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카서스장수풍뎅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카서스장수풍뎅이는 수컷의 경우 3개의 뿔과 90~130mm의 크기를 가지며, 아시아에서 가장 큰 딱정벌레 중 하나로, 동남아시아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곤충이다. 수컷은 짝짓기를 위해 뿔을 사용하여 다른 수컷과 경쟁하며, 암컷은 50~60mm 크기에 벨벳 질감의 딱지날개를 가진다. 애벌레는 부엽토를 먹고 자라며, 성충은 3~5개월 정도 산다. 코카서스장수풍뎅이는 아틀라스장수풍뎅이와 유사하나, 하부 뿔에 작은 이빨이 있는 점이 다르다. 공격적인 성격으로 인해 단독 사육이 필요하며, 4개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수풍뎅이아과 - 악타이온코끼리장수풍뎅이
악타이온코끼리장수풍뎅이는 몸길이가 최대 12cm에 달하는 대형 종으로,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며 수컷은 머리에 뿔이 있고, 유충 기간이 약 3년으로 긴 특징을 가진다. - 장수풍뎅이아과 -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는 딱정벌레목 장수풍뎅이과의 곤충으로, 수컷은 뿔이 있고 180mm 이상으로 가장 긴 종이며, 13개의 아종으로 나뉘고 열대 우림의 수액이나 과즙을 먹으며 썩은 나무를 먹는 유충은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코카서스장수풍뎅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halcosoma chiron |
명명자 | Olivier, 1789 |
이명 | Chalcosoma caucasus (Fabricius, 1801) |
영명 | Caucasus beetle (코카서스 쇠똥구리)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강 | 곤충강 |
목 | 딱정벌레목 |
아목 | 장수풍뎅이아목 |
상과 | 풍뎅이상과 |
과 | 풍뎅이과 |
아과 | 장수풍뎅이아과 |
족 | 장수풍뎅이족 |
속 | 아틀라스장수풍뎅이속 (Chalcosoma) |
종 | 키론장수풍뎅이 (C. chiron) |
아종 |
2. 특징
코카서스장수풍뎅이(Chalcosoma chironlat)는 장수풍뎅이과에 속하는 대형 딱정벌레이며, ''Chalcosoma'' 속에서 가장 크고 아시아에서 가장 큰 딱정벌레 중 하나로 꼽힌다.[4] 수컷은 머리와 가슴에 크고 위협적인 3개의 뿔을 가지지만 암컷은 뿔이 없는 뚜렷한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4] 수컷은 이 뿔을 이용해 암컷과의 짝짓기 권리를 두고 다른 수컷과 격렬하게 싸운다.[4]
외형은 아틀라스장수풍뎅이와 매우 유사하여 혼동하기 쉽지만, 수컷의 머리뿔 중간에 작은 돌기가 추가로 발달하는 점(소형 개체 제외)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12][4] 암컷의 딱지날개는 미세한 털로 덮여 있어 벨벳 같은 질감을 나타낸다.[4]
주요 서식지는 해발 1000m가 넘는 동남아시아의 열대우림이며[12], 성충은 '로탄(Rotan)'이라 불리는 야자나무과 식물이나 아카시아 나무의 수액을 먹고 생활한다.[12] 애벌레는 부엽토나 썩은 나무를 먹고 자라며, 땅속에서 약 12~15개월의 긴 유충 기간을 보낸다.[5][12] 번데기 과정을 거쳐 성충이 된 후의 수명은 약 3~5개월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암컷이 수컷보다 오래 산다.[5]
2. 1. 형태
수컷의 몸길이는 45~135mm, 암컷은 40~74mm에 달한다.[12][4][7] 이는 ''Chalcosoma'' 속에서 가장 크며, 아시아에서 가장 큰 딱정벌레 중 하나이다.[4]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보다는 작고 아틀라스장수풍뎅이와는 크기와 형태가 거의 비슷하다.[12]뚜렷한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 수컷은 크고 암컷은 훨씬 작다. 수컷은 머리와 가슴에 크고 굽은 뿔을 가지고 있지만 암컷은 뿔이 없다. 암컷의 딱지날개는 작은 털로 덮여 있어 벨벳과 같은 질감을 가진다.[4]
