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서린 하워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서린 하워드는 헨리 8세의 다섯 번째 왕비였다. 그녀는 어린 시절 엄격한 감독 없이 자유분방하게 자랐고, 결혼 전 두 명의 남자와 관계를 맺었다. 헨리 8세의 시녀로 궁정에 들어온 후 왕의 총애를 받았으나, 결혼 후 과거의 연애 행각이 발각되어 간통죄로 런던탑에 갇혔다. 결국 1542년 2월 13일 참수형을 당했다. 캐서린 하워드의 초상화는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그녀의 이야기가 다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헨리 8세의 왕비 - 앤 불린
앤 불린은 잉글랜드 왕 헨리 8세의 두 번째 왕비로, 헨리 8세와의 결혼을 위해 종교 개혁에 영향을 미쳤으며, 딸 엘리자베스 1세를 낳았으나, 혐의로 처형되었다. - 헨리 8세의 왕비 - 카탈리나 다라곤 왕녀
카탈리나 다라곤 왕녀는 스페인 공주이자 잉글랜드 왕비로, 헨리 8세의 첫 번째 왕비였으며 메리 1세를 낳았고, 헨리 8세와의 결혼 무효화 시도 때문에 잉글랜드 종교 개혁의 배경이 되었다. - 런던탑에서 사형된 사람 - 토머스 모어
토머스 모어는 잉글랜드의 법률가, 사상가, 정치가이자 인문주의자로 헨리 8세 시대에 대법관을 지냈으나 종교 개혁과 이혼에 반대하여 처형되었고, 《유토피아》를 통해 이상 사회를 묘사하여 '유토피아 사회주의'의 시조로 여겨지며 가톨릭과 성공회에서 성인으로 추대된다. - 런던탑에서 사형된 사람 - 앤 불린
앤 불린은 잉글랜드 왕 헨리 8세의 두 번째 왕비로, 헨리 8세와의 결혼을 위해 종교 개혁에 영향을 미쳤으며, 딸 엘리자베스 1세를 낳았으나, 혐의로 처형되었다. - 잉글랜드의 반역죄 사형수 - 토머스 모어
토머스 모어는 잉글랜드의 법률가, 사상가, 정치가이자 인문주의자로 헨리 8세 시대에 대법관을 지냈으나 종교 개혁과 이혼에 반대하여 처형되었고, 《유토피아》를 통해 이상 사회를 묘사하여 '유토피아 사회주의'의 시조로 여겨지며 가톨릭과 성공회에서 성인으로 추대된다. - 잉글랜드의 반역죄 사형수 - 윌리엄 월리스
윌리엄 월리스는 스코틀랜드 독립전쟁에서 영국 지배에 맞서 싸운 영웅으로, 스털링 다리 전투 승리 후 스코틀랜드 수호관이 되었으나 폴커크 전투에서 패배 후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그의 투쟁은 스코틀랜드 독립의 상징으로 기억된다.
캐서린 하워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잉글랜드 왕비 |
재위 | 1540년 7월 28일 – 1541년 11월 23일 |
배우자 | 헨리 8세 (1540년 결혼) |
가문 | 하워드 가문 (출생), 튜더 왕가 (결혼) |
아버지 | 에드먼드 하워드 |
어머니 | 조이스 컬페퍼 |
출생일 | 1523년경 |
출생지 | 런던, 램버스 |
사망일 | 1542년 2월 13일 (약 19세) |
사망지 | 런던탑 |
매장일 | 1542년 2월 13일 |
매장지 | 런던탑 내 세인트 피터 애드 빈큘라 교회 |
![]() | |
기타 정보 | |
별칭 | 캐서린 하워드 |
로마자 표기 | Catherine Howard |
추가 정보 | |
기타 | 그녀는 1541년 11월 23일에 왕비 칭호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
2. 생애
캐서린 하워드는 에드먼드 하워드 경과 조시 컬페퍼의 딸로 태어났으나, 정확한 출생년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 아버지 에드먼드는 어린 시절 사망했고, 어머니 조시 컬페퍼 역시 10대 때 사망했다. 명문 하워드 가문의 딸이었지만, 아버지 에드먼드는 항상 빚에 시달렸다. 앤 불린과는 내외종자매간으로, 앤 불린이 처형당한 후에도 그의 집안은 무사했다.
