켄싱턴 룬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켄싱턴 룬석은 1898년 미네소타주 켄싱턴에서 발견된 룬 문자가 새겨진 돌이다. 발견 직후부터 룬석의 진위 여부를 둘러싼 논쟁이 시작되었으며, 북미 대륙에 바이킹이 도달했다는 증거로 해석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룬석은 언어학적, 문법적 분석을 통해 위조품으로 주장되었으나, 옹호론자들은 룬석이 발견된 지역의 역사적 맥락과 언어를 근거로 진실성을 주장하며 논쟁이 이어졌다. 룬석은 14세기 스웨덴의 탐험대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하며, 소설,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 다양한 대중문화 매체에서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8년 발굴 - 아수르
아수르는 메소포타미아 북부의 고대 도시이자 국가, 수호신 이름이며 아시리아 문명의 발상지로 종교적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보호받고 있다. - 아메리카 룬석 - 오클라호마 룬석
오클라호마 룬석은 오클라호마주에서 발견된 룬 문자가 새겨진 돌들을 통칭하며 진위 논쟁이 있지만, 일부 학자들은 고대 및 젊은 푸트르크 문자의 혼합, 다양한 시대 글자 혼합 등을 근거로 역사를 추정하고, 현대 제작 가능성도 제기된다. - 미네소타주의 역사 -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은 2020년 미국 미니애폴리스에서 백인 경찰관 데릭 쇼빈이 흑인 조지 플로이드의 목을 무릎으로 눌러 사망하게 한 사건으로, 인종차별과 경찰의 과잉 진압에 대한 항의 시위를 촉발하고 사회적, 법적, 정치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 - 미네소타주의 역사 - 미네소타 농민노동당
미네소타 농민노동당은 1918년 창당되어 농부와 노동조합 보호를 공약으로 내세웠으며, 1944년 미네소타 민주당에 흡수되어 미네소타 민주-농민-노동당으로 재창당되었다.
켄싱턴 룬석 | |
---|---|
개요 | |
![]() | |
발견 장소 | 원래는 켄싱턴; 현재는 알렉산드리아, 미네소타, 미국에 위치 |
발견 좌표 | 45 |
발견 날짜 | 1898년 CE |
발견자 | 올로프 외만 |
제작 시기 | 19세기 |
룬 마스터 | 논쟁 중 |
룬 문구 | |
원어 (스웨덴 방언) | 8 : göter : ok : 22 : norrmen : po : ...o : opþagelsefärd : fro : vinland : of : vest : vi : hade : läger : ved : 2 : skLär : en : dags : rise : norr : fro : þeno : sten : vi : var : ok : fiske : en : dagh : äptir : vi : kom : hem : fan : 10 : man : röde : af : blod : og : ded : AVM : frälse : äf : illü. här : (10) : mans : ve : havet : at : se : äptir : vore : skip : 14 : dagh : rise : from : þeno : öh : ahr : 1362 : |
번역 (문자 그대로) | 여덟 예어트인과 22명의 노스인이 빈랜드에서 멀리 서쪽으로 (이?) 수집 여행을 떠났다. 우리는 이 돌에서 북쪽으로 두 (주거지?) 일일 여정으로 야영을 했다. 어느 날 우리는 낚시를 했다. 우리가 집에 온 후, 피와 죽음으로 붉게 뒤덮인 10명의 남자를 발견했다. 아베 마리아가 악에서 구했다. ('돌의 옆면') 이 반도 (또는 섬)에서 십사 일의 여행 동안 우리의 선박을 돌봐준 내해의 10명의 남자들이었다. 1362년 |
2. 발견 경위
1898년, 스웨덴 이민자 올로프 오먼은 미네소타 주 켄싱턴에 위치한 자신의 농지에서 켄싱턴 룬석을 발견했다. 룬석은 오먼의 농장 부지에서 약 60cm 깊이에서 발견되었으며, 발견 당시 룬석은 230 파운드(약 104kg)의 무게, 31인치(약 79cm)의 높이, 16인치(약 41cm)의 폭, 10인치(약 25cm)의 두께를 가지고 있었다. 오먼의 아들이 룬석에서 표시를 발견했고, 오먼은 처음에는 그것을 '인디언 달력'으로 생각했다.
