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에너빌리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산에너빌리티는 1962년 현대양행으로 설립되어 한국중공업을 거쳐 2001년 두산그룹에 인수된 기업으로, 발전 설비, 담수 플랜트, 산업 설비, 주조·단조, 건설 사업 등을 영위한다. 2022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으며, 국내 유일의 원자력 발전소 기자재 전문 제작 업체로서 원자로, 증기발생기 등 핵심 기기를 제작한다. 과거 경영 위기를 겪었으나, 최근 원전 정책 변화와 해외 수주 기대감으로 주가 회복이 기대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산의 자회사 - 밥캣 컴퍼니
- 1962년 설립된 제조 기업 - 리어젯
리어젯은 윌리엄 리어가 설립하여 비즈니스 제트기 시대를 연 항공기 제조 회사로, 여러 차례 인수 후 2021년 생산이 종료되었지만 현재도 많은 항공기가 운항되고 있다. - 1962년 설립된 제조 기업 - 코르그
코르그는 1962년 설립된 일본 전자 악기 제조 회사로, 초기에는 리듬 머신과 오르간을 생산하다가 1970년대부터 신디사이저 개발에 주력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악기 및 음향 장비를 생산한다. - 대한민국의 엔진 제조업체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977년 삼성정밀공업으로 설립되어 항공기 엔진, 방산 제품, 우주 발사체 부품 등을 생산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사명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항공우주, 방산, 전기추진체계를 주요 사업 분야로 K9 자주포, 누리호 엔진, UAM용 수소연료전지 등을 개발·생산하고 사업 영역 확장 및 사업 재편을 추진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엔진 제조업체 - 삼성중공업
삼성중공업은 1974년 설립되어 선박 건조, 해양 플랫폼, 풍력 발전 설비 사업을 영위하는 대한민국의 조선 및 해양 플랜트 기업으로, LNG선, 드릴십 등 고부가가치 선박 건조에 강점을 가진다.
두산에너빌리티 | |
---|---|
기본 정보 | |
회사명 |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
영문 회사명 | Doosan Enerbility Co., Ltd. |
![]() | |
종류 | 주식회사 |
설립일 | 1962년 9월 20일 |
상장 여부 | 상장됨 |
소재지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두산볼보로 22 (귀곡동) |
주요 인물 | 박지원 (대표이사 회장) 정연인 (대표이사 부회장) |
산업 | 중공업 |
자본금 | 3조 2,673억 2,678만 원 (2023) |
매출액 | 17조 5,898억 8,771만 원 (2023) |
영업이익 | 1조 4,673억 1834만 원 (2023) |
모기업 | 주식회사 두산 |
자회사 | 두산밥캣주식회사 두산밥캣코리아주식회사 오성파워오엔엠주식회사 |
홈페이지 | 공식 홈페이지 |
이전 회사명 | 斗山重工業 (두산중공업) |
영문 이전 회사명 |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
로마자 표기 | Dusanjunggongeop |
사업 분야 | |
주요 제품 | 원자력 발전소 화력 발전소 해수 담수화 플랜트 주조 및 단조 제품 건설 원자로 용기 증기 발생기 가압 중수로 발전기 증기 및 가스 터빈 |
산업 분야 | 발전 플랜트, 담수 플랜트 및 건설 |
주요 자회사 | Doosan Power Systems Doosan IMGB Doosan Heavy Industries Vietnam Doosan Vina HaiPhong Doosan Power Systems India Doosan HF Controls |
실적 | |
매출액 (2011년) | US$ 76.7억 |
직원 수 | 7,728명 |
단독 매출액 (2007년 12월) | 4조 900억 원 |
직원 수 (2008년 3월) | 51,730명 |
기타 정보 | |
창립일 | 1962년 9월 20일 |
핵심 인물 | 박서현 (회장) 정준환 (부회장) 최건희 (CEO) 한기선 (COO) |
2. 역사
1962년 현대양행으로 설립된 뒤 1980년 공기업 한국중공업으로 변경되었다. 외환 위기를 거치면서 민영화가 결정되어 2000년 12월 두산그룹에 인수되었고, 2001년 3월 두산중공업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22]
2009년 말 대한민국이 수주한 UAE 원전 프로젝트를 비롯하여 신고리 3~4호기, 신울진 1~2호기 등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핵심 기자재를 수주하여 제작해 왔다.
