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르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르그(KORG)는 1962년 일본에서 설립된 전자 악기 제조 회사이다. 가토 쓰토무와 오사나이 타다시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초기에는 리듬 머신을 제작했다. 이후 신시사이저, 디지털 피아노, 이펙터, 레코딩 장비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며 성장했다. 1980년대 중반 야마하의 자본 참여를 거쳐 1990년대 워크스테이션 신시사이저 시장을 선도했으며, 2000년대 이후에는 아날로그 모델링 신시사이저와 소프트웨어 기반 제품을 출시하며 기술 혁신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2년 설립된 제조 기업 - 두산에너빌리티
    두산에너빌리티는 발전 설비, 담수 플랜트 등을 제작하는 중공업 기업으로, 두산그룹 인수 후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 가스터빈 국산화 성공, 사명 변경을 거쳐 에너지 전환 시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에너지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 도약을 선언했으며, 원자력 발전소 기자재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 1962년 설립된 제조 기업 - 리어젯
    리어젯은 윌리엄 리어가 설립하여 비즈니스 제트기 시대를 연 항공기 제조 회사로, 여러 차례 인수 후 2021년 생산이 종료되었지만 현재도 많은 항공기가 운항되고 있다.
  • 전자 음악 - 전자 악기
    전자 악기는 전기적 방식으로 소리를 만들거나 악기 소리를 변형하는 악기로, 신시사이저, 전자 오르간 등이 있으며 18세기 후반부터 등장하여 아날로그 신시사이저를 거쳐 디지털 악기, 최근에는 소프트웨어 신시사이저와 DIY 악기 창작으로 발전하고 있다.
  • 전자 음악 - 일렉트로니카
    일렉트로니카는 1990년대 중반 영국에서 시작된 전자 음악의 한 종류로, 다양한 전자 악기와 기술의 발전에 영향을 받아 여러 장르와 융합하며 현대 미디어에서도 활용된다.
  • 일본의 제조 기업 - 스미토모 정밀공업
    스미토모 정밀공업은 1961년 스미토모 금속공업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회사로, 항공우주, 산업기기, ICT 사업 분야에서 항공기 관련 부품과 반도체 생산 장비 등을 생산하며, 2023년 스미토모상사의 완전 자회사가 되었다.
  • 일본의 제조 기업 - 일본전산
    니덱(구 일본전산)은 나가모리 시게노부 회장이 1973년 설립한 일본의 글로벌 모터 제조업체로, 기술 개발과 인수합병을 통해 사업 영역을 확장하며 세계 시장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있지만, 강도 높은 노동 환경 논란도 있다.
코르그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KORG Inc. 로고
KORG Inc. 로고
원래 이름주식회사 코르그
로마자 표기Kabushiki-gaisha Korugu
이전 이름게이오 전자 공업
설립일1962년 (게이오 전자 공업으로)
설립자가토 쓰토무
오사나이 다다시
소재지도쿄도이나기시
산업전자 산업
제품전자 악기
자회사Vox
ARP Instruments
공식 웹사이트KORG Inc. 공식 웹사이트
회사 정보 (일본어)
회사명株式会社コルグ (가부시키가이샤 코르구)
영문 회사명KORG INC.
로고[[File:Korg logo.svg|150px]]
사진250px
사진 설명본사 빌딩
종류주식회사
본사 우편번호206-0812
본사 소재지도쿄도이나기시야노구치 4015-2
설립1964년1월 10일
업종기타 제품
법인 번호8011301002577
대표자대표이사 사장 가토 세이키
자본금4억 8000만 엔
종업원 수290명
관계 인물가토 쓰토무 (창업자, 전 대표 이사 회장)
외부 링크일본 KORG 공식 웹사이트
특기 사항주식회사 콜텍
회사 정보 (한국어)
회사 종류주식회사
창립일1964년 1월 10일
창립자가토 쓰토무, 오사나이 다다시
소재지도쿄도 이나기시 야노쿠치 4015-2
인물가토 세이키 (加藤世紀)
자본금4억 800만엔
매출액100억엔 이상 1000억엔 미만
종업원290명
웹사이트KORG 공식 웹사이트

