들어가 A중대와 B중대 사이로 침투했고,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제3대대가 있는 도로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였다.[217]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제3대 병사들은 어둠 속에서 중국인민지원군과 한국군을 구별하기 위해 고군분투했고 대대에 딸린 한국 근무단은 목소리로 중국인민지원군을 구별하는 방어 병에게 귀중한 도움을 줄 수 있었다.[246] 21시 30분, 중국인민지원군은 보병 지원 없이 도로에 세워둔 미군 전차의 전방 소대를 처음으로 공격했다. 초기 중국인민지원군의 공격 쉽게 격퇴되었다.[217] 그러나 1시간 뒤 더 강력한 공격으로 소대장을 포함해 전차 지휘관 2명이 사망하자 전차들은 철수해야 했다.[217] 중국인민지원군은 서로 다른 두 개의 공격 축으로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제3연대를 공격하기 시작했는데, 한 공격은 504고지 앞의 2개 전방 중대에 대한 공격이었고, 다른 하나는 계곡을 통해 대대 본부 주변의 도로를 가로지르는 공격이었다.[238] 23시에 뉴질랜드 포병연대 제16대대가 여단 본부로 귀환했지만 이들은 그 날 밤 최소한의 지원 밖에 해 줄 수 없었다.[196][247]
중국인민지원군의 A중대와 B중대 진지에 대한 탐문이 시작되었고, 밤사이에 여러 차례 공격이 일어났다. 간접 사격을 사용한 중국인민지원군은 인해전술로 전진하다가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제3대대의 브렌 경기관총, 오언 기관기총, 소총 사격과 수류탄에 의해 반격당했지만 다시 한 번 집결해 공격했다.[217] 전차들의 지원 하에 달시 로플린 대위가 지휘하는 B중대는 중국인민지원군의 각 공격을 격퇴하며 적에게 큰 피해를 입혔고, 오스트레일리아군은 부상자가 없었다.[248] 로플린의 지휘소는 중대 진지로 침투한 다수의 중국인민지원군의 포격을 받았지만, 중국인민지원군은 재빨리 축출되었다.[248] 북쪽 언덕의 전초기지로부터 23시에 중국인민지원군이 측면에서 대량으로 공격했다는 보고가 들어왔고, 중포가 중국인민지원군에 발표했지만, 그 지역에 주둔하던 군대는 연락을 끊고 주요 방어 위치로 철수해야 했다.[248] 중국인민지원군의 주공은 00시 50에 시작하여 4소대를 향해 공격을 가했지만, 1시간 동안의 격렬한 전투 끝에 중국인민지원군은 후퇴했다. 03시 30분에 5소대에 대한 정찰이 이어진 후, 두 번째 공격이 6소대에 가해졌다.[248] 단호한 결의로, 중국인민지원군은 단호하게 전진해 6소대의 경계를 뚫고 나갔고, 셔먼 전차의 지원을 받은 6소대에 반격을 가했다. 04시에, 중대 진지 후방의 작은 전초기지가 50개 이상의 중국인민지원군 부대에게 공격을 받았다.[248]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제3대대 소속의 레이 패리 랜스 상병이 지휘하는 4명의 병사들이 중국인민지원군과의 20분 간 교전 끝에 인민지원군 25명 이상을 사했고 많은 인민지원군에 부상을 입었다. 패리는 후에 이 전공으로 군사 훈장을 받았다.[248][249] 중국인민지원군 약 70명이 B 중대에 4시 45분에 공격을 가했지만 다시 격퇴되었다.[250]
더 높은 산등성이에서 벤 오도 소령이 지휘하는 A 중대는 더 어려운 과제에 직면했고, 중국인민지원군의 심한 공격을 받았다.[251] 중국인민지원군의 첫 정찰은 21시 30분에 시작되었고, 서쪽 측면의 3개 소대 중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 1개 소대를 목표로 했다. 그 후 3시간 동안 3개 측면에서 중국인민지원군의 주공이 이어졌다.[250] 많은 사상자를 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인민지원군은 공격을 계속했고, 수류탄으로 1소대를 차단한 뒤 공격했다. A 중대 1소대는 또한 많은 사상자를 냈고, 브렌 사수 3명 모두를 포함해 소대의 절반 이상이 죽거나 다쳤다.[250] 소화기 사격으로 반격하면서, 그들은 중국인민지원군의 반복되는 공격에 맞서 버텼고, 중국인민지원군의 공격은 1소대의 반격이 거세질수록 더욱 강해졌다. 01시까지, 오도는 1개 소대의 생존자들에게 중대 본부를 통해 2소대와 3소대 사이의 새로운 위치로 철수하라고 명령했다.[250][252] 중국인민지원군은 3소대에 대한 공격을 04:30까지 이어갔지만, 이전의 1소대와 같은 규모 이루어지지는 않았다.[253]
한편, 제16뉴질랜드 야전포병연대는 이른 아침에 중국인민지원군의 정찰을 받아 3시에 제27여단 본부에서 남쪽으로 4km 떨어진 곳으로 재배치되었다.[254] 두 개의 미군 박격포 중대는 박격포를 단 한 발도 쏘지 않고 무기, 탄약과 보급품이 가득 찬 트럭 50대를 중국인민지원군이 오는 경로에 버려두고 자정 전에 도보로 도망쳤다.[254] 미 부대는 소도로를 발견하고 쉬기 전까지 동쪽의 춘천으로 약 14km를 등산해야 했다.[255][256]
날이 밝을 무렵, 중국인민지원군은는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제3대대 소속 소대 사이의 틈을 통해 포위망을 뚫는 데 성공한 것이 확실해졌으며, 중국인민지원군은 산등성이의 가파른 능선에서 불을 가리고 두꺼운 관목으로 몸을 숨긴 채 기관총으로 오스트레일리아군과 교전하기 시작했다.[253] 빛이 점점 커짐에 따라, 1소대와 3 소대는 곧 고립되었고, 중국인민지원군과 교전할 수 있는 더 나은 사격 진지를 확보하려고 시도하면서 많은 사상자를 냈다. 06에 전투순찰대가 중대본부와 연락하기 위해 출동했고, 전투순찰대가 지선철도를 따라가며 잘못된 산등성이를 지나고 있을 때, 그들은 우연히 중국인민지원군 진지와 마주쳤다.[253] 양측은 곧바로 교전에 들어갔고 6명의 중국인민지원군과 1명의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제3대대 병사가 사망했지만, A 중대에 대한 위협은 제거되었다. 오드는 이후 3개 소대와 함께 반격을 시작했고, 원래 1소대가 있던 위치를 점령하고 있던 중국인민지원군을 공격했다. 07:00에 오스트레일리아군은 1소대의 지역을 되찾았, 중국인민지원군은 고지에 있는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제3대대의 3개 소대로부터 집중포화를 맞고 철수해야 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군은 중국인민지원군에 큰 타격을 가했다.[253] 그러나 그날 밤의 전투로 A 중대는 엄청난 희생을 치렀고, 사망자 중에는 2명의 뉴질랜드 포병연대 전방 감시병이 있었다. 그들은 총 50명 이상의 사상자를 냈고, 이는 A 중대 전체 병력의 절반 수준이었다.[253][257] 한편, 오른쪽 측면에서는 놈 대위가 지휘하는 D 중대가 504고지 정상을 지켰지만 밤중에는 격렬한 교전을 치르지 않았고, 레그 손더스 대위가 지휘하는 C 중대는 단 한 차례 공격을 받았다.[258]

중국인민지원군(PVA) 제40군이 미 제1해병사단의 임진강 전선 증원을 성공적으로 막아낸 후, 4월 23일 27여단에 관심을 돌렸다.[40][55] 전투는 4월 23/24일 밤에 시작되어 4월 27일 늦게까지 계속되었으며, 덩위에(Deng Yue)의 지휘를 받는 PVA 제118사단과 제60사단은 총 20,000명에 달하는 병력으로[56][57] 27 영국 연방 여단의 두 개의 전진 대대와 교전했다.[2][48][58][59] 가평에서 시작된 초기 PVA의 공격은 힐 504에서 3 RAR의 700명과 교전했고, 전투 초기에 미들섹스와 16 뉴질랜드 포병은 거의 고립되었다.[27] 그러나 3 RAR의 저항으로 그들은 결국 전장에서 안전하게 철수할 수 있었고, 미들섹스는 이후 강 서쪽 둑에 걸쳐 예비 위치로 이동했다.[27] PVA 제60사단과 PVA 제354연대의 두 개 대대는 힐 504의 북서쪽 능선에 위치한 3 RAR의 두 전진 중대에 반복적인 공격을 가했다.[60] 대규모 PVA 병력의 공격은 밤새 계속되었지만, 여단의 우익에서 3 RAR의 방어는 3 RAR이 24일에 여단 본부로 후퇴할 때까지 그들을 막아냈다. PVA는 다음 날 2 PPCLI의 700명의 병사들에게 관심을 돌릴 것이다.[60]
후퇴하는 한국군을 이용하여 그들의 움직임을 은폐한 PVA는 전투 초기에 여단 진지에 침투하여 길에 걸쳐 있는 3 RAR의 A중대와 B중대 사이를 뚫고 들어가 후자(B중대)를 거의 포위한 다음 후방으로 이동했다.[27] 3 RAR 병사들은 어둠 속에서 PVA와 한국군을 구별하기 위해 고군분투했지만, 대대에 배속된 한국 군수 지원단(Korean Service Corps) 운반원들은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PVA를 구별함으로써 방어자들에게 귀중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었다.[85] 21:30에 PVA는 보병 지원 없이 도로에 배치된 미군 탱크의 전진 소대에 첫 번째 공격을 가했다. 초기 움직임은 쉽게 격퇴되었다.[27] 그러나 한 시간 뒤 더 강력한 공격으로 탱크 지휘관 두 명이 사망하면서 탱크는 철수해야 했는데, 여기에는 소대 지휘관도 포함되었다.[27] PVA는 이후 3 RAR에 두 개의 다른 축으로 공격을 가했다. 하나는 힐 504 앞의 두 개 전진 중대에 대한 공격이었고, 다른 하나는 대대 본부 주변 도로를 따라 계곡을 통과하는 공격이었다.[48] 마침내 23:00까지 16 뉴질랜드 포병대가 여단으로 돌아왔지만, 밤 동안 제한적인 지원만 제공했다.[6][61]
A중대와 B중대의 위치에 대한 정찰이 시작되었고, 밤 동안 여러 차례의 공격이 발생했다. PVA는 간접 사격을 활용하여 물결처럼 전진했지만, 3 RAR의 브렌 경기관총(Bren light machine gun), 오웬 기관단총(Owen Gun)사격, 소총 사격 및 수류탄에 의해 격퇴된 후 다시 재집결하여 다시 공격했다.[27] 캡틴 다아시 라우글린(Darcy Laughlin)의 지휘를 받는 B중대는 탱크의 지원을 받아 각 공격을 격퇴하고 막대한 피해를 입혔지만 거의 부상없이 살아남았다. 라우글린의 지휘소는 중대 위치에 침투한 여러 PVA에 의해 사격을 받았지만, 그들은 즉시 격퇴되었다.[62] 북쪽 언덕의 전초 기지는 23:00에 PVA가 측면에 집결하고 있다고 보고했으며, 공격자에 대해 강력한 포병 사격이 가해졌지만, 그 부대는 접촉을 끊고 주요 방어 위치로 철수해야 했다. 주요 PVA 공격은 00:50에 시작되어 4소대에 집중되었지만 한 시간의 격렬한 전투 끝에 격파되었다.[62] 두 번째 공격은 03:30에 6소대에 가해졌으며, 5소대에 대한 페인트 공격이 이어진 후였다. 굳은 결의로 PVA는 전진하여 6소대 경계선을 돌파했지만, 셔먼(Sherman) 탱크의 지원을 받은 6소대의 똑같이 단호한 반격에 의해 격퇴되었다.[62] 04:00에 중대 위치 후방의 작은 전초 기지가 50명 이상의 PVA에 의해 공격을 받았다. 랜스 코퍼럴 레이 패리(Ray Parry)의 지휘를 받는 단 4명의 병사가 지키고 있던 3 RAR은 20분 동안 4차례의 공격을 격퇴하여 25명 이상을 사살하고 훨씬 더 많은 부상자를 냈다. 패리는 나중에 그의 행동으로 무공 훈장(Military Medal)을 받았다.[62][63] B중대에 대한 마지막 공격은 새벽 04:45에 약 70명의 PVA에 의해 가해졌으며, 다시 격퇴되었다.[64]
