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오거나이제이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커뮤니티 오거나이제이션은 지역 사회의 필요와 목표를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한 과정으로, 1955년 국제 연합은 지역 사회 개발을 보완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머레이 G. 로스는 커뮤니티가 필요를 식별하고, 자원을 활용하여 협력적인 태도를 개발하는 과정으로 정의했으며, 에두아르드 C. 린데만은 민주적으로 문제를 통제하려는 노력으로 정의했다. 커뮤니티 조직은 지역 사회 개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자선 단체 협회 설립, 정착촌 운동 등을 통해 발전해왔다. 잭 로스만은 지역 개발, 사회 계획, 사회 행동의 세 가지 모델을 제시했으며, 세계화 시대에는 지역 사회 단체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복지 단체 - 꽃동네
최귀동의 헌신에 감명받은 오웅진 신부가 설립한 꽃동네는 장애인, 노인, 노숙인 등을 위한 사회복지 시설로, 가톨릭꽃동네대학교와 꽃동네학교를 통해 교육 사업도 진행하며 운영 과정에서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 - 복지 단체 - Wee
Wee 프로젝트는 대한민국 교육청 산하 기관으로 학교 부적응 학생들을 위해 상담, 심리 검사, 대안 교육 등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학교, 가정, 지역 사회와 연계하여 학생 성장을 지원하지만, 기술적 실현 가능성, 예산 낭비 등 비판과 논란에 직면해 있다. - 사회사업 - 아동 복지
아동 복지는 아동의 건강하고 안전한 성장을 위해 사회적으로 노력하는 개념으로, 아동 노동, 학대 등 문제와 국제기구 및 각국의 아동 보호 노력을 다룬다. - 사회사업 - 유진 벨 재단
유진 벨 재단은 스티븐 린턴이 설립한 단체로, 북한의 결핵, 특히 다제내성 결핵 치료를 위해 의약품, 진단 장비, 치료 상담 등을 지원하며 북한 보건성과 협력하여 12개 치료 센터를 운영한다. - 공동체 조직화 - 비폭력 저항
비폭력 저항은 폭력을 사용하지 않고 사회적, 정치적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전략으로,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었으며, 정의로운 사회를 추구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 공동체 조직화 - 피케팅
피케팅은 노동쟁의, 사회적 또는 정치적 목적을 위해 피켓을 들고 특정 장소에서 집회하는 시위의 한 형태로, 목적과 방식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합법성은 국가별 법률 및 판례에 따라 다르지만, 폭력이나 불법 행위를 수반하는 경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다.
커뮤니티 오거나이제이션 |
---|
2. 정의
커뮤니티 조직은 지역 주민들이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자원을 동원하며, 협력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조직의 규모와 구조는 다양하여, 공식적인 법규와 이사회(또는 위원회)를 갖춘 조직부터 작고 비공식적인 풀뿌리 조직까지 존재한다. 커뮤니티 조직은 때때로 대규모 관료 조직보다 지역 사회의 필요를 해결하고 단기 및 장기 목표를 달성하는 데 더 효과적일 수 있다. 현대적인 커뮤니티 조직은 글로컬한 관점과 조직 방법을 포함하며, 기존 그룹, 자산, 활동의 상호 작용, 통합, 조정과 관계 형성, 새로운 구조와 커뮤니티의 진화 같은 요소들이 특징적이다.
커뮤니티 조직 활동은 종종 커뮤니티 맥락에 대한 더 깊은 이해로 이어지며, 커뮤니티 구축, 커뮤니티 계획, 직접 행동 및 동원, 커뮤니티 변화 촉진을 통해 지역 사회와 더 큰 사회 시스템 및 권력 구조 내의 변화를 이끌어낸다.
커뮤니티 조직은 일반적으로 비영리 활동으로 운영되며, 모금된 자금은 조직 활동 지원에 직접 사용된다. 세계화,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 신자유주의, 긴축 재정 등의 영향으로 많은 조직이 사명 변경 압력이나 국가 및 민간 자금 지원 기관의 요구와 같은 복잡한 문제에 직면하기도 한다. 이러한 정치적, 경제적 조건 속에서 일부 조직은 서비스 요금 부과, 크라우드 펀딩 등 창의적인 방식으로 대체 자금원을 모색하고 있다.
여러 학자들이 커뮤니티 조직을 다음과 같이 정의해왔다.