2. 내력

1962년, 가토 쓰토무와 오사나이 다다시는 게이오 기술 연구소(Keio Gijutsu Kenkyujo) Ltd.를 설립했다.[1][2] 회사 이름은 게이오 전철 노선 근처에 위치한 사무실과 가토(K)와 오사나이(O)의 이니셜을 따서 지어졌다.[3][4] 도쿄 대학 졸업생이자 아코디언 연주자인 오사나이는 월리처 사이드맨 리듬 머신에 불만을 품고 더 나은 리듬 머신 제작을 위해 가토에게 자금 지원을 설득했다.[3][4]

1963년, 첫 제품인 전기 기계식 리듬 장치 돈카 매틱(Donca Matic) DA-20을 출시했다.[2] "Donca"라는 이름은 리듬 머신이 내는 소리를 의성어로 표현한 것이다. 1964년에는 스기나미구시모타카이도로 이전하여 주식회사 게이오 기술 연구소를 설립했다. 1966년에는 솔리드 스테이트 버전의 리듬 머신 돈카 매틱 DE-20을 출시했다.

Donca-Matic DA-20 (1963)


1967년, 가토는 키보드를 제작하려는 엔지니어 미에다 후미오를 만났다. 가토는 미에다에게 프로토타입 제작을 요청했고, 18개월 후 미에다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오르간을 가지고 돌아왔다. 이후, KORG라는 이름으로 오르간을 판매했다.[3] 1970년에는 회사 이름을 게이오 기켄 고교(Keio Giken Kogyo Inc.)(京王技研工業株式会社)로 다시 변경했다.

코르그는 1962년 도쿄에서 가토 츠토무와 오사나이 타다시에 의해 ''게이오 기주츠 켄큐조(Keio Gijutsu Kenkyujo) Ltd.''로 설립되었다.[1][2] 이후 사무실이 도쿄의 게이오 전철 노선 근처에 위치하여 회사명이 로 변경되었다. '게이오'는 가토와 오사나이의 이름 첫 글자를 결합하여 만들어졌다. 회사를 설립하기 전 가토는 나이트클럽을 운영했고, 도쿄 대학 졸업생이자 아코디언 연주자인 오사나이는 가토의 클럽에서 월리처 사이드맨 리듬 머신과 함께 공연했다. 오사나이는 리듬 머신에 불만을 느껴 가토에게 더 나은 리듬 머신 제작 자금을 지원하도록 설득했다.[3][4]

회사의 첫 제품은 1963년에 출시된 전기 기계식 리듬 장치인 Donca Matic DA-20이었다.[2] "Donca"라는 이름은 리듬 머신이 내는 소리를 의성어로 표현한 것이다. DA-20의 성공에 힘입어 1966년에 솔리드 스테이트 버전인 Donca matic DE-20을 출시했다.

1967년, 가토는 엔지니어 미에다 후미오를 만나 키보드 제작을 의뢰했다. 미에다의 열정에 감명받은 가토는 프로토타입 제작을 요청했고, 18개월 후 미에다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오르간을 완성했다. 1970년에는 회사 이름을 게이오기켄공업 주식회사(Keio Giken Kogyo Inc.)(京王技研工業株式会社)로 변경했다.

1970년 코르그는 최초의 국산 신시사이저인 "시작 1호기"를 완성했다. 이 기술은 1972년 콤보 오르간 Korgue, 1973년 최초의 신시사이저 제품 miniKORG 700으로 발전했다.