능선 위에서 메이저 벤 오도드(Ben O'Dowd)의 지휘를 받는 A중대는 더 어려운 과제에 직면했고, 강력한 공격을 받았다.[65] 첫 번째 정찰은 21:30에 시작되어 서쪽 측면에 있는 3개의 소대 중 가장 낮은 1소대를 목표로 삼았다. 초기 움직임은 다음 3시간 동안 3면에서 가해진 PVA의 주요 공격으로 이어졌다.[64] PVA는 많은 사상자를 냈음에도 불구하고 공격을 계속하여 접근하여 수류탄으로 1소대를 공격했다. 1소대 또한 많은 사상자를 냈으며, 3명의 브렌 사수 모두를 포함하여 절반 이상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했다. 소화기 사격으로 반격하며 PVA가 공격을 가할 때마다 빈도와 강도가 증가했지만 반복되는 공격에 맞서 싸웠다.[64] 01:00까지 오도드는 1소대 생존자들에게 중대 본부를 통해 2소대와 3소대 사이의 새로운 위치로 철수하라고 명령했다.[64][66] PVA의 공격은 이후 3소대에 계속되었으며, 이전 공격과 같은 강도로 가해지지는 않았지만 04:30까지 지속되었다.[83]
한편, 16 뉴질랜드 포병 부대도 이른 아침에 정찰을 받았으며, 16 뉴질랜드 포병은 03:00에 27여단 본부 뒤 4km 떨어진 위치로 재배치해야 했다.[67] 두 개의 미군 박격포 중대는 단 한 발도 발사하지 않고 자정 전에 그냥 걸어서 도망쳐, 박격포, 무기, 탄약 및 보급품으로 가득 찬 트럭 50대를 PVA에게 버렸다.[67] 이 미군 부대는 작은 길을 찾아 춘천으로 14km 동쪽으로 하이킹한 후 휴식을 취했다.[68][69]
새벽이 되자, PVA가 3 RAR 소대 사이의 틈을 통해 경계선을 돌파하는 데 성공한 것이 분명해졌고, 가파른 능선에 있는 깊은 곳에서 사격으로부터 보호받고 덤불로 가려진 데필라데(defilade) 위치에서 기관총으로 그들을 공격하기 시작했다.[70] 빛이 밝아지면서 1소대와 3소대는 곧 고립되어 공격자와 교전할 더 나은 사격 위치를 확보하려다 많은 사상자를 냈다. 06:00에 전투 순찰대가 중대 본부와 접촉하기 위해 파견되었고, 이 부대가 능선(spur line)을 따라 내려가는 동안 가짜 능선을 넘었을 때, 그들은 우연히 PVA 위치와 마주쳤다. 즉시 공격하여 3 RAR 1명의 손실로 PVA 6명이 사살되었고, A중대에 대한 위협은 제거되었다.[70] 오도드는 3소대로 반격을 시작하여 원래 1소대 위치를 점령하고 있던 PVA를 공격했다. 07:00까지 그들은 지형을 되찾았고, PVA는 고지대에 있는 3 RAR 소대의 강력한 사격을 받아 철수해야 했으며, 이들은 다시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밤의 전투로 인해 A중대는 큰 손실을 입었으며, 사망자 중에는 16 뉴질랜드 포병 관측병 2명이 있었다.[70] 총 50명 이상의 사상자를 냈는데, 이는 그들의 원래 병력의 절반이었다.[83][70] 한편, 우익에서는 캡틴 노름 그레이베너(Norm Gravener)의 지휘를 받는 D중대가 힐 504 정상을 지켰고 밤 동안 격렬한 교전을 벌이지 않았으며, 캡틴 레지 사운더스(Reg Saunders)의 지휘를 받는 C중대는 단 한 번의 공격을 받았다.[71]
1500m 후방에 위치한 대대 본부는 심하게 압박을 받았다. 비커스 기관총 한 분대, 두 대의 17파운더 야포(Ordnance QF 17-pounder) 대전차포, 돌격 선구자 소대, 본부 중대 지휘관 캡틴 잭 게르케(Jack Gerke) 휘하의 연대 헌병, 그리고 코흐(Koch) 자신의 지휘 탱크 소대에 의해 보호받으면서 전투는 22:00경 PVA가 후퇴하는 한국군 틈으로 침투하면서 격렬해졌다.[71] 그들은 본부와 인근 미군 탱크를 우회하여 방어자를 포위하고 남쪽으로 가는 길에 차단 위치를 설정했다. 밤 동안 PVA는 탱크를 장착하고 수류탄과 새첼 폭탄(satchel charge)으로 파괴하려 했지만 사격으로 격퇴되었다. 나중에 탱크 한 대는 3.5 인치 로켓의 직격탄을 받았고, 전방 경계선은 PVA의 공격 물결에 의해 심하게 타격을 받아 막대한 사상자를 내며 후퇴했다.[71] 척톤니(Chuktun-ni) 마을의 여러 집을 점령한 PVA 병사로부터 사격을 받은 셔먼 탱크는 바리케이드를 공격하고 여러 집을 공격하여 한 집에서만 40명 이상의 PVA를 사살했다.[71]
이 시점에서 3 RAR 지휘 요원들 사이에 갑작스럽고 근본적인 구조 조정이 이루어졌다. 4월 24일 새벽, PVA는 3 RAR 대대 본부의 경계선에 대한 공격을 강화하여 중기관총 부대와 돌격 선구자 소대 대부분을 사살하고 부상시키고, 그들이 점령하고 있던 고지에서 몰아냈지만, A중대는 언덕을 완전히 지휘했다.[72] 이 시점에서 퍼거슨(Ferguson)은 버크(Burke)에게 추가 증원을 요청했고, 04:00에 버크는 미들섹스 중대에게 퍼거슨의 대대 본부를 지원하라고 명령했다.[68] 그러나 가평로를 따라 언덕에서 PVA의 저항에 직면하자 미들섹스 중대는 갑자기 명령받은 임무를 포기하기로 결정했다. 그들은 동쪽으로 돌아서 미군 박격포 중대가 탈출하는 동안 발견한 동일한 작은 길을 사용하여 전장에서 탈출했다.[68] 05:00까지, 미들섹스 중대의 설명할 수 없는 소멸 이후 퍼거슨은 언덕 방향에서 온 PVA가 결국 대대 본부를 향해 사격할 가능성을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을 우려했다. 퍼거슨은 5km 떨어진 미들섹스 경계선 내부의 새로운 위치로 철수하기로 결정했다.[73] 그러나 퍼거슨은 그의 철수 결정을 그의 중대 지휘관에게 알리지 않았고, 오도드와 다른 장교들은 아침에 퍼거슨이 분명히 사라진 것을 보고 놀랐다. 퍼거슨이 그의 야전 본부에서 떠나면서 오도드는 최고 중대 지휘관으로서 퍼거슨이 라디오 통신을 통해 오도드에게 확인한 3 RAR의 야전 지휘를 맡았다.[73] 퍼거슨의 전장 부재와 그의 야전 장교들과의 간헐적인 통신으로 인해 그는 전장에서 그의 부대를 통신하고, 감시하고, 통제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졌다.
퍼거슨은 05:15와 06:00 사이에 미군 탱크 일부의 호위를 받으며 대대 본부 참모진을 이끌고 출발했다. 그러나 퍼거슨의 개인 차량에 문제가 발생했다.[74] PVA 박격포탄이 퍼거슨 자신의 지프에서 바퀴를 날려 버려 버려졌고, 탱크는 사격을 가해 공격자들을 몰아냈다.[74] 퍼거슨의 후속 차량인 개조된 2.5톤 트럭은 철수 중 진창에 빠져 파괴해야 했다.[75]
3 RAR과 힐사이드에서 인접해 있던 미 제74공병전투대대의 두 개 중대는 퍼거슨의 출발을 목격했다. 그의 움직임을 일반적인 후퇴로 오인하여 그들은 트럭과 장비를 버리고 걸어서 전장을 탈출했다.[76]
퍼거슨의 철수 중에 두 명의 3 RAR 병사가 남겨졌고 이후 PVA에게 포로로 잡혔다. 통신병인 호레이스 매든(Horace Madden) 사병은 영양실조와 학대로 사망한 후 나중에 조지 십자 훈장(George Cross)을 추서받았다.[77][78][79]
3 RAR 대대 본부 방어를 책임지고 있던 게르케 대위는 퍼거슨이 자신과 참모진을 전장에서 철수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고, 그의 실종에 대해 걱정하며 전장 지역에서 퍼거슨을 찾고 있었다.[74] 06:00에 게르케는 퍼거슨의 새로운 본부 위치에서 온 지프에 접근하여 "탈출! 대대 본부가 길 아래로 내려갔습니다."라고 발표했다.[74] 게르케는 그의 부하들에게 한 번에 한 대씩 도로를 따라 뒤로 이동하면서 나머지 부대가 엄호 사격을 제공하면서 점차적으로 철수하라고 명령했다. 출발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고, 3 RAR 본부 중대가 마침내 미들섹스 경계선 내에 집결되자 게르케는 힐 504에서 나중에 철수해야 할 경우 대대의 가능한 철수 경로로서 동쪽으로 2km 떨어진 가평강을 가로지르는 주요 여울을 확보하라는 명령을 받았다.[80]
퍼거슨의 3 RAR 본부와 버크의 27여단 본부 간의 통신은 일찍 실패했고, 퍼거슨의 본부와 3 RAR 전진 중대 간의 통신도 좋지 않았다.[81] 이는 대부분 한국군이 그들의 위치를 통해 후퇴하면서 3 RAR 본부에서 선을 찢고, 또한 노출된 선에 대한 차량 통행량과 총격의 영향으로 인한 것이었다. 마찬가지로, 새로운 Type 31 초고주파(VHF) 라디오를 사용한 3 RAR 지휘망에서 전진 중대와의 직접적인 무선 통신은 전진 중대와 관련된 낮은 지면에 3 RAR 본부가 위치하고 시선 전파(Line-of-sight propagation)가 요구되는 험한 지형으로 인해 방해를 받았다.[81] 전진 중대는 서로 통신할 수 있었지만 퍼거슨의 본부와는 통신할 수 없었고, 중대 수준의 망도 잘 작동했다. 궁극적으로, 퍼거슨과 버크 사이의 접촉은 미들섹스 대대 본부의 무전기를 통해 유지되었고, 전장에서 교전한 오도드와 전진 중대에 대한 메시지는 선과 C중대를 통한 느린 중계를 통해 의존했다.[48][81][82] 이러한 문제들은 첫날 밤 방어의 수행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고, 전장 배치에 대한 조정은 현재 3 RAR의 야전 지휘를 맡은 오도드에게 떨어졌다.[83][82] 다음 날 아침, 오도드는 마침내 미 제1해병사단의 장군에게 무선 전화(Radiotelephone)를 걸었다. 그 장교는 PVA 요원이 말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믿을 수 없다는 표정을 지었다. 그는 오도드에게 3 RAR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전날 밤 전멸했다고 말했다.[84] 오도드는 "당신에게 소식을 전해 줄게요. 우리는 아직 여기 있고, 여기 머물 겁니다."라고 대답했다.[84]
PVA의 공격은 빠르게, 공격적으로 시작되었고, 그들의 경기관총을 측면에 배치하여 지원하고 수류탄으로 3 RAR 경계선을 공격하려고 했다.[85] 일부 현대 서방 계열의 설명과는 달리 PVA는 인해 전술(human wave)을 사용하지 않았다. 오히려 '1점 2측면'으로 알려진 전술을 사용하여 대규모 병력과 침투 전술(Infiltration tactics)을 사용하여 지역 수적 우위를 확보하고, 전진 중대 사이의 틈을 뚫고 들어가 3 RAR의 측면에서 화력을 끌어내는 동안 3 RAR을 포위하려고 시도했다.[85] 그들은 일반적으로 어둠이나 시야 불량으로 움직임을 은폐하고 미군의 공중 우세에 대항하여 유엔 방어 위치에 접근하려고 시도한 다음, 대규모 병력과 근접 화력 지원을 조율하여 공격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잘 계획되고 기관총, 박격포 및 포병 사격으로 긴밀하게 지원되었지만 한국에서의 PVA 공격은 일단 시작되면 실행이 종종 유연하지 못했다.[85] 이것은 주로 대대 수준 이하의 무선 통신의 부족 때문이며, PVA는 대신 호루라기 소리, 나팔(bugle (instrument)) 소리, 연락병에 의존하여 지휘 및 통제를 받았으며, 60mm 및 81mm 박격포는 특히 효과적인 간접 화력 지원을 제공했지만, 이러한 문제는 다시 가평에서의 전투에서 나타났다.[85][86] 나중에 3 RAR과 그들을 지원한 미군 탱크에 의해 500명 이상의 PVA가 사망한 것으로 추산되었다.[87]