1908년, 할마르 홀란드(Hjalmar Holand)는 룬석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그는 이 룬석이 바이킹의 미국 탐험에 대한 증거라고 주장하며, 대중 강연과 기사를 통해 룬석의 존재를 널리 알렸다. 그의 노력으로 인해, 룬석은 지역 사회뿐만 아니라 학계에서도 주목받기 시작했다.
룬석이 발견되자마자 논란이 시작되었다. 19세기 말 미국의 스칸디나비아 이민자들은 자신들의 문화적 유산을 찾는 과정에 있었고, 룬 문자는 그들에게 고대 북유럽과의 연결을 상징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룬석은 북미 대륙에 바이킹이 도달했다는 증거로 해석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미네소타 대학교의 올라우스 J. 브레다 교수는 룬석을 위조품으로 단정했다. 그는 룬 문자의 형태와 문법적 특징을 분석하여 룬석이 현대에 제작된 것임을 주장했다. 당시 스칸디나비아 학자들은 룬석이 위조되었다는 데 거의 만장일치로 동의했다. 그들은 룬 문자의 부정확한 형태와 14세기에 사용되지 않은 언어적 특징 등을 근거로 제시하며, 룬석이 고대 유물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후 할마르 홀란드는 룬석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그는 이 룬석이 바이킹의 미국 탐험에 대한 증거라고 주장하며, 대중 강연과 기사를 통해 룬석의 존재를 널리 알렸다. 1910년, 지질학자 뉴턴 호레이스 윈첼은 룬석의 풍화 정도를 분석했다. 언어학자 조지 T. 플롬은 룬석에 새겨진 룬 문자의 언어학적 분석을 시도했다.
1976년, 프랭크 월터 그란은 룬석이 발견된 지역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사람으로서 룬석이 조작되었을 가능성에 대한 증언을 했다. 로버트 A. 홀 주니어는 룬석의 언어적, 문법적 분석을 통해 룬석이 위조되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그는 룬석에 사용된 언어가 14세기의 스웨덴어와는 다른 점, 문법적 오류, 그리고 룬 문자의 부자연스러운 사용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
3. 진위 논쟁의 역사
1910년, 지질학자 뉴턴 호레이스 윈첼(Newton Horace Winchell)은 룬석의 풍화 정도를 분석했다. 윈첼은 룬석 표면의 풍화 패턴을 면밀히 관찰하고, 이를 인근 지역의 다른 암석과 비교 분석하여 룬석의 제작 시기를 추정하려 했다. 그의 연구는 룬석의 연대를 밝히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었지만, 결정적인 증거를 제시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같은 시기, 언어학자 조지 T. 플롬(George T. Flom)은 룬석에 새겨진 룬 문자의 언어학적 분석을 시도했다. 플롬은 룬 문자의 형태와 배열, 그리고 문법적 특징을 분석하여, 룬석에 기록된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려 했다. 그의 연구는 룬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76년, 프랭크 월터 그란은 룬석이 발견된 지역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사람으로서 룬석이 조작되었을 가능성에 대한 증언을 했다. 그는 룬석이 발견되기 전, 그 지역에서 비슷한 돌 조각이 자주 발견되었으며, 룬 문자를 새기기 위한 시도가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증언은 룬석의 진위 여부에 대한 의문을 더욱 증폭시켰다.
로버트 A. 홀 주니어는 룬석의 언어적, 문법적 분석을 통해 룬석이 위조되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그는 룬석에 사용된 언어가 14세기의 스웨덴어와는 다른 점, 문법적 오류, 그리고 룬 문자의 부자연스러운 사용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 그러나 룬석 옹호론자들은 홀의 분석에 대해 반박하며, 룬석에 나타난 언어는 당시 사용되었던 다양한 방언의 혼합일 수 있으며, 문법적 오류는 룬 문자를 새긴 사람이 완벽한 문법 지식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룬석이 발견된 지역의 역사적 맥락과 룬 문자가 새겨진 방식 등을 고려하여 룬석의 진실성을 옹호했다. 이러한 논쟁은 켄싱턴 룬석의 진위 여부를 둘러싼 오랜 논쟁의 일부를 보여준다.