2019년에는 경영 위기에 직면하여 차입금이 4.9조원에 달했다. 2020년 4월 13일, 두산그룹은 산업은행 등 채권단에 두산중공업의 재무 구조 개선 계획을 전달했다.[10]
2. 1. 현대양행과 한국중공업 시절 (1962년 ~ 2000년)
1962년 현대그룹 산하 민영기업 '''(주)현대양행'''(창원공장)이 설립되었다.[22] 1980년 공기업으로 전환되면서 '''한국중공업'''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22] 1999년에는 발전설비사업 구조조정에 따라 현대중공업 및 삼성중공업 발전설비를 한국중공업으로 일원화했다.2. 2. 두산그룹 인수와 성장 (2001년 ~ 2021년)
2000년 기업공개 및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고, 2001년 두산그룹에 인수되면서 3월 두산중공업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22]연도 | 내용 |
---|---|
2001년 | AES사 미주 부문 RO수처리 사업 분야 (현 두산하이드로테크놀로지) 인수 |
2006년 | 크배르너IMGB(현 두산IMGB), 미쓰이밥콕(현 두산밥콕) 인수 |
2006년 | 두바이와 미국 템파에 담수 R&D센터 설립 |
2007년 | 베트남 두산비나 생산공장 착공 |
2009년 | 체코 발전설비업체 스코다파워 인수 |
2009년 | 베트남 두산비나 생산공장 준공 |
2011년 | 인도 발전 설비 업체 AE&E 첸나이웍스(현 두산첸나이웍스) 인수 |
2013년 | 영국 수처리업체 ENPURE(현 두산 Enpure) 인수 |
2013년 | 사우디 담만 Water R&D센터 설립. |
2014년 | 인도 카트와(Katwa) 1,320MW 발전소 건설 최저가 입찰 (환경 문제 등 정부 승인 부족으로 인도국영열발전공사가 계획 취소)[3] |
2015년 | 칠레 에스콘디다 광산에 해수담수화 설비 공급[6] |
2016년 | ESS 제어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 업체인 1Energy Systems 인수, 두산그리드텍 설립[9] |
2. 3. 두산에너빌리티로의 전환 (2022년 ~ 현재)
2019년 발전용 가스터빈을 국산화하였다.[22] 2022년 3월 8일 두산중공업 이사회는 사명을 두산에너빌리티로 변경하는 안건을 의결했고, 3월 29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해당 안건을 확정했다.[22]3. 경영 위기와 극복 노력
2010년대 후반, 두산에너빌리티는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등의 영향으로 경영난이 심화되었다.[10] 2020년에는 산업은행 등 채권단에 재무 구조 개선 계획을 제출해야 했다.[10] 윤석열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과 적극적인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경영 정상화를 모색하고 있다.
2014년, 두산중공업은 신고리 5, 6호기 등 예정된 수주 지연으로 주가가 부진했다.[23][24] 당시 PBR(주가순자산비율)이 0.7배 이하로 떨어지자, 노무라 증권 등에서는 주가가 지나치게 저평가되었다며 매수를 추천하기도 했다.[25]
한기선 두산중공업 사장은 "두산중공업 주가는 지금보다 2배는 오른 6만 원은 되어야 정상"이라고 언급하며, 지속적으로 두산중공업 주식을 매수했다. 2014년 9월에는 두 차례에 걸쳐 8,000주를 추가 매수했다.[26]
그러나 주가는 한기선 사장의 주장과 달리 하락세를 보였다. 2007년 11월 191,500원을 고점으로 10년간 하락했으며, 한기선 사장이 추가 매수한 2014년 9월 초 28,600원이 저평가라는 주장과 달리, 2017년 말 주가는 약 15,000원이었다. 같은 기간 한국 종합 주가지수는 2,067포인트에서 2,488포인트로 상승했다.
