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롤라이나앵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롤라이나앵무는 참새목 앵무과의 멸종된 종으로, 북아메리카에서 유일하게 서식했던 앵무새였다. 1758년 칼 폰 린네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2개의 아종이 존재했다. 형태는 녹색 바탕에 노란색 머리와 주황색 얼굴을 가졌으며, 남아메리카의 잉꼬류와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다. 캐롤라이나앵무는 숲과 늪지에서 무리 생활을 했으며, 씨앗, 과일, 곤충 등을 먹었다. 18세기와 19세기의 산림 벌채와 사냥, 그리고 1918년 마지막 개체가 죽으면서 멸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앵무과 - 사자나미
사자나미는 남아메리카 숲에 서식하는 앵무목 조류로, 녹색을 띠며 온순한 성격으로 애완동물로 인기가 많고, 과일과 씨앗을 먹으며 10~15년 정도 산다. - 1500년 이후 절멸한 새 - 슈아죌비둘기
슈아죌비둘기는 솔로몬 제도의 초이설 섬에 서식했던 멸종된 비둘기 종으로, 회색빛 깃털과 수컷의 선명한 색깔이 특징이며, 외래종 포식과 서식지 파괴로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 1500년 이후 절멸한 새 - 도도아과
도도아과는 날지 못하는 거대한 몸집의 도도와 로드리게스도도를 포함하는 비둘기과의 아과로, 인간의 남획으로 멸종되어 생태계 보존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니코바르비둘기와 계통 분류학적으로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
캐롤라이나앵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멸종 상태 | 절멸 (EX) |
멸종 시기 | 1918년 |
학명 | Conuropsis carolinensis |
이명 | Psittacus carolinensis Linnaeus, 1758 Conurus carolinensis Lesson, 1831 |
아종 | |
생물학적 분류 | |
속 | Conuropsis |
종 | carolinensis |
추가 정보 | |
영어 이름 | Carolina parakeet, Carolina conure |
2. 분류
캐롤라이나앵무는 참새목 앵무과에 속하는 ''Conuropsis'' 속의 유일한 종이었다.[9] 스웨덴의 동물학자 칼 폰 린네가 1758년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Psittacus carolinensis''라는 학명으로 처음 명명했다.[9] 1891년 이탈리아의 동물학자 토마소 살바도리가 《대영 박물관 조류 카탈로그》에서 ''Conuropsis'' 속으로 분류했다.[9] 속명 ''Conuropsis''는 "''Conurus''(Aratinga 속의 구식 이름)'' 속 앵무새"를 뜻하는 ''conure''와 "~의 유사성"을 뜻하는 ''-opsis''를 합쳐 만든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종명 ''carolinensis''는 "캐롤라이나에서 온"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다.[9] 따라서 "캐롤라이나에서 온 코뉴어와 같은 새"를 의미한다.
캐롤라이나앵무는 현존하는 젠다이 앵무와 썬 코뉴어와 크기와 색상이 매우 유사한 작은 녹색 앵무새였으며, 썬 코뉴어가 가장 가까운 현존하는 친척이다.[16]
캐롤라이나앵무는 알려진 앵무새 중 가장 북쪽에 분포했던 종이다. 이들은 남부 뉴욕 주와 위스콘신에서 켄터키, 테네시, 멕시코만에 이르렀고, 미국 동해안에서 서쪽으로는 동부 콜로라도까지 발견되었다.[19][20] 초기 탐험가들의 기록에 따르면, 캐롤라이나앵무의 분포 지역은 북위 43도에서 북위 26도, 서경 73도에서 서경 106도 사이였으며, 이는 최소 28개 주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였다.
캐롤라이나앵무는 최대 300마리까지 되는 크고 시끄러운 무리를 지어 생활했다. 나무 구멍에 둥지를 틀었으며, 약 4.06cm 크기의 둥근 흰색 알을 2~5개(대부분 2개) 낳았다.[22] 여러 암컷 앵무새가 하나의 둥지에 알을 낳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는 얼룩머리앵무의 둥지 행동과 유사하다.[23]
마지막 사육 캐롤라이나앵무인 잉카스는 1918년 2월 21일 신시내티 동물원에서 죽었는데, 이는 1914년에 죽은 마지막 나그네비둘기인 마사와 같은 우리였다.[27] 캐롤라이나앵무에 대한 미국 자연주의자들의 과학적 연구나 조사는 없었으며, 대부분의 정보는 일화와 박물관 표본에서 얻은 것이므로, 이 새의 유행과 감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확인되지 않거나 추측에 불과하다.