3. 1. 초기 반응
1898년, 오하이오 출신의 농부 올라프 잉먼은 미네소타 주 켄싱턴에서 이 룬석을 발견했다. 발견 당시, 룬석은 즉각적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19세기 말 미국의 스칸디나비아 이민자들은 자신들의 문화적 유산을 찾는 과정에 있었고, 룬 문자는 그들에게 고대 북유럽의 연결고리를 상징하는 강력한 도구였다. 룬석은 발견 당시 만연했던 스칸디나비아 민족주의 열풍과 맞물려 큰 주목을 받았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룬석은 북미 대륙에 바이킹이 도달했다는 증거로 해석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미네소타 대학교의 올라우스 J. 브레다 교수는 룬석을 위조품으로 단정했다. 그는 룬 문자의 형태와 문법적 특징을 분석하여 룬석이 현대에 제작된 것임을 주장했다. 이러한 초기 반응은 룬석의 진위 여부에 대한 논쟁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스칸디나비아 학자들은 룬석이 위조되었다는 데 거의 만장일치로 동의했다. 그들은 룬 문자의 부정확한 형태와 14세기에 사용되지 않은 언어적 특징 등을 근거로 제시하며, 룬석이 고대 유물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러한 학자들의 부정적인 평가는 룬석의 진실성을 의심하는 중요한 근거로 작용했다.
3. 2. 재조명 시도
1908년, 할마르 홀란드(Hjalmar Holand)는 룬석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그는 이 룬석이 바이킹의 미국 탐험에 대한 증거라고 주장하며, 대중 강연과 기사를 통해 룬석의 존재를 널리 알렸다. 그의 노력으로 인해, 룬석은 지역 사회뿐만 아니라 학계에서도 주목받기 시작했다.
1910년, 지질학자 뉴턴 호레이스 윈첼(Newton Horace Winchell)은 룬석의 풍화 정도를 분석했다. 윈첼은 룬석 표면의 풍화 패턴을 면밀히 관찰하고, 이를 인근 지역의 다른 암석과 비교 분석하여 룬석의 제작 시기를 추정하려 했다. 그의 연구는 룬석의 연대를 밝히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었지만, 결정적인 증거를 제시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같은 시기, 언어학자 조지 T. 플롬(George T. Flom)은 룬석에 새겨진 룬 문자의 언어학적 분석을 시도했다. 플롬은 룬 문자의 형태와 배열, 그리고 문법적 특징을 분석하여, 룬석에 기록된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려 했다. 그의 연구는 룬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3. 추가 증거와 논쟁의 심화
1976년, 프랭크 월터 그란은 룬석이 발견된 지역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사람으로서 룬석이 조작되었을 가능성에 대한 증언을 했다. 그는 룬석이 발견되기 전, 그 지역에서 비슷한 돌 조각이 자주 발견되었으며, 룬 문자를 새기기 위한 시도가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증언은 룬석의 진위 여부에 대한 의문을 더욱 증폭시켰다.
로버트 A. 홀 주니어는 룬석의 언어적, 문법적 분석을 통해 룬석이 위조되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그는 룬석에 사용된 언어가 14세기의 스웨덴어와는 다른 점, 문법적 오류, 그리고 룬 문자의 부자연스러운 사용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 그러나 룬석 옹호론자들은 홀의 분석에 대해 반박하며, 룬석에 나타난 언어는 당시 사용되었던 다양한 방언의 혼합일 수 있으며, 문법적 오류는 룬 문자를 새긴 사람이 완벽한 문법 지식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룬석이 발견된 지역의 역사적 맥락과 룬 문자가 새겨진 방식 등을 고려하여 룬석의 진실성을 옹호했다. 이러한 논쟁은 켄싱턴 룬석의 진위 여부를 둘러싼 오랜 논쟁의 일부를 보여준다.
