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세르타시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세르타시온은 1989년 7월 6일에 결성된 칠레의 정당 연합으로, 1988년 아우구스토 피노체트의 대통령 연임에 반대하는 국민투표에서 "아니오"를 지지하며 피노체트 정권 종식에 기여했다. 1990년부터 2010년까지 파트리시오 아일윈,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타글레, 리카르도 라고스, 미첼 바첼레트 등 4명의 대통령을 배출하며 칠레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009년 선거에서 패배한 후, 2013년 신다수파로 개편되면서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칠레의 없어진 정당 연합 - 칠레 연합
칠레 연합은 1989년에 결성되어 여러 정당을 포함하며 선거에서 다양한 결과를 기록하다가 2015년 칠레 바모스에 흡수되어 소멸했다. - 칠레의 없어진 정당 연합 - 인민연합
인민연합은 1969년부터 1973년까지 칠레에서 활동한 좌파 정당 연합으로, 칠레 사회당과 공산당을 주축으로 여러 좌파 정당들이 참여하여 1970년 대선에서 살바도르 아옌데를 대통령으로 당선시켰으나, 1973년 칠레 쿠데타로 붕괴되었다. - 콘세르타시온 - 칠레 사회당
칠레 사회당은 1933년 창당된 사회주의 정당으로, 마르크스주의를 기반으로 출발하여 민주화 이후 사회민주주의 이념으로 경제, 사회, 외교 정책을 추진하며 한국과 관계를 맺고 있다. - 콘세르타시온 - 민주당 (칠레)
칠레 민주당은 1987년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군사 정권 종식과 민주주의 회복을 목표로 창당되어 사회주의, 급진주의, 사회민주주의, 자유주의 진보주의 등 다양한 이념적 배경을 가진 인사들이 참여했으며, 현재는 자유주의, 진보주의, 사회민주주의를 이념으로 표방하는 정당이다. - 1988년 설립된 정당 - 자유민주당 (영국)
자유민주당(Liberal Democrats)은 300년 이상 존재해 온 영국의 정당으로, 사회자유주의를 표방하며 유럽 연합 잔류, 선거 제도 개혁, 환경 보호 등을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 1988년 설립된 정당 - 녹색동맹
1987년 핀란드에서 환경 운동가와 페미니스트들의 대중 운동으로 시작되어 유럽 최초로 집권 연정에 참여한 녹색당인 녹색동맹은 중도좌파 성향의 진보적인 정책과 다소 보수적인 면모를 동시에 보이는 특징을 가진 정당이다.
콘세르타시온 | |
---|---|
기본 정보 | |
이름 | 콘세르타시온 데 파르티도스 포르 라 데모크라시아 |
로마자 표기 | Konsetasión de Partidos por la Democracia |
영어 이름 | Coalition of Parties for Democracy |
창립일 | 1988년 2월 2일 |
해산일 | 2013년 4월 30일 |
본부 | 칠레 산티아고 런던 57 |
후계 정당 | 신 다수파 |
정치 성향 | |
정치적 위치 | 중도좌파 |
이념 | 사회민주주의 기독교 민주주의 사회개량주의 |
의회 구성 | |
하원 | 하원 의원 수: 54 하원 의석 정수: 120 하원 의석 집계일: 2010년 |
상원 | 상원 의원 수: 19 상원 의석 정수: 38 상원 의석 집계일: 2010년 |
관련 정보 | |
국제 조직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진보동맹 |
2. 역사
콘세르타시온은 피노체트 독재 정권에 맞서 '''아니오!를 위한 정당 협력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1988년 국민투표에서 피노체트의 대통령 연임에 반대하는 "아니오" 투표를 53.21% 이끌어내며, 17년간 3천여 명을 학살한 피노체트 정권을 무너뜨렸다.[4] 이후 1989년 에르난 뷔히를 누르고 파트리시오 아일윈을 대통령에 당선시켰다. 1990년 3월 11일 아우구스토 피노체트는 칠레 기독교민주당의 파트리시오 아일윈에게 대통령직을 상징하는 띠를 건네 주었다.
협력체는 결성 초기부터 칠레 역사상 가장 강력한 연립 정치세력으로 떠올라 1990년 이후 대부분의 민주적 선거에서 지지를 받았다. 1989년 ''Concertación de Partidos por la Democracia''("민주주의를 위한 정당 연합")으로 이름을 바꾸고 파트리시오 아일윈을 대통령 후보로, 그리고 의회 선거를 위한 공동 명단을 발표했다.