캐롤라이나앵무는 두 아종으로 나뉜다.[10] 루이지애나 아종( ''C. c. ludovicianus'')은 기준 아종(''C. c. carolinensis'')보다 더 푸른빛을 띠고 옅은 색을 가졌다.[10] 애팔래치아 산맥이 두 아종을 지리적으로 분리했다.[10]
미토콘드리아 DNA 연구에 따르면, 캐롤라이나앵무와 가장 가까운 친척은 남아메리카의 ''Aratinga'' 속 앵무새들이다.[11][12][13] 특히 검은머리잉꼬, 태양잉꼬, 금관잉꼬와 유전적으로 가깝다.[11][12] 캐롤라이나앵무는 약 550만 년 전 북아메리카에 정착했는데, 이는 파나마 지협 형성(약 350만 년 전)으로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가 연결되기 훨씬 전의 일이다.[11][12][13]
미오세 Snake River의 Sheep Creek Formation에서 발견된 화석 앵무새 ''Conuropsis fratercula''는 캐롤라이나앵무보다 작은 크기였다.[14]
Kirchman 외 연구진(2012)의 DNA 연구를 바탕으로 제작된 캐롤라이나 앵무와 가장 가까운 친척들의 계통도는 다음과 같다.
3. 형태
몸 대부분은 녹색이었으며, 아랫부분은 더 옅은 녹색이었다. 머리는 밝은 노란색, 이마와 얼굴은 눈 뒤와 윗볼까지 주황색이었다. 어깨는 노란색이었고 날개의 바깥쪽 가장자리까지 이어졌다. 첫 번째 깃털은 대부분 녹색이었지만 바깥쪽 첫 번째 깃털에는 노란색 가장자리가 있었다. 허벅지는 위쪽은 녹색이고 발 쪽은 노란색이었다. 수컷과 암컷 성체의 깃털은 동일했지만 수컷이 암컷보다 약간 컸다. 다리와 발은 옅은 갈색이었다. 모든 앵무새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칭발을 가졌다. 눈은 흰색 피부로 둘러싸여 있었고 부리는 옅은 살색이었다. 몸길이는 약 33.02cm이고 날개 길이는 약 53.34cm~약 58.42cm이다. 몸무게는 약 약 99.22g이다.[16]
어린 캐롤라이나앵무는 성체와 색상이 약간 달랐다. 얼굴과 몸 전체가 녹색이었고, 아랫부분은 더 옅었다. 얼굴, 날개, 허벅지에는 노란색이나 오렌지색 깃털이 없었다. 부화한 새끼는 약 39~40일이 될 때까지 생쥐 회색 솜털로 덮여 있었고, 이때 녹색 날개와 꼬리가 나타났다. 둥지를 떠나는 새끼는 약 1세가 되면 성체의 완전한 깃털을 갖게 되었다.[17][18]
이 새들은 적어도 사육 상태에서는 수명이 상당히 길었다. 한 쌍은 신시내티 동물원에서 35년 이상 사육되었다.
4. 분포 및 서식지
캐롤라이나앵무는 강을 따라 있는 원시림과 늪지에서 서식했으며, 특히 낙엽송과 플라타너스를 포함한 큰 속이 빈 나무가 있는 미시시피-미주리 분지에서 둥지와 쉼터로 사용했다.
