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케네스 왈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네스 왈츠는 1924년 미국 미시간주 앤아버에서 태어나 2013년 사망한 미국의 국제 정치학자이다. 오벌린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왈츠는 스와스모어 칼리지, 브랜다이스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미국 정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국제정치학의 주요 이론가 중 한 명으로, 저서 《인간, 국가, 전쟁》과 《국제정치이론》을 통해 신현실주의(구조적 현실주의) 이론을 제시했다. 왈츠는 핵무기 확산이 국제 평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치며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핵 억지력 이론은 한국 안보 정책에도 영향을 미쳤다.

2. 생애

케네스 왈츠는 1924년 6월 8일 미국 미시간주 앤아버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오벌린 대학에 진학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면서 학업이 중단되기도 했다.[27][28][29] 1949년에는 헬렌 엘리자베스 린슬리와 결혼하여 세 아이를 낳았다.[29]

전쟁 후, 오벌린 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했다. 컬럼비아 대학교를 시작으로 스와스모어 칼리지, 브랜다이스 대학교를 거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오랫동안 교수로 재직했다. 은퇴 후에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겸임교수로 활동했다.[23]

미국 정치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코펜하겐 대학교, 난카이 대학, 오벌린 대학교, 아베리스트위스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3년 5월 12일 뉴욕에서 폐렴 등의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30]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케네스 왈츠는 1924년 6월 8일 미국 미시간주 앤아버에서 태어났다.[27] 앤아버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오벌린 대학교에 진학해 처음에는 수학을 전공했다.[28]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944년부터 1946년까지 미 육군에 복무했다.[29] 종전 후, 경제학으로 전공을 바꾸어[28] 1948년 오벌린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29]

1949년 헬렌 엘리자베스 린슬리(Helen Elizabeth Lindsley)와 결혼하여 슬하에 세 자녀를 두었다.[29]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했지만, 정치 철학에 더 큰 흥미를 느껴 정치학으로 전공을 변경했다.[28] 1950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29] 그해 잠시 오벌린 대학교에서 강사로 재직했다.

미국 육군 예비군 소속이었던 왈츠는 한국 전쟁에 다시 징집되어 1951년부터 1952년까지 중위로 참전했다.[27][29] 이후 컬럼비아 대학교로 돌아와 1954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29]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은 훗날 대표 저서 《인간, 국가, 전쟁》(1959)의 토대가 되었다.[7][1]

2. 2. 군 복무

왈츠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 육군에 복무하여 일병에서 중위로 진급했으며,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다.[7][29] 한국 전쟁 발발 후 미국 육군 예비군 소속으로 다시 징집되어 1951년부터 1952년까지 중위로 참전했다.[1][27][29]

2. 3. 학문 경력

왈츠는 1953년부터 1957년까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강사 및 조교수로 재직했다.[6][29] 그는 컬럼비아 대학교 전쟁 및 평화 연구소의 초기 학자 그룹 중 한 명이었으며, 1952년부터 1954년까지 연구 조교, 1954년부터 연구원으로 활동했다.[6] 이후 스와스모어 칼리지로 옮겨 1957년부터 1966년까지 조교수와 교수를 역임했다.[6][29] 1966년부터 1971년까지는 브랜다이스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마지막 4년 동안에는 애들레이 E. 스티븐슨 국제 정치학 석좌교수를 맡았다.[6]

1971년, 왈츠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 합류하여 정치학과의 포드 교수로 임명되었다.[6] 그는 20년 이상 버클리에서 강의했다.[23] 1964년까지 전쟁 및 평화 연구소와 연계되었고, 1959년부터 1960년까지 런던에서 컬럼비아 대학교 정치 이론 및 국제 관계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1963년부터 1964년, 1968년, 1969년, 1972년에 하버드 대학교 국제 문제 연구 센터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1968년부터 1971년까지 국립 과학 재단의 지원을 받아 국제 정치 이론을 개발했다.[6] 1976년부터 1977년까지 구겐하임 펠로우였으며,[6] 1977년에는 세계 정치 연구소 펠로우, 1979년부터 1980년까지 우드로우 윌슨 국제 학자 센터 펠로우, 이후 런던 킹스 칼리지 전쟁 연구학과 연구원을 역임했다.[3]

왈츠는 버클리에서 은퇴하고 1997년 컬럼비아 대학교로 돌아왔다.[3][4] 그곳에서 그는 겸임 교수가 되었고 전쟁 및 평화 연구소 선임 연구원이 되었다.[3]

왈츠는 1966년부터 1967년까지 미국 정치학회 서기, 1987년부터 1988년까지 회장을 역임했다.[1] 1966년부터 1967년까지 국제학회 뉴잉글랜드 지부 회장이었다.[6]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펠로우였으며[6] 여러 학술 저널의 편집위원회에서 활동했다.