4. 언어학적 분석
비문에서 격이 사용되지 않은 점, 복수 동사 형태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은 14세기 스웨덴어의 문법적 특징과 일치하지 않는다. 룬 문자의 형태와 숫자 체계 분석을 통해 룬석 비문이 14세기 유물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룬 문자의 모양과 숫자 표기 방식이 14세기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에드워드 라르손의 룬 문자 노트와 룬석 비문의 유사성이 발견되면서, 룬석 비문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추측이 제기되었다. 라르손의 노트에 나타난 룬 문자와 비문의 형태가 상당 부분 일치한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하셀라 교구에서 발견된 유사한 룬 문자 비문도 룬석의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이 비문은 올로프 오먼과 관련되어 있는데, 이는 룬석의 제작 및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4. 1. 어휘적 증거
"발견의 여정"이라는 어구의 어원 분석은 16세기 이전 스칸디나비아 언어에서 이 표현이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즉, 16세기 이전에 "발견"에 해당하는 어휘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4. 2. 문법적 증거
비문에서 격이 사용되지 않은 점은 14세기 스웨덴어의 문법적 특징과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복수 동사 형태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도 지적된다.4. 3. 고문자학적 증거
룬 문자의 형태와 숫자 체계 분석을 통해 룬석 비문이 14세기 유물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룬 문자의 모양과 숫자 표기 방식이 14세기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에드워드 라르손의 룬 문자 노트와 룬석 비문의 유사성이 발견되면서, 룬석 비문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추측이 제기되었다. 라르손의 노트에 나타난 룬 문자와 비문의 형태가 상당 부분 일치한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하셀라 교구에서 발견된 유사한 룬 문자 비문도 룬석의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이 비문은 올로프 오먼과 관련되어 있는데, 이는 룬석의 제작 및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5. 역사적 맥락
마그누스 4세는 1355년 스웨덴 귀족 폴 크누트손에게 그린란드 탐험을 지시했다. 이 탐험의 목적은 그린란드에 고립된 노르드인 정착지를 찾아 교류를 재개하는 것이었다. 탐험대는 그린란드 해안에 도착했지만 정착지를 찾지 못하고 실종되었다. 이들의 행방에 대해 여러 추측이 제기되었으며, 켄싱턴 룬석이 폴 크누트손 탐험대와 연관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룬석의 문구와 탐험대 시기가 일치하고, 발견 지역이 예상 경로와 유사하다는 점이 근거로 제시되었지만, 룬석의 진위 논란으로 인해 직접적인 연관성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조지 T. 플롬은 켄싱턴 룬석과 관련하여 허드슨 만에서 켄싱턴으로 이어지는 탐험 경로를 추정했다. 이는 14세기에 바이킹이 북아메리카 대륙 내부로 탐험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며, 당시의 항해 기술과 지리적 조건을 고려할 때 충분히 실행 가능한 경로로 평가된다.
5. 1. 북아메리카 탐험의 역사
11세기 초, 노르웨이의 탐험가들은 북아메리카 대륙을 탐험했다. 바이킹으로도 알려진 이들은 오늘날 캐나다 뉴펀들랜드에 위치한 란스 오 섀도스에 정착했다. 이 정착지는 1960년에 발견되었으며, 유럽인이 북아메리카에 도달한 가장 오래된 증거로 여겨진다. 란스 오 섀도스에서는 노르웨이식 건물, 도구, 그리고 기타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 발견은 바이킹이 북아메리카에 실제로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19세기 말, 미네소타에서 발견된 켄싱턴 룬석은 이보다 더 이른 시기에 바이킹이 북아메리카에 도달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제시되었다. 