2019년에는 경영 위기로 차입금이 4.9조원에 달했다.[10]
4. 사업 분야
두산에너빌리티의 사업 분야는 크게 발전 설비, 담수 플랜트, 산업 설비, 주조·단조, 건설의 5개 분야로 나뉜다. 발전 설비, 플랜트 설비, 인프라 설비, 대규모 수송 장비 부품, 항만 크레인 장치 등을 생산하며, 매출의 대부분을 해외 수주로 충당한다. 일본에서도 원자력 사업으로 유명하며, 가압경수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두산그룹에는 두산인프라코어와 두산엔진 등의 계열사가 있다.
2019년에는 경영 위기에 직면하여 차입금이 4.9조원에 달했다. 2020년 4월 13일, 두산그룹은 산업은행 등 채권단에 두산중공업의 재무 구조 개선 계획을 전달했다.[10]
4. 1. 발전 사업
두산에너빌리티는 사실상 한국 내 유일의 원자력 발전소 기자재 전문 제작 업체이다. 원자로, 증기발생기 등 원전의 핵심 기기와 터빈, 발전기, 핵연료 취급 설비 및 핵연료 운반 용기(cask) 등 원자로 보조 기기의 대부분을 제작/공급하고 있다.[21]창원 종합 기계 공장은 대지 4400000m2, 건평 700000m2 규모로, 원자력 공장, 발전기 공장, 터빈 공장, 주조 공장, 단조 공장 등 12개의 단위 공장과 기술 연구소, 자체 부두 등의 시설을 갖추고 각종 발전소와 산업 플랜트의 주요 기자재를 국내외에 공급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의 발전 사업 분야는 다음과 같다.
화력발전소 배열회수보일러(HRSG)는 세계 시장 점유율 30% 이상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화력발전 부문은 2016년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 발전 공사에 66만kW급 발전 설비 4기를 공급하는 2.8조원 규모의 대형 계약을 체결했다.[11] 증기 발생기, 가압기 등을 세계 각국에 공급하고 있으며, 2009년에는 한국산 원자로를 중국에 수출한 바 있다.
1990년대부터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과 기술 제휴를 맺고 가스터빈 부품을 공급하였다.[12] 2007년 미쓰비시중공업(Mitsubishi Heavy Industries)과 대형 가스터빈 제조·판매 라이선스 계약과 함께 장기 구매 계약을 체결하였으나,[13] 2017년 계약이 만료되었다.[15]
한국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2013년 국가 정책 과제로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개발을 시작하였고,[16] 6년간 총 1조원의 연구 개발비가 투입되었다.[17] 2019년 9월, 500메가와트급 발전소용 국산 대형 터빈의 최종 조립을 발표하였으며,[18] 2023년 상업 운전에 들어갈 예정이다.[16]
2020년 4월까지 한국에서 가동 중인 원자력발전소 24기 중 14기의 원자로, 증기발생기, 터빈 발전기, 계측 제어 설비 및 냉각재 펌프 등을 제작하였다. 아랍에미리트에 건설 중인 바라카 원자력발전소의 기기도 공급하고 있다. 기업 내 발전 사업에서 원자력 발전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5%로, 석탄화력발전 부문의 70~80%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한국 원자력 사업의 핵심적인 존재로서 지위를 확립하고 있다.