4. 1. 2. 주간 전투
미국 제1해병사단이 임진강 전선을 강화하는 것을 성공적으로 막아낸 중국인민지원군 제40군은 4월 23일 제27여단으로 관심을 돌렸다.[230][241] 전투는 4월 23일과 24일 밤에 시작되어 4월 27일 밤 늦게까지 계속되었는데, 덩위가 지휘하는 중국인민군 제118사단과 제60사단이 영국 제27 영연방여단의 2개 전진대대와 교전을 벌였다.[242][238][243][244][245] 504고지에서는 중국인민지원군이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제3대대의 700명과 최초로 가평에서 교전했고, 전투 초반에 미들섹스 연대와 16명의 뉴질랜드 포병대 사수는 거의 고립되었다. 하지만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제3대대의 저항으로 결국 전장에서 안전하게 철수할 수 있었고, 미들섹스 연대는 강 서쪽 둑을 따라 예비 거점으로 이동했다.[217] 중국인민지원군 제60사단과 중국인민지원군 제354연대 2개 대대는 504고지 북서쪽 평원에서 전진하는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2개의 중대에 반복적인 공격을 가했다. 대규모의 중국인민지원군이 밤새 공격을 계속했지만, 오스트레일리아 왕립대대 제3연대가 24일 여단 본부로 후퇴할 때까지 여단의 오른쪽 측면을 방어하였다. 그리고 나서 중국인민지원군은 다음날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연대 제2대대의 700명의 병사들에게 관심을 돌렸다.[234]
중국인민지원군은 퇴각하는 한국군을 이용하여 전투 초기에 여단 진지로 들어가 A중대와 B중대 사이로 침투했고,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제3대대가 있는 도로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였다.[217]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제3대 병사들은 어둠 속에서 중국인민지원군과 한국군을 구별하기 위해 고군분투했고 대대에 딸린 한국 근무단은 목소리로 중국인민지원군을 구별하는 방어 병에게 귀중한 도움을 줄 수 있었다.[246] 21시 30분, 중국인민지원군은 보병 지원 없이 도로에 세워둔 미군 전차의 전방 소대를 처음으로 공격했다. 초기 중국인민지원군의 공격은 쉽게 격퇴되었다. 그러나 1시간 뒤 더 강력한 공격으로 소대장을 포함해 전차 지휘관 2명이 사망하자 전차들은 철수해야 했다.[217] 중국인민지원군은 서로 다른 두 개의 공격 축으로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제3연대를 공격하기 시작했는데, 한 공격은 504고지 앞의 2개 전방 중대에 대한 공격이었고, 다른 하나는 계곡을 통해 대대 본부 주변의 도로를 가로지르는 공격이었다.[238] 23시에 뉴질랜드 포병연대 제16대대가 여단 본부로 귀환했지만 이들은 그 날 밤 최소한의 지원 밖에 해 줄 수 없었다.[196][247]
중국인민지원군의 A중대와 B중대 진지에 대한 탐문이 시작되었고, 밤사이에 여러 차례 공격이 일어났다. 간접 사격을 사용한 중국인민지원군은 인해전술로 전진하다가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제3대대의 브렌 경기관총, 오언 기관기총, 소총 사격과 수류탄에 의해 반격당했지만 다시 한 번 집결해 공격했다.[217] 전차들의 지원 하에 달시 로플린 대위가 지휘하는 B중대는 중국인민지원군의 각 공격을 격퇴하며 적에게 큰 피해를 입혔고, 오스트레일리아군은 부상자가 없었다. 로플린의 지휘소는 중대 진지로 침투한 다수의 중국인민지원군의 포격을 받았지만, 중국인민지원군은 재빨리 축출되었다. 북쪽 언덕의 전초기지로부터 23시에 중국인민지원군이 측면에서 대량으로 공격했다는 보고가 들어왔고, 중포가 중국인민지원군에 발표했지만, 그 지역에 주둔하던 군대는 연락을 끊고 주요 방어 위치로 철수해야 했다. 중국인민지원군의 주공은 00시 50분에 시작하여 4소대를 향해 공격을 가했지만, 1시간 동안의 격렬한 전투 끝에 중국인민지원군은 후퇴했다. 03시 30분에 5소대에 대한 정찰이 이어진 후, 두 번째 공격이 6소대에 가해졌다. 단호한 결의로, 중국인민지원군은 단호하게 전진해 6소대의 경계를 뚫고 나갔고, 셔먼 전차의 지원을 받은 6소대에 반격을 가했다. 04시에, 중대 진지 후방의 작은 전초기지가 50개 이상의 중국인민지원군 부대에게 공격을 받았다.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제3대대 소속의 레이 패리 랜스 상병이 지휘하는 4명의 병사들이 중국인민지원군과의 20분 간 교전 끝에 인민지원군 25명 이상을 사했고 많은 인민지원군에 부상을 입었다. 패리는 후에 이 전공으로 군사 훈장을 받았다.[248][249] 중국인민지원군 약 70명이 B 중대에 4시 45분에 공격을 가했지만 다시 격퇴되었다.[250]
더 높은 산등성이에서 벤 오도 소령이 지휘하는 A 중대는 더 어려운 과제에 직면했고, 중국인민지원군의 심한 공격을 받았다.[251] 중국인민지원군의 첫 정찰은 21시 30분에 시작되었고, 서쪽 측면의 3개 소대 중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 1개 소대를 목표로 했다. 그 후 3시간 동안 3개 측면에서 중국인민지원군의 주공이 이어졌다. 많은 사상자를 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인민지원군은 공격을 계속했고, 수류탄으로 1소대를 차단한 뒤 공격했다. A 중대 1소대는 또한 많은 사상자를 냈고, 브렌 사수 3명 모두를 포함해 소대의 절반 이상이 죽거나 다쳤다. 소화기 사격으로 반격하면서, 그들은 중국인민지원군의 반복되는 공격에 맞서 버텼고, 중국인민지원군의 공격은 1소대의 반격이 거세질수록 더욱 강해졌다. 01시까지, 오도는 1개 소대의 생존자들에게 중대 본부를 통해 2소대와 3소대 사이의 새로운 위치로 철수하라고 명령했다.[250][252] 중국인민지원군은 3소대에 대한 공격을 04:30까지 이어갔지만, 이전의 1소대와 같은 규모 이루어지지는 않았다.[253]
한편, 제16뉴질랜드 야전포병연대는 이른 아침에 중국인민지원군의 정찰을 받아 3시에 제27여단 본부에서 남쪽으로 4km 떨어진 곳으로 재배치되었다. 두 개의 미군 박격포 중대는 박격포를 단 한 발도 쏘지 않고 무기, 탄약과 보급품이 가득 찬 트럭 50대를 중국인민지원군이 오는 경로에 버려두고 자정 전에 도보로 도망쳤다.[254] 미 부대는 소도로를 발견하고 쉬기 전까지 동쪽의 춘천으로 약 14km를 등산해야 했다.[255][256]
날이 밝을 무렵, 중국인민지원군은는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제3대대 소속 소대 사이의 틈을 통해 포위망을 뚫는 데 성공한 것이 확실해졌으며, 중국인민지원군은 산등성이의 가파른 능선에서 불을 가리고 두꺼운 관목으로 몸을 숨긴 채 기관총으로 오스트레일리아군과 교전하기 시작했다. 빛이 점점 커짐에 따라, 1소대와 3 소대는 곧 고립되었고, 중국인민지원군과 교전할 수 있는 더 나은 사격 진지를 확보하려고 시도하면서 많은 사상자를 냈다. 06시에 전투순찰대가 중대본부와 연락하기 위해 출동했고, 전투순찰대가 지선철도를 따라가며 잘못된 산등성이를 지나고 있을 때, 그들은 우연히 중국인민지원군 진지와 마주쳤다. 양측은 곧바로 교전에 들어갔고 6명의 중국인민지원군과 1명의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제3대대 병사가 사망했지만, A 중대에 대한 위협은 제거되었다. 오드는 이후 3개 소대와 함께 반격을 시작했고, 원래 1소대가 있던 위치를 점령하고 있던 중국인민지원군을 공격했다. 07:00에 오스트레일리아군은 1소대의 지역을 되찾았, 중국인민지원군은 고지에 있는 오스트레일리아 왕립연대 제3대대의 3개 소대로부터 집중포화를 맞고 철수해야 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군은 중국인민지원군에 큰 타격을 가했다. 그러나 그날 밤의 전투로 A 중대는 엄청난 희생을 치렀고, 사망자 중에는 2명의 뉴질랜드 포병연대 전방 감시병이 있었다. 그들은 총 50명 이상의 사상자를 냈고, 이는 A 중대 전체 병력의 절반 수준이었다.[253][257] 한편, 오른쪽 측면에서는 놈 대위가 지휘하는 D 중대가 504고지 정상을 지켰지만 밤중에는 격렬한 교전을 치르지 않았고, 레그 손더스 대위가 지휘하는 C 중대는 단 한 차례 공격을 받았다.[258]

날이 밝아오자, 포병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16 NZFR(뉴질랜드 포병 연대)가 자리를 잡았고[73] PVA(중국인민지원군)는 3 RAR(로열 오스트레일리아 연대) 앞에서 탁 트인 지면에 노출되었다. 포병, 박격포, 전차의 지원을 받은 A중대와 B중대는 PVA 진지를 향해 맹렬한 사격을 가하여 수백 명의 사상자를 경사면에 남겨두고 후퇴하게 만들었다. 3 RAR이 원래의 방어 위치를 계속 점유하면서, 즉각적인 상황은 안정되었지만, 사실상 전선 뒤 4km에서 고립되었다.[67] 탄약, 식량, 의약품이 전방 지역 전체에서 매우 부족해졌고, 사상자 후송이 점점 더 어려워지면서, 이 부대는 집중, 재보급, 지원을 받지 못하면 궤멸될 위험에 처해 있었다.[80] 따라서, 각 중대가 일련의 PVA 공격에서 고립되어 궤멸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07:15에 B중대는 위치를 떠나 다른 중대와 합류하여 고지대에서 방어 가능한 대대 진지를 형성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B중대는 지시에 따라 후퇴하면서, 앞서 정찰 중 체포했던 수십 명의 PVA 포로들을 데리고 갔다.[67]16 NZFR은 개활지를 가로질러 이동하는 동안 연막을 쳐서 후퇴를 은폐했고, 미군 전차도 지원을 제공했다. 계곡을 건너는 동안 B중대는 아직 사각지대와 강바닥에 숨어 있던 소규모의 PVA와 여러 차례 교전을 벌였으며, 전날 밤의 전투에서 다수의 시체를 보았다.[88] 3 RAR은 B중대 경계선에서 173명의 PVA 사망자를 확인하고 떠났다.[89]
B중대가 성공적으로 새로운 위치를 점령하자, 퍼거슨은 셔먼 전차를 타고 전방의 중대 아래 언덕으로 돌아왔고, 이는 소화기 사격으로부터 보호를 제공했다.[90] 새로운 대대 본부 위치에서 돌아오는 동안, 퍼거슨은 필요할 때 전차 기관총을 장전하여 적에게 반격을 도왔다. 09:00 직후, PVA 부대가 C중대가 점령한 돌출부 꼭대기를 공격했다. 공격은 격퇴되었고, C중대는 저격수의 사격과 박격포 포격을 몇 시간 동안 견뎌야 했지만, 더 이상의 공격은 없었다.