캐롤라이나앵무의 개체수 추정은 매우 대략적인데, 예상 서식 범위는 20000km2~2500000km2이고, 인구 밀도는 0.5~2.0마리/km2로 추정된다. 이에 따른 전체 개체수는 수만 마리에서 수백만 마리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가장 밀집된 개체군은 170000km2에 달하는 플로리다에 분포하여 해당 주에서만 수십만 마리의 조류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종은 캐나다 남부 온타리오와 같이 북쪽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매우 희귀한 미조로 나타났을 수 있다. 남부 온타리오의 캘버트 유적지에서 발견된 미골을 포함한 몇몇 뼈는 캐롤라이나앵무에서 나왔으나, 이 표본이 의례적인 목적으로 그곳으로 가져온 것일 가능성도 있다.[21]
5. 생태
주로 삼나무, 해크베리, 너도밤나무, 플라타너스, 느릅나무, 소나무, 단풍나무, 참나무 등의 숲 나무와 관목의 씨앗을 먹었으며, 엉겅퀴와 사막가시 (''Cenchrus''속) 같은 다른 식물도 먹었다. 과일도 먹었는데, 사과, 포도, 무화과(쇠퇴기에는 과수원에서)를 주로 먹었으며, 꽃눈과 곤충도 가끔 먹었다.[19][24] 특히 도꼬마리 (''Xanthium strumarium'')를 좋아했는데,[8] 이 식물에는 유독한 배당체가 들어 있어,[25] 곡물 작물의 농업 해충으로 여겨졌다.[26]
6. 멸종
16세기와 17세기에 앵무새가 항해하는 유럽 국가에서는 앵무새가 거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사교적이고 매우 다채로우며 시끄러운 캐롤라이나앵무 무리의 존재는 유럽 탐험가들이 알아차리지 못했을 리가 없다. 따라서 캐롤라이나앵무의 존재에 대한 식민지 이전 및 초기 식민지 시대의 광범위한 설명이 제공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의 후기 기록에서는 이 새의 희소성과 부재를 언급했다.[28]
유전적 증거에 따르면 마지막 빙하기 이후 개체 수가 감소했지만 근친교배의 증거가 없다는 것은 캐롤라이나앵무가 매우 빠르게 감소했음을 시사한다.[29]
캐롤라이나앵무의 서식지는 동부와 남부의 활엽수림의 정착과 개간으로 인해 동쪽에서 서쪽으로 붕괴되었다. 존 J. 오듀본은 1832년에 이미 이 새의 감소에 대해 언급했다. 1860년 이후 캐롤라이나앵무는 플로리다주를 제외하고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미시시피강 동쪽(플로리다 제외)에서 마지막으로 보고된 목격은 1878년 켄터키주에서였다. 세기가 바뀔 무렵에는 플로리다 중부의 늪지대로 제한되었다. 마지막으로 알려진 야생 표본은 1904년 플로리다주 오키초비군에서 죽었고, 마지막 사육 개체는 1918년 2월 21일 신시내티 동물원에서 죽었다. 이 새는 수컷 표본인 잉카스로, 그의 짝인 레이디 제인이 죽은 지 1년 안에 죽었다.[30]
1920년대 후반까지 플로리다주 오키초비군에서 캐롤라이나앵무에 대한 추가 보고가 있었지만, 이러한 보고는 표본으로 뒷받침되지 않는다. 그러나 1927년에 활동적인 둥지에서 가져온 것으로 추정되는 두 개의 알 세트가 플로리다 자연사 박물관 컬렉션에 있으며, 유전자 검사를 통해 당시에도 이 종이 번식하고 있었음을 증명할 수 있다.[31][32] 1939년이 되어서야 미국 조류학회가 캐롤라이나앵무가 멸종되었다고 선언했다. IUCN은 1920년부터 이 종을 멸종된 것으로 분류했다.