4. 2. 플랜트 사업 (Water)
두산에너빌리티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와 수처리 설비 등 Water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21] 특히 담수화 플랜트 설비 수주에 강하며, 2008년 7월에는 아랍에미리트(UAE)에서 8억 달러 상당의 초대형 담수 플랜트를 수주했다.4. 3. 주조 및 단조
발전 소재, 선박 소재, 제철 소재, 금형 공구강, 화공/일반 산업 소재 등을 제작한다.[21]4. 4. 건설 (EPC)
두산에너빌리티는 플랜트, 토목, 건축, 운반 설비 등을 건설한다.[21]5. 주요 프로젝트
두산에너빌리티는 발전 및 플랜트 설비, 인프라 시설, 대규모 수송 장비 부품, 항만 크레인 장치 등을 생산하며, 매출 대부분을 해외 수주로 충당한다. 가압경수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국가 | 내용 |
---|---|
대한민국 | 2020년 4월까지 가동 중인 원자력발전소 24기 중 14기의 원자로, 증기발생기, 터빈 발전기, 계측 제어 설비 및 냉각재 펌프 등을 제작하였다.[19] |
아랍에미리트 | 바라카 원자력발전소 기기를 공급하고 있다.[19] |
중국 | 2009년에 한국산 원자로를 수출하였다.[11] |
인도 | 2016년 우타르프라데시주 발전 공사에 66만kW급 발전 설비 4기를 공급하는 2.8조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11] |
6. 주가 동향
2000년대 후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가는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였다. 2014년에는 신고리 5, 6호기 등의 수주 지연으로 주가가 부진했으며,[23][24] PBR이 0.7배 이하로 떨어지기도 했다.[25] 당시 노무라 증권 등에서는 주가가 지나치게 저평가되었다며 매수를 추천하기도 했다.[25]
2014년 9월, 한기선 두산중공업 사장은 "두산중공업 주가는 지금보다 2배는 오른 6만원은 되어야 정상"이라고 언급하며, 취임 후 지속적으로 회사 주식을 매수해왔다고 밝혔다.[26]
하지만 주가는 한기선 사장의 주장과는 반대로 움직였다. 2007년 11월 191,500원을 고점으로 10년간 하락했으며, 한 사장이 추가 매수한 2014년 9월 초 28,600원이 저평가라는 주장과는 달리, 2017년 말 주가는 약 15,000원까지 떨어졌다. 이는 같은 기간 한국 종합 주가지수가 상승한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2019년에는 경영 위기로 차입금이 4.9조원에 달했으며, 2020년 4월 13일 두산그룹은 채권단에 두산중공업의 재무 구조 개선 계획을 제출했다.[10]
최근 윤석열 정부의 원전 정책 변화와 해외 수주 기대로 주가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orld Nuclear Association - World Nuclear News
https://www.world-nu[...]
2021-07-18
[2]
웹사이트
World Nuclear Association - World Nuclear News
https://www.world-nu[...]
2021-07-18
[3]
웹사이트
Scrapped power plant project hampers Doosan
http://www.koreahera[...]
2014-12-10
[4]
뉴스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Builds Thermal Power Plant in Vietnam
http://www.businessk[...]
2014-12-29
[5]
뉴스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Wins 710 Billion Won Order for Domestic Power Plant
http://www.businessk[...]
2015-04-02
[6]
뉴스
Doosan Ships First Seawater Desalination Plant Facilities to Latin America
http://www.businessk[...]
2015-02-03
[7]
뉴스
Doosan Wins Orders for Water Treatment Plants in Oman and U.K.
http://www.businessk[...]
2015-07-02
[8]
뉴스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Ships Nuclear Reactor for U.A.E.'s Barakah Nuclear Power Plant
http://www.businessk[...]
2015-04-10
[9]
웹사이트
Doosan Heavy Acquires US Energy Software Firm to Target Global ESS Market
http://www.businessk[...]
BusinessKoreaco
2016-07-13
[10]
웹사이트
斗山重工業「あらゆる資産の売却検討」…財務構造改善案を産業銀行に提出
https://japanese.joi[...]
2020-04-14
[11]
웹사이트
韓国・斗山重工業、インドで火力発電受注 2800億円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6-12-26
[12]
웹사이트
斗山重工業「機械工学の花」ガスタービン技術独立(朝鮮日報日本語版)
https://headlines.ya[...]