캐서린은 헨리 8세의 다른 왕비들과 달리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자유분방하게 자랐다. 어린 시절 헨리 매녹스와 프랜시스 데어햄 등 여러 남자들과 관계를 가졌고, 이는 훗날 그녀의 비극적인 운명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1540년, 클레페의 앤의 시녀로 궁정에 들어온 캐서린은 헨리 8세의 눈에 띄어 왕비가 되었다. 헨리 8세는 50세가 다 되어가는 나이였지만, 10대 후반의 어린 캐서린을 "가시 없는 장미"라 부르며 총애했다. 캐서린은 앤 불린이 처형되는 것을 알았음에도 왕비 자리를 수락했지만, 왕비로 정식 즉위식을 올리지는 않았다.
하지만 캐서린은 왕비가 된 후에도 경솔한 행동을 멈추지 않았다. 과거 연인이었던 토머스 컬페퍼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편지를 보내는가 하면, 자신의 과거를 알고 있는 사람들을 궁정에 불러들이고 뇌물을 주기도 했다.
1541년 11월, 헨리 8세는 캐서린의 과거에 대한 밀고를 받게 된다. 처음에는 믿지 않으려 했으나, 결국 배신감과 분노에 휩싸여 캐서린을 런던 타워에 가두었다. 캐서린은 간통 혐의를 부인했지만, 사권박탈법에 따라 사형이 확정되었고, 1542년 2월 13일 참수되었다. "왕비로 죽지만 차라리 컬페퍼의 부인으로 죽고 싶었다"는 유언은 후세의 전설로 전해진다.[9]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캐서린 하워드는 에드먼드 하워드 경과 조시 컬페퍼 사이에서 태어났다. 캐서린의 정확한 출생년도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1523년경 램버스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3] 아버지 에드먼드는 명문 하워드 가문 출신이었지만, 많은 자녀 중 늦둥이였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527년 토마스 울지에게 보낸 편지에서 에드먼드는 빚 때문에 집에도 들어가지 못하고 아내와 자녀들을 떠나 있어야 하는 자신의 처지를 호소하기도 했다.[3]어머니 조시가 1528년경 사망하고, 가족의 재정 문제 등으로 인해, 캐서린은 1531년경부터 계모이자 노퍽 공작 부인이었던 아그네스 하워드의 보살핌을 받으며 성장했다.

캐서린은 헨리 8세의 다른 왕비들과 달리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자유분방한 환경에서 자랐다.[3] 1536년경, 캐서린은 호샴에 있는 공작 부인의 집에서 헨리 매녹스(Henry Mannox)에게 음악 수업을 받기 시작했고, 둘 사이에는 부적절한 관계가 시작되었다. 캐서린은 심문 과정에서 매녹스가 자신의 몸을 여러 번 만졌다고 고백했다.[4]
1538년경, 캐서린은 매녹스와의 관계를 끊고 공작 부인의 비서였던 프랜시스 데어햄과 연인 관계가 되었다. 두 사람은 서로를 "남편"과 "아내"라고 불렀으며, 데어햄은 캐서린에게 돈을 맡기기도 했다. 1539년, 공작 부인이 이 사실을 알게 되면서 둘의 관계는 끝이 났다. 하지만 캐서린과 데어햄은 아일랜드(Ireland)에서 돌아온 후 결혼할 생각으로, 미리 결혼 계약을 맺었을 가능성도 있다. 만약 두 사람이 성관계를 맺기 전에 서약을 했다면, 교회에서는 이들을 부부로 간주했을 것이다.[4]
2. 2. 궁정 생활과 헨리 8세와의 결혼
클레페의 앤의 시녀로 궁정에 들어온 캐서린 하워드는 헨리 8세의 눈에 띄어 왕비가 되었다.[23] 1540년 헨리 8세와 캐서린 하워드는 런던 주교 에드먼드 보너에 의해 오틀랜즈 궁전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헨리 8세는 50세가 다 되어가는 반면 캐서린은 십 대 후반의 어린 소녀였다. 헨리 8세는 어린 캐서린 하워드를 "가시 없는 장미"라고 부르며 총애했다.[23] 왕은 그녀에게서 왕자를 얻기를 기대하고 있었다.캐서린은 앤 불린이 처형되는 것을 알았음에도 왕비 자리를 수락했지만, 왕비로 정식 즉위식을 올리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여전히 왕실 배를 타고 런던 시로 내려가 총탄을 받고 환호를 받았다.
