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친차이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친차이나는 현재 베트남 남부를 지칭하는 역사적인 지명으로, 말레이어 '쿠치'에서 유래되었으며, 중국어 '교지'에서 영향을 받았다. 16세기 초 포르투갈 상인들이 이 지역을 '코친차이나'로 명명하면서 유럽에 알려졌다. 17세기부터 18세기까지 응우옌 왕조가 이 지역을 지배하며 코친차이나 왕국을 건설했다. 19세기에는 프랑스가 코친차이나를 식민 지배했으며, 1862년 사이공 조약으로 3개 성을 할양받고, 1871년에는 식민지로 편입되었다. 이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가 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베트민의 저항과 프랑스와의 갈등을 거쳐 남베트남으로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옛 나라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 베트남의 옛 나라 - 남베트남 공화국
    남베트남 공화국은 베트남 전쟁 중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주축으로 수립된 임시혁명정부로서, 남베트남에 대항하며 "독립, 민주, 평화, 중립"을 표방했으나, 사이공 함락 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에 흡수되었고, 북베트남의 괴뢰 정부로 평가받는다.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 청불 전쟁
    청불 전쟁은 1880년대 프랑스가 베트남을 식민 지배하려는 과정에서 청나라와 무력 충돌한 사건으로, 프랑스의 승리로 끝나 베트남에 대한 프랑스의 보호국 지위를 인정하고 동아시아 국제 질서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 안남 보호령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보호령인 안남 보호령은 현재 베트남 중부 지역에 해당하며, 프랑스는 응우옌 왕조를 명목상 유지하며 실질적으로 통치하며 식민 통치를 통해 경제, 행정, 교육 체계 전반에 걸쳐 변화를 주었다.
  • 프랑스의 옛 식민지 - 세네갈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세네갈 공화국은 다양한 민족과 문화, 이슬람교를 배경으로 농업, 어업, 관광 등의 경제 부문을 기반으로 하며, 프랑스 식민 지배를 거쳐 독립 후 비교적 안정적인 민주주의를 유지하고 있는 다중 언어 국가이다.
  • 프랑스의 옛 식민지 - 알제리
    알제리는 아프리카 북부 마그레브 지역에 위치한 국가로, 지중해 연안에 자리 잡고 있으며, 사하라 사막을 포함한 국토를 가지고 있으며, 오랜 역사와 다양한 문화를 거쳐 독립했으며, 현재는 대통령 중심 공화국 체제이나 군부의 영향력이 큰 국가이다.
코친차이나
지도 정보
일반 정보
다른 이름당 trong (17–18세기)
베트남 (1802–1831)
대남 (1831–1862)
남기 (1862–1945)
크메르어코상신 (Kosăngsin)
프랑스어Cochinchine
중국어자오즈즈나 (Jiāozhǐ Zhīnà)
베트남어당 trong
역사
관련 사건남진 (남쪽 확장)
관련 국가남비엣
프랑스어 명칭Cochinchine française (프랑스령 코친차이나)
베트남어 명칭
남키남기
남보남부 (베트남)
남보남부

2. 어원

코친이라는 말은 원래 말레이어의 쿠치(Kuchi)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베트남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이 용어는 중국에서 '자오지'(交趾)로 유래되었고, 베트남에서는 '쟈오 치'라고 발음하였다.[6][7] 1516년, 포르투갈 상인들이 말라카에서 출발하여 다낭(Da Nang)에 상륙하여 거점을 마련하면서 이 지역을 "코친차이나(Cochin-China)"라고 명명했다.[5] 유럽 각국에서는 코친차이나(: Cochin China 또는 Cochinchina, : la Cochinchine)라고 불렀는데, 이는 인도의 도시 및 코친 공국과 구분하기 위해 "차이나(China)"라는 표현을 덧붙인 것이다.[8][9]