1993년에는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타글레를 대통령 후보로 내세워 57%의 득표율로 우익 후보 아르투로 알레스안드리 베사를 물리쳤다. 1999년에는 리카르도 라고스가 결선 투표에서 51%의 득표율로 호아킨 라빈을 꺾고 대통령이 되었다. 2005년에는 미셸 바첼레트가 피녜라와의 결선 투표에서 승리하여 칠레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 되었다.
2009년 대통령 선거에서 야당 후보 세바스티안 피녜라에게 패배하면서 야당이 되었다. 이후 2013년 신다수파로 개편되면서 기존 콘세르타시온은 사라졌다.[5][6]
2. 1. 결성 배경
피노체트 독재 정권에 맞서기 위해 1988년 여러 정당들이 모여 '''아니오!를 위한 정당 협력체'''를 결성했다. 이 협력체는 1988년 국민투표에서 피노체트의 대통령 연임에 반대하는 "아니오" 투표를 53.21% 이끌어내며 17년간 3천여 명을 학살한 피노체트 정권을 무너뜨렸다.[4]1987년 칠레의 독재자 피노체트 장군은 정당을 합법화하고, 1990년 이후에도 자신이 권력을 유지할지를 결정하는 국민투표를 실시했다. 기독교 민주당, 사회당, 급진당 등 여러 정당이 민주동맹에 모였다. 1988년에는 인본주의당, 생태당, 사회민주당과 여러 사회당 분파들이 피노체트의 선거 부정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지지를 더했고, 피노체트 정권 연장에 반대하는 운동을 펼치기 위해 ''Concertación de Partidos por el NO''("NO를 위한 정당 연합")을 결성했다.
최초의 당 대표 협의회를 구성한 정당과 지도자들은 다음과 같다.
정당 | 직책 | 지도자 | 비고 |
---|---|---|---|
대표 | 파트리시오 아일윈 | 콘세르타시온 대변인으로 지명됨. | |
헤나로 아리아가다 | 콘세르타시온 사무총장으로 지명됨. | ||
사무총장 | 클로도미로 알메이다 | «PS-Almeyda» 계열 지도자. | |
사무총장 | 후안 구티에레스 소토 | «PS-Histórico» 계열 지도자. | |
사무총장 | 마누엘 만두하노 | «PS-Mandujano» 계열 지도자. | |
사무총장 | 리카르도 누녜스 | 사회당 24차 전당대회 지도자. | |
![]() | 대표 | 리카르도 라고스 | |
![]() | 대표 | 라몬 실바 | |
대표 | 엔리케 실바 씨마 | ||
사회민주급진당 (PRSD) | 대표 | 루이스 페르난도 루엔고 | |
![]() | 대표 | 아마도르 나바로 | |
![]() | 대표 | 볼프강 프리외르 | |
사무총장 | 빅토르 바루에토 | ||
![]() | 사무총장 | 페르난도 아빌라 이야네스 | |
조정자 | 루이스 마이라 | ||
대표 | 호세 토마스 사엔츠 | ||
![]() | 대표 | 우고 세페다 바리오스 | |
![]() | 대표 | 안드레스 코리즈마 |
선거 운동 기간 동안, 연합은 "기쁨이 온다"(''La alegría ya viene'')라는 슬로건 아래 다채롭고 즐거운 운동을 조직했다. 일부 사회주의 계파는 피노체트의 선거 부정을 우려하여 국민투표 참여를 꺼렸으나, 결국 "NO" 투표가 54%의 득표율로 승리하면서 총선이 실시되었다.
1989년 연합은 이름을 ''Concertación de Partidos por la Democracia''("민주주의를 위한 정당 연합")으로 변경하고 기독교 민주당 지도자인 파트리시오 아일윈을 대통령 후보로, 그리고 의회 선거를 위한 공동 명단을 발표했다.
2. 2. 아니오!를 위한 정당 협력체 (Concertación de Partidos por el NO)
1988년 칠레 국민투표에서 피노체트의 대통령 연임에 반대하기 위해 결성된 정당 협력체이다. 원래 이름은 '''아니오!를 위한 정당 협력체'''(Concertación de Partidos por el NO)였다.1987년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장군은 정당을 합법화하고 1990년 이후에도 권력을 유지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국민투표를 실시했다. 민주동맹에 모였던 기독교 민주당, 사회당, 급진당 등 여러 정당은 인본주의당, 생태당, 사회민주당, 그리고 여러 사회당 분파들과 함께 피노체트의 선거 부정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피노체트 정권 연장에 반대하는 운동을 펼치기 위해 ''"아니오!를 위한 정당 협력체"''를 결성했다.