벌크는 B중대의 이전 위치가 계획된 반격에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고, 후퇴 2시간 후, 퍼거슨은 라플린에게 막 비어 있던 위치를 다시 점령하라고 명령했다. 퍼거슨은 오도드를 소집하여 이전 대대 본부 지역에서 만나 벌크가 B중대에게 그들이 비어 있던 언덕으로 돌아가라고 명령했다고 알렸다.[73] 제27여단은 이제 미 제5기병연대의 증원을 기대하고 있었고, PVA가 계곡을 통과하는 길을 지배하는 작은 언덕에서 제거된다면 전진이 가능해질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전날 저녁 이 위치를 방어한 것은 Hill 504의 서쪽 측면에 대한 PVA 공격을 막았다. 따라서, 09:30에 철수 명령이 취소되었고, B중대는 그 위치를 다시 점령하라는 임무를 받았다. 중대의 정상 공격을 준비하기 위해, 라플린은 5소대에게 C중대와 이전 B중대 위치 사이의 작은 구릉을 공격하라는 임무를 부여했다. 10:30에 정면 공격이 시작되었고, 2개 분대가 공격하고 1개 분대가 화력 지원을 했다. 벙커에 잘 참호되어 있던 PVA 소대가 강력하게 방어하면서 5소대가 15m 이내로 접근하도록 허용한 후 기관총, 소총, 수류탄으로 사격을 시작했다. 5소대는 소대장을 포함하여 7명의 사상자를 냈고, 기관총과 박격포 사격의 엄호 아래 후퇴해야 했다.[88]
레너드 몽고메리 중위 휘하의 4소대가 공격을 이어받았고, 다수의 미군 전차가 추가 지원을 위해 이동했다. 4소대는 개활지를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여러 명의 사상자를 냈다. 참호 30m까지 진격하자 PVA의 사격이 증가했다. 몽고메리는 필사적인 총검 돌격을 감행했고, 도널드 데이비 하사 휘하의 분대가 오른쪽에서 돌파했다. 격렬한 백병전 속에서 4소대는 참호에서 PVA를 몰아냈고, 3명의 병력을 잃었다. 데이비 분대는 후방 참호에서 기관총 공격을 받았고, 그는 남은 병력으로 신속하게 공격을 감행했다. 몽고메리는 소대를 재편성하여 총검과 수류탄을 사용하여 참호에서 참호로 싸웠다. 4소대는 그들의 전방의 다른 구릉에서 사격을 시작했고, 몽고메리는 첫 번째 위치를 정리하기 위해 후방 분대를 남겨두고, 데이비 분대를 이끌고 두 번째 구릉으로 향했다. 그러한 공격에 대해 PVA는 저항할 수 없었고, 대부분은 죽을 때까지 싸웠지만, 다른 사람들은 개활지를 가로질러 도망쳤다. 12:30까지, 구릉은 4소대에 의해 점령되었고, 첫 번째 위치에서 57명의 PVA 사망자가, 두 번째 위치에서 24명의 사망자가 확인되었다.[91]
그러나 대규모의 PVA가 이전 B중대 위치를 점령하고 있는 것이 감지되었고, 4소대는 사실상 목표 지점의 절반 지점에서 멈춰섰다. 라플린이 다음 움직임을 준비하기 전에, 그는 벌크의 명령을 전달하는 퍼거슨으로부터 철수 명령을 받았고, PVA를 몰아내고 언덕을 되찾으려는 공격 시도는 포기되었다.[67] 오도드는 16 NZFR의 포병 지원을 포함하지 않은 퍼거슨의 공격 계획에 공격 실패의 원인이 있다고 했다.[73]
퍼거슨은 그 후 미군 전차를 타고 그 지역에서 철수하여 전투 후 새로운 본부로 돌아갔다. 전투 중에 전차는 귀중한 지원을 제공하여, 탄약을 B중대로 전진시키고, 부상병 후송을 도왔다. 전체 작전으로 3 RAR은 3명이 사망하고 9명이 부상당했다. 몽고메리는 그의 행동으로 무공 십자 훈장을 받았고, 데이비는 무공 훈장을 받았다.[90][92]
한편, PVA는 D중대로 관심을 돌려 정상에 대한 일련의 맹렬한 공격을 시작했다.[67] D중대의 위치는 Hill 504 방어에 매우 중요했으며, 고지대를 지휘하고 3 RAR의 오른쪽 측면을 보호했다. 07:00에 시작하여, PVA는 전방 소대인 12소대를 공격했고, 30분 간격으로 공격을 10:30까지 감행했다. 이동을 엄호하기 위해 박격포를 사용하여, 가파른 경사면을 따라 좁은 전선으로 수류탄을 사용했다. 그러나 12소대는 PVA를 격퇴하여 6번의 공격 동안 7명의 부상으로 30명 이상을 사살했다. 16 NZFR은 PVA의 시도를 격퇴하는 데 다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12소대 위치 50m 내에서 정확한 사격을 가했다. 그러나, 전투 기간 동안, 총기의 탄약 공급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했는데, PVA의 공세로 인해 에어헤드에서 사용 가능한 25파운드 포탄의 재고가 고갈되었기 때문이다. 서울. 개선에도 불구하고, 물류 시스템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었고, 각 포탄은 그들의 사격을 통제한 포병 전방 관측병의 지시에 따라 효과적으로 사용되어야 했다.[177] 심각하게 부상을 입었지만, 윌리엄 롤린슨 하사는 그의 지휘로 인해 나중에 수훈 십자 훈장을 받았고,[63] 로널드 스미스 이병은 무공 훈장을 받았다.[92] 헨리 리치 상병은 12소대 사상자의 마지막 후송을 시도하다 치명상을 입은 후 사후 군 기밀 언급되었다.[92][93]
이전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PVA는 11:30부터 또 다른 일련의 공격을 시작했고, 이 공격은 다음 두 시간 동안 계속되었으며, 다시 존 워드 중위의 지휘 하에 있는 12소대를 목표로 삼았다. 다시 돌파에 실패한 PVA는 공격이 끝날 때까지 막대한 사상자를 냈다. 13:30부터, 1시간 반 동안 전투가 잠시 소강 상태에 들어갔지만, D중대는 PVA 박격포, 기관총, 소총 사격을 계속 견뎌냈다. 그레버너는 전투가 밤까지 계속될 수 있다고 믿고 그의 전방 소대가 압도되어 파괴되지 않도록, 더 좁은 중대 경계선을 채택하기 위해 12소대를 후퇴시키기로 결정했다. 이동은 아무런 사고 없이 완료되었고, 곧, 새로 비어있는 위치는 철수를 감지하지 못한 대규모 PVA 부대에 의해 공격을 받았다. PVA는 능선 북쪽 끝에 진지를 구축하려고 시도하면서 빠르게 이동했지만, 3 RAR의 기관총과 소총 사격, 그리고 포병에 의해 맹렬하게 공격을 받았다.[94]
벌크의 제27여단 본부는 4월 24일 오후에 미 제5기병연대의 두 개 대대가 도착하면서 증원되었다. 이들은 앞서 여단에 배치되었고, 대대 중 하나는 Hill 677의 남서쪽에 배치되어 여단 본부의 왼쪽 측면을 엄호했다. 두 번째 미군 대대는 미들섹스 남동쪽 강 건너에 위치를 점령하여 여단 본부 오른쪽 측면을 엄호했다. 마찬가지로, 3 RAR 중대 중 한 곳과 대대 본부에서 심각한 사상자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3 RAR은 격렬한 전투에서 거의 손상되지 않고, 여단 본부로 성공적으로 철수했다. 한편, 대체 영국 대대 중 하나인 제1대대, 킹스 오운 스코티쉬 보더러스도 24일 도착하여 여단 본부 주변의 3 RAR과 함께 위치를 잡았다.[95] 그러나, 여단 본부 근처에 모인 이 부대들은 PVA와 교전하거나, 포위된 Hill 677에 대한 퉁무다이에서 보급로 접근을 통제하는 PVA를 뚫기 위한 구호 부대를 형성하려 시도하지 않을 것이라고 벌크는 4월 24일 저녁 2 PCCLI에게 알렸다.[96]
4. 1. 3. 오스트레일리아군의 철수
원래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제3대대(3 RAR)는 미 제5기병연대에 의해 교대될 때까지 방어하려 했지만, 버크는 아침에 3 RAR을 504 고지에서 철수시켜 제27여단 사령부로 후퇴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결정으로 버크는 B 중대의 공격을 취소하게 되었다.[90][97] 3 RAR이 포위될 가능성에 직면하면서 버크는 여단 후방의 새로운 방어 위치로 미들섹스 지역으로의 철수를 명령했다.[98] 오도드는 11시 30분경에 중공군이 D 중대에 대한 공격을 재개하면서 철수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고, 퍼거슨이 12시 30분에 오도드에게 무선으로 철수를 계획하고 지휘하라고 명령한 후였다.[73][99] 중공군이 남쪽 도로를 장악하면서 오도드는 그의 중대들에게 카평강 바로 동쪽, 504 고지에서 남서쪽으로 3km 뻗어있는 능선을 따라 철수하라고 명령했다. 미들섹스 위치는 능선 기슭에서 남서쪽으로 1km 더 떨어져 있었고, 게르케가 이전에 확보한 도하 지점을 통해 도달할 수 있었으며, 이는 철수를 위한 대대 검문소 역할을 할 것이다.[90]A 중대의 지휘는 임시적으로 부사령관인 밥 머독 대위에게 넘겨졌다. 1950년 11월 박천 전투에 참가했던 오도드는 접촉 상황에서의 철수의 위험을 직접 경험했다. 과제는 구 B 중대 위치를 점령한 중공군과 접촉이 끊어진 후 D 중대 위치에서 따라오는 중공군으로부터 철수하는 전방 소대를 보호하는 것이었다. 3 RAR은 또한 철수 경로에서 차단 병력을 제거해야 했으며, 동시에 많은 수의 부상병과 중공군 포로의 후송은 그들의 이동을 방해할 것이었다.[102] 철수 시간은 성공에 매우 중요했다. 선두 중대는 오후 중반까지 움직이지 않을 것이며, 후위 부대는 어둠을 이용하여 접촉을 끊을 수 있는 보호를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기 이동을 지원하기 위해 햇빛 아래에서 좋은 관찰과 사격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90][102] 명령은 14시 30분에 전달되었다. B 중대는 능선을 따라 철수를 주도하고, 아직 후송이 필요한 부상병을 운반하며, 경로를 확보하고 미들섹스 근처의 도하 지점을 확보할 것이다. C 중대는 포병대가 구 B 중대 위치의 중공군을 무력화시키기를 기다린 후, D 중대 뒤에 차단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이동할 것이다. A 중대는 그 후 C 중대 뒤로 철수하여 그래버너와 사운더스가 깨끗하게 철수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D 중대는 C 중대와 A 중대를 통과하여 철수하고, 추격을 지연시키고 해당 중대가 철수할 수 있도록 차단 위치를 설정할 것이다.[103]

15시 이후, 공습이 D 중대 앞에서 살아남은 중공군을 몰아내기 위해 요청되었다. 그러나 두 대의 미 해병대 보트 콜세어의 공격은 정찰기가 잘못 표시하여 D 중대 자체를 잘못 겨냥했다. 공격이 중단되기 전까지 두 명이 사망하고 여러 명이 네이팜탄에 심하게 화상을 입었는데, 이는 마이클 라이언 대위가 중공군의 공격을 받으면서 마커 패널을 흔들며 뛰쳐나왔기 때문이다.[67] D 중대의 의무병인 로널드 던크 일병은 자신의 부상에도 불구하고 부상병을 돕는 그의 노력으로 군사 훈장을 받았다.[63][104] 중공군은 즉시 혼란을 이용하여 D 중대의 길게 노출된 동쪽 측면을 공격하려고 했다. 정상의 전방 주 능선에 있던 11 소대는 정면 공격을 받았다. 그러나 네이팜탄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그들은 중공군 공격을 격퇴하고 중공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 RAR 위치에 대한 중공군의 침투 시도는 오후까지 계속되었다.[105][106]