- 1921년, 에두아르드 C. 린데만(Eduard C. Lindeman)은 커뮤니티 조직을 "커뮤니티가 민주적으로 자신의 문제를 통제하고, 인정된 상호 관계를 통해 전문가, 조직, 기관 및 단체로부터 최고의 서비스를 확보하려는 의식적인 노력으로 구성되는 사회 조직의 한 단계"로 보았다.[5]
- 1925년, 월터 W. 페티트(Walter W. Pettit)는 "커뮤니티 조직은 아마도 사람들이 공통의 필요를 인식하도록 돕고 이러한 필요를 충족하도록 돕는 것으로 가장 잘 정의될 수 있다"고 말했다.[6]
- 1940년, 러셀 H. 커츠(Russell H. Kurtz)는 이를 "주로 프로그램 관계를 다루는 과정"으로 정의하며, 기관 간, 기관과 지역 사회 간의 관계를 형성, 변경, 종료하는 과정으로서 모든 사회 사업의 기본이 된다고 설명했다.
- 1947년, 웨인 맥밀렌(Wayne McMillen)은 "두 개 이상의 집단의 재능과 자원을 일반적 또는 구체적 목표를 위해 통합하는 것을 달성하거나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곳이라면... 집단이 목적과 행동의 통일성을 달성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적인 노력"으로 정의했다.[7]
- 1954년, C. F. 맥닐(C. F. McNeil)은 "사회 복지를 위한 커뮤니티 조직은 개별 시민 또는 집단의 대표자로서의 지역 사회 사람들이 사회 복지 요구를 결정하고, 이를 충족할 방법을 계획하고, 필요한 자원을 동원하기 위해 함께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8]
- 1955년과 1967년, 머레이 G. 로스(Murray G. Ross)는 커뮤니티 조직을 커뮤니티가 필요나 목표를 식별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신뢰와 의지를 다지며, 필요한 자원(내부 및 외부)을 찾아 조치를 취하고, 그 과정에서 커뮤니티 내 협력적이고 협동적인 태도와 관행을 확장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으로 정의했다.
- 1975년, 크레이머와 스페크트(Kramer and Specht)는 "커뮤니티 조직은 전문적인 변화 에이전트가 개인, 집단 또는 조직으로 구성된 커뮤니티 행동 시스템이 민주적 가치 체계 내에서 특별한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계획된 집단 행동에 참여하도록 돕는 다양한 개입 방법"을 의미한다고 정의했다.
2. 1. 관련 용어 비교
커뮤니티 조직은 권위에 호소하여 단기적인 변화에 초점을 맞추는 갈등 지향적 커뮤니티 조직과는 차이가 있다. 갈등 지향적 조직과 달리, 일반적인 커뮤니티 조직은 직접 행동과 '커뮤니티 조직'(기존 권력 구조 외부의 대안 시스템 창조)을 통해 장기적인 변화와 단기적인 변화 모두에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활동에는 포괄적인 네트워킹, 대인 관계 조직, 경청, 성찰, 비폭력적 의사 소통, 협력, 상호 지원 및 사회적 돌봄, 사전 형상화, 대중 교육, 직접 민주주의 등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커뮤니티 조직은 지역 사회 개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두 개념 모두 지역 사회 사회 사업에 뿌리를 두고 있다.[9] 실제로 지역 사회 개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커뮤니티 조직 기법이 활용된다. 1955년 국제 연합(UN)은 커뮤니티 조직을 지역 사회 개발을 보완하는 개념으로 보았다. 당시 UN은 지역 사회 개발이 주로 소외된 지역 사회에서 이루어지는 반면, 커뮤니티 조직은 생활 수준이 비교적 높고 사회 서비스가 잘 발달했지만 더 높은 수준의 통합과 지역 사회 주도성이 필요한 지역에서 이루어진다고 구분했다.