그는 베이징 대학교에서 1982년 두 달 동안 강의했으며,[6] 나중에는 푸단 대학교에서도 가르쳤다.[3] 공군사관학교,[3] 국립 전쟁 대학, 육군 전쟁 대학, 해군 전쟁 대학을 포함한 미국의 여러 기관에서 강연했다. 런던 정경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 볼로냐 대학교를 포함한 전 세계 여러 기관에서도 강연했다.[3] 왈츠는 MIT 세미나 XXI에서 강사로 활동했다.[9]

2. 4. 사망

왈츠는 2013년 5월 12일 뉴욕에서 폐렴 등의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30]

3. 국제정치 이론

케네스 왈츠는 박사 학위 논문을 바탕으로 인간, 국가 그리고 전쟁을 저술하여 전쟁의 원인을 개인, 국가 체제, 국제 시스템의 세 가지 관점에서 분석했다. 그의 주저 ''국제 정치 이론''(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은 모턴 카플란이나 리처드 로즈크란스의 시스템 이론을 환원주의라고 비판하며, 시스템 수준에서의 국제 정치 이론 구축을 제창했다. 이러한 입장은 신현실주의 또는 구조적 현실주의라고 불린다. 1980년대 국제정치학 논쟁은 "왈츠와의 대화"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그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왈츠는 국제 정치를 설명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은 각 국가의 내부적인 것이 아니라, 국가 상호 간의 관계, 즉 시스템이라고 주장했다. 국제 정치에서는 도태가 작용하므로, 국가가 생존을 위해 최적이 아닌 전략을 채택하면 존속할 수 없게 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각 국가의 내부적 요인은 무시해도 된다는 입장을 취했다.[1]

3. 1. 3가지 분석 수준(이미지)

케네스 왈츠는 1959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인간, 국가, 그리고 전쟁》에서 전쟁의 원인에 대한 이론을 세 가지 분석 수준, 즉 '이미지'로 분류했다.[1][11][4][12]

  • 첫 번째 이미지: 전쟁은 나폴레옹과 같은 특정 정치가나 정치 지도자들의 본성, 또는 더 일반적으로 인간 본성에 의해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 두 번째 이미지: 전쟁은 국가의 국내적 구성에 의해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왈츠가 언급한 주요 예시는 레닌의 제국주의 이론이다.
  • 세 번째 이미지: 전쟁의 원인은 시스템적 수준에서 발견되며, 국제 시스템의 무정부 상태 (국제 관계)적 구조가 전쟁의 근본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왈츠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이미지가 세 번째 이미지보다 일반적으로 영향력이 적지만, 전쟁의 원인을 이해하는 데 궁극적으로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세 번째 이미지가 전쟁의 근본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3. 2. 신현실주의(구조적 현실주의)

케네스 왈츠는 《국제정치이론》(1979)에서 신현실주의(구조적 현실주의)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국제 시스템의 무정부적 구조가 국가의 선택을 제한하고 제약한다고 주장했다.[14] 국가의 행동은 인간 본성이나 국내 정치보다는 국제 시스템의 압력에 의해 더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보았다.[16]

왈츠는 자신의 이론이 특정 국가의 행동을 예측하는 외교 정책 이론이 아니라, 국제 시스템의 일반적인 행동 원리를 설명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17] 이러한 행동 원리에는 세력 균형, 군비 경쟁, 상대적 힘에 비례한 자제력 행사 등이 있다.

