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콜로라투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콜로라투라는 정교하고 화려한 꾸밈음이나 장식 기법을 가리키는 용어로서, 주로 고전 시대와 낭만 시대의 성악에서 나타난다. 이 용어는 17세기 초 독일에서 처음 정의되었으며, 카덴차나 디미누션과 같은 기법을 포함한다. 모든 음역의 성악가들이 콜로라투라 기법을 구사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콜로라투라 소프라노를 지칭하며, 높은 음역대와 정교한 장식음을 요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모차르트의 오페라 《마술피리》의 밤의 여왕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페라 용어 - 멜로드라마
    멜로드라마는 과장된 감정, 극적인 줄거리, 선악이 분명한 인물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마 장르로, 18세기 프랑스에서 음악 반주가 있는 연극으로 시작되어 19세기 영국과 프랑스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20세기 영화와 텔레비전으로 확장되어 현대까지 이어지고 음악 분야에서도 활용되었다.
  • 오페라 용어 - 비브라토
    비브라토는 음악에서 음높이를 주기적으로 미세하게 흔들어 음색에 생동감과 따뜻함을 더하는 기법으로, 19세기 이후 서양 음악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다양한 악기와 장르에서 활용된다.
콜로라투라

2. 역사

'콜로라투라'는 주로 고전 시대(18세기 후반)와 낭만 시대(19세기, 특히 벨칸토)의 성악에서 나타나는 정교하고 화려한 꾸밈음이나 장식 기법을 가리킨다.[4] 그러나 15, 16, 17세기의 초기 음악과 특히 1750년경까지의 바로크 음악에도 성악가와 기악 연주자 모두에게 콜로라투라 기법이 요구되는 상당한 양의 음악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현대 음악학적 의미에서 이 용어는 음악사의 모든 시대에 걸쳐 성악과 기악 모두에서 나타나는 화려한 음악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4]

예를 들어, 독일에서는 '콜로라투라'(Koloraturde)라는 용어가 "색채주의자들"(Koloristende)이라고 불리는 독일 오르간 작곡가 그룹이 작곡한 16세기 건반 음악에서 사용된 정형화되고 공식적인 꾸밈음을 지칭하는 데 적용되었다.[2]

라틴어 'colorare'(색칠하다)에서 유래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용어는 목소리를 "채색하는" 관행, 즉 표현적 목적으로 목소리의 음질이나 음색을 변경하는 것(예를 들어, 1830년대 질베르 뒤프레가 사용한 '보아 숑브레' 기법)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2. 1. 초기 정의

'콜로라투라'라는 용어는 미하엘 프레토리우스의 《신타그마 무지쿰》(1618년), 세바스티앙 드 브로사르의 《음악 사전》(1703년), 요한 고트프리트 발터의 《음악 사전》(1732년)과 같은 초기 몇몇 비이탈리아 음악 사전에서 처음 정의되었다. 이 초기 문헌들에서 "이 용어는 간략하게 다루어졌으며, 항상 이탈리아의 용법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4]

크리스토프 베른하르트(1628년~1692년)는 '콜로라투라'를 다음 두 가지 방식으로 정의했다.[4]

  • 카덴차: "정확히 박자에 얽매이지 않고, 종종 두세 마디 이상 확장되는 선율 진행으로, 주요 종지에서만 사용해야 한다" (《노래 예술, 또는 마니에라에 대하여》, 약 1649년)
  • 디미누션: "하나의 긴 음표 대신 여러 개의 짧은 음표들이 순차 진행이나 도약 진행을 통해 다음 음으로 빠르게 이어지면서 음정이 변형되는 것" (《작곡론》, 약 1657년)


이 용어는 줄리오 카치니의 《새로운 음악》(1601/2년), 피에르 프란체스코 토시의 《고대와 현대 가수들의 견해》(1723년), 지오반니 바티스타 만치니의 《성악에 대한 실제적 사고와 성찰》(1774년), 마누엘 가르시아의 《인간의 목소리에 대한 회고록》(1841년), 《완전한 노래 예술론》(1840~47년)과 같은 가장 유명한 이탈리아 성악 관련 문헌들에서는 전혀 사용되지 않았다. 또한 꾸밈음이 필수적이었던 시기의 이탈리아 노래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 영국 저자 찰스 버니(1726년~1814년)와 헨리 포더길 초얼리(1808년~1872년)도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다.[4]

2. 2. 이탈리아 성악 문헌의 부재

미하엘 프레토리우스의 《신타그마 무지쿰》(1618년), 세바스티앙 드 브로사르의 《음악 사전》(1703년), 요한 고트프리트 발터의 《음악 사전》(1732년)과 같은 초기 몇몇 비이탈리아 음악 사전에서 '콜로라투라'라는 용어가 처음 정의되었다. 이 초기 문헌들에서 이 용어는 간략하게 다루어졌으며, 항상 이탈리아의 용법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4]

크리스토프 베른하르트(1628년~1692년)는 '콜로라투라'를 다음 두 가지 방식으로 정의했다.[4]

  • 카덴차: "정확히 박자에 얽매이지 않고, 종종 두세 마디 이상 확장되는 선율 진행으로, 주요 종지에서만 사용해야 한다" (《노래 예술, 또는 마니에라에 대하여》, 약 1649년)
  • 디미누션: "하나의 긴 음표 대신 여러 개의 짧은 음표들이 순차 진행이나 도약 진행을 통해 다음 음으로 빠르게 이어지면서 음정이 변형되는 것" (《작곡론》, 약 1657년)