결혼 후, 헨리 8세는 화이트홀 궁전에서 광범위한 개보수와 개발을 하는 등 사치스러운 지출을 시작했고, 햄프턴 코트 궁전에서 더 비싼 크리스마스 선물을 주었다.
하지만, 캐서린은 왕비가 된 후에도 토머스 컬페퍼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편지를 보내는 등 경솔한 행동을 했다. 또한 자신의 과거를 알고 있는 음악 교사 매녹스를 궁중 음악가로, 프란시스 더햄을 개인비서관으로 임명해 궁정으로 불러들였다. 자신의 과거를 알고 있는 친지들에게는 뇌물을 주기도 했다.
2. 3. 간통 혐의와 처형
1541년 11월 2일, 헨리 8세는 캐서린 하워드의 과거에 대한 밀고를 받았다.[9] 왕은 캐서린이 처녀가 아니었으며 간통을 하고 있다는 말을 처음에는 믿지 않으려 했으나, 배신감은 곧 분노로 바뀌었다.[9] 존 라셀은 토마스 크랜머에게 그의 여동생 메리 여사가 램베스에서 캐서린과 함께 살았을 때 그녀의 가벼운 행실을 목격했다고 진술했다. 크랜머는 즉시 이 사건을 맡아 메리 라셀을 심문했고, 메리는 캐서린이 헨리 8세와 관계를 맺기 전 노퍽 공작 부인의 보살핌을 받는 동안 성관계를 가졌다고 주장했다.캐서린은 클레페의 앤의 시녀로 궁정에 오기 전, 음악 교사 헨리 매녹스와 물의를 빚었고, 서기관 프란시스 더럼과는 결혼을 약속하고 공공연히 잠자리를 가진 전력이 있었다. 또 헨리 8세의 눈에 띄기 전에는 왕의 시종 토머스 컬페퍼를 사랑했고, 왕비가 된 후에도 컬페퍼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편지를 보냈다.[9]

1541년 11월 12일, 프란시스 더럼과 토머스 컬페퍼는 고문을 받았으며, 캐서린 하워드는 간통죄로 런던 타워에 갇혀 심문을 받았다. 왕비의 간통은 반역으로 여겨지는 중죄였다. 더럼과 과거에 약혼했음을 인정하면 왕과의 결혼이 무효가 되어 간통죄에서 풀려날 기회가 있었으나, 캐서린은 끝내 약혼 사실을 부인했다. 캐서린은 왕비가 된 후 간통을 저질렀다는 혐의는 끝까지 인정하지 않았다.
사권박탈법에 따라 사형이 확정되자 캐서린 하워드는 방에서 처형대로 올라가 목을 내미는 순간을 여러 번 연습했다고 한다. 1542년 2월 13일, 캐서린 하워드는 런던 타워에서 참수되었다. "왕비로 죽지만 차라리 컬페퍼의 부인으로 죽고 싶었다"는 유언은 후세의 전설이다.
3. 친인척 관계
캐서린 하워드는 앤 불린과 내외종자매 간이었다. 캐서린의 고모 엘리자베스 하워드는 헨리 8세의 두 번째 왕비 앤 불린과 헨리 8세의 정부였던 메리 불린 자매의 친정어머니였다.[23] 따라서 캐서린은 앤 불린의 딸 엘리자베스 1세의 이종사촌이었다. 또한 제인 시모어와도 이종사촌이었는데, 캐서린의 할머니 엘리자베스 틸니(Elizabeth Tilney)가 시모어의 할머니 앤 세이(Anne Say)의 자매였기 때문이다.
4. 역사적 평가
캐서린 하워드는 경솔하고 천진한 성격으로, 헨리 8세와의 결혼 생활 중에도 과거의 남자들과의 관계를 유지하다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0] 일부 역사학자들은 그녀가 어린 시절 성적 학대를 받았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그녀의 행동을 당시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1]
현대 전기 작가들은 캐서린 하워드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제시한다.