철수는 잘못된 공습 직후 시작될 예정이었고, 16:00에 고폭탄과 연기를 사용한 포병 포격이 선행될 예정이었다.[107] 미군 전차는 그 후 엄호를 제공하기 위해 전진했고, 16 NZFR 포병이 정해진 시간에 사격을 하지 못하자, 직사 화력 지원을 제공했다. 여전히 접촉 상태에서 3 RAR은 후퇴하기 시작했고, 중대들이 서로 엇갈리면서 여러 차례의 잘 훈련된 후위 부대 작전을 벌였다. 한편, 16 NZFR은 마침내 사격을 시작한 후 중공군을 저지했다.[102] B 중대는 앞선 전투에서 39명의 중공군 포로를 잡았고, 이들을 버려둘 수 없었기 때문에, 그들은 3 RAR 부상병과 장비의 대부분을 운반하는 데 사용되었다. 중공군이 철수 경로를 차단했을지도 모른다는 오도드의 우려는 실현되지 않았고, B 중대는 능선을 따라 뒤로 이동하여 도하 지점으로 내려갔고, 아무런 사고 없이 어둠 속에서 미들섹스 지역에 도착했다. C 중대가 다음으로 철수했는데, 저격수의 사격으로 또 다른 사상자가 발생한 직후인 16:30에 출발했다. 사운더스는 그의 중대를 스퍼로 이끌고 그 다음 주 능선을 따라 남쪽으로 이동했고, 그 후 다음 시간 동안 A 중대가 따라갔고, 중공군이 바싹 추격했다.[108]
머독은 그와 그의 부대가 지쳐서 탄약이 거의 없는 상태로 카평강에 도착했을 때 공격받을 것을 우려했다. 3 RAR은 운이 좋았고, 어둠 속에서 능선을 따라 통신 및 항해의 어려움 때문에 A 중대의 일부가 분리되었고 마지막 두 소대는 도하 지점에 도달하기에 너무 일찍 강으로 내려갔다. 그러나 사람이 없는 강둑에 도달한 그들은 실수를 깨닫고 즉시 서쪽으로 방향을 돌려 강둑을 따라 도하 지점으로 갔다. 중공군은 이러한 갑작스러운 마지막 방향 전환을 따르지 않고 강으로 돌진했고, A 중대에게 예상치 못한 탈출 기회를 제공했다. 추격하는 중공군 병사들은 그 후 677 고지의 스톤과 2 PPCLI B 중대에 의해 발견되었고 사격을 받았다. 다행히 3 RAR에게 2 PPCLI의 중기관총 사격은 중공군 추격병에게 정확하게 향했고 그들을 맞히지 않았다. [109]
정상을 지키며 마지막으로 철수한 D 중대만이 격렬한 교전을 벌였고 예정된 시간에 이동할 수 없었다. 중공군은 결정적인 공격을 시작했고, 그 전에 중기관총과 박격포의 집중 사격이 가해졌고, 전방 참호를 덮치려고 시도했다. D 중대는 중공군 공격을 격퇴했고 그래버너는 상황이 더 악화되기 전에 그의 위치를 얇게 만들기 시작하기로 결정했다. 한 소대가 그들의 이동을 엄호하면서 D 중대는 그 후 철수했고, 중공군이 바싹 추격했다.[110] 마지막으로, D 중대는 어둠 속에서 깨끗하게 철수하는 데 성공했고, D 중대는 안전하게 철수할 수 있었다.[98][111] 23:30까지 대대는 철수했고, 완전한 속도로 철수를 완료했으며, 사상자는 최소였다.[111]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전 24시간의 전투는 3 RAR에게 큰 피해를 입혔고, 32명이 사망하고, 59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3명이 포로로 잡혔다. 그러나 그들은 여단의 우익에 대한 공격을 일시적으로 지연시켰고, 철수하기 전에 중공군에게 훨씬 더 큰 피해를 입혔다. 3 RAR과 16 NZFR에게 중요한 점은 4월 25일이 안작 데이였다는 것이다. [98]
4. 2. 캐나다군의 방어전 (4월 24일 ~ 25일)
4. 2. 1. 방어 준비
2 PPCLI 제2대대 대대장 스톤은 4월 23일, 가평 전장의 677고지 주변을 직접 정찰하여 중공군이 공격해 올 가능성이 있는 경로를 파악했다. 스톤은 그 후, 선발 중대에 퉁무대 마을에서 677고지로 올라가는 좁고 구불구불한 길을 확장하고 재건하도록 지시했다.[112] 이를 통해 스톤은 필수적인 보급로를 확보했고, 중기관총과 박격포를 탑재한 12대의 M3 하프트랙을 677고지 정상까지 이동시켜 대대 본부 옆에 배치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공병 임무는 중공군 주력이 전장에 도착하기 직전에 완료되었다.677고지 정상에 집결한 2 PPCLI 제2대대 병력 700명은 4월 23일 밤부터 24일 아침까지 3 RAA부대 전선에서 벌어지는 전투 소리를 들으며 얕은 참호에서 밤을 보냈다. 그러나 이른 아침부터 677고지를 포위하려는 중공군의 활동이 증가했고, 오른쪽 측면의 504고지 상황이 악화되자 스톤은 3 RAA가 후퇴할 경우에 대비하여 동쪽 측면을 강화하기 위해 B 중대를 677고지 정상 북쪽 가장자리에서 철수시켰다. 빈스 릴리 소령의 지휘 하에 B 중대는 이후 대대 본부를 동쪽으로 이동하여 계곡길을 내려다보는 고지를 점령했다.[113] 스톤의 직관은 옳았음이 입증되었는데, 이 위치는 그의 2 PPCLI 제2대대 본부뿐만 아니라 대대의 주요 중기관총과 박격포를 보호했으며, 다가오는 밤 전투의 치열한 절정에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었다.
3 RAA가 압도당하여 그의 오른쪽 측면이 공격에 노출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면서, 스톤은 B 중대를 가평 계곡을 내려다보는 지역을 방어하도록 재배치했다. 2 PPCLI 제2대대 B 중대는 11시까지 재배치를 완료했는데, 간발의 차였다. 그러나 3 RAA를 지원하는 미 제72전차대대 소속 미군 전차 중대가 B 중대의 이동을 보고 적군으로 오인하여 2 PPCLI에 사격을 가해 1명이 부상을 입었고,[114] 이후 전장에서 후퇴했다. 2 PPCLI 제2대대는 이제 서쪽의 677고지 정상에서 강가와 가장 가까운 동쪽 고지까지 북쪽을 향하는 호를 형성했다. D 중대는 대대의 왼쪽 측면을 방어했고, 2 PPCLI의 주요 진지에서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었으며, C 중대는 중앙 전방 경사면을, A 중대와 B 중대는 오른쪽 측면을 방어했다. 677고지의 높은 풀과 험준한 지형은 각 중대가 상호 지원을 제공하는 능력을 제한했다.[115] 동시에, 2000피트(609.6m) 높이의 언덕 가장자리에 있는 수많은 협곡은 공격 부대가 2 PPCLI 진지에서 가까운 거리까지 677고지 정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숨겨진 통로를 제공했다.[116]
3 RAA가 504고지에서 후퇴하는 동안, 스톤은 2 PPCLI B 중대에 677고지에서 뚜렷하게 보이는 3 RAA의 탈출을 돕기 위해 엄호 사격을 지시했다. 중공군이 3 RAA를 빠르게 추격하자 B 중대는 약 10분 동안 지속적으로 중기관총 사격을 가하여 중공군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3 RAA가 무사히 탈출할 수 있도록 했다. 3 RAA의 야전 지휘관 오도드는 의도치 않은 3 RAA 사상자가 발생할 가능성을 우려하여 지원 사격을 중단해 달라고 요청했다.[56]
스톤은 후에 미군 포병 지원의 갑작스러운 부재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는데, "호주군 전선에서 전투가 격렬해지자, 우리 전방에 있던 미군 박격포의 전방 관측 장교가 사라졌고, 그의 부대에서는 아무런 소리도 들리지 않았다."[117] 두 개의 미군 포병 중대는 걸어서 도주하여 박격포, 포, 보급품, 50대의 적재된 트럭과 기타 차량들을 전장에 남겨두고 갔다. 그 후 두 개의 미군 박격포 중대는 10마일(16km) 동쪽으로 걸어가 휴식을 취했는데, 가평에서 중공군의 대규모 돌파가 임박했다고 확신한 것으로 보인다.[51] 스톤은 후에 일부 유엔군 사이에서 "도망치는 것이 후퇴의 용인되는 방식"이라고 비통하게 말했다.[117] 미군 전차와 포병 지원이 철수하고 3 RAA 대대가 강제로 후퇴하면서, 스톤의 지휘는 포위되어 보급로가 차단되었고, 기존의 보급품과 탄약에 의존하게 되었다. 2 PPCLI 제2대대 소속 4개 중대는 각각 두 정의 비커스 중기관총과 세 문의 60mm 박격포를 할당받았다. 방어 사격 임무가 등록되었으며, 오후에는 추가 탄약이 전방 중대로 밀려갔다.[95]
4월 24일 밤이 되자 버크는 677고지 정상에 있는 2 PPCLI 본부와의 무선 연락을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버크는 확성기가 장착된 다코타 항공기를 지시하고 직접 677고지의 2 PPCLI 진지를 비행했다.[96] 그는 아래 병사들에게 그들이 이제 고립되어 어떠한 지원도 받을 수 없으며 다가오는 전투를 홀로 치러야 한다고 발표했다. 그는 그들에게 행운을 빌어주고 용감하게 싸우라고 격려했다. 그 후 그는 병사들의 조롱 속에서 여단 본부로 돌아갔다. 버크의 짧은 전장 방문은 2 PPCLI 사이에 더 큰 불안감을 야기했다.[96] 경험이 부족한 2 PPCLI 병사들 중 많은 수가 도망가서 진지를 포기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베테랑 전쟁 영웅 토미 프린스는 겁에 질린 병사들을 안정시키고 동기를 부여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96] 스톤과 2 PPCLI는 제27여단 본부 병력이 계속해서 적과 교전하거나 퉁무대의 보급로에서 중공군의 포위망을 뚫기 위해 구원 부대를 소집할 것이라고 더 이상 기대할 수 없었다. 스톤은 677고지가 유엔군에게 본질적으로 전략적인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결코 의심하지 않았고, 대대 무선 세트를 통해 그의 대대에 다음과 같은 분명한 명령을 내렸다. "우리는 포위되었다. 구원받을 때까지 이 진지를 사수한다." "후퇴는 없다, 항복도 없다."[118][119][120]
4. 2. 2. 야간 전투
중국 인민지원군(PVA)은 제677고지에 대한 초기 공격을 준비하면서, 공격 전에 철저한 정찰을 수행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제2 캐나다 왕립 공병 연대(2 PPCLI)의 방어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었다.[126] 그러나 제677고지 측면의 험준한 지형과 협곡은 PVA에게 숨겨진 접근로를 제공했다. PVA 부대는 2 PPCLI 참호에 대한 마지막 대규모 공격 동안 눈에 띄었지만, 어둠 속에서 2 PPCLI의 소총 사격은 효과가 없었고, 다량의 수류탄과 총검을 사용한 백병전이 벌어졌다.[126] PVA 공격자들은 경기관총으로 무장했는데, 이는 근접전에서 2 PPCLI의 리-엔필드 Mark III 단발 볼트 액션 소총보다 우월했다.[100][121][122][56] 몇몇 2 PPCLI 병사들은 사적으로 구입한 브렌 기관총을 보유하여 근접전 기관총 능력을 제공했으며, 이는 B 중대의 대대 본부 및 주요 포병 진지 방어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했다.PVA 박격포와 포병은 첫 공격에서 대체로 비효과적이었으나,[126] 나중에 D 중대에 대한 대규모 공격에서는 공격을 주도하는 데 중요했다. PVA 제118사단과 제60사단은 대한민국 제6사단의 붕괴를 따라잡기 위해 대부분의 중포와 보급품을 북쪽에 남겨두었다.