3. 식민지 이전

루이 타이(Lũy Thầy, 스승의 방어벽) - 아돌프 바스티안 작


오늘날 베트남 남부 정복은 베트남인들이 영토를 획득하는 오랜 과정이었으며, 베트남 역사가들은 이를 남진(南進, Nam tiến)이라고 부른다. 1470년 레 성종(Lê Thánh Tông) 황제 시대에 대월(Đại Việt)은 참파(Champa)를 정복하여 영토를 크게 확장했다.[4] 그 후 200년 동안은 영토 통합과 남쪽으로의 점진적인 확장을 동반한 내전 시대였다.[4]

4. 코친차이나 왕국 (1600-1774)

리고베르 보네(1727–1794)가 제작한 1771년 통킹과 코친차이나 지도.


1600년, 응우옌 황은 오늘날 베트남 중부에 위치한 투언화(Thuận Hóa)와 꽝남(Quảng Nam)의 두 남부 지방에 자신의 정부를 세웠다.[4] 1623년, 응우옌 푹 응웬은 캄보디아 국왕 체이 체타 2세(Chey Chettha II)의 동의를 얻어 당시 프레이 나코르(Prey Nakor)라 불리던 사이공(Saigon)에 무역 공동체를 설립했다. 그 후 50년 동안 베트남의 지배는 이 지역으로 서서히 확장되었지만, 응우옌 왕조가 북쪽의 찐 왕조와 장기간에 걸친 내전을 치르고 있었기 때문에 점진적인 확장이었다.

찐 왕조와의 전쟁이 끝나자 응우옌 왕조는 남쪽 정복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먼저 남은 참파 영토를 점령했고, 다음으로 메콩강 주변 지역을 베트남의 지배하에 두었다. 1715년부터 1770년까지 응우옌 군주와 캄보디아 국왕 사이에 최소 세 차례의 전쟁이 벌어졌고, 베트남은 매 전쟁마다 더 많은 영토를 얻었다. 이 전쟁에는 캄보디아의 봉신을 대신해 싸운 시암 국왕들이 개입했다.

18세기 후반에는 응우옌 영토에서 시작된 타이선 봉기가 발생했다. 1774년, 찐 군은 응우옌 왕국의 수도 푸쑤언(Phú Xuân)을 함락했고, 응우옌 왕조 지도자들은 하부 코친차이나로 도망쳐야 했다. 그러나 전직 농민이었던 타이선의 세 형제는 곧 응우옌의 땅과 찐의 땅을 정복하여 베트남을 잠시 통일하는 데 성공했다.

5. 응우옌 왕조의 코친차이나 제국 (1802-1862)

응우옌 왕조의 응우옌 푹 아인은 25년간 타이선 세력과 싸워 1802년 베트남을 통일하고 자롱 황제가 되었다.[10][11] 그의 아들 민망 황제는 1820년 2월 14일부터 1841년 1월 20일까지 코친차이나를 통치했다.

1822년 영국은 동인도 회사 대리인 존 크로퍼드를 파견해 무역 조약을 체결하려 했고,[10] 1833년 미국은 에드먼드 로버츠를 파견했으나,[11] 두 사절 모두 베트남 내부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실패했다.[12]

자롱 황제의 후계자들은 1831년~1834년 전쟁에서 프놈펜 등 캄보디아 지역을 병합하며 시암군을 물리쳤으나, 1841년~1845년 전쟁에서 이 지역을 상실했다.

6. 프랑스 식민지 코친차이나 (1862-1945)

1858년 프랑스 제2제정의 나폴레옹 3세는 스페인군의 도움을 받아 응우옌 왕조 베트남의 다낭(투란)을 공격했다. 다낭 점령에 실패하자 연합군은 남쪽 코친차이나로 이동하여 1859년 사이공을 점령했다. 1861년 키호아 전투에서 프랑스는 응우옌 왕조군을 패배시켰다. 1862년 6월, 베트남 정부는 사이공 조약을 통해 남부 베트남의 비엔호아, 자딩, 딩투엉 3개 성을 프랑스에 할양해야 했다.[13]

1867년, 프랑스 해군 제독 피에르 드 라 그랑디에르는 베트남에게 쩌우독, 하티엔, 빈롱 3개 성을 추가로 내주도록 강요했다. 이로써 남부 베트남 전체와 메콩 삼각주가 프랑스의 지배하에 들어갔다.[14] 1871년, 프랑스에 할양된 베트남 남부 영토 전체는 코친차이나 식민지로 편입되었고, 마리 쥘 뒤프레 제독이 초대 총독을 역임했다.