이 룬석은 1362년에 바이킹 탐험대가 이 지역에 도달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룬석의 진위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많은 학자들은 켄싱턴 룬석이 위조된 것이라고 주장하며, 발견된 시대와 룬 문자의 양식, 그리고 내용의 부자연스러움을 근거로 제시한다.북아메리카 대륙 탐험의 역사는 11세기 초 노르웨이 탐험가들이 오늘날 캐나다 뉴펀들랜드에 위치한 란스 오 섀도스에 정착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정착지는 1960년에 발견되었고, 유럽인이 북아메리카에 도달한 가장 오래된 증거로 여겨진다. 란스 오 섀도스에서는 노르웨이식 건물, 도구, 유물 등이 발견되어 바이킹의 북아메리카 존재를 증명했다. 19세기 말, 미네소타에서 발견된 켄싱턴 룬석은 1362년에 바이킹 탐험대가 이 지역에 도달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어, 더 이른 시기에 바이킹이 북아메리카에 도달했다는 주장의 근거가 되었다. 하지만, 켄싱턴 룬석의 진위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많은 학자들은 룬석의 시대, 룬 문자의 양식, 내용의 부자연스러움을 근거로 위조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5. 2. 마그누스 4세의 탐험
마그누스 4세는 1355년 그린란드를 탐험하라는 지시를 폴 크누트손에게 내렸다. 폴 크누트손은 스웨덴 귀족으로, 마그누스 4세의 명을 받아 그린란드 탐험대를 이끌었다. 이 탐험대의 목적은 당시 그린란드에 존재했던 노르드인 정착지를 재확인하고, 그들과의 교류를 다시 시작하는 것이었다. 당시 그린란드 노르드인들은 점차 고립되어가고 있었고, 유럽과의 연락이 끊긴 상태였다.탐험대는 그린란드 해안에 도착했지만, 정착지를 찾지 못하고 실종되었다. 이들의 행방에 대해서는 여러 추측이 존재한다. 일부 학자들은 탐험대가 기후 변화, 바이킹의 몰락 등으로 인해 멸망한 노르드인 정착지를 찾지 못하고 좌절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일각에서는 켄싱턴 룬석이 폴 크누트손의 탐험대와 연관이 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룬석에 새겨진 문구와 탐험대의 시기가 일치한다는 점, 그리고 룬석이 발견된 지역이 탐험대의 예상 경로와 유사하다는 점이 근거로 제시된다. 하지만 룬석의 진위 여부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면서, 켄싱턴 룬석과 폴 크누트손의 탐험대 간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5. 3. 가능한 탐험 경로
조지 T. 플롬(George T. Flom)은 켄싱턴 룬석과 관련하여 탐험 경로를 추정했다. 플롬은 허드슨 만에서 켄싱턴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제시했는데, 이는 14세기에 바이킹이 북아메리카 대륙 내부로 탐험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경로는 당시의 항해 기술과 지리적 조건을 고려했을 때, 충분히 실행 가능한 경로로 평가된다.6. 대중 문화 속의 켄싱턴 룬석
켄싱턴 룬석은 다양한 대중문화 매체에서 언급되었다.
- 소설: 1998년, 윌리엄 크레이그(William Craig)는 켄싱턴 룬석을 소재로 한 소설, 《룬석》(The Rune Stone)을 출간했다.
- 영화: 2007년, 다큐멘터리 영화 《룬석의 미스터리》(The Kensington Runestone: Mystery of the Ages)가 제작되었다.
- 텔레비전: 룬석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도 다루어졌다.
- 히스토리 채널의 프로그램 《오크 아일랜드의 저주》(The Curse of Oak Island)에서 룬석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
- 기타: 켄싱턴 룬석은 텔레비전 드라마, 소설, 다큐멘터리, 오락물 등 다양한 형태로 대중들에게 소개되었다.
6. 1. 룬스톤!
2024년 1월 27일, 역사 극장에서 초연된 록 뮤지컬 "룬스톤!"은 켄싱턴 룬석을 둘러싼 흥미로운 이야기를 선보였다. 이 뮤지컬은 룬석의 진실성을 역사적 맥락과 드라마틱한 연출을 통해 탐구한다.극은 룬석의 발견부터 시작하여, 룬 문자의 해독 시도, 그리고 룬석이 제시하는 북유럽 탐험가들의 아메리카 대륙 도달 가능성에 대한 논쟁을 다룬다. 특히, 뮤지컬은 룬석의 진위 여부를 단순히 결정짓는 대신,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며 관객 스스로 판단하도록 유도한다. 이는 역사를 하나의 정해진 사실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해석되고 재구성될 수 있는 이야기로 바라보는 진보적인 시각을 반영한다.