제504고지에서 수비대를 몰아낸 PVA 제60사단과 제118사단은 2 PPCLI가 점령한 제677고지를 점령하려 시도했다.[123] PVA는 2 PPCLI의 B 중대의 재배치를 감지하고 22:00에 B 중대 제6소대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124] 초기 공격은 중기관총 사격과 박격포에 의해 격퇴되었지만, 한 시간 후의 두 번째 PVA 공격은 제6소대의 우측 전선을 돌파하는 데 성공했다. 소대는 소규모 그룹으로 후퇴하여 중대 주 방어 위치로 돌아갔고, PVA의 진격을 멈추었다.[125] 2 PPCLI의 60mm 박격포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며,[95] PVA는 공격 전에 예광탄 사격과 나팔을 사용하여 의도를 알렸고, 이로 인해 2 PPCLI는 간접 사격을 조정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126]
B 중대 제6소대에 대한 공격 동안, 사병 W. R. 미첼은 브렌 기관총을 사용하여 PVA 부대에 대한 단독 반격을 시작하여 포위된 제6소대 분대를 구출했다.[127][128][129] PVA 파편과 총알에 두 번이나 부상을 입었음에도 불구하고,[130] 그는 브렌 기관총으로 계속 공격했으며, 밤새도록 자신의 위치에 남아 있었다. 미첼은 공로 훈장을 받았다. 다음 날 아침, B 중대 경계선 주변에서 51명의 PVA 사상자가 발견되었다.[125]
24:00경, 제6소대 본부와 나머지 분대는 탄약이 떨어졌고 총검을 장착하고 자신의 위치를 방어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31] 격렬한 전투 중 제6소대 하사 중 한 명은 "탄약이 떨어지자 총검이 장착된 소총을 창처럼 던졌다."[131]

한편, B 중대의 휴 그레이 중위는 약 500명 규모의 연대급 PVA 부대가 B 중대 위치 남쪽 협곡 접근로를 통해 올라오는 것을 감지했다.[132][133][134][135] 이 부대는 나팔 소리 없이 조용히 집결한 다음, 스톤의 대대 본부를 향해 이동했다. B 중대의 릴리는 스톤에게 임박한 공격을 경고했고, 스톤은 본부 전투 부대를 지휘했다. 박격포 소대에서 나온 12대의 M3 하프트랙은 각 차량에 .50 구경과 .30 구경 브라우닝 기관총이 장착되어 있었다. 스톤은 PVA가 수목선을 돌파하고 전방에서 불과 40m 떨어진 곳까지 진격할 때까지 사격을 멈췄다.[131] 집결한 수비대는 기관총과 최소 교전 거리에서 박격포를 발사했다. PVA는 심각한 사상자를 냈고 공격은 격퇴되었다.[125] 2 PPCLI 본부에 대한 이 전투가 절정에 달하는 동안, A 중대의 후방 소대는 스톤의 위치를 지원하기 위해 비커스 중기관총을 발사했다. 스톤은 A 중대 부지휘관과 연락하여 "사격을 중지하십시오...우리는 스스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탄약을 아껴두세요. 나중에 필요할 겁니다."[136]
두 번째 주요 공격이 격퇴된 직후, 또 다른 대규모 PVA 공격 부대가 가평 계곡 강을 건너는 것이 밝은 달빛 아래 감지되었는데, 가평 정상 높이에서 약 600m 아래, 약 800m 떨어진 곳이었다.[136][56] 2 PPCLI의 .50 구경 중기관총이 이 병력에 집중되었고, 다음 날 강둑에서 71구의 시신이 발견되었다.
PVA는 이제 D 중대로 주의를 돌렸는데, 대대 좌익에서 약 1.6km 떨어진 먼 거리에 있는 제677고지 정상의 일부를 점령하고 있었으며, 집중된 2 PPCLI 중기관총과 중기관총 방어 사정거리 너머에 있었다.[137] 01:10에, 대규모 PVA 부대가 제865고지를 향한 서쪽의 능선에서 집결하는 것이 감지되었고, 그들은 방어 사격을 받았다. PVA 중기관총과 포병의 지원 사격을 받는 거대한 PVA 부대는 마이클 조지 레비 중위가 지휘하는 D 중대 제10소대를 공격했다.[137] PVA 공격자들은 곧 서로를 지원하며 사격하는 제12소대의 비커스 기관총의 효과를 받았다. PVA는 공격 축을 제12소대로 전환하여 제12소대 분대 중 하나와 중기관총을 돌파하는 데 성공하여, 그 자리에 남아 사격하다가 제압당한 승무원 두 명을 살해했다. 그러나 공격자들은 비커스 기관총을 자신들의 이점으로 사용하거나 무기를 비활성화하거나 손상시키려는 시도를 하지 않았다.[138] 16 NZFR의 포병 지원이 이제 완전히 투입되어 탄약을 절약하기 위해 '매우 느린' 속도로 사격하면서, PVA 공격의 무게는 곧 스톤에게 포격을 분당 총당 두 발의 '느린' 속도로 증가시켜, 180m의 목표 지역에 30초마다 24발이 떨어지도록 요청하게 했다.[139]

D 중대의 단호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PVA 공격은 소대 사이의 틈새를 통해 D 중대 경계선을 침투하는 데 성공했으며, D 중대는 3면이 포위되었다. D 중대의 전진 소대는 PVA 보병에게 완전히 압도당했다. 중대장 J.G.W. 밀스 대위는 제10소대장 레비의 요청에 따라, 스톤에게 레비의 위치에 직접 목표로 하는 세 번의 별도 포병 포격을 요청했다. 레비는 그의 부하들에게 바위투성이 땅에서 긁어낸 얕은 참호에서 가능한 모든 엄호를 찾도록 명령했다. 스톤은 먼저 밀스에게 "무슨 요청을 하는지 알고 있습니까?"라고 질문하고 긍정적인 답변을 받은 후 요청을 승인했다. 스톤은 즉시 16 NZFR 본부에 연락하여 16 NZFR의 포탄 파편으로 포격을 준비했는데, 현재 약 7.2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었다.[138] 레비의 소대에 대한 포격은 4월 25일 이른 아침, 제10소대가 PVA 대규모 공격에 의해 압도된 후 세 차례에 걸쳐 발생했으며, 각 포격은 약 15~20분 동안 지속되었다. 파편 포탄은 지상 몇 미터 위에서 폭발하도록 퓨즈가 장착되었다. 이 전술은 성공했으며, 집결한 PVA 병사들은 파편 사격으로 파괴되었고, D 중대는 파편 포탄으로 인해 큰 피해 없이 참호에서 탈출했으며, 소수의 사상자는 있었지만 치명적인 부상은 없었다. 파편 포탄은 2 PPCLI 참호에서 6m 이내에 떨어졌지만, 참호에 대한 직접적인 타격은 없었다. 포병 포격으로 사망한 PVA 병사의 수는 약 4,000명으로 추산되었다.[140] 16 NZFR과 그들의 25파운더는 D 중대를 지원하기 위해 밤새 전투에서 약 10,000발의 포탄을 발사했다.[138] 그러나 PVA는 밤의 나머지 시간 동안 D 중대에 대한 소규모 공격을 여러 차례 시작하면서 끈질기게 공격했으며, 이 공격은 다시 포병 및 소화기 사격으로 격퇴되었다.
새벽이 되자 2 PPCLI 진지에 대한 공격은 잦아들었고, D 중대가 좌익을 계속 통제하면서, 그들은 과감한 방식으로 이전에 버려진 기관총을 다시 회수할 수 있었다. D 중대에 대한 대규모 공격 동안 탄약 보급을 수행하면서 개인적으로 적군 6명을 살해한 케네스 바르와이즈 일병은 이제 비어 있는 무인지대를 달려나가 버려진 비커스 중기관총으로 달려갔다. 근처의 PVA 군대와 교전한 후, 그는 무거운 짐을 팔에 쥐고 적의 눈앞에서 자신의 부대로 달려갔다.[141] 바르와이즈는 그의 행위에 대해 무공 훈장을 받았다.[129][142] 한편, 우익에서는 B 중대가 전날 저녁 일찍 포기해야 했던 소대 위치를 다시 점령할 수 있었다.[139] PVA는 야간 공격 동안 엄청난 사상자를 냈으며, 2 PPCLI에 의해 300명 또는 심지어 1,000명 이상이 살해되었고, 16 NZFR의 중포 포격으로 훨씬 더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152] PVA는 통상적인 절차에 따라 밤중에 전장에서 대부분의 사망자를 제거했으며,[143][51] 2 PPCLI 병사들은 전투가 끝날 때까지 사망자를 세러 나서지 않았다. 휴 그레이는 총검 전투 후 2 PPCLI 병장과 그의 PVA 적이 함께 누워 있는 시신을 발견했는데, 이는 격렬했던 전투를 증명하는 것이었다.[144][56] 그러나 2 PPCLI는 이제 탄약, 의료 및 식량 공급이 완전히 고갈되었으므로,[145] 그날 밤 또 다른 전면적인 PVA 공격은 2 PPCLI가 저항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2 PPCLI에게 다행스럽게도 그런 공격은 발생하지 않았다.

4. 2. 3. 최종 작전
중공군은 소규모 공격을 계속했지만, 제2 PPCLI는 이제 그 정상을 장악했다. 전날 제3 RAR 대대가 후퇴한 후, 중공군은 677고지 후사면에서 퉁무대 마을로 이어지는 보급로에 차단 진지를 구축했다. 이곳은 4월 23일 스톤이 중공군의 공격 직전에 개선했던 길이었다.[146] 677고지 후사면에 대한 중공군의 장악은 제2 PPCLI의 보급을 끊고, 군사적 증원이나 구호가 그들에게 도달하는 것을 막았다. 4월 25일 저녁까지 전투가 계속되거나, 중공군 제118사단과 제60사단의 또 다른 주요 공격으로 격렬하게 재개될 것으로 예상한 스톤은 오전 4시에 식량, 탄약, 물을 677고지에 직접 공수해 줄 것을 요청했고, 오전 10시까지 81mm 박격포 탄약을 포함한 필요한 보급품이 일본의 공군 기지에서 출발한 네 대의 미국 C-119 플라잉 박스카에 의해 투하되었다.[147] 공수 작전 동안 낙하산 4개만 중공군이 통제하는 지역에 떨어졌고, 나머지는 제2 PPCLI가 성공적으로 회수했다.[131]제2 PPCLI는 방어 진지와 참호를 계속 개선했다. 제27여단 사령부 앞에서 배치된 예비 위치의 미들섹스 연대는 아침에 순찰대를 보내 677고지 뒤쪽 지역을 점령하고 전날 제2 PPCLI의 위치를 포위한 중공군을 정찰했다. 4월 25일 14시에 제2 PPCLI B중대의 순찰대가 보급로가 이제 확보되었고, 중공군 제118사단과 제60사단이 북쪽으로 철수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했다. 스톤은 그 후 퉁무대를 통하는 보급로가 열려 있고 중공군 사단이 돌아오기 전에 가능한 한 빨리 차량으로 추가 보급품을 보낼 것을 요청했다.[139] 이틀 전 진격 당시 식량과 탄약을 멀리 뒤에 남겨두었던 중공군 제118사단과 제60사단은 전투 중 극심한 사상자를 낸 후 재정비하고 보충하기 위해 4월 25일 늦은 오후 가평 계곡을 거슬러 올라갔다.[152][148] 따라서 주요 중공군 부대는 4월 24일 저녁, 포위된 제2 PPCLI 위를 비행했을 때, 버크가 그들에게 준 암울한 평가를 충족시키면서, UN 구호 부대가 제2 PPCLI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후퇴했다.