1937년에는 캐롤라이나앵무와 유사한 앵무새 3마리가 조지아주 오케페노키 늪에서 목격되어 촬영되었다. 그러나 미국 조류학회는 이 영화를 분석한 결과, 그들이 촬영한 것은 아마도 야생 앵무새였을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33] 1년 후인 1938년에는 앵무새 무리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산티강 유역의 늪지대에서 숙련된 조류학자 그룹에 의해 목격된 것으로 보이지만, 이 목격은 다른 대부분의 조류학자들에게 의심을 받았다. 이 목격 이후 캐롤라이나앵무는 다시는 발견되지 않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지역의 일부가 전력선을 설치하기 위해 파괴되어 이 종의 지속적인 존재는 불가능해졌다.[34]
약 720개의 가죽과 16개의 골격이 전 세계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35] 분석 가능한 DNA가 추출되었다.[16]
6. 1. 멸종 원인
유럽 이민자들의 산림 벌채로 숲이 사라지면서 캐롤라이나앵무의 서식지가 크게 줄었다. 이는 캐롤라이나앵무 멸종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였다.[36] 18세기와 19세기의 산림 벌채가 주요 원인이었다.[1]
캐롤라이나앵무는 과수원을 망치는 해로운 새로 여겨져 사냥당했다.[1] 깃털은 여성 모자 장식 등에 사용되었고,[1] 고기는 식용으로 이용되었다. 특히 동료가 공격받으면 보호하기 위해 모여드는 습성이 있어 한꺼번에 많은 수가 사냥당하기 쉬웠다.[36]
유럽 꿀벌의 도입으로 둥지 경쟁에서 밀려났을 가능성도 제기된다.[37] 유럽에서 온 꿀벌이 캐롤라이나앵무와 둥지 경쟁을 벌이면서 번식에 어려움을 겪었을 가능성이 있다.
아름다운 외모 때문에 애완동물로 포획되기도 했다.[37]
가금류 질병에 취약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다.[4][29] 미국의 조류학자 노엘 F. 스나이더는 가금류 질병이 유력한 원인이라고 추측했지만, 신세계 앵무새 개체군이 가축 가금류 질병에 시달린 기록은 최근이나 역사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4]
나그네비둘기처럼 "어딘가에는 많이 있겠지"라는 안일한 생각 때문에 보호가 늦어진 것도 멸종의 한 원인으로 여겨진다.
6. 2. 멸종 과정
사람들의 개발과 사냥으로 인해 캐롤라이나앵무는 1913년 플로리다주 오키초비 카운티에서의 기록을 마지막으로 야생에서 사라졌다.[30] 1918년 2월, 마지막 캐롤라이나앵무 수컷 '잉카스'가 죽으면서 멸종했다.[27]
1920년대와 1930년대에 플로리다주 오키초비호 일대에서 목격담이 있었지만, 결국 다시 발견되지 않았다.[27] 마지막으로 캐롤라이나앵무가 생포된 것은 1913년 12월 4일 플로리다에서였고, 이후 이 종에 대한 소식은 더 이상 없었다.
유럽 이민자들의 진출로 과수원이 만들어지면서, 캐롤라이나앵무는 해로운 새로 여겨져 제거 대상이 되었다. 애완동물용 포획, 깃털 장식, 식용 사냥도 개체 수 감소의 원인이 되었다. 1870년대 이후 번식 시도가 있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숲 감소도 겹쳐 개체 수가 계속 줄어들었고, 1904년에 야생에서 멸종했다.[38]
1918년 2월 21일,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동물원에서 사육되던 "잉카스"라는 이름의 수컷이 죽으면서 캐롤라이나앵무는 완전히 멸종했다.[38] 신시내티 동물원은 1914년에 마지막 나그네비둘기 "마사"가 죽은 곳이기도 하며, 잉카스는 마사가 사육되던 우리와 같은 곳에서 죽었다.[38]
1939년, 미국 조류학회는 캐롤라이나앵무의 멸종을 공식 선언했다.[30]
7. 보존
1920년대와 1930년대에 플로리다 오키초비호 일대(오키초비 카운티)에서 이 앵무새를 목격했다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결국 다시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캐롤라이나 앵무가 생포된 것은 1913년 12월 4일 플로리다에서였고, 이후 이 종에 대한 소식은 더 이상 없었다. 현재 북아메리카는 토착 앵무새를 볼 수 없는 땅이 되었다(외래종 앵무새 일부는 뉴욕 센트럴 파크에서 군락을 이룰 만큼 번성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 박물관에 700여 점의 표본이 남아있다.
참조
[1]
간행물
"''Conuropsis carolinensis''"
2022-11-20
[2]
웹사이트
"''Conuropsis carolinensis''"
https://explorer.nat[...]