국제 연합에 따르면, 지역 사회 개발은 개발도상국의 경제적, 물리적, 사회적 측면을 포함한 전체적인 발전을 다루며, 이를 위해 커뮤니티 조직 방법이 사용된다. 지역 사회 개발에서는 민주적 절차, 자발적 협력, 자조, 리더십 개발, 인식 및 민감성 향상 등이 중요하게 여겨지는데, 이러한 요소들은 커뮤니티 조직에서도 동일하게 강조된다.[10]
3. 역사
커뮤니티 오거나이제이션의 공식적인 기원은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 영국 엘리자베스 시대에 제정된 빈민법(1601년)과 이후 런던의 자선 구호 단체, 정착촌 운동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초기 모델은 미국으로 전파되어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응하는 중요한 활동으로 발전했다. 특히 정착촌 운동은 제인 애덤스의 헐 하우스처럼 교육과 사회 서비스 제공을 통해 노동 계급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사회 통합을 이루려는 노력이었다.[11]
커뮤니티 오거나이제이션의 개념 정의는 시대와 학자에 따라 변화해왔다. 초기에는 에두아르드 C. 린데만(Eduard C. Lindeman, 1921)이나 월터 W. 페티트(Walter W. Pettit, 1925)처럼 지역사회가 민주적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도록 돕는 과정으로 이해되었다.[5][6] 이후 러셀 H. 커츠(Russell H. Kurtz, 1940)는 기관 간의 관계 조정 과정으로, 웨인 맥밀렌(Wayne McMillen, 1947)과 C. F. 맥닐(C. F. McNeil, 1954)은 공동의 목표를 위해 자원을 동원하고 계획하는 과정으로 보았다.[7][8] 머레이 G. 로스(Murray G. Ross)는 1955년과 1967년에 걸쳐 커뮤니티가 필요와 목표를 식별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신뢰와 의지를 다지며 협력적인 태도와 실천을 발전시키는 과정으로 정의했다. 1975년 크레이머와 스페크트(Kramer and Specht)는 전문적인 변화 매개자가 커뮤니티의 계획된 집단 행동을 돕는 다양한 개입 방법으로 개념을 확장했다.
1955년 국제 연합(UN)은 커뮤니티 오거나이제이션을 지역 사회 개발과는 구분되는 활동으로 보았다. UN은 이 활동이 비교적 생활 수준이 높고 사회 서비스가 잘 발달된 지역에서 더 높은 수준의 사회 통합과 주민 주도성을 이끌어내는 데 적합하다고 평가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은 커뮤니티 오거나이징 활동에 영향을 미쳤다. 전쟁 중 미국 적십자사와 유나이티드 서비스 오거나이제이션(USO) 등은 대규모 자원봉사 활동을 조직했으며, 전쟁 이후에는 장애인 재활, 정신 건강, 소외된 노인 지원, 청소년 비행 예방 등 새로운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미국에서는 1946년 커뮤니티 조직 연구 협회(ASCO)가 창설되고, 1955년 이 조직이 다른 전문 기관들과 통합하여 전국 사회 사업가 협회(NASW)를 결성하면서 커뮤니티 오거나이징의 전문성이 강화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3. 1. 영국의 역사적 발전 단계
1974년 발독(Baldock)에 따르면 영국의 커뮤니티 조직의 역사적 발전은 네 단계로 나눌 수 있다.[12]# '''1단계''' (1880-1920): 이 시기 커뮤니티 작업은 주로 사회 사업의 한 방법으로 간주되었다. 개인의 사회 적응을 돕는 과정으로 이해되었으며, 자원봉사 기관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했다.
# '''2단계''' (1920-1950):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방식이 등장한 시기이다. 커뮤니티 조직은 도시 개발을 위한 중앙 정부 및 지방 정부의 프로그램과 밀접하게 연관되었으며, 특히 커뮤니티 협회 운동과의 연계가 중요한 발전이었다.
# '''3단계''' (1950년 이후): 이전 단계에서 강조된 지역 중심 접근 방식에 대한 반작용으로 등장했다. 사회 사업의 전문성이 발전했으며, 사회 사업가들은 기존 시스템의 한계를 인식하고 전문적인 정체성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 '''4단계''': 현재 진행 중인 단계로, 커뮤니티 행동의 참여가 크게 증가한 것이 특징이다. 이 시기에는 커뮤니티 작업과 사회 사업의 관계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 제기되었다. 권위와 커뮤니티 간의 갈등이 나타나는 급진적인 사회 운동의 시기로 여겨지기도 한다. 사회 사업가와 커뮤니티의 관계는 탈 전문화되는 경향을 보였고, 커뮤니티 작업에 갈등적인 전략이 도입되었다.
3. 2. 미국의 역사
영국에서 시작된 커뮤니티 오거나이징 모델은 미국으로 전파되었다. 1880년대 미국에서는 자선 활동과 구호 사업에 체계적인 질서를 부여하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최초의 도시 전체 규모 자선 단체 협회(COS)는 1877년 미국 뉴욕주 버팔로에서 설립되었다. 1873년 버팔로로 이주한 영국 성공회 사제 S. H. 거틴(S. H. Gurteen)이 이 조직을 이끌었으며, 그의 노력으로 COS는 25개 이상의 미국 도시로 확산되었다. 이후 미국의 커뮤니티 조직들은 1918년 '가슴과 의회를 위한 국가 기관'으로 조직되었고, 이는 나중에 '미국의 커뮤니티 가슴과 의회'(CCC)로 발전했다. 1917년 설립된 신시내티 공중 보건 연합은 미국 도시 최초의 독립적인 보건 위원회였다.