1970년대 동안 코르그는 miniKORG 시리즈, PS 시리즈 등 다양한 신시사이저를 출시하며 신시사이저 시장에서 입지를 다졌다. 1974년에는 800DV(맥시 코르그)를 출시하였고, 1975년에는 아날로그 신스인 900PS를 출시하였다. 1977년에는 PS-3100/PS-3200/PS-3300 폴리포닉 신스를 발표하며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회사가 되었다. 특히 PS-3300은 로버트 무그가 "최고의 신디사이저"라고 칭찬할 정도로 뛰어난 성능을 자랑했지만, 제조 수량이 50대 정도로 극히 적었다.

1978년에는 보코더인 VC-10, 가성비가 뛰어난 모노포닉 신스인 MS-20을 출시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14] 1979년에는 Σ (시그마), Λ (람다), Δ (델타)를, 1980년에는 TRIDENT를 출시하였다. 1981년에는 Polysix를 출시하여 폴리포닉 신시사이저를 아마추어도 사용할 수 있게 만들었다.

코르그는 1980년대 중반 경영난으로 야마하의 자본 참여를 받았다.[3] 1986년, 샘플링 신시사이저 DSS-1과 FM 음원 신시사이저 DS-8을 출시했다. DS-8에는 야마하의 FM 음원 칩이 탑재되었다. 1987년, 주식회사 코르그로 개칭하고 야마하의 자본 참여로 경영 재건을 했다. 1988년, 워크스테이션 타입의 신시사이저 M1을 출시했다. M1은 즉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프리셋을 가득 담아, MIDI 음악 제작을 한 대로 완결할 수 있다는 점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25만 대 이상 판매되어 당시 역대 베스트셀러 신디사이저가 되었다.[3] M1은 프리셋 선택만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간편함을 강화하여, 기존 제품과 비교하여 음 만들기 작업을 대폭 줄였으며, 이후 샘플링 기능과 디지털 녹음 기능까지 통합한 TRINITY와 TRITON과 같은 디지털 워크스테이션의 선구자가 되었다.

1989년, 코르그는 시퀀셜 서킷츠에서 해고된 디자인 팀을 영입했다. 1993년, 가토 쓰토무는 야마하의 주식을 대부분 다시 매입하여 독립적인 경영을 회복했다.

코르그는 1990년대에 TRINITY, TRITON 등의 워크스테이션 신시사이저를 출시하며 시장을 선도했다.[3] 1991년에는 업무용 DAWSoundLink를 출시했고, 1994년에는 DSP를 탑재한 전자 퍼커션 WAVEDRUM을 출시하여 다양한 신스 사이즈 방식과 알고리즘을 제공했다. 1995년에는 물리 모델 음원을 탑재한 리드 신스 Prophecy를, 1999년에는 터치 패드 이펙터 KAOSS PAD를 출시했다.

colspan="1" style="border:0;width:40px;"|200px
colspan="1" style="border:0;width:40px;"|TRITON
style="line-height:2px;border:0;"|
ElecTribe 시리즈
80pxstyle="border:0;"|80pxstyle="border:0;"|80px
EA-1style="border:0;"|ER-1style="border:0;"|ES-1
style="line-height:2px;border:0;"|



2000년대에 코르그는 MS2000(2000년) 및 microKORG(2002년)와 같은 아날로그 모델링 신시사이저를 출시하며 주목받았다.[15] MS2000은 아날로그 모델링 방식의 신스/보코더였으며, microKORG는 저렴한 가격과 미니 건반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모델링 신스/보코더였다.[15] 2004년에는 과거의 명기들을 소프트웨어로 복각한 KORG Legacy Collection을 출시했다.[15] 이 컬렉션에는 MS-20, Polysix, WAVESTATION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후 Mono/Poly, M-1 등이 추가되었다.[15]

2005년, 코르그는 하이엔드 뮤직 워크스테이션 OASYS를 출시했다.[15] OASYS는 DAW, 시퀀서, 샘플러, 다양한 신시사이저 기능(PCM/아날로그 모델링/톤 휠 오르간 모델링), KARMA 자동 반주 기능 등 최신 기술을 집약한 통합 워크스테이션이었다.[15]

2007년에는 휴대용 DSD 레코더 MR-1을 출시했다.[15] MR-1은 1bit 오디오를 지원하는 세계 최초의 휴대용 DSD 레코더였다.[15] 2010년에는 아날로그 리본 신시사이저 monotron을 출시하며 아날로그 신시사이저 시장에 복귀했다.[15] monotron은 손에 들어오는 크기의 아날로그 신시사이저로, 리본 컨트롤러로 연주하며, 명기 MS-10/MS-20과 동일한 VCF 회로를 탑재했다.