최초의 당 대표 협의회를 구성한 정당과 지도자들은 다음과 같다.[4]
정당 | 직책 | 지도자 | 비고 |
---|---|---|---|
기독교 민주당 (PDC) | 대표 | 파트리시오 아일윈 | 콘세르타시온 대변인으로 지명됨. |
헤나로 아리아가다 | 콘세르타시온 사무총장으로 지명됨. | ||
사회당 (PS) | 사무총장 | 클로도미로 알메이다 | «PS-Almeyda» 계열 지도자. |
사무총장 | 후안 구티에레스 소토 | «PS-Histórico» 계열 지도자. | |
사무총장 | 마누엘 만두하노 | «PS-Mandujano» 계열 지도자. | |
사무총장 | 리카르도 누녜스 | 사회당 24차 전당대회 지도자. | |
민주당 (PPD) | 대표 | 리카르도 라고스 | |
인민사회주의연합 (USOPO) | 대표 | 라몬 실바 | |
급진당 (PR) | 대표 | 엔리케 실바 씨마 | |
사회민주급진당 (PRSD) | 대표 | 루이스 페르난도 루엔고 | |
사회민주당 (SDCH) | 대표 | 아마도르 나바로 | |
민족민주당 (PADENA) | 대표 | 볼프강 프리외르 | |
인민통합행동운동 (MAPU) | 사무총장 | 빅토르 바루에토 | |
MAPU 노동농민당 (MAPU-OC) | 사무총장 | 페르난도 아빌라 이야네스 | |
기독교좌파 (IC) | 조정자 | 루이스 마이라 | |
인본주의당 (PH) | 대표 | 호세 토마스 사엔츠 | |
자유공화동맹 (ULR) | 대표 | 우고 세페다 바리오스 | |
녹색당 (PLV) | 대표 | 안드레스 코리즈마 |
"기쁨이 온다"(''La alegría ya viene'')라는 슬로건 아래 조직된 선거 운동은 다채롭고 즐거운 분위기로 진행되었다. 일부 사회주의 계파는 피노체트의 선거 부정을 우려하여 국민투표 참여를 꺼렸으나, 결국에는 협력체에 합류하였다. 1988년 10월 5일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NO" 투표가 54%의 득표율로 승리하여 총선이 실시되었다.
이후 협력체는 1989년 7월 6일 ''"민주주의를 위한 정당 연합"''으로 이름을 바꾸고, 1989년 총선에서 기독교 민주당 지도자인 파트리시오 아일윈을 대통령 후보로, 그리고 의회 선거를 위한 공동 명단을 발표했다. 1990년에 치러진 선거에서 아일윈은 대통령에 당선되었고, 협력체는 하원에서 다수당이 되었다.
2. 3. 민주화를 위한 정당 협력체 (Concertación de Partidos por la Democracia)
협력체는 원래 피노체트 독재 정권에 맞서 '''아니오!를 위한 정당 협력체'''라고 불렸다. 1988년 국민투표에서 53.21%의 "아니오"를 이끌어내, 17년간 3천여 명을 학살한 피노체트 정권을 타도했다. 이후 1989년 에르난 뷔히를 이기고 파트리시오 아일윈을 대통령에 당선시켰다. 1990년 3월 11일 아우구스토 피노체트는 칠레 기독교민주당의 파트리시오 아일윈에게 대통령직을 상징하는 천을 건네 주었다.[4]형성기부터 협력체는 칠레 역사상 가장 강력한 연립 정치세력으로 부상하여 1990년 이후 대부분의 민주적 선거 지지를 받았다.
최초의 당 대표 협의회를 구성한 정당과 지도자들은 다음과 같다.
정당 | 직책 | 지도자 |
---|---|---|
기독교 민주당 (PDC) | 대표 | 파트리시오 아일윈 |
헤나로 아리아가다 | ||
사회당 (PS) | 사무총장 | 클로도미로 알메이다 |
사무총장 | 후안 구티에레스 소토 | |
사무총장 | 마누엘 만두하노 | |
사무총장 | 리카르도 누녜스 | |
민주당 (PPD) | 대표 | 리카르도 라고스 |
인민사회주의연합 (USOPO) | 대표 | 라몬 실바 |
급진당 (PR) | 대표 | 엔리케 실바 씨마 |
사회민주급진당 (PRSD) | 대표 | 루이스 페르난도 루엔고 |
사회민주당 (SDCH) | 대표 | 아마도르 나바로 |
민족민주당 (PADENA) | 대표 | 볼프강 프리외르 |
인민통합행동운동 (MAPU) | 사무총장 | 빅토르 바루에토 |
MAPU 노동농민당 (MAPU-OC) | 사무총장 | 페르난도 아빌라 이야네스 |
기독교좌파 (IC) | 조정자 | 루이스 마이라 |
인본주의당 (PH) | 대표 | 호세 토마스 사엔츠 |
자유공화동맹 (ULR) | 대표 | 우고 세페다 바리오스 |
녹색당 (PLV) | 대표 | 안드레스 코리즈마 |
1989년 이름을 ''Concertación de Partidos por la Democracia''("민주주의를 위한 정당 연합")으로 변경하고 파트리시오 아일윈을 대통령 후보로, 그리고 의회 선거를 위한 공동 명단을 발표했다. 1993년에는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타글레를 대통령 후보로 내세웠다. 그는 57%의 득표율로 우익 후보 아르투로 알레스안드리 베사를 물리쳤다.