4월 25일의 나머지 기간은 제2 PPCLI에게 비교적 조용했지만, 중공군의 주기적인 괴롭힘 사격을 받았다. 특히 D중대는 서쪽 865고지에서 기관총의 집중 사격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공군은 더 이상 공격을 시도하지 않고 전선 전반에 걸쳐 제한적인 순찰 활동에 머물렀다.
버크는 이미 4월 25일 아침에 지휘권을 넘겨받았고[149] 조지 테일러 준장으로 교체되었다. 테일러는 2차 세계 대전에서 훌륭하게 복무했던 고위 장교였다. 테일러는 그 후 4월 25일 오후에 미국 제5기병연대에 504고지를 탈환하기 위한 공격을 명령했고[150] 이는 상당한 미국의 사상자를 초래했다. 그 고지에 남아 있던 중공군 병사들은 약 16시까지 저항했다.
다음 날 4월 26일, 탄약과 다른 보급품을 보충한 제2 PPCLI는 677고지 북쪽 사면에 참호전을 벌이고 있는 나머지 중공군을 상대로 공격을 시작했다. 여러 중공군 집결지가 집중 포격과 공습으로 파괴되었다. 제2 PPCLI는 마침내 4월 26일 저녁 제5기병연대 대대에 의해 677고지에서 구호되었다.[151] 그 지점 북쪽의 미국 순찰대는 저항을 받지 않았고, 미국군은 또한 중공군과 접촉하지 않고 17번 국도를 따라 춘천까지 동쪽으로 순찰할 수 있었다. 4월 27일 마지막 날까지 가평 계곡 전선의 상황은 안정되었다.[152] 제2 PPCLI는 이제 4월 28일 가평 지역에서 UN 전선의 서울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제27여단의 후위를 형성했다. 이 후위는 지휘관의 이름을 따서 "스톤 부대"라는 별칭을 받았다.[153]
스톤 자신은 가평 전투에서 나타난 교훈에 대한 평가를 제공했다. "가평 전투는 병사들의 사기, 정신이 전투에서 아마도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보여주었다."[154] 제2 PPCLI의 677고지 최후 방어전에서, 5개의 고위 훈장 외에도 11개의 공로표창이 수여되어 제2 PPCLI의 광범위한 전투 대응을 나타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스톤이 제27여단에 배속되기 직전인 2월에 남한 남부의 밀양 산에서 6주간의 산악 전투 훈련 과정을 고안하고, 그의 상급 장군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를 고집했기 때문에 가평 전투에서의 혼란스럽고 고립된 야간 전투에 그의 병사들을 대비시켰다는 것이다.[155][156] 가평 전투에서 그의 대대의 활약에 대한 스톤의 최종 평가는 "주변의 [UN] 부대가 무너지는 가운데, 패트리샤 부대는 단 한 치의 땅도 포기하지 않았다"는 것이었다.[157] 스톤은 "전선이 사방에서 무너졌고, 당시 우리 측에서 한국 전체를 지키고 있는 대대는 우리뿐이었다"라고 주장했다.[158]
5. 결과 및 영향
5. 1. 유엔군의 승리와 중공군의 좌절
중국 인민지원군(PVA)은 압도적인 수적 우세를 바탕으로 광범위한 전선에서 공격을 가하여 다수의 유엔군 진지를 휩쓸었다.[159][160][161][56] 치열한 교전 끝에 PVA는 가평에서 대한민국 육군 제6사단, 제3 왕립 호주 연대(3 RAR), 미국 전차 및 포병 부대를 밀어냈다.[159][160][161][56] 또한, 5개 중대(미국 박격포 중대 2개, 미국 제74 공병 전투 대대 중대 2개, 미들섹스 연대 1개 중대)가 PVA의 돌파를 예상하고 걸어서 동쪽 춘천으로 전장을 이탈했다.[159][160][161][56] 이 모든 유엔군 부대는 전투에서 후퇴하여 예비 위치로 이동했으며, 더 이상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다.[159][160][161][56] 제2 PPCLI는 뉴질랜드 육군(16 NZFR)의 장거리 포격 지원을 받아 이틀간 포위된 채 생존했으며, PVA 제118사단과 제60사단의 전면 공격을 저지하여 유엔군 구원 부대가 도착하기 전에 PVA를 철수시켰다.[159][160][161][56] 유엔군은 결국 승리했지만, 2 PPCLI의 최후 방어를 통해서였으며, 전장에서는 10대 1 이상의 수적 열세에 놓여 있었다.[159][160][161][56]수적 우세와 소화기 사격에서 유리함을 제공하는 경기관총을 소유했음에도 불구하고, PVA는 중포병 능력에서 열세에 놓여 있었다.[84] 이러한 포병 사격의 우위는 제2 PPCLI가 가평에서 생존하고 성공할 수 있게 했다.[84] 그럼에도 불구하고, PVA는 결국 패배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전투는 PVA가 3 RAR과 미국 전차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전장에서 후퇴시킬 수 있는 강인하고 숙련된 군인임을 다시 한번 보여주었다.[85]
3 RAR의 손실은 전사 32명(미군 공습에 의한 오인 사격으로 2명 사망), 부상 59명, 포로 3명이었으며, 4월 24일/25일의 제2 PPCLI 사상자는 전사 10명, 부상 23명이었다.[111] 이후 전사 12명, 부상 35명(미군 전차의 오인 사격 1명, 16 NZFR의 오인 사격 여러 명)으로 수정되었다.[129] 미국 측 사상자는 제72 중전차 대대 A 중대의 전사 3명, 부상 12명, 전차 2대 파괴였다. 16 NZFR은 전사 2명, 부상 5명의 손실을 입었다.[60] 미 제5 기병 연대는 4월 25일과 26일 가평의 504고지 및 기타 지역에서 전사 10명, 부상자 다수가 발생했다.[162] 가평 전투에서 유엔군의 총 사상자는 전사 59명, 부상 111명 이상이었다.
반면에, PVA의 손실은 훨씬 더 컸으며, 전사 1,000~5,000명, 부상자 다수를 포함했을 수 있다.[111][152]
677고지 전투에서 제2 PPCLI 병사가 항복하거나 포로로 잡혔다는 보고는 없었으며, PVA 병사가 항복하거나 포로로 잡혔다는 보고도 없었다.

5. 2. 영연방군의 전투 명예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은 1951년 6월, 2 PPCLI, 3 RAR, 그리고 미군 제72 중전차 대대가 가평 전투에서 보여준 활약으로 수여받았다.[85] 16 NZFR은 3 RAR과 2 PPCLI가 전멸하는 것을 막는데 기여하여 1951년 11월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163][85] 미들섹스 연대는 전투 초기에 잠시 교전을 벌였지만,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지는 못했다.[44]전투에 대한 포상으로, 스톤은 1951년 12월 로킹햄 준장의 추천으로 1951년 한 해 동안 2 PPCLI를 지휘한 공적을 인정받아 1952년 2월 세 번째 수훈 훈장을 수여받았다.[165] 2016년 12월, 스톤은 사후 대한민국 정부 국가보훈부에 의해 공식적인 한국 전쟁 영웅으로 지정되었다.[168] 2 PPCLI D 중대 지휘관 밀스는 무공 훈장을 받았으며,[169] 2004년 캐나다 총독은 레비에게 공식적인 문장 부여, 기 및 배지를 수여했다.[170][171] 2017년, 레비는 사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평화의 사도 메달을 받았다.[172][173]
퍼거슨은 수훈 훈장을 받았고,[175] 코크는 504고지 주변 전투에서 전차가 수행한 역할로 미국 수훈 십자 훈장과 영국 무공 훈장을 모두 받았다.[177]
로열 오스트레일리아 연대,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 연대, 미들섹스 연대는 이후 전투 명예 "가평"을 받았다.[6][178] 이 전투는 한국에서 캐나다와 오스트레일리아 군대가 벌인 가장 유명한 작전으로 여겨지며,[27] 2차 세계 대전 이후 캐나다군이 수행한 가장 유명한 작전으로 여겨진다.[179] 전장에는 1983년에 가평 캐나다 기념비가 건설되어 헌정되었다. 또한 캐나다 기념비에서 1.3킬로미터 떨어진 같은 지역에 호주 군대의 참전을 기념하는 기념비가 있다.
5. 3. 전후 재편성과 새로운 연합 사단 창설
4월 29일까지, 중국인민지원군(PVA)의 춘계 공세는 서울 북쪽 '노 네임 라인'에서 유엔군에 의해 저지되었다. 비록 주 공격은 미국 제1군단에 집중되었지만, 임진강 전투와 가평 전투에서 영국 연방군의 저항은 PVA의 서울 점령을 막는 데 기여했다.[84][181] PVA는 병력과 물자의 자원을 거의 소진했고, 보급선의 한계에 다다르고 있었다.[85][182] PVA는 4월 22일부터 29일 사이에 최소 30,000명의 사상자를 냈고,[183] 반면, 같은 기간 동안 미국의 사상자는 전사 314명, 부상 1,600명이었다.[184] 이러한 좌절에도 불구하고, 춘계 공세 2차는 가평 동쪽에서 5월 16일에 시작되었으며, 소양강 전투에서 끝났다.[186]제27여단은 재편성되어 제28영국 연방 여단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버크는 전투 중 지휘권을 박탈당했고, 조지 테일러 준장이 4월 25일에 새로운 부대의 지휘권을 인수했다. 새로운 연방 부대는 가평 남서쪽, 북한강과 조천강 합류점 근처의 제9군단 예비대로 철수했으며, 3 RAR은 제28여단으로 전출되었고, 킹스 오운 스코틀랜드 국경 연대 제1대대와 킹스 샤로프셔 경보병 제1대대가 아가일 연대와 미들섹스 연대를 대체했다.[187] 이후, 호주, 영국, 캐나다, 인도,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 간의 오랜 협상 끝에, 통합 부대를 설립하는 데 합의가 이루어졌다.[187] 제1연방 사단은 1951년 7월 28일에 창설되었으며, 제25캐나다, 제28영국 연방, 제29영국 보병 여단을 포함하고, 제임스 캐슬스 소장이 지휘했으며, 미국 제1군단에 배속되었다.[189]
3 RAR의 많은 병사들에게 가평은 의무 기간을 마치고 교체되기 전 마지막 주요 전투였다.[190] 1950년 9월 일본에서 대대가 도착한 이후, 3 RAR은 전사 87명, 부상 291명, 포로 5명의 손실을 입었다.[191]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웹사이트
Korea and the entry of Britain into the war
https://webarchive.n[...]
Cabinet Papers. The National Archives
2009-09-21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문서
The Chinese military did not have military rank|ranks during the 1950s, except for the title of "Commander" or "Commissar"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문서
In Chinese military nomenclature, the term "Army" (军) means Corps, while the term "Army Group" (集团军) means Field Army"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문헌
Horner 2008
[37]
문헌
Mossman 1990
[38]
문헌
Chae, Chung and Yang 2001
[39]
문헌
Johnston 2003
[40]
문헌
Zhang 1995
[41]
문헌
Johnston 2003
[42]
문헌
Johnston 2003
[43]
문헌
Mossman 1990
[44]
문헌
Horner 2008
[45]
문헌
Horner 2008
[46]
문헌
Johnston 2003
[47]
문헌
Johnston 2003
[48]
문헌
Horner 2008
[49]
문헌
Breen 1992
[50]
웹사이트
Official History of the Canadian Army in Korea
https://www.canada.c[...]