신현실주의는 방어적 신현실주의와 공격적 신현실주의로 나뉜다. 방어적 현실주의는 대부분의 국가가 현상 유지를 추구하며 세력 균형 유지에 집중한다고 본다. 반면 공격적 신현실주의는 국가가 경쟁 국가에 대한 권위를 주장하기 위해 인접 국가에 대한 지역적 패권을 추구한다고 주장한다.[14]

왈츠는 국제 환경의 무정부 상태와 국내 환경의 질서를 구별했다. 국내에서는 중앙 권위가 존재하지만, 국제 영역에서는 그러한 질서의 근원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았다.[14] 이러한 국제 정치의 무정부 상태는 국가가 자신의 안보를 보장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강제한다고 주장했다.[14]

왈츠는 세계화가 국가에 새로운 도전을 제기하지만, 비국가 행위자가 국가를 대체할 수는 없다고 보았다. 그는 세계화가 1990년대의 유행일 뿐이며, 국가는 세계적 변화에 대응하여 기능을 확장했다고 주장했다.[15]

4. 핵무기 확산에 대한 논쟁

그는 핵무기에 관한 논쟁으로도 유명하다. 그의 논문 [http://www.mtholyoke.edu/acad/intrel/waltz1.htm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More May Better”]에서는 핵 보유국이 10여 개국이 되는 것이 세계를 더욱 안정시킬 것이라고 주장하여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 논쟁을 정리한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A Debate''는 서구권에서 핵 문제를 논할 때 필독서로 꼽힌다.[1]

5. 한국에 대한 관점

케네스 왈츠는 핵무기 확산이 세계를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는 주장으로 유명하다. 그는 "[http://www.mtholyoke.edu/acad/intrel/waltz1.htm 핵무기 확산: 많을수록 좋을 수 있다(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More May Better)]"라는 논문에서 핵 보유국이 10여 개국이 되는 것이 세계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하여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1] 이 논쟁은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A Debate''라는 책으로 정리되었으며, 서구권에서 핵 문제를 논할 때 필독서로 꼽힌다.[1]

6. 비판

왈츠의 이론은 국제 시스템의 구조적 요인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개별 국가의 특성이나 국내 정치, 지도자의 역할 등을 경시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의 핵무기 확산 긍정론은 핵무기 경쟁을 심화시키고 핵전쟁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1] 특히 대한민국 입장에서는 북한의 핵 보유를 인정하는 왈츠의 주장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7. 저서

케네스 왈츠의 저서 및 관련 서적
제목출판 연도비고
인간, 국가, 전쟁 (Man, the State, and War)1959컬럼비아 대학교 출판부 출판, 와타나베 아키오·오카가키 토모코 역, 『인간·전쟁·국가 — 국제 정치의 3가지 이미지』, 게이소 쇼보, 2013년
외교 정책과 민주 정치: 미국과 영국의 경험 (Foreign Policy and Democratic Politics: The American and British Experience)1967리틀, 브라운 출판
국제정치이론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1979웨이브랜드 출판사 (2010년 재발행), 카와노 마사루·오카가키 토모코 역, 『국제 정치의 이론』, 게이소 쇼보, 2010년
핵무기 확산: 더 많은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More May Be Better)1981국제 전략 문제 연구소
무력 사용: 군사력과 국제 정치 (The Use of Force: Military Power and International Politics)1983로버트 아트와 공동 저술, 아메리카 대학교 출판부
국제 정치 이론에 대한 성찰. 비평가들에 대한 응답1986로버트 케오한의 저서 《신현실주의와 그 비평》에 수록
핵무기 확산: 재개된 논쟁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A Debate Renewed)1995W. W. 노턴 & 컴퍼니, 스콧 D. 새건과 공저, 『핵무기의 확산 — 끝나지 않는 논쟁』, 가와카미 다카시 감역, 게이소 쇼보, 2017년
세계 정치에서의 갈등 (Conflict in World Politics)1971스티븐 L. 스피겔(Steven L. Spiegel)과 공동 편집, 윈throp 출판사
무력의 사용: 국제 정치와 외교 정책 (The Use of Force: International Politics and Foreign Policy)1971로버트 J. 아트와 공동 편집, 리틀, 브라운 (2판: 1983, 3판: 1988, 4판: 1993, 5판: 1999, 6판: 2004)
현실주의와 국제정치학 (Realism and International Politics)2008루틀리지 출판