1999년 연합은 리카르도 라고스를 대통령 후보로 내세웠고, 결선 투표에서 51%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2005년에는 미셸 바첼레트가 연합의 후보가 되었고, 2005년 12월 11일 45%의 득표율로 승리했지만 피녜라와 결선 투표를 치러야 했다. 2006년 1월 15일, 결선 투표에서 바첼레트는 거의 54%의 득표율로 승리하여 칠레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 되었다.
2009년 대통령 선거에서 야당 후보 세바스티안 피녜라에 패배해, 야당이 됐다. 이후 2013년 신다수파로 개편되면서 기존 콘세르타시온은 사라졌다.[5][6]
2. 4. 집권 시기 (1990-2010)
협력체는 원래 피노체트 독재 정권에 맞서 '''아니오!를 위한 정당 협력체'''라고 불렸다. 1988년 국민투표에서 피노체트를 승인하는 "예"에 맞서 53.21%의 "아니오"를 이끌어내, 17년간 3천여 명을 학살한 피노체트 정권을 타도했다. 이후 1989년 시카고 보이 에르난 뷔히를 이기고 파트리시오 아일윈을 대통령에 당선시켰다.[4] 1990년 3월 11일 아우구스토 피노체트는 칠레 기독교민주당의 파트리시오 아일윈에게 대통령직을 상징하는 천을 건네 주었다.형성기부터 협력체는 칠레 역사상 가장 강력한 연립 정치세력으로 부상하여 1990년 이후 대부분의 민주적 선거 지지를 받았다. 민주화를 위한 정당 협력체는 두 명의 기민당 후보와 두 명의 사회당 후보 아래 네 번 연속 대통령 임기 동안 나라를 통치하였다.
최초의 당 대표 협의회를 구성한 정당과 지도자들은 다음과 같다.
정당 | 직책 | 지도자 | 비고 |
---|---|---|---|
기독교 민주당 (PDC) | 대표 | 파트리시오 아일윈 | 콘세르타시온 대변인으로 지명됨. |
헤나로 아리아가다 | 콘세르타시온 사무총장으로 지명됨. | ||
사회당 (PS) | 사무총장 | 클로도미로 알메이다 | «PS-Almeyda» 계열 지도자. |
사무총장 | 후안 구티에레스 소토 | «PS-Histórico» 계열 지도자. | |
사무총장 | 마누엘 만두하노 | «PS-Mandujano» 계열 지도자. | |
사무총장 | 리카르도 누녜스 | 사회당 24차 전당대회 지도자. | |
민주당 (PPD) | 대표 | 리카르도 라고스 | |
인민사회주의연합 (USOPO) | 대표 | 라몬 실바 | |
급진당 (PR) | 대표 | 엔리케 실바 씨마 | |
사회민주급진당 (PRSD) | 대표 | 루이스 페르난도 루엔고 | |
사회민주당 (SDCH) | 대표 | 아마도르 나바로 | |
민족민주당 (PADENA) | 대표 | 볼프강 프리외르 | |
인민통합행동운동 (MAPU) | 사무총장 | 빅토르 바루에토 | |
MAPU 노동농민당 (MAPU-OC) | 사무총장 | 페르난도 아빌라 이야네스 | |
기독교좌파 (IC) | 조정자 | 루이스 마이라 | |
인본주의당 (PH) | 대표 | 호세 토마스 사엔츠 | |
자유공화동맹 (ULR) | 대표 | 우고 세페다 바리오스 | |
녹색당 (PLV) | 대표 | 안드레스 코리즈마 |
1993년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타글레가 57%의 득표율로 우익 후보 아르투로 알레스안드리 베사를 물리치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같은 해, 인본주의당, 기독교좌파, 녹색당은 연합을 탈퇴했고, 사회민주당과 급진당은 사회민주급진당으로 합당했으며, 여러 전 사회주의 계파는 사회당에 합류했다.