- 비판적 견해:
- 레이시 볼드윈 스미스(Lacey Baldwin Smith): "청소년 비행자"
- 프랜시스 해킷(Francis Hackett): "쾌락주의자"
- 앨리슨 위어(Alison Weir): "머리가 텅 빈 방탕한 여자"
- 데이비드 로즈(David Loades): "어리석고 성적으로 탐닉하는 청소년"
- 트레이시 보먼(Tracy Borman): "성적 포식자"
- 옹호적 견해:
- 안토니아 프레이저(Antonia Fraser)
- 케이렌 린제이(Karen Lindsey)
- 조안나 데니(Joanna Denny)
- 코너 번(Conor Byrne)
- 조세핀 윌킨슨(Josephine Wilkinson)
- 가레스 러셀(Gareth Russell)
- 루시 워슬리(Lucy Worsley): "학대받는 아이"[10]
캐서린의 출생 연도는 불확실하지만, 역사학자 조안나 데니는 1525년으로 추정한다. 그녀는 귀족 가문 출신이었지만, 아버지는 가난했고 어머니는 많은 자녀를 두었다. 캐서린은 어린 시절부터 성적인 관계를 맺었으며, 이는 당시 사회적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다는 주장도 있다.
캐서린은 헨리 8세와 결혼했지만, 과거의 남자들과의 관계가 드러나면서 간통 혐의로 처형되었다. 그녀는 간통을 부인했지만, "토머스 컬페퍼의 아내로서 죽고 싶었다"는 말을 남겼다고 전해진다.
5. 대중문화
캐서린 하워드의 이야기는 소설,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다뤄지고 있다.[23] 햄프턴 코트 궁전의 "헌티드 갤러리"는 캐서린 하워드의 유령이 나타난다는 이야기로 유명하다.
캐서린 하워드를 다룬 작품은 다음과 같다:
- 필리파 그레고리(Philippa Gregory), 『튜더 왕가의 여인들 4 악의 유산』
- 진 플레이디(Jean Plaidy), ''"Murder most royal"''
- 진 플레이디(Jean Plaidy), ''"Rose without a thorn"''
- 사라 A. 호이트(Sarah A. Hoyt), ''"No will but his "''
- 힐러리 맨텔(Hilary Mantel), 『늑대의 홀』
- 고자키 아이(こざき亜衣), 『세실의 여왕』(セシルの女王)
6. 초상화
캐서린 하워드의 생전 모습이 담긴, 확실하게 인증된 초상화는 현재까지 남아있지 않다.[12] 캐서린이 처형된 후, 그녀의 이미지는 파괴되었거나, 그 정체가 후대의 논쟁거리가 될 때까지 무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2]
한스 홀바인(Hans Holbein the Younger)이 그린 두 점의 초상화 미니어처는 오랫동안 캐서린 하워드의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하나는 영국 왕실 컬렉션에, 다른 하나는 버클루 공작에 소장되어 있다.[12] 두 초상화 모두 1540년경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영국 왕실 컬렉션 소장본은 캐서린이 왕비였던 시절의 유일한 생전 그림일 가능성이 있다. 이 그림 속 캐서린은 제인 시모어의 초상화에 나오는 것과 비슷한 펜던트를 착용하고 있는데, 여성 초상화 미니어처는 왕족 외에는 복제본이 거의 없다는 사실이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한다.[14]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이 초상화들이 정말 캐서린 하워드를 그린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초상화 논란' 하위 섹션 참조)
6. 1. 초상화 논란
한스 홀바인이 그린 두 점의 초상화 미니어처는 오랫동안 캐서린 하워드의 초상화로 여겨져 왔다. 하나는 영국 왕실 컬렉션에, 다른 하나는 버클루 공작 소장품에 소장되어 있다.[12] 영국 왕실 컬렉션 소장본은 캐서린 하워드의 생전 모습을 담은 유일한 그림으로, 그녀가 왕비였던 1540년경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그림 속 캐서린은 쿤스트히스토리셰 미술사 박물관에 있는 홀바인의 제인 시모어 초상화에 나오는 것과 비슷한 펜던트를 착용하고 있다.[14] 여성 초상화 미니어처는 왕족 외에는 복제본이 거의 없다는 점도 이 초상화들이 캐서린 하워드의 것임을 뒷받침한다.[14]
그러나 최근 미술사가 프래니 모일은 영국 왕실 컬렉션 미니어처가 캐서린 하워드가 아닌 앤 클리브의 초상화라고 주장한다.[15] 빅토리아 & 알버트 박물관에 소장된 홀바인의 1539년 앤 클리브 미니어처와의 유사성,[15][16] 미니어처가 다이아몬드 4 카드에 장식된 점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15]
톨레도 미술관(Toledo Museum of Art)에 소장된 "크롬웰 가문 구성원으로 추정되는 여인의 초상(Portrait of a Lady, probably a Member of the Cromwell Family)"은 엘리자베스 시모어(Elizabeth Seymour, Lady Cromwell)의 초상화일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18] 이 초상화에는 ''ETATIS SVÆ 21''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어 여성이 21세였음을 나타내는데, 이는 엘리자베스 시모어의 나이와 일치한다. 또한, 초상화 속 여성의 복식은 1540년경 유행했던 스타일이며, 그림이 크롬웰 가문 소유였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18]
메트로폴리탄 미술관(Metropolitan Museum of Art)에 소장된 한스 홀바인(Hans Holbein the Younger)의 작업실에서 제작된 ''젊은 여성의 초상''은 캐서린 하워드의 초상화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1] 이 초상화는 튜더 시대 상류층 젊은 여성을 묘사하고 있으며, 캐서린이 선호했던 프렌치 후드(French hood)를 착용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참조
[1]
ODNB
Katherine [Catalina, Catherine, Katherine of Aragon]
https://doi.org/10.1[...]