8. 수상 및 영예

왈츠는 1991년 논문 "핵 신화와 정치 현실"로 《미국 정치학 리뷰》에서 최우수 논문으로 하인츠 오일러 상을 수상했다.[21] 1999년 미국 정치학회에서 "정치학에 대한 뛰어난 학문적 기여"로 제임스 매디슨 상을 수상했다.[4] 2010년 국제학회 국제 안보 연구 섹션에서 저명한 학자로 선정되었다.[3]

2008년 애버리스트위스 대학교는 "사상의 왕: 이론, 주체, 그리고 왈츠"라는 제목으로 왈츠를 기리는 학술대회를 개최했다.[1] 이 학술대회는 《인간, 국가, 그리고 전쟁》 출판 50주년과 《국제 정치 이론》 출판 30주년을 기념하여 개최되었다.[3]

왈츠는 코펜하겐 대학교, 오벌린 칼리지, 난카이 대학, 애버리스트위스 대학교, 마케도니아 대학교(그리스)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3]

9. 기타

미국 정치학회는 국제 안보 및 군비 통제 연구 분야 최우수 학위 논문에 케네스 N. 왈츠 논문상을 매년 수여한다. 미국 전역의 학생들은 논문을 위원회에 제출할 수 있으며, 위원회는 4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위원회는 역사적, 계량적, 이론적, 정책 분석 등 어떤 스타일의 논문이든 심사한다.[22]

참조

[1] 뉴스 Kenneth Waltz, Foreign-Relations Expert, Dies at 88 https://www.nytimes.[...] 2013-05-19
[2] 간행물 Teaching and Research Practices, Views on the Discipline, and Policy Attitud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Faculty at U.S. Colleges and Universities http://mjtier.people[...] 2005-08
[3] 웹사이트 Kenneth N. Waltz (1924–2013) http://www.siwps.org[...] Arnold A. Saltzman Institute of War and Peace Studies 2014-11-19
[4] 뉴스 Prof. Kenneth N. Waltz's Political Realism Wins James Madison Lifetime Achievement Award In Political Science http://www.columbia.[...] Office of Communications and Public Affairs, Columbia University 2000-03-28
[5] 논문 Where Is International Relations Going? Evidence from Graduate Training https://academic.oup[...] 2016-09-01
[6] 서적 Who's Who in America 1984–1985 Volume 2 Marquis Who's Who
[7] 논문 A Conversation with Kenneth Waltz 2012-06-15
[8] 웹사이트 Theory and International Politics: Conversation with Kenneth N. Waltz: Background http://globetrotter.[...]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03-02-10
[9] 웹사이트 From the Director: September, 2015 http://semxxi.mit.ed[...]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15-09-01
[10] 웹사이트 Theory Talk #40 - Kenneth Waltz http://www.theory-ta[...] 2021-08-10
[11] 논문 Should We Leave Behind the Subfield of International Relations? 2015
[12] 서적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An Intellectual Histor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13] 서적 Kenneth Waltz's Life and Thought. An Interview https://books.google[...] Lulu.com 2015-02-04
[14] 논문 The discourse of anarchy in IR 2015-11-01
[15] 논문 Globalization and Governance - The James Madison Lecture 1999-12
[16] 논문 Structural realism after the Cold War 2000
[17] 논문 Balancing in unipolarity: who is afraid of balance of power? https://www.academia[...]
[18] 웹사이트 Kenneth N. Waltz, 1924-2013 https://foreignpolic[...] 2013-05-13
[19] 웹사이트 Kenneth Waltz, principal theorist in international relations, dies at 88 https://www.dailycal[...] 2021-03-28
[20] 뉴스 Kenneth Waltz and His Legacy https://www.foreigna[...] 2021-03-28
[21] 웹사이트 Heinz Eulau Award Recipients https://oldapsa.apsa[...] 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2014-11-21
[22] 웹사이트 International Security and Arms Control http://www.apsanet.o[...]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2012-04-25
[23] 웹인용 http://www.siwps.org[...] 2017-11-10
[24] 웹인용 http://foreignpolicy[...]
[25] 뉴스 http://www.columbia.[...]
[26] 뉴스 http://h21.hani.co.k[...] 2017-11-10
[27] 뉴스 https://www.nytimes.[...]
[28] 웹인용 http://globetrotter.[...] 2017-11-10
[29] 서적
[30] 뉴스 http://news.khan.co.[...] 2017-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