1999년에는 리카르도 라고스가 호아킨 라빈을 꺾고 대통령이 되었다. 칠레 역사상 처음으로 결선 투표가 실시되었고, 라고스는 51%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2005년에는 미셸 바첼레트가 45%의 득표율로 1차 투표에서 승리했지만, 과반수를 얻지 못해 세바스티안 피녜라와 결선 투표를 치렀다. 2006년 1월 15일 결선 투표에서 바첼레트는 54%의 득표율로 승리하여 칠레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 되었다. 같은 해 연합은 의회 선거에서 51.25%의 득표율을 얻어 상원 20석, 하원 65석을 확보, 양원에서 처음으로 다수당이 되었다.
1989년 7월 6일 콘세르타시온은 1989년 12월 대통령 선거에서 파트리시오 에일윈을 단일 후보로 내세워 군정 지지파를 물리쳤다. 이후 1993년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타글레(기독교 민주당), 1999년 리카르도 라고스(칠레 사회당·민주주의를 위한 당), 2005년 미셸 바첼레(칠레 사회당)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4번의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다. 그러나 2009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중도우파 정당 연합인 “변혁을 위한 동맹”이 지지한 세바스티안 피녜라가 승리하여 야당으로 전락했다.[5][6]
2. 5. 야당 시기 및 해체 (2010-2013)
2009년 칠레 대통령선거에서 야당 후보 세바스티안 피녜라에게 패배하면서 콘세르타시온은 야당이 되었다.[5][6]이후 콘세르타시온 구성 정당들 사이에서는 지방 독립당, 칠레 공산당, 진보당 등 연합 외부 정당과의 협력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기독교 민주당은 좌경화를 우려하여 이에 반대하기도 했지만, 2013년 4월 칠레 공산당, 시민좌파, 확대사회운동 등을 포함한 신다수파로 개편되면서 콘세르타시온은 해체되었다.
3. 역대 대통령
대통령 | 소속 정당 | 임기 |
---|---|---|
파트리시오 아일윈 | 기민당 | 1990년-1994년 |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타글레 | 기민당 | 1994년-2000년 |
리카르도 라고스 | 사회당 | 2000년-2006년 |
미셸 바첼레트 | 사회당 | 2006년-2010년 |
4. 구성 정당
정당 | 직책 | 지도자 | 비고 |
---|---|---|---|
기독교 민주당 (PDC) | 대표 | 파트리시오 아일윈 | 콘세르타시온 대변인으로 지명됨. |
헤나로 아리아가다 | 콘세르타시온 사무총장으로 지명됨. | ||
사회당 (PS) | 사무총장 | 클로도미로 알메이다 | «PS-Almeyda» 계열 지도자. |
사무총장 | 후안 구티에레스 소토 | «PS-Histórico» 계열 지도자.[4] | |
사무총장 | 마누엘 만두하노 | «PS-Mandujano» 계열 지도자.[4] | |
사무총장 | 리카르도 누녜스 | 사회당 24차 전당대회 지도자. | |
민주당 (PPD) | 대표 | 리카르도 라고스 | |
인민사회주의연합 (USOPO) | 대표 | 라몬 실바 | |
급진당 (PR) | 대표 | 엔리케 실바 씨마 | |
사회민주급진당 (PRSD) | 대표 | 루이스 페르난도 루엔고 | |
사회민주당 (SDCH) | 대표 | 아마도르 나바로 | |
민족민주당 (PADENA) | 대표 | 볼프강 프리외르 | |
인민통합행동운동 (MAPU) | 사무총장 | 빅토르 바루에토 | |
MAPU 노동농민당 (MAPU-OC) | 사무총장 | 페르난도 아빌라 이야네스 | |
기독교좌파 (IC) | 조정자 | 루이스 마이라 | |
인본주의당 (PH) | 대표 | 호세 토마스 사엔츠 | |
자유공화동맹 (ULR) | 대표 | 우고 세페다 바리오스 | |
녹색당 (PLV) | 대표 | 안드레스 코리즈마 | [4] |
참조
[1]
논문
Looking Back at the Defeat of Chile's Concertación: The Death of the Moderate Left or Its Gross Failure to Mount a Credible Presidential Candidate?
http://www.coha.org/[...]
2011-02-02
[2]
서적
Democracy and the Left: Social Policy and Inequality in Latin America
Chicago University Press
[3]
서적
Chile: Democracy in a Divided Polit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4]
웹사이트
1988: Concertación de Partidos por el NO
http://www.emol.com/[...]
2013-10-06
[5]
웹사이트
11月の当国政情(内政・外交)
http://www.cl.emb-ja[...]
[6]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