수컷은 머리에 1개, 앞가슴 등판에 2개, 총 3개의 뿔을 가지고 있어 영어로는 스리 혼 비틀(Three Horned Beetleeng)이라고도 불린다.[7] 수컷의 머리뿔 중간에는 돌기가 하나 더 발달하는 것이 특징인데[12], 이를 통해 아틀라스장수풍뎅이와 구별할 수 있다. 아틀라스장수풍뎅이는 하부 뿔에 작은 이빨이 있다.[4] 다만, 코카서스장수풍뎅이 소형 개체에서는 머리뿔 돌기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동정이 어려울 수 있다.[12] 대형 수컷 개체는 앞가슴 중앙 앞쪽 근처에 짧은 뿔 모양의 돌기를 하나 더 갖추기도 한다.[7] 수컷은 이 뿔들을 이용해 암컷과의 짝짓기 권리를 얻기 위해 다른 수컷과 싸운다.[4] 싸울 때는 3개의 뿔과 함께 크고 날카로운 발톱이 달린 긴 다리를 능숙하게 사용하며, 긴 가슴뿔과 머리뿔로 상대를 끼워 강력한 힘으로 나무에서 떼어내 던진다.[7]
머리와 앞가슴은 검은색이며, 가운데가슴, 뒷가슴, 배, 다리의 넓적다리마디 및 앞날개는 짙은 적갈색에서 흑갈색을 띤다. 앞날개는 청동색, 녹청동색, 자청동색, 적동색 등 개체에 따라 다양한 금속 광택을 띤다.[7]
대형 딱정벌레 중에서는 다리의 발마디(부절)가 부러지기 쉽다. 날카로운 발톱을 가진 긴 앞다리는 사람의 손이나 옷에 달라붙으면 떼어내기 어려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앞가슴 등판 뒤쪽 가장자리가 날카로운 칼날 모양을 하고 있어, 이곳과 앞날개 사이에 부주의하게 손가락을 넣으면 닫힐 때 끼여 피부가 베이고 출혈을 동반한 부상을 입을 수 있다. 이 힘은 나무젓가락을 쉽게 부러뜨릴 정도이다.[7]
2. 2. 생태
코카서스장수풍뎅이는 해발 1000m가 넘는 동남아시아의 열대우림에 서식한다.[12] 성충은 주로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이지만, 날씨나 영양 상태에 따라 낮에도 활동하는 개체가 있다. 활발하게 비행하며 등불에도 잘 날아든다. 성충은 '로탄(Rotan)'이라 불리는 야자나무과 식물이나 아카시아의 수액을 먹고[12], 사탕야자(Arenga pinnata), 커피나무, 콩과 나무 등에도 모인다는 보고가 있다.이 종은 성적 이형성이 뚜렷하게 나타난다.[4] 수컷은 몸길이가 45~135mm에 달하며[12], 머리와 가슴에 크고 굽은 뿔 3개(머리 1개, 가슴 2개)를 가지고 있다. 이 뿔은 다른 수컷과 싸워 암컷과의 짝짓기 권리를 얻는 데 사용된다.[4] 아틀라스장수풍뎅이와 비슷하지만, 수컷의 머리뿔 중간에 돌기가 하나 더 있고 하부 뿔에는 작은 이빨이 있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다만 작은 개체에서는 머리뿔 돌기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12] 암컷은 수컷보다 작아 몸길이가 50~74mm 정도이며[12], 뿔이 없고 딱지날개에 벨벳 같은 질감을 주는 작은 털들이 덮여 있다.[4]
애벌레는 썩은 나무나 부엽토를 먹고 자라며[12], 땅속에서 12~15개월 동안 세 번의 탈피를 거쳐 성장한다. 일반적으로 수컷 애벌레가 암컷보다 더 오랜 기간을 보낸다.[5] 애벌레는 나무 속이나 땅속에 방을 만들어 번데기가 된다.[12] 번데기 기간은 1~2개월이다.[5] 자연 상태에서 알에서 성충까지 약 2년이 걸리는 것으로 생각된다. 암컷은 정글의 썩은 쓰러진 나무나 그 아래 흙에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충의 수명은 사육 환경에서는 최대 반년, 학술적으로 확인된 바로는 약 4개월 정도이지만[5], 야생에서는 약 2~3개월 정도로 추정된다. 암컷이 수컷보다 더 오래 산다.[5] 우화 후 활동을 시작하고 약 2개월이 지나면 다리의 부절부터 괴사하여 떨어져 나가는 등 급격한 노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 상태가 되면 야생에서는 생존이 어려워 실질적인 수명으로 간주된다.