2010년대에는 KRONOS(2011년), KROME(2012년), KROSS(2012년) 등 다양한 워크스테이션을 출시했다.[15] KRONOS는 OASYS와 동등한 음원을 갖추고 더욱 다채로운 신시시스 기능을 추가했으며, KROME은 M3를 기반으로 KRONOS의 기능을 도입, 3.8GB의 방대한 WAVE ROM을 갖추었다.[18] KROSS는 PCM 음원 EDS-i를 내장하고 가벼운 무게와 AA 건전지 구동이 가능한 모델이었다.[19][20]

2013년에는 Volca 시리즈를 출시하여 소형 신시사이저 시장을 공략했다.[15] Volca 시리즈는 리듬 박스, 아날로그 베이스 신스, 아날로그 신시사이저 등으로 구성된 소형 신시사이저 및 주변 기기 라인업이었다. 2014년에는 iOS용 음악 제작 앱 KORG Gadget을 출시했다.[15] KORG Gadget은 여러 음원이 들어있는 음악 제작 앱으로, 이후 버전 업을 통해 DAW로서의 기능도 갖추게 되었다. 2015년에는 ARP Odyssey를 복각하여 출시했다.[15]

2. 1. 창업기 (1962-1970)

1962년, 가토 쓰토무와 오사나이 다다시는 게이오 기술 연구소(Keio Gijutsu Kenkyujo) Ltd.를 설립했다.[1][2] 회사 이름은 게이오 전철 노선 근처에 위치한 사무실과 가토(K)와 오사나이(O)의 이니셜을 따서 지어졌다.[3][4] 도쿄 대학 졸업생이자 아코디언 연주자인 오사나이는 월리처 사이드맨 리듬 머신에 불만을 품고 더 나은 리듬 머신 제작을 위해 가토에게 자금 지원을 설득했다.[3][4]

1963년, 첫 제품인 전기 기계식 리듬 장치 돈카 매틱(Donca Matic) DA-20을 출시했다.[2] "Donca"라는 이름은 리듬 머신이 내는 소리를 의성어로 표현한 것이다. 1964년에는 스기나미구시모타카이도로 이전하여 주식회사 게이오 기술 연구소를 설립했다. 1966년에는 솔리드 스테이트 버전의 리듬 머신 돈카 매틱 DE-20을 출시했다.

1967년, 가토는 키보드를 제작하려는 엔지니어 미에다 후미오를 만났다. 가토는 미에다에게 프로토타입 제작을 요청했고, 18개월 후 미에다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오르간을 가지고 돌아왔다. 이후, KORG라는 이름으로 오르간을 판매했다.[3] 1970년에는 회사 이름을 게이오 기켄 고교(Keio Giken Kogyo Inc.)(京王技研工業株式会社)로 다시 변경했다.

2. 2. 신시사이저 개발 및 성장 (1970-1980년대 초)

코르그는 1962년 도쿄에서 가토 츠토무와 오사나이 타다시에 의해 ''게이오 기주츠 켄큐조(Keio Gijutsu Kenkyujo) Ltd.''로 설립되었다.[1][2] 이후 사무실이 도쿄의 게이오 전철 노선 근처에 위치하여 회사명이 로 변경되었다. '게이오'는 가토와 오사나이의 이름 첫 글자를 결합하여 만들어졌다. 회사를 설립하기 전 가토는 나이트클럽을 운영했고, 도쿄 대학 졸업생이자 아코디언 연주자인 오사나이는 가토의 클럽에서 월리처 사이드맨 리듬 머신과 함께 공연했다. 오사나이는 리듬 머신에 불만을 느껴 가토에게 더 나은 리듬 머신 제작 자금을 지원하도록 설득했다.[3][4]