2023-02-13
[2]
ODNB
Anne [Anne of Cleves] (1515–1557), queen of England, fourth consort of Henry VIII
https://doi.org/10.1[...]
2023-02-13
[3]
웹사이트
Catherine Howard
http://spartacus-edu[...]
2016-03-19
[4]
웹사이트
The Marriage of Henry VIII and Catherine Howard
http://www.theannebo[...]
2016-03-19
[5]
서적
The Wives of Henry VIII
Vintage Books
1993
[6]
서적
Histoire généalogique et chronologique de la maison royale de France
[7]
서적
The Wives of Henry VIII
Vintage Books
1993
[8]
웹사이트
Tudor Times
https://tudortimes.c[...]
[9]
웹사이트
Letter of Queen Catherine Howard to Master Thomas Culpeper, Spring 1541
http://englishhistor[...]
Englishhistory.net
2013-12-31
[10]
AV 미디어
Six Wives with Lucy Worsley
2016
[11]
서적
Gender, Family, and Politics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9-20
[12]
웹사이트
'Portrait of a Lady, perhaps Katherine Howard (1520–1542)', c. 1540, Hans Holbein the Younger. RCIN 422293
https://www.rct.uk/c[...]
2020-03-26
[13]
웹사이트
'Portrait Miniature of Katherine Howard', Hans Holbein the Younger. Strawberry Hill ID: sh-000454
https://libsvcs-1.it[...]
2020-03-26
[14]
웹사이트
'Portrait of Jane Seymour (1509?–1537)', c. 1540, Hans Holbein the Younger (studio of)
https://www.mauritsh[...]
2020-03-11
[15]
웹사이트
How Holbein Left Clever Clue in Portrait to Identify Henry VIII's Queen
https://www.theguard[...]
2021-05-06
[16]
웹사이트
New Research Raises Questions About the Subject of a Celebrated Hans Holbein Miniature Portrait
https://www.artnews.[...]
2021-05-06
[17]
웹사이트
'An unidentified woman', c. 1532–43, Hans Holbein the Younger. RCIN 912218
https://www.rct.uk/c[...]
2020-03-11
[18]
웹사이트
'Portrait of a Lady, probably a Member of the Cromwell Family', c. 1535–40, Hans Holbein the Younger.
http://emuseum.toled[...]
2020-03-11
[19]
웹사이트
'Unknown woman, formerly known as Catherine Howard', late 17th century
https://www.npg.org.[...]
2020-03-26
[20]
서적
Anne of Cleves was queen consort from 6 January – 9 July 1540. Until 1752, the year commenced on ''Lady Day'', 25 March.
https://books.google[...]
2012
[21]
학술지
Portrait of an Unknown Lady: Technical Analysis of an Early Tudor Miniature
https://www.britisha[...]
2023-07-10
[22]
문서
アン・ブーリン、キャサリン・ハワードの祖母エリザベス・ティルニーとジェーン・シーモアの祖母アン・セイは異父姉妹であり、その母エリザベス・チェイニーを3人共通の曽祖母とする。
[23]
웹사이트
The Culpepper Family History Site
http://gen.culpepper[...]
201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