2. 3. 성격
코카서스장수풍뎅이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강한 투쟁심이다.[8] 이 흉폭함은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나 코끼리장수풍뎅이 같은 다른 대형 장수풍뎅이들과 비교해도 눈에 띌 정도이다. 공격 대상은 같은 종의 다른 수컷이나 다른 종류의 곤충뿐만 아니라, 짝짓기 상대인 암컷에게까지 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특히 짝짓기를 거부하는 암컷을 공격하기도 한다. 싸움에서 이긴 상대를 단순히 굴복시키는 것을 넘어, 죽은 상대의 사체를 훼손하는 행동을 보이기도 하는데, 먹이로 삼는 경우가 아닌 이상 이런 행동을 보이는 종은 매우 드물다.수컷뿐만 아니라 암컷 역시 성격이 매우 사납기 때문에, 성충은 여러 마리를 함께 기르는 것이 어렵다. 성충뿐만 아니라 유충 시기에도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며, 큰 턱으로 무는 힘이 강하다. 유충에게 물리면 통증이 심하고, 때로는 피가 날 수도 있다.
3. 분포
코카서스장수풍뎅이는 동남아시아 장수풍뎅이의 대표종으로, 자와섬, 수마트라섬, 말레이반도, 미얀마, 태국, 인도차이나 반도 등 동남아시아 대부분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해발 800m에서 2000m 사이의 열대 고지대림 및 운무림에 주로 서식하며, 특히 해발 1200m에서 1700m 사이 고도에서 개체수가 많고 큰 개체들이 발견된다. 이름에 '코카서스'가 들어가지만 실제 코카서스 지방과는 관련이 없다. 이는 고대 스키타이어로 '흰 눈'을 뜻하는 '크로우카시스'에서 유래한 그리스어 '코카서스'(Καύκασος|카우카소스grc)에서 따온 것으로, 코카서스장수풍뎅이의 딱지날개가 가진 광택을 비유한 이름이다.
4. 학명
코카서스장수풍뎅이는 1801년 곤충학자 파브리시우스에 의해 ''Chalcosoma caucasus''[13]라는 학명으로 기재되어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그러나 1789년 올리비에(Olivier)라는 학자가 이미 ''Chalcosoma chiron''[14]이라는 학명으로 먼저 발표한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국제 동물 명명 규약의 선취권 원칙에 의해 ''Chalcosoma chiron''이 정식 학명으로 인정되었다.
이러한 변경은 최근 국립 스코틀랜드 박물관이 소장한 ''chiron''의 모식 표본(학명 기재의 기준이 되는 표본)을 검증한 결과, 해당 표본이 자바 섬에서 채집된 코카서스장수풍뎅이임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14]
종명인 ''chiron''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반인반마 켄타우로스의 현명하고 선량한 케이론에서 유래했다. 케이론은 헤라클레스가 실수로 쏜 독화살에 맞아 죽음을 맞이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한편, 1970년대의 일부 곤충 관련 서적에서는 이 종을 단순히 '장수풍뎅이'[11]라고 표기하기도 했다.
5. 아종
코카서스장수풍뎅이(키론장수풍뎅이)는 서식지에 따라 크게 4개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각 아종은 가슴뿔의 굵기와 굽은 정도, 몸의 두께와 너비, 둥근 모양 등 형태적인 부분에서 차이를 보인다.
- 자바 코카서스 (''Chalcosoma chiron chiron''): 인도네시아 자와섬 일대
- 말레이 코카서스 (''Chalcosoma chiron kirbii''): 말레이시아 서부
- 타이리쿠 코카서스 (''Chalcosoma chiron belangeri''): 인도차이나 반도(태국, 베트남), 말레이 반도 북부 랑카위 섬
- 수마트라 코카서스 (''Chalcosoma chiron janssensi''):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일대

5. 1. 자바 코카서스 (''C. c. chiron'')
''Chalcosoma chiron chiron'' (Olivier, 1789) 아종은 인도네시아의 자와섬 일대에 서식한다.5. 2. 수마트라 코카서스 (''C. c. janssensi'')
수마트라 코카서스(''Chalcosoma chiron janssensi'')는 1937년 Beck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일대에 분포한다.5. 3. 말레이 코카서스 (''C. c. kirbyi'')
''Chalcosoma chiron kirbii'' (Hope, 1831)는 말레이시아 서부 지역에 분포하는 아종이다.5. 4. 타이리쿠 코카서스 (''C. c. belangeri'')
Chalcosoma chiron belangeri는 1834년 Guérin-Méneville에 의해 명명되었다. 주로 인도차이나 반도(태국, 베트남)와 말레이 반도 북부의 랑카위 섬 일대에 서식한다.6. 사육
헤라클레스 장수풍뎅이에 비해 수명이나 온도 등의 문제 때문에 사육이 다소 어렵다고 여겨진다. 원래 서식지는 적도 부근이지만, 해발 고도가 높은 시원한 숲에 서식하기 때문에 더위에 약하며, 대략 15°C~20°C 전후가 적정 온도이다. 따라서 냉방 시설 등으로 온도를 관리하지 않으면 여름을 나기 어렵다. 하지만 방충(야외에 풀어주는 행위)은 엄격히 금지된다.