"룬스톤!"은 룬석을 둘러싼 다양한 주장과 가설들을 균형 있게 다루면서도, 룬석의 진실성에 대한 확신을 강요하지 않는다. 오히려, 극은 룬석을 둘러싼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강조하며, 룬석이 상징하는 인간의 탐험 정신과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동경을 조명한다. 뮤지컬은 룬석의 미스터리를 통해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고, 관객들에게 역사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7. 참고 문헌
- Anderson, Hjalmar R. "The Kensington Runestone: Its Place in History."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1971.
- Blegen, Theodore C. "The Kensington Rune Stone: Fact and Fallacy." *Minnesota History*, 1968.
- Wahlgren, Erik. *The Kensington Stone: A Mystery Solved*.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58.
- Holmquist, June Drenning, ed. *They Chose Minnesota: A Survey of the State's Ethnic Groups*.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Press, 1981.
- "Kensington Runestone."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https://en.wikipedia.org/wiki/Kensington_Runestone](https://en.wikipedia.org/wiki/Kensington_Runestone).
- "The Kensington Runestone." *Runestone Museum*, [https://www.runestonemuseum.org/](https://www.runestonemuseum.org/).
- Anderson, Hjalmar R. "The Kensington Runestone: Its Place in History."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1971.에서 룬석의 역사적 위치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 Blegen, Theodore C. "The Kensington Rune Stone: Fact and Fallacy." *Minnesota History*, 1968.에서는 룬석을 둘러싼 진실과 오류에 대해 다룬다.
- Wahlgren, Erik. *The Kensington Stone: A Mystery Solved*.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58.는 켄싱턴 룬석 미스터리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다.
- Holmquist, June Drenning, ed. *They Chose Minnesota: A Survey of the State's Ethnic Groups*.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Press, 1981.은 미네소타 주의 민족 집단에 대한 연구를 제공한다.
- "Kensington Runestone."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https://en.wikipedia.org/wiki/Kensington_Runestone](https://en.wikipedia.org/wiki/Kensington_Runestone).는 켄싱턴 룬석에 대한 위키백과 문서이다.
- "The Kensington Runestone." *Runestone Museum*, [https://www.runestonemuseum.org/](https://www.runestonemuseum.org/).는 룬석 박물관 웹사이트이다.
```text
- Anderson, Hjalmar R. "The Kensington Runestone: Its Place in History."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1971.
- Blegen, Theodore C. "The Kensington Rune Stone: Fact and Fallacy." *Minnesota History*, 1968.
- Wahlgren, Erik. *The Kensington Stone: A Mystery Solved*.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58.
- Holmquist, June Drenning, ed. *They Chose Minnesota: A Survey of the State's Ethnic Groups*.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Press, 1981.
- "Kensington Runestone."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https://en.wikipedia.org/wiki/Kensington_Runestone](https://en.wikipedia.org/wiki/Kensington_Runestone).
- "The Kensington Runestone." *Runestone Museum*, [https://www.runestonemuseum.org/](https://www.runestonemuseum.org/).
참조
[1]
학술지
The non-enigmatic runes of the Kensington stone
Gotland University
[1]
서적
The Quest for America
Praeger
[1]
서적
The Vikings and America (Ancient Peoples and Places)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1]
학술지
Folk Archaeology i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1]
학술지
Making history: The Vikings in the American heartland
[2]
웹사이트
Kan du stole på Wikipedia?
https://forskning.no[...]
2005-12-07
[3]
웹사이트
Olof Ohman (1854–1935)
http://kahsoc.org/oh[...]
2021-11-09
[4]
웹사이트
Extract from 1886 plat map of Solem township
http://www.geocities[...]
2007-10-31
[4]
학술지
Internal Improvements and the Union, 1790–1860
http://journals.camb[...]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5]
뉴스
Done in Runes
https://books.google[...]
appendix to "The Kensington Rune Stone" by T. Blegen, 1968
1899-02-22
[6]
서적
The Kensington Rune-Stone Authentic and Important
Jupiter Press
[7]
학술지
Folk Archaeology i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1990-02
[8]
간행물
Rundt Kensington-stenen
Symra
1910
[9]
서적
My First Eighty Years
Twayne Publishers, Inc
[10]
학술지
First authoritative investigation of oldest document in America
1910
[11]
학술지
The Kensington Rune Stone: Preliminary Report
https://archive.org/[...]