회사의 첫 제품은 1963년에 출시된 전기 기계식 리듬 장치인 Donca Matic DA-20이었다.[2] "Donca"라는 이름은 리듬 머신이 내는 소리를 의성어로 표현한 것이다. DA-20의 성공에 힘입어 1966년에 솔리드 스테이트 버전인 Donca matic DE-20을 출시했다.

1967년, 가토는 엔지니어 미에다 후미오를 만나 키보드 제작을 의뢰했다. 미에다의 열정에 감명받은 가토는 프로토타입 제작을 요청했고, 18개월 후 미에다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오르간을 완성했다. 1970년에는 회사 이름을 게이오기켄공업 주식회사(Keio Giken Kogyo Inc.)(京王技研工業株式会社)로 변경했다.

1970년 코르그는 최초의 국산 신시사이저인 "시작 1호기"를 완성했다. 이 기술은 1972년 콤보 오르간 Korgue, 1973년 최초의 신시사이저 제품 miniKORG 700으로 발전했다.

1970년대 동안 코르그는 miniKORG 시리즈, PS 시리즈 등 다양한 신시사이저를 출시하며 신시사이저 시장에서 입지를 다졌다. 1974년에는 800DV(맥시 코르그)를 출시하였고, 1975년에는 아날로그 신스인 900PS를 출시하였다. 1977년에는 PS-3100/PS-3200/PS-3300 폴리포닉 신스를 발표하며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회사가 되었다. 특히 PS-3300은 로버트 무그가 "최고의 신디사이저"라고 칭찬할 정도로 뛰어난 성능을 자랑했지만, 제조 수량이 50대 정도로 극히 적었다.

1978년에는 보코더인 VC-10, 가성비가 뛰어난 모노포닉 신스인 MS-20을 출시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14] 1979년에는 Σ (시그마), Λ (람다), Δ (델타)를, 1980년에는 TRIDENT를 출시하였다. 1981년에는 Polysix를 출시하여 폴리포닉 신시사이저를 아마추어도 사용할 수 있게 만들었다.

2. 3. 야마하와의 관계 및 디지털 전환 (1980년대 중반-1993)

코르그는 1980년대 중반 경영난으로 야마하의 자본 참여를 받았다.[3] 1986년, 샘플링 신시사이저 DSS-1과 FM 음원 신시사이저 DS-8을 출시했다. DS-8에는 야마하의 FM 음원 칩이 탑재되었다. 1987년, 주식회사 코르그로 개칭하고 야마하의 자본 참여로 경영 재건을 했다. 1988년, 워크스테이션 타입의 신시사이저 M1을 출시했다. M1은 즉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프리셋을 가득 담아, MIDI 음악 제작을 한 대로 완결할 수 있다는 점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25만 대 이상 판매되어 당시 역대 베스트셀러 신디사이저가 되었다.[3] M1은 프리셋 선택만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간편함을 강화하여, 기존 제품과 비교하여 음 만들기 작업을 대폭 줄였으며, 이후 샘플링 기능과 디지털 녹음 기능까지 통합한 TRINITY와 TRITON과 같은 디지털 워크스테이션의 선구자가 되었다.

1989년, 코르그는 시퀀셜 서킷츠에서 해고된 디자인 팀을 영입했다. 1993년, 가토 쓰토무는 야마하의 주식을 대부분 다시 매입하여 독립적인 경영을 회복했다.