1887년, 코친차이나 식민지는 프랑스 인도차이나 연방의 일부가 되었다. 코친차이나는 안남(중부 베트남)과 통킹(북부 베트남) 보호령과는 달리 법적으로나 사실상 프랑스의 직접 지배를 받았으며, 프랑스 국회에 대표를 파견했다. 1940년, 코친차이나의 유럽인 거주자는 16,550명으로 추산되었으며, 대부분 사이공에 거주했다.[15]

프랑스 당국은 쌀과 고무 생산에 대한 유럽의 통제를 확보하기 위해 베트남 지주와 농민들을 토지에서 몰아냈다.[16]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고무 수요가 증가하면서 유럽 농장들은 "통킹의 홍하 삼각주와 안남의 해안 저지대"에서 노동자들을 계약 노동자로 고용했다.[17] 이러한 이주민들은 호찌민(Ho Chi Minh)의 베트남 공산당,[18] 베트남 국민당(Việt Nam Quốc Dân Đảng) 등 지하 민족주의 정당들의 영향을 남쪽으로 가져왔다.[19] 동시에 지역 농민들은 토지세와 인두세로 인해 빚에 얽매이고 농장 노동에 종사하게 되었다.[20][21] 이러한 상황은 1916년 코친차이나 봉기(1916 Cochinchina uprising)[22]와 1930년~1932년의 광범위한 농업 및 노동 불안으로 이어졌다.[23]

1936년 프랑스 인민전선 정부의 수립은 식민지 개혁을 약속했으나, 약속을 지키지 못해 더 큰 불안이 야기되었고, 1937년 여름에는 전반적인 부두 및 운송 파업으로 절정에 달했다.[24][25] 1940년 11월, 코친차이나의 공산당은 "농민에게 땅을, 노동자에게 자유를, 베트남에게 독립을"이라는 슬로건 아래[27] 광범위한 1940년 코친차이나 봉기(1940 Cochinchina uprising)를 선동했다. 메콩 삼각주에서의 전투는 연말까지 계속되었다.[28][29]

7. 남부 저항 전쟁과 남베트남으로의 통합 (1945-1955)

1945년 8월 일본 항복 후, 베트민은 사이공에 임시 정부(남부 행정 위원회)를 수립했다. 사이공에서는 영국군과 항복한 일본군의 지원을 받은 프랑스의 복귀 과정에서 발생한 폭력 사태가 9월 23일 전반적인 봉기를 촉발했다.[30] 이후 남부 저항 전쟁(Nam Bộ kháng chiến)으로 알려지게 된 과정에서[31] 베트민은 경쟁 저항 세력들을 물리쳤지만, 1945년 말까지 사이공과 주요 도시 중심부에서 농촌으로 밀려났다.[32]

1945년 이후 코친차이나의 지위는 프랑스와 호찌민베트민 사이의 불화의 원인이 되었다. 1946년 프랑스는 코친차이나를 "자치 공화국"으로 선포했는데, 이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원인 중 하나였다. 1948년 코친차이나의 명칭은 "남베트남 임시 정부"로 변경되었다. 이듬해 베트남 중앙 임시 정부와 합병되었고, 전 황제 바오다이를 국가 원수로 하는 베트남국이 공식적으로 수립되었다.[33]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이후 베트남의 일시적 분할은 제네바에서 합의되었고, 프랑스와 미국의 후원 아래 코친차이나는 1955년 북위 17도선 이남의 안남과 합쳐져 응오딘지엠 대통령의 지휘 아래 "남베트남"인 베트남 공화국을 형성했다.[34]