[12]
학술지
The myth of the Kensington runestone: The Norse discovery of Minnesota 1362
1934-12
[13]
웹사이트
Holmes City narrative on Trysil (Norway) emigrants website (via Archive.org)
http://www.digitalhe[...]
[14]
웹사이트
The Kensington Runestone
http://www.badarchae[...]
2019-05-24
[15]
웹사이트
Calcite Weathering and the Age of the Kensington Rune Stone Inscription (Lightning Post)
https://www.andywhit[...]
2019-05-24
[16]
웹사이트
Kensington Runestone Museum
http://www.runestone[...]
2008-12-19
[17]
학술지
'Runstenen' från Kensington i Minnesota
1949
[17]
학술지
Der 'Runenstein' von Kensington, Minnesota
1958
[17]
학술지
review of: Theodore C. Blegen: The Kensington Rune Stone. New Light on an Old Riddle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1968
[18]
웹사이트
The Bergen Runes and the Kensington Inscription Minnesota History 40 (1966), p. 59
http://collections.m[...]
[19]
잡지
Olof Ohman's Runes
http://www.time.com/[...]
1951-10-08
[20]
서적
The Kensington Stone, A Mystery Solve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1]
서적
The Kensington Rune Stone: New Light on an Old Riddle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Press
[22]
학술지
The case of the Gran tapes
[23]
웹사이트
AmericanHeritage.com / POSTSCRIPTS
http://www.americanh[...]
2006-05-07
[24]
간행물
The Case of the Gran Tapes
http://collections.m[...]
Minnesota History
1976
[25]
학술지
The Kensington Runestone vindicated (Book Review); The Kensington Rune-Stone (Book Review)
1997
[26]
학술지
Review of The Kensington Rune-Stone Is Genuine: Linguistic, Practical,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Robert A. Hall, Jr.
https://www.jstor.or[...]
1983
[27]
서적
The Vikings and America (Ancient Peoples and Places)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28]
학술지
The Kensington Runestone: Fact and Fiction
http://urn.kb.se/res[...]
[29]
웹사이트
The Kensington Rune Stone: A Study Guide
http://jdbengt.net/a[...]
jdbengt.net
2013-11-23
[30]
학술지
The Kensington Runic Inscription
1950-07
[31]
학술지
Edward Larssons alfabet och Kensingtonstenens
http://www2.sofi.se/[...]
Dialekt-, ortnamns- och folkminnesarkivet i Umeå
[32]
방송 에피소드
Kensingtonsteinens gåte
http://tv.nrk.no/ser[...]
2013-08-08
[33]
웹사이트
How the runes went from Hassela to Minnesota
https://www.raa.se/i[...]
2024-05-02
[34]
웹사이트
Gästblogg: Kensingtonrunorna allt närmare Olof Öhman
https://k-blogg.se/2[...]
2024-05-02
[35]
웹사이트
Gästblogg: Nya upptäckter leder Kensingtonrunorna ännu närmare Olof Öhman
https://k-blogg.se/2[...]
2024-05-02
[36]
간행물
Authentic Medieval Elements in the Kensington Stone
[37]
서적
Strange Footprints on the Land
Harper & Row
1980
[38]
논문
A Letter Dated 1577 from Mercator to John Dee
[39]
웹사이트
Diplomatarium Norvegicum
http://www.dokpro.ui[...]
2018-04-19
[40]
논문
An English scientist in America 130 years before Columbus
http://digicoll.libr[...]
[41]
서적
The Kensington Rune Stone: A Study in Pre-Columbian American History
self-published
1932
[42]
서적
The Kensington Runestone: Approaching a Research Question Holistically
Waveland Press
2004
[43]
웹사이트
The Grass River
http://www.greatcana[...]
[44]
간행물
The Red River Cart and Trails
http://www.mhs.mb.ca[...]
[45]
서적
Atlantic Crossings before Columbus
W.W. Norton & Co.
1961
[46]
서적
The Kensington Rune-Stone
Illinois State Historical Soc.
1910
[47]
뉴스
REVIEW: History or hoax? 'Runestone!' turns over some questions
https://www.startrib[...]
2022-05-10
[48]
웹인용
Inscription Translation
https://web.archive.[...]
201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