2. 4. 워크스테이션 시대와 혁신 (1990년대-2000년대 초)

코르그는 1990년대에 TRINITY, TRITON 등의 워크스테이션 신시사이저를 출시하며 시장을 선도했다.[3] 1991년에는 업무용 DAWSoundLink를 출시했고, 1994년에는 DSP를 탑재한 전자 퍼커션 WAVEDRUM을 출시하여 다양한 신스 사이즈 방식과 알고리즘을 제공했다. 1995년에는 물리 모델 음원을 탑재한 리드 신스 Prophecy를, 1999년에는 터치 패드 이펙터 KAOSS PAD를 출시했다.

colspan="1" style="border:0;width:40px;"|200px
colspan="1" style="border:0;width:40px;"|TRITON
style="line-height:2px;border:0;"|
ElecTribe 시리즈
80pxstyle="border:0;"|80pxstyle="border:0;"|80px
EA-1style="border:0;"|ER-1style="border:0;"|ES-1
style="line-height:2px;border:0;"|


2. 5. 소프트웨어 및 아날로그 모델링 시대 (2000년대 중반-현재)

2000년대에 코르그는 MS2000(2000년) 및 microKORG(2002년)와 같은 아날로그 모델링 신시사이저를 출시하며 주목받았다.[15] MS2000은 아날로그 모델링 방식의 신스/보코더였으며, microKORG는 저렴한 가격과 미니 건반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모델링 신스/보코더였다.[15] 2004년에는 과거의 명기들을 소프트웨어로 복각한 KORG Legacy Collection을 출시했다.[15] 이 컬렉션에는 MS-20, Polysix, WAVESTATION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후 Mono/Poly, M-1 등이 추가되었다.[15]

2005년, 코르그는 하이엔드 뮤직 워크스테이션 OASYS를 출시했다.[15] OASYS는 DAW, 시퀀서, 샘플러, 다양한 신시사이저 기능(PCM/아날로그 모델링/톤 휠 오르간 모델링), KARMA 자동 반주 기능 등 최신 기술을 집약한 통합 워크스테이션이었다.[15]

2007년에는 휴대용 DSD 레코더 MR-1을 출시했다.[15] MR-1은 1bit 오디오를 지원하는 세계 최초의 휴대용 DSD 레코더였다.[15] 2010년에는 아날로그 리본 신시사이저 monotron을 출시하며 아날로그 신시사이저 시장에 복귀했다.[15] monotron은 손에 들어오는 크기의 아날로그 신시사이저로, 리본 컨트롤러로 연주하며, 명기 MS-10/MS-20과 동일한 VCF 회로를 탑재했다.

2010년대에는 KRONOS(2011년), KROME(2012년), KROSS(2012년) 등 다양한 워크스테이션을 출시했다.[15] KRONOS는 OASYS와 동등한 음원을 갖추고 더욱 다채로운 신시시스 기능을 추가했으며, KROME은 M3를 기반으로 KRONOS의 기능을 도입, 3.8GB의 방대한 WAVE ROM을 갖추었다.[18] KROSS는 PCM 음원 EDS-i를 내장하고 가벼운 무게와 AA 건전지 구동이 가능한 모델이었다.[19][20]

2013년에는 Volca 시리즈를 출시하여 소형 신시사이저 시장을 공략했다.[15] Volca 시리즈는 리듬 박스, 아날로그 베이스 신스, 아날로그 신시사이저 등으로 구성된 소형 신시사이저 및 주변 기기 라인업이었다. 2014년에는 iOS용 음악 제작 앱 KORG Gadget을 출시했다.[15] KORG Gadget은 여러 음원이 들어있는 음악 제작 앱으로, 이후 버전 업을 통해 DAW로서의 기능도 갖추게 되었다. 2015년에는 ARP Odyssey를 복각하여 출시했다.[15]

3. 주요 제품

코르그는 다양한 신시사이저를 개발 및 제조해왔다. 아날로그 신시사이저, 디지털 신시사이저, 워크스테이션, 소프트웨어 신시사이저 등을 제조 및 판매한다.

코르그는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피아노를 제조해왔다. 주요 제품군으로는 스테이지 피아노와 콘솔형 디지털 피아노 등이 있다.