성격이 거칠어 동족을 죽이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므로 수컷은 물론 암컷도 단독으로 사육하는 것이 기본이다. 교미 시에도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대형 수컷이 난폭하게 행동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막기 위해, 일부러 뿔이 작은 소형 수컷을 교미 상대로 사용하기도 한다.
유충은 기본적으로 전문점 등에서 판매하는 장수풍뎅이용 매트에서 사육할 수 있다. 알 상태로 꺼내면 부화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사육 환경에서는 몸은 크지만 뿔이 제대로 발달하지 않는 단각형 성충이 되는 경우가 많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우미노 카즈오의 저서에 따르면, 낙엽이나 마른 가지를 모은 부엽토보다 썩은 나무에서 자란 유충이 더 크게 자라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10].
7. 아틀라스장수풍뎅이와의 관계
코카서스장수풍뎅이는 아틀라스장수풍뎅이와 종종 혼동되지만, 수컷의 경우 머리 뿔 아래쪽에 작은 돌기(이빨)가 있다는 점에서 구별된다.[4]
코카서스장수풍뎅이가 속한 아틀라스장수풍뎅이속(''Chalcosoma'')에는 아틀라스장수풍뎅이, 몰렌캄프장수풍뎅이, 엥가노장수풍뎅이가 포함된다. 이 중 코카서스장수풍뎅이와 아틀라스장수풍뎅이, 아틀라스장수풍뎅이와 몰렌캄프장수풍뎅이는 분포 지역이 일부 겹친다.
특히 필리핀에 서식하는 아틀라스장수풍뎅이 아종은 최대 108mm 이상으로 크게 자라며 가슴 뿔이 굽은 형태가 코카서스장수풍뎅이와 유사하여 혼동하기 쉽다. 표본만 있을 경우, 머리 뿔 밑부분에 뾰족한 돌기가 있으면 코카서스장수풍뎅이, 없으면 아틀라스장수풍뎅이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머리 뿔이 짧은 단각형 개체들은 구별이 어려울 수 있다. 다만, 실제 필리핀에는 코카서스장수풍뎅이가 분포하지 않으므로, 표본의 채집 장소를 정확히 안다면 혼동할 염려는 없다.
수마트라나 말레이 반도처럼 코카서스장수풍뎅이와 아틀라스장수풍뎅이가 함께 서식하는 지역에서는, 아틀라스장수풍뎅이가 매우 작은 편이어서 두 종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암컷의 경우, 딱지날개의 털로 구별할 수 있다. 아틀라스장수풍뎅이 암컷은 딱지날개에 작은 침 모양의 털이 나 있어 만졌을 때 거친 느낌이 들지만[4], 코카서스장수풍뎅이 암컷은 부드러운 미세한 털이 나 있어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감촉을 준다.[4] 참고로 몰렌캄프장수풍뎅이 암컷은 앞가슴의 폭이 좁고 아래쪽으로 볼록하며 다소 호리호리한 체형을 가진다.
참조
[1]
웹사이트
Taxon profile: Chalcosoma chiron (Olivier, 1789)
https://www.biolib.c[...]
2018-11-23
[2]
웹사이트
Insect Life Forms
http://www.insectlif[...]
[3]
논문
On nomenclature and synonymy of Old World Dynastinae (Coleoptera, Scarabaeidae)
Ent. Blätter
2002
[4]
웹사이트
Natural World
http://www.naturalwo[...]
[5]
웹사이트
The breeding manual of a Chalcosoma chiron
http://www1.kamakura[...]
2013-03-01
[6]
서적
カブトムシの百科
データハウス
1993
[7]
서적
カブトムシの百科
データハウス
1999
[8]
서적
カブトムシの百科
データハウス
1999
[9]
문서
[10]
서적
カブトムシの百科
データハウス
1999
[11]
문서
[12]
웹사이트
세계 희귀 곤충백과, 충우곤충박물관
https://terms.naver.[...]
[13]
웹사이트
Chalcosoma caucasus Fabricius, 1801
http://www.ubio.org/[...]
[14]
웹사이트
Chalcosoma chiron Olivier, 1789
http://www.ubio.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