2019-09-22
[13]
웹사이트
大型ガスタービンの製造・販売ライセンスを供与 韓国の重工業最大手、斗山重工業へ|三菱重工
https://www.mhi.com/[...]
三菱重工
2019-09-22
[14]
웹사이트
斗山重工業、チェコのタービン技術保有会社を買収│韓国経済│wowKora(ワウコリア)
https://www.wowkorea[...]
2009-09-14
[15]
웹사이트
PM2.5削減対策として浮上している「LNG発電」 {{!}} 知的財産ニュース - 知的財産に関する情報 - 韓国 - アジア - 国・地域別に見る - ジェトロ
https://www.jetro.go[...]
2020-03-24
[16]
뉴스
斗山重工、発電用ガスタービンを国産化
http://japan.mk.co.k[...]
Maeil Business Newspaper & mk.co.kr
2019-09-19
[17]
웹사이트
飛行機エンジンより難しい技術…斗山重、ガスタービン国産化が目前
https://s.japanese.j[...]
2020-03-24
[18]
논문
日本産業の中期見通し(重電)
https://www.mizuhoba[...]
[19]
웹사이트
【時論】「脱原発」にこだわらなければ、600万人の雇用が創り出される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0-05-12
[20]
웹사이트
斗山重工業、886億円投入されるも経営正常化は不透明…すべて脱原発のせい?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20-04-01
[21]
뉴스
(UAE원전특집) 두산중공업: 주기기 경쟁력 '으뜸'...글로벌 챔피언 목표
2012-03-22
[22]
뉴스인용
한중 23일 주총서 두산중공업으로 사명 변경
https://news.naver.c[...]
2001-03-19
[23]
뉴스
원전 관련株, 암흑의 터널 통과하나…발주 재개에 '好好'
2014-08-29
[24]
뉴스
두산重, 하반기 수주 회복 기대-동부
2014-07-29
[25]
뉴스
노무라“두산重 좋아지는 일만 남았다-매수”
2014-03-26
[26]
뉴스
한기선 두산重 사장 "현 주가 너무 싸다. 앞으로 더 산다"
2014-09-1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송배전·ESS·원자력 담았다” KB운용, ‘RISE AI전력인프라’ ETF 출시
SK하이닉스 D램 점유율 또다시 1위…큰손들도 주목했다[주식 초고수는 지금]
미국 원전 훈풍에 韓 원전주도 반등
다시 훈풍 부는 韓美 원전주
코람코운용, 분당두산타워 품는다
'팀 코리아 참여' 2조 8천억 루마니아 원전 '리모델링' 첫삽
바이오株에 몰린 관심…“극심한 저평가” 매수 급증한 종목은 [주식 초고수는 지금]
두산에너빌, 제주에 풍력발전 관제센터
오전에 이어 오후에도 ‘이 종목’ 줍줍 [주식 초고수는 지금]
두산에너빌리티, 제주도 두산윈드파워센터(WPC) 개소식 개최
제2회 금속·소재 분야 피로·파괴 산·학·연 기술교류회 성료
2분기 호실적 ‘이 종목’ 빠지자 ‘줍줍’ [주식 초고수는 지금]
‘코스피 이전 상장’ 기대감에 초고수 알테오젠 풀매수 [주식 초고수는 지금]
“8월도 갇혔다”…외국인 1.6조 매도 폭탄에 코스피 ‘주춤’
‘역대 최대 실적’ 에이피알 주가 조정에 초고수들 풀베팅 [주식 초고수는 지금]
미 에너지부 차관보 등 APEC 장관회의 당국자, 두산에너빌리티 방문
‘마스가’ 수혜주 HD현대重·미포...초고수 선택받아 [주식 초고수는 지금]
외교 2차관, 미 에너지부 부장관 만나 “원자력 협력 심화”
한·미 원자력 협력 차관 회의, 부산에서 열려…정상회담 이후 협력 논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