정착촌 운동과 그 결과물인 "정착촌" 역시 미국 커뮤니티 오거나이징의 중요한 역사적 사례이다. 이 운동은 지역 사회 수준의 조직화와 발전에 기여했다. 정착촌은 주로 20세기 초 동부와 중서부의 산업 도시에 위치했으며,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제인 애덤스가 설립한 헐 하우스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정착촌은 주로 노동 계급 지역에 세워졌는데, 설립 주체는 산업화와 도시화가 심화되면서 발생한 심각한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진 중산층 대학 교육을 받은 시민들이었다.[11] 당시 주요 사회 문제로는 아동 노동, 노동 계급의 빈곤, 열악한 주거 환경 등이 있었다. 정착촌 활동가들은 빈곤층에게 교육 서비스(예: 영어 수업)와 다양한 사회 서비스(취업 지원, 법률 상담,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아동 돌봄 서비스 등)를 제공함으로써 중산층과의 소득 격차를 줄일 수 있다고 믿었다. 필요한 자금의 대부분은 자선 단체의 기부를 통해 마련되었다.
미국 커뮤니티 개발의 또 다른 중요한 발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나타났다. 전쟁 기간 동안 미국 적십자사와 유나이티드 서비스 오거나이제이션(USO)은 수많은 시민을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전쟁이 끝난 후, 커뮤니티 오거나이징의 관심사는 신체적 및 정신적 장애인의 재활, 정신 건강 문제 해결, 경제적으로 어렵고 소외된 노인 인구 지원, 청소년 비행 예방 등 새롭게 부각되는 사회 문제들로 옮겨갔다.
4. 유형
1970년, 잭 로스만은 커뮤니티 조직의 세 가지 기본 모델을 제시했다.[17]
- '''지역 개발'''(Locality Development): 정착촌 운동에서 처음 활용된 방식으로, 지역 사회 건설과 주민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춘다. 리더십 개발, 상호 지원, 대중 교육 등이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특정 지역(동네, 주택 단지, 빈민가, 학교 등) 주민들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사회 계획'''(Social Planning):[18] 대규모 인구를 대상으로 하며, 지역 사회의 복지 요구와 기존 서비스를 평가하고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 계획을 수립하는 데 중점을 둔다. 주택, 건강 보험, 저렴한 교육 문제 해결 등이 예시가 될 수 있다. 이는 지역 사회의 필요와 요구에 대응하는 전문가 중심의 모델로 볼 수 있다.
- '''사회 행동'''(Social Action): 자신들의 필요를 충족할 권한이나 자원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집단이나 공동체가 사용하는 전략이다. 이들은 불평등과 박탈 문제 해결을 위해 갈등을 활용하여 기존의 권력 구조에 맞선다. 교육 정책이나 고용 정책 등에서 사회경제적 조건에 따른 불균형을 야기하는 구조적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한다.

1990년대 후반, 로스만은 자신이 제시한 세 가지 모델이 실제 커뮤니티 활동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담기에는 다소 경직되어 있다고 평가했다.[18] 그는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이 더욱 미묘해지고 상호 침투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인정하며, 모델들을 보다 유연하고 상호 연결된 것으로 재해석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로스만은 각 유형을 중첩되고 통합된 것으로 봄으로써, 실무자들이 상황에 맞게 다양한 개입 요소를 선택하고 조합할 수 있는 여지를 넓혀야 한다고 주장했다.[18]
로스만의 모델은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비판적으로 검토되고 확장되었다. 특히 페미니스트 커뮤니티 조직 연구자인 체릴 하이드(Cheryl Hyde)는 로스만이 모델을 유연하게 '혼합하고 조합'하려 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데올로기적 측면이나 사회 운동과의 연계,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헌신 등이 부족하여 경직된 유형 분류의 한계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19]
5. 원칙
원칙은 가치 판단의 표현이며, 건전한 실천을 위한 일반화된 지침이다. 1958년 아서 던햄(Arthur Dunham)은 지역사회 조직의 28가지 원칙을 명시하고 이를 다음 7가지 항목으로 분류했다.
- 민주주의와 사회 복지
- 지역사회 프로그램의 지역사회 기반
- 시민 이해, 지지, 참여 및 전문 서비스
- 협력
- 사회 복지 프로그램
- 사회 복지 서비스의 적절성, 분배 및 조직
- 예방
인도에서는 1997년 시디키(H.Y. Siddiqui)가 기존의 증거 기반 토착 지역사회 조직 실천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원칙들을 도출했다.