2022-03-31
[3]
간행물
"''Amazona viridigenalis''"
2022-11-20
[4]
논문
Carolina Parakeet (''Conuropsis carolinensis'')
http://bna.birds.cor[...]
The Birds of North America, Inc.
2002
[5]
서적
Birds of South Dakota
Midstates/Quality Quick Print
2002
[6]
뉴스
The last Carolina Parakeet
http://johnjames.aud[...]
2015-12-22
[7]
서적
Bird Sense: What It's Like to Be a Bird
https://archive.org/[...]
Walker & Company
2012
[8]
논문
Plumes of Poison
http://archive.audub[...]
2015-08-08
[9]
서적
A description of the English province of Carolana
https://archive.org/[...]
1722
[10]
논문
Lazarus ecology: Recovering the distribution and migratory patterns of the extinct Carolina parakeet
[11]
논문
Evolutionary History, Genomic Adaptation to Toxic Diet, and Extinction of the Carolina Parakeet
2020-01-06
[12]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extinct Carolina Parakeet (''Conuropsis carolinensis'') inferred from DNA sequence data
http://biology-web.n[...]
2012-09-22
[13]
뉴스
Extinct Carolina parakeet gives glimpse into evolution of American parrots
https://www.theguard[...]
2012-09-22
[14]
논문
Descriptions of additional fossil birds from the Miocene of Nebraska
http://digitallibrar[...]
1926
[15]
서적
Avian Biology
Academic Press
1985
[16]
간행물
The extinction of this U.S. parrot was quick and driven by humans
https://www.smithson[...]
2023-07-14
[17]
웹사이트
"''Conuropsis carolinensis''"
https://explorer.nat[...]
2024-08-19
[18]
서적
Extinct Birds
Comstock
[19]
서적
American Bird Conservancy's Field Guide to All the Birds of North America
https://archive.org/[...]
HarperPerennial
1997
[20]
서적
Ecology and Recovery of Eastern Old-Growth Forests
Island Press/Center for Resource Economics
[21]
서적
The Birds of Canada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1986
[22]
웹사이트
"''Conuropsis carolinensis''"
https://animaldivers[...]
2023-05-26
[23]
웹사이트
Carolina Parakeet
https://www.ecologyc[...]
2023-05-26
[24]
웹사이트
Conuropsis carolinensis (Carolina parakeet)
https://animaldivers[...]
[25]
웹사이트
Cocklebur (''Xanthium strumarium'' L.)
http://www.library.i[...]
University of Illinois at Champaign-Urbana: Veterinary Medicine Library
2015-08-08
[26]
뉴스
Carolina Parakeet: Removal of a "Menace"
https://www.allabout[...]
2017-01-25
[27]
웹사이트
The last Carolina Parakeet
http://johnjames.aud[...]
2015-12-22
[28]
논문
Early Records of the Carolina Paroquet
https://www.biodiver[...]
1912-07
[29]
뉴스
The Extinction of This U.S. Parrot Was Quick and Driven by Humans
https://www.smithson[...]
2021-10-18
[30]
서적
The Carolina Parakeet: Glimpses of a Vanished Bir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4-06
[31]
서적
The Carolina Parakeet: Glimpses of a Vanished Bir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4-06
[32]
웹사이트
Carolina Parakeet
https://www.floridam[...]
[33]
서적
Hope Is the Thing with Feathers: A Personal Chronicle of Vanished Birds
Penguin
2009
[34]
서적
Lost Wild America: The Story of Our Extinct and Vanishing Wildlife
https://archive.org/[...]
Linnet Books
[35]
서적
Die ausgestorbenen Vögel der Welt
Westarp-Wissenschaften
1996
[36]
웹사이트
The last Carolina Parakeet
http://johnjames.aud[...]
2015-12-22
[37]
웹사이트
Happy Global Last Resort Day
https://psmag.com/en[...]
2018-02-21
[38]
서적
人類が滅ぼした動物の図鑑
丸善
[39]
간행물
Conuropsis carolinensis
2022-11-20
[40]
웹인용
NatureServe Explorer 2.0
https://explorer.nat[...]
2022-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