[51]
웹사이트
Battle of Kapyong, April 1951 {{!}} Australian War Memorial
https://www.awm.gov.[...]
2024-05-08
[52]
웹사이트
Kapyong battle {{!}} Australian War Memorial
https://www.awm.gov.[...]
2024-05-08
[53]
웹사이트
Australians at War Film Archive, Ronald Perkins (Ron) – Transcript of interview
https://australiansa[...]
[54]
문헌
Chinese Military Science Academy 2000
[55]
문헌
Chinese Military Science Academy 2000
[56]
서적
Beyond the Danger Close
Bunker to Bunker Publishers
2003
[57]
웹사이트
CBC News. Korean Vet Michael Czuboka talks about Korea and the Battle of Kapyong. {{!}} Michael Czuboka
https://www.cbc.ca/p[...]
2024-01-29
[58]
문헌
Breen 1992
[59]
웹사이트
Australians at War Film Archive, Ronald Perkins (Ron) – Transcript of interview
https://australiansa[...]
[60]
웹사이트
The Battle of Kapyong, April 1951
http://www.awm.gov.a[...]
The Australian War Memorial
2010-01-23
[61]
문헌
O'Dowd 2000
[62]
문헌
Breen 1992
[63]
간행물
London Gazette
1952-01-25
[64]
문헌
O'Neill 1985
[65]
문헌
Johnston 2003
[66]
간행물
London Gazette
1952-11-25
[67]
문헌
Coulthard-Clark 2001
[68]
문헌
Mossman 1990
[69]
문헌
Bartlett, With the Australians in Korea
[70]
문헌
Breen 1992
[71]
서적
O'Neill 1985
[72]
서적
O'Neill 1985
[73]
웹사이트
Chapter 4: PATROL TO ICHON AND KAPYONG REVISITED
https://www.koreanwa[...]
2024-05-08
[74]
웹사이트
Battle of Kapyong, April 1951 {{!}} Australian War Memorial
https://www.awm.gov.[...]
2024-05-08
[75]
서적
O'Neill 1985
[76]
서적
Mossman 1990
[77]
서적
O'Neill 1985
[78]
간행물
London Gazette
1955-12-27
[79]
문서
During his captivity Madden resisted repeated Chinese and North Korean attempts to make him collaborate, despite repeated beatings and being deprived of food. He remained cheerful and optimistic for six months, sharing his meagre food with other prisoners who were sick. He grew progressively weaker though and died of malnutrition on 6 November 1951. For his conduct he was posthumously awarded the George Cross. See O'Neill 1985, p. 147.
[80]
서적
O'Neill 1985
[81]
서적
Mossman 1990
[82]
서적
Breen 1992
[83]
서적
O'Neill 1985
[84]
웹사이트
Out in the Cold: Australia's involvement in the Korean War – Kapyong 23–24 April 1951
http://www.awm.gov.a[...]
The Australian War Memorial
2010-01-24
[85]
서적
Horner 2008
[86]
서적
Kuring 2004
[87]
서적
Breen 1992
[88]
서적
O'Neill 1985
[89]
서적
O'Neill 1985
[90]
서적
O'Neill 1985
[91]
서적
O'Neill 1985
[92]
간행물
London Gazette
1951-08-17
[93]
서적
O'Neill 1985
[94]
서적
O'Neill 1985
[95]
서적
Johnston 2003
[96]
서적
Watson 2000
[97]
서적
Breen 1992
[98]
서적
Johnston 2003
[99]
서적
Breen 1992
[100]
웹사이트
The Imjin and Kapyong Battles by S.P. MacKenzie (Ebook) - Read free for 30 days
https://www.everand.[...]
2024-05-08
[101]
서적
Breen 1992
[102]
서적
Breen 1992
[103]
서적
Breen 1992
[104]
서적
O'Neill 1985
[105]
서적
O'Neill 1985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웹사이트
VICTORY AGAINST ALL ODDS
https://www.keymilit[...]
2024-05-08
[117]
서적
[118]
서적
[119]
웹사이트
Battle of Kapyong {{!}} Korean War [1951], ANZACs & US Force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5-08
[120]
웹사이트
Battle of Kapyong — “No retreat, no surrender,” ordered Pats commander Lieutenant-Colonel Jim Stone
https://www.winnipeg[...]
2024-05-08
[121]
서적
[122]
웹사이트
Balzer, Korea 1950–1953. P. 13, 14.
http://rusiviccda.or[...]
2022-09-24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웹사이트
Canada and the Battle of Kapyong
https://www.thecanad[...]
2024-05-08
[129]
웹사이트
OPCMH
http://www.workpoint[...]
2024-05-08
[130]
웹사이트
Battle of Kapyong — Stone said nobody panicked when Patricias were the only battalion holding the line
https://www.winnipeg[...]
2024-05-08
[131]
웹사이트
Battle of Kapyong — saw the enemy everywhere
https://www.winnipeg[...]
2024-05-08
[132]
웹사이트
Mural of Honour - 33 Hub Gray
https://mural.themil[...]
2024-05-08
[133]
웹사이트
The Blazon
http://bc-yukon.hera[...]
2023-01-16
[134]
웹사이트
Kapyong
https://www.canadian[...]
2022-11-15
[135]
서적
Beyond the Danger Close
Bunker to Bunker Publishers
2003
[136]
서적
[137]
서적
[138]
서적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Bjarnason 2011, p. 139
[142]
웹사이트
Canada and the Battle of Kapyong
https://www.thecanad[...]
2024-05-08
[143]
간행물
PPCLI Vol. III, 1919–1957. P. 303.
https://ppcli.com/wp[...]
[144]
서적
Bjarnason 2011, p. 118
[145]
간행물
Official History of the Canadian Army in Korea, P. 88.
https://www.canada.c[...]
[146]
서적
Watson 2000, p. 14.
[147]
간행물
PPCLI Vol. III, 1919–1957. P. 302.
https://ppcli.com/wp[...]
[148]
서적
Kuring 2004, p. 237.
[149]
간행물
Official History of the Canadian Army in Korea, P. 89.
https://www.canada.c[...]
[150]
웹사이트
Gunners help turn the tide at Kap'yong
https://www.4point2.[...]
2024-05-08
[151]
서적
Johnston 2003, p. 106.
[152]
서적
Johnston 2003, p 104.
[153]
서적
Watson 2000, p. 20.
[154]
서적
Watson 2000, p. 22.
[155]
간행물
Alan R. Millett, Allies of a Kind. P. 19.
https://www.armyupre[...]
[156]
서적
Watson 2000, p. 12.
[157]
웹사이트
Mural of Honour - 94 Jim Stone
https://mural.themil[...]
2024-05-08
[158]
웹사이트
Battle of Kapyong — Stone said nobody panicked when Patricias were the only battalion holding the line
https://www.winnipeg[...]
2024-05-08
[159]
웹사이트
3 RAR's Priority on Duty
http://www.defence.g[...]
Australian Department of Defence
2006-04-20
[160]
웹사이트
Battle of Kapyong {{!}} VALOUR CANADA
https://valourcanada[...]
2019-07-27
[161]
웹사이트
CBC News. Korean Vet Michael Czuboka talks about Korea and the Battle of Kapyong. {{!}} Michael Czuboka
https://www.cbc.ca/p[...]
2024-01-29
[162]
웹사이트
5th Cavalry Regiment. Casualties.
https://www.koreanwa[...]
[163]
웹사이트
Unit citation from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16th Field Regiment
https://natlib.govt.[...]
2024-05-08
[164]
간행물
Official History of the Canadian Army in Korea, p. 89.
https://www.canada.c[...]
[165]
간행물
Canadian Army Korean Medals. p. 173.
https://www.blatherw[...]
[166]
서적
Watson 2000, p. 10.
[167]
서적
Watson 2000, p. 8.
[168]
웹사이트
Canadian Lt. Col. Stone named Korean War Hero : Korea.net : The official website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s://www.korea.ne[...]
2024-05-08
[169]
서적
Bjarnason 2011, p. 135-7
[170]
웹사이트
The Blazon.
http://bc-yukon.hera[...]
[171]
웹사이트
Canadian Soldiers.
http://www.canadians[...]
[172]
웹사이트
Korean Ambassador for Peace Medal
https://www.legion.c[...]
2024-05-08
[173]
웹사이트
A forgotten Hero of a forgotten war
https://www.lookoutn[...]
2024-05-08
[174]
서적
Bjarnason 2011, p. 149
[175]
웹사이트
Ben O'Dowd.
https://www.wrmsteel[...]
[176]
서적
Duty First: A History of the Royal Australian Regiment
Allen and Unwin
2008
[177]
서적
1985
[178]
서적
2003
[179]
서적
2000
[180]
서적
1990
[181]
서적
2001
[182]
서적
1985
[183]
서적
2010
[184]
서적
1990
[185]
서적
2003
[186]
서적
1990
[187]
서적
1985
[188]
서적
2003
[189]
서적
1988
[190]
서적
1992
[191]
서적
1985
[192]
간행물
Honours to Canadian Army Awards
https://www.blatherw[...]
[193]
간행물
Official History of the Canadian Army in Korea
https://www.canada.c[...]
[194]
서적
1985
[195]
서적
1985
[196]
서적
1990
[197]
서적
1985
[198]
서적
1992
[199]
서적
2002
[200]
서적
2002
[201]
서적
1985
[202]
서적
198
[203]
서적
2000
[204]
서적
1985
[205]
서적
1985
[206]
서적
1985
[207]
서적
1992
[208]
서적
1985
[209]
서적
1985
[210]
서적
1985
[211]
서적
Breen 1992
[212]
서적
Breen 1992
[213]
서적
Farrar-Hockley 1995
[214]
서적
Zhang 1995
[215]
서적
Chinese Military Science Academy 2000
[216]
문서
[217]
서적
Coulthard Clark 2001
[218]
서적
O'Neill 1985
[219]
서적
Chinese Military Science Academy 2000
[220]
문서
[221]
서적
Johnston 2003
[222]
서적
O'Neill 1985
[223]
서적
Johnston 2003
[224]
서적
Mossman 1990
[225]
서적
Mossman 1990
[226]
서적
Horner 2008
[227]
서적
Mossman 1990
[228]
서적
Chae, Chung and Yang 2001
[229]
서적
Johnston 2003
[230]
서적
Zhang 1995
[231]
서적
Johnston 2003
[232]
서적
Mossman 1990
[233]
서적
Horner 2008
[234]
웹인용
The Battle of Kapyong, April 1951
http://www.awm.gov.a[...]
The Australian War Memorial
2010-01-23
[235]
서적
Horner 2008
[236]
서적
Johnston 2003
[237]
서적
Johnston 2003
[238]
서적
Horner 2008
[239]
서적
Breen 1992
[240]
문서
[241]
서적
Chinese Military Science Academy 2000
[242]
서적
Hu & Ma 1987
[243]
서적
Breen 1992
[244]
웹사이트
Australians at War Film Archive, Ronald Perkins (Ron) – Transcript of interview
https://australiansa[...]
2023-03-20
[245]
서적
Beyond the Danger Close
Bunker to Bunker Publishers
2003
[246]
서적
Horner 2008
[247]
서적
O'Dowd 2000
[248]
서적
Breen 1992
[249]
간행물
London Gazette
1952-01-25
[250]
서적
O'Neill 1985
[251]
서적
Johnston 2003
[252]
간행물
London Gazette
1952-11-25
[253]
서적
O'Neill 1985
[254]
서적
Coulthard-Clark 2001
[255]
웹사이트
United States Army in the Korean War. Ebb and Flow.
https://history.army[...]
[256]
서적
Bartlett, With the Australians in Korea
[257]
서적
Breen 1992
[258]
서적
O'Neill 198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