- 목표 운동
- 구체적인 계획
- 적극적인 국민 참여
- 집단 간 접근
- 민주적 기능
- 유연한 조직
- 이용 가능한 자원 활용
- 문화적 지향
6. 세계화의 영향
세계화는 일, 조직 및 지역 사회의 모습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세계화가 일으키는 많은 문제들은 지역 사회로부터의 투자 철회나 노동 환경의 변화와 관련이 깊다. 탈산업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풀뿌리 지역 사회 단체들은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맞이하고 있다. 그레이스 리 보그스나 가 알페로비츠 같은 학자들은 이렇게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커뮤니티 조직의 중요성을 일찍부터 강조해왔다. 이들의 생각의 중심에는 '지역 사회'가 단순히 고립된 곳이 아니라, 지역적, 국가적, 나아가 세계적인 영향력 아래 놓여 있다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다. 이들은 변화하는 환경에 발맞춰, 지역 사회의 자산을 다시 일으켜 세우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사회, 경제, 정치 시스템을 만들어나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와 관련된 주요 개념으로는 선구적 조직, 지역 사회 자산 프로젝트, 종업원 소유 기업, 앵커 기관, 지역 기반 교육 등이 있다.[20][21]
세계화 시대에 작은 규모의 지역 사회 단체들은 주로 지역 주민들의 기부(돈이나 물품)나 지방 정부, 기업의 후원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캐나다의 한 조사에 따르면 지역 사회 단체의 40% 이상이 연 수익 3만캐나다 달러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단체들은 관계를 중시하고 사람 중심적으로 운영되는 경향이 있다. 캐나다 지역 사회 단체들은 규모와 관계없이 정부 지원금(49%), 자체 사업 수입(35%), 기부금(13%) 등에 재정을 의존하고 있다.[14]
7. 한국 사회와 커뮤니티 조직 (별도 추가)
한국에서의 커뮤니티 조직 활동은 민주화 운동과 시민 사회의 성장과 함께 발전해 왔다. 초기에는 주로 지역 사회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약자를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활동은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며 풀뿌리 민주주의를 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최근 한국의 커뮤니티 조직은 활동 영역을 더욱 확장하고 있다. 사회적 경제 영역에서의 활동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마을 만들기 사업이나 도시 재생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공동체 회복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커뮤니티 조직은 여러 과제에 직면해 있다. 정부 및 기업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 안정적인 재정 자립 기반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또한, 지역 불균형 문제로 인해 커뮤니티 조직 활동이 수도권이나 특정 도시에 집중되는 경향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이러한 과제들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참조
[1]
논문
Play, Creativity, and the New Community Organizing
https://www.tandfonl[...]
2005
[2]
웹사이트
Our Model for Community Change and Improvement
http://ctb.ku.edu/en[...]
Community Tool Box
2014-02-01
[3]
웹사이트
NGOs and the New Democracy
http://www.harvardir[...]
Harvard International Review
2009-03-23
[4]
서적
The revolution will not be funded : beyond the non-profit industrial complex
https://archive.org/[...]
2017-02-03
[5]
문서
The community
Association Press
1921
[6]
문서
National conference of social work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25
[7]
문서
Community organization in Social work
N.Y.R.S. Foundation
1947
[8]
문서
Community organisation for social welfare
Y.N. A.A.S.W.
1954
[9]
서적
Twenty Years at Hull-House
Macmillan
[10]
문서
Fink E. Arthur
1978
[11]
웹사이트
A Way of Thinking about the History of Community Organizing
http://www.trincoll.[...]
Trinity College
2015-02-01
[12]
문서
Community Work and Social Work
Routledge & Kegan Paul
1974
[13]
웹사이트
Community-Based Organization Descriptions
http://ccs.tamu.edu/[...]
Texas A&M University
2009-03-23
[14]
웹사이트
Cornerstones of Community: Summary of findings from the National Survey of Nonprofit and Voluntary Organizations
http://www.statcan.g[...]
Statistics Canada
2005-06-30
[15]
웹사이트
UN AID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http://data.unaids.o[...]
Joint United Nations Programme on HIV and AIDS
1999-06
[16]
웹사이트
Achievements of an Adivasi self-help organisation in India
http://www.dandc.eu/[...]
[17]
논문
Community Organization Practice: An Elaboration of Rothman's Typology
[18]
논문
The Interweaving of Community Intervention Approaches
1996-12-16
[19]
논문
A Feminist Response to Rothman's ''The Interweaving of Community Intervention Approaches''
1996-12-16
[20]
웹사이트
What Then Must We Do
http://www.garalpero[...]
Chelsea Green Publishing
2015-02
[21]
웹사이트
The Next American Revolution
http://www.graceleeb[...]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5-02
[22]
문서
Community Organization. Theory and Principles.
Harper&Bros.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