참조

[1] 논문 Village Culture and the Vietnamese Revolution 1982-02-00
[2] 서적 Nguyễn Cochinchina: Southern Vietnam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SEAP Publications 1998-00-00
[3] 서적 A Coastal Panorama of Cochinchina (Vietnam) and Champa in the ''Peregrinação'' ''Fernão Mendes Pinto e a ''Peregrinação'': Viagens, Visoes, e Encontros 2009-00-00
[4] 서적 New Perspectives on the History and Historiography of Southeast Asia: Continuing Explorat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1-00-00
[5] 서적 Nguyễn Cochinchina: southern Vietnam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SEAP Publications
[6] 서적 Southeast Asia in the Age of Commerce. Vol 2: Expansion and Crisis Yale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Propagation of Islam in the Indonesian-Malay Archipelago Malaysian Sociological Research Institute
[8] 서적 A glossary of colloquial Anglo-Indian words and phrases: Hobson-Jobs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9] 서적 Nguyễn Cochinchina: Southern Vietnam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SEAP Publications
[10] 서적 Journal of an Embassy from the Governor-general of India to the Courts of Siam and Cochin China https://books.google[...] H. Colburn and R. Bentley 2012-02-02
[11] 서적 Embassy to the Eastern courts of Cochin-China, Siam, and Muscat : in the U.S. sloop-of-war Peacock ... during the years 1832–3–4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2012-04-25
[12] 서적 A Voyage Round the World: Including an Embassy to Muscat and Siam in 1835, 1836 and 1837.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2012-04-25
[13] 서적 Indochine : la colonisation ambiguë 1858–1954 La Découverte
[14] 웹사이트 Conquest and Colonisation of Vietnam https://alphahistory[...] 2018-00-00
[15] 서적 Indochine : la colonisation ambiguë 1858–1954 La Découverte
[16] 논문 Land codes and the state in French Cochinchina c. 1900–1940 https://www.scienced[...] 2003-07-00
[17] 서적 'White Gold' or 'White Blood'?
[18] 서적 Violence and Colonial Order
[19] 서적 In the Crossfire: Adventures of a Vietnamese Revolutionary AK Press 2010-00-00
[20] 서적 Vietnamese Tradition on Trial
[21] 서적 'White Gold' or 'White Blood'?
[22] 서적 Vietnamese anticolonialism, 1885–1925 University of California
[23] 서적 In the Crossfire: Adventures of a Vietnamese Revolutionary AK Press 2010-00-00
[24] 서적 Revolutionnaires Vietnamiens et pouvoir colonial en Indochine François Maspero
[25] 서적 In the Crossfire: Adventures of a Vietnamese Revolutionary
[26] 웹사이트 Sky without Light: a Vietnamese Tragedy https://newpol.org/r[...] New Politics 2019-10-10
[27] 논문 Labor Unions in South Vietnam 1974-00-00
[28] 논문 The Indochinese Communist Party and the Nam Ky Uprising in Cochin China November December 1940 1997-11-00
[29] 웹사이트 Inequality and Insurgency in Vietnam: A re-analysis https://www.vietnam.[...] 2018-11-09
[30] 서적 In the Crossfire: Adventures of a Vietnamese Revolutionary
[31] 웹사이트 Concert to mark 66th anniversary of the Southern Resistance War http://www.saigon-gp[...]
[32] 서적 The Communist Road to Power in Vietnam Westview Press
[33] 서적 Les Guerres d'Indochine Pygmalion – Gérard Watelet
[34] 서적 Cauldron of resistance: Ngo Dinh Diem, the United States, and 1950s southern Vietnam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35] 문서 Con Dao Prison
[36]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37] 저널 Village Culture and the Vietnamese Revolution 1982-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