줄리오 카치니의 《새로운 음악》(1601/2년), 피에르 프란체스코 토시의 《고대와 현대 가수들의 견해》(1723년), 지오반니 바티스타 만치니의 《성악에 대한 실제적 사고와 성찰》(1774년), 마누엘 가르시아의 《인간의 목소리에 대한 회고록》(1841년), 《완전한 노래 예술론》(1840~47년)과 같은 가장 유명한 이탈리아 성악 관련 문헌들에서는 이 용어가 전혀 사용되지 않았다. 또한 꾸밈음이 필수적이었던 시기의 이탈리아 노래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 영국 저자 찰스 버니(1726년~1814년)와 헨리 포더길 초얼리(1808년~1872년)도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다.[4]

2. 3. 현대적 용법

'콜로라투라'라는 용어는 주로 고전 시대(18세기 후반)와 낭만 시대(19세기, 특히 벨칸토)의 성악에서 나타나는 정교하고 화려한 꾸밈음이나 장식 기법을 가리킨다.[4] 그러나 15, 16, 17세기의 초기 음악과 특히 1750년경까지의 바로크 음악에도 성악가와 기악 연주자 모두에게 콜로라투라 기법이 요구되는 상당한 양의 음악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현대 음악학적 의미에서 이 용어는 음악사의 모든 시대에 걸쳐 성악과 기악 모두에서 나타나는 화려한 음악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4] 예를 들어, 독일에서는 '콜로라투라'(Koloraturde)라는 용어가 "색채주의자들"(Koloristende)이라고 불리는 독일 오르간 작곡가 그룹이 작곡한 16세기 건반 음악에서 사용된 정형화되고 공식적인 꾸밈음을 지칭하는 데 적용되었다.[2]

라틴어 'colorare'(색칠하다)에서 유래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용어는 목소리를 "채색하는" 관행, 즉 표현적 목적으로 목소리의 음질이나 음색을 변경하는 것(예를 들어, 1830년대 질베르 뒤프레가 사용한 '보아 숑브레' 기법)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3. 음역

콜로라투라는 특정 음역의 목소리에 국한되지 않는다.[3] 모든 여성 및 남성 성악가들이 콜로라투라 기법을 숙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음악 장르에서 모든 음역대의 콜로라투라 부분이 존재한다.[3] 다만, '콜로라투라'라는 용어는 별다른 설명 없이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소프라노 디 콜로라투라(soprano di coloraturait)를 의미한다.

3. 1. 소프라노 콜로라투라

'콜로라투라'라는 용어는 추가 설명 없이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소프라노 디 콜로라투라(soprano di coloraturait)를 의미한다. 콜로라투라 소프라노는 높은 4옥타브 도(C) 이상의 음을 낼 수 있는 성악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2옥타브 라(A)에서 3옥타브 라(A) 또는 그 이상의 음역대(테시투라)를 가진다[2옥타브 솔(G)~3옥타브 솔(G) 또는 그 이하의 음역대를 가진 낮은 소프라노와는 달리]. 콜로라투라 소프라노 역할은 모차르트의 《마술피리》에 나오는 밤의 여왕이 가장 유명한 예로,[5] 높은 음역대와 함께 정교한 장식음과 꾸밈음을 쉽게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며, 여기에는 빠른 음계 진행, 스타카토, 트릴 등이 포함된다.

소프라노 역할에서 나온 콜로라투라 구절의 예시. 이는 높은 4옥타브 레(D)로의 도약을 포함한 더 어려운 변주(상단 보표)를 포함한다. 앙브루아즈 토마의 오페라 《햄릿》(1868년)에서 오필리아의 광란 장면(4막)의 왈츠에 나오는 최종 카덴차([http://imslp.org/wiki/Hamlet_(Thomas,_Ambroise) 피아노-성악 악보], 292쪽).


리처드 밀러는 두 가지 유형의 소프라노 콜로라투라 음성(콜로라투라와 드라마틱 콜로라투라)을 언급했다.[6]

3. 2. 메조소프라노 및 콘트랄토 콜로라투라

이 용어는 특정 음역의 목소리에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여성과 남성 음역의 성악가들이 콜로라투라 기법을 숙달할 수 있다. 다양한 음악 장르에서 모든 음역대의 콜로라투라 부분이 존재한다.[3]

리처드 밀러는 메조소프라노 콜로라투라 음성을 언급했다.[7] 그는 콜로라투라 콘트랄토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콘트랄토 음성에 콜로라투라 기법이 요구되는 특정 작품들을 언급했다.[8]

다음은 다양한 음역대의 콜로라투라 음악 예시이다.

3. 3. 테너 및 베이스 콜로라투라

콜로라투라는 특정 음역의 목소리에 국한되지 않는다. 모든 여성과 남성 음역의 성악가들이 콜로라투라 기법을 숙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음악 장르에서 모든 음역의 콜로라투라 부분이 존재한다.[3]

헨델의 《메시아》 중 아리아 〈모든 골짝이 높아지리라〉는 테너를 위한 콜로라투라 곡의 예시이다. 모차르트의 《후궁으로부터의 도주》에 등장하는 오스민은 베이스를 위한 콜로라투라 역할이다.

4. 대표적인 콜로라투라 역할 및 작품

다음은 대표적인 콜로라투라 역할 및 작품들이다.



참조

[1] 서적 Oxford American Dictionaries
[2] 서적 1969
[3] 서적 Coloratura 1992
[4] 웹사이트 Coloratura http://www.grovemusi[...] 2006-11-27
[5] 서적 1986
[6] 서적 2000
[7] 서적 2000
[8] 서적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