코르그는 멀티 이펙터, 기타 이펙터, 터치 패드 이펙터 등 다양한 종류의 이펙터를 생산한다.

코르그는 휴대용 DSD 레코더와 멀티트랙 레코더를 포함한 다양한 레코딩 장비를 제조해왔다.

코르그는 리듬 머신, 튜너, 전자 퍼커션, DAW, 음악 제작 앱 등 다양한 제품을 제작, 판매한다.

3. 1. 신시사이저

코르그는 다양한 신시사이저를 개발 및 제조해왔다. 아날로그 신시사이저, 디지털 신시사이저, 워크스테이션, 소프트웨어 신시사이저 등을 제조 및 판매한다.

3. 2. 디지털 피아노

코르그는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피아노를 제조해왔다. 주요 제품군으로는 스테이지 피아노와 콘솔형 디지털 피아노 등이 있다.

3. 3. 이펙터

코르그는 멀티 이펙터, 기타 이펙터, 터치 패드 이펙터 등 다양한 종류의 이펙터를 생산한다.

3. 4. 레코딩 장비

코르그는 휴대용 DSD 레코더와 멀티트랙 레코더를 포함한 다양한 레코딩 장비를 제조해왔다.

3. 5. 기타

코르그는 리듬 머신, 튜너, 전자 퍼커션, DAW, 음악 제작 앱 등 다양한 제품을 제작, 판매한다.

4. 한국 대중음악에 끼친 영향

5. 사회적 기여 (선택 사항)

6.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L'Histoire de Korg http://www.musicariu[...]
[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Korg: Part 1 https://www.soundons[...] 2019-07-04
[3] 서적 Keyfax Omnibus Edition MixBooks 1996
[4] 이미지 MiniKORG700S (1974).jpg
[5] 웹사이트 The History Of Korg: Part 2 https://www.soundons[...] 2019-07-04
[6] 웹사이트 The History Of Korg: Part 3 https://www.soundons[...] 2019-07-04
[7] 뉴스 50 Years of Vox http://vintageguitar[...] Vintage Guitar 2010-06
[8] 뉴스 40 Years of Korg Gear http://www.soundonso[...] Sound on Sound 2002-10
[9] 뉴스 Korg Mourns the Passing of Chairman Tsutomu Katoh https://web.archive.[...] Keyboard Magazine 2011-03-15
[10] 웹사이트 Success – Stories Korg synthesizers https://www.raspberr[...] Raspberry Pi Foundation 2023-10-06
[11] 웹사이트 Korg buys Darkglass Electronics in bid to become "a leader" in the bass gear market https://www.guitarwo[...] 2024-01-19
[12] 문서 東京大学大学院修士で三菱化学の化学者は同姓同名の別人。
[13] 웹사이트 KORG MUSEUM ドンカマチック http://www.korg.co.j[...] KORG INC. 2013-02-25
[14] 서적 新潮日本文学アルバム51 安部公房 1994
[15] 웹사이트 SV-1 Stage Vintage Piano http://www.korg.co.j[...] KORG INC. 2009-09-14
[16] 웹사이트 WAVEDRUM Dynamic Percussion Synthesizer http://www.korg.co.j[...] KORG INC. 2009-09-14
[17] 웹사이트 microSAMPLER SAMPLING KEYBOARD http://www.korg.co.j[...] KORG INC. 2009-09-14
[18] 웹사이트 KROME : FUNCTIONS http://www.korg.com/[...] KORG INC. 2016-03-15
[19] 웹사이트 KROSS Music Workstation http://www.korg.com/[...] KORG INC. 2016-03-15
[20] 웹사이트 女子が軽々持てる61鍵シンセは「ライブの時代」の先端をいく? https://ascii.jp/ele[...] ASCII.jp 2016-03-15
[21] 웹사이트 prologue - POLYPHONIC ANALOGUE SYNTHESIZER KORG (Japan) https://www.korg.com[...] KORG Global 2018-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