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브루아즈 토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브루아즈 토마는 1811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19세기 프랑스의 오페라 작곡가이다. 그는 파리 음악원에서 작곡을 공부하고 로마 대상을 수상하며 경력을 시작했다. 오페라 코미크 극장에서 성공적인 데뷔를 한 후, 파리 음악원 교수로 임명되어 많은 제자를 배출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오페라 《미뇽》과 《햄릿》이 있으며, 1871년에는 파리 음악원 원장이 되었다. 토마스는 간결하고 아름다운 선율과 효과적인 인물 묘사로 칭찬을 받았지만, 보수적인 교육관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1896년 사망했으며, 당시 주세페 베르디와 맞먹는 성공을 거둔 작곡가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스 출신 - 폴 베를렌
폴 베를렌은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상징주의 시인으로, 격정적이고 방탕한 삶과 아르튀르 랭보와의 관계로 유명하며, 독특한 시적 기법과 음악적인 시어로 상징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여러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준 '저주받은 시인'이다. - 메스 출신 - 아당 필리프 드 퀴스틴 백작
아당 필리프 드 퀴스틴 백작은 프랑스의 귀족 장군이자 정치인으로, 7년 전쟁과 미국 독립 전쟁에서 활약하고 프랑스 혁명 기간 라인란트 지역을 점령하는 등 활약했으나, 반역죄로 기소되어 단두대에서 처형되었으며, 그의 군사적 재능과 인간적인 면모, 허영심과 독선적인 태도, 혁명 정부와의 복잡한 관계, 그리고 니더빌러 파이앙스 공장 투자는 그의 삶의 특징을 보여준다. - 1811년 출생 - 막시밀리안 2세 (바이에른)
막시밀리안 2세는 바이에른 왕국의 왕으로, 학구적인 성향을 보이며 문화, 교육, 예술 발전에 힘썼으나 보수적인 반발에 직면했고, 프로이센의 범독일주의에 맞서 바이에른의 정체성을 강화하려 노력하다가 1864년 사망했다. - 1811년 출생 - 아이작 메릿 싱어
아이작 메릿 싱어는 기존 재봉틀 디자인을 개선하여 실용적인 재봉틀을 발명하고 특허를 취득했으며, 싱어사를 설립하여 재봉틀을 대량 생산, 판매함으로써 세계 의류 산업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온 미국의 발명가이자 기업가, 배우였다. - 1896년 사망 - 김홍집
김홍집은 조선 말기 온건 개화파 정치가로서 일본에 수신사로 다녀온 후 개화사상을 수용하고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을 주도했으나, 친일 정책과 단발령으로 민심을 잃고 아관파천 때 살해당하며 조선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일본 간섭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1896년 사망 - 윌리엄 모리스
윌리엄 모리스는 빅토리아 시대 산업화에 반발하여 수공예 부흥을 추구한 영국의 예술가, 디자이너, 시인, 소설가, 사회주의 운동가이며 아츠 앤 크래프츠 운동의 선구자로서 모리스 상회 설립, 켈름스콧 프레스 운영, 사회주의자동맹 결성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앙브루아즈 토마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샤를 루이 앙브루아즈 토마 |
출생 | 1811년 8월 5일 |
출생지 | 메스 |
사망 | 1896년 2월 12일 |
사망지 | 파리 |
국적 | 프랑스 |
직업 | |
직업 | 작곡가, 음악 교육자 |
활동 기간 | (정확한 활동 기간 정보 없음) |
음악 경력 | |
장르 | (장르 정보 없음) |
악기 | (담당 악기 정보 없음) |
레이블 | (레이블 정보 없음) |
소속사 | (소속사 정보 없음) |
공동 작업자 | (공동 작업자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웹사이트 정보 없음) |
멤버 | (멤버 정보 없음) |
이전 멤버 | (이전 멤버 정보 없음) |
유명 사용 악기 | (유명 사용 악기 정보 없음) |
관련 정보 | |
위키포털 링크 | 클래식 음악 [[File:Viola d'amore.png|35px|위키포털 클래식 음악]] |
2. 생애
메스에서 태어난 토마는 어릴 때부터 음악가였던 아버지에게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배웠다. 12세에 아버지를 여의고 파리로 이주하여 1828년 파리 음악원에 입학했다. 장-프랑수아 르 슈르에게 작곡을, 피에르 지메르만과 프리드리히 칼크브레너에게 피아노를 배웠다.
1832년 칸타타 「엘만과 케티(Hermann et Ketty)」로 로마 대상을 수상하여 3년간 로마에 유학하며 도미니크 앵그르와 교류했다. 1837년 오페라 코미크 「이중 사다리(La double échelle)」가 성공을 거두면서 오페라 작곡가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이후 《르 카이드(Le caïd)》(1849), 《한여름 밤의 꿈(Le songe d'une nuit d'été)》(1850) 등이 성공하면서 그의 명성은 확고해졌다.
1856년부터 모교인 파리 음악원에서 교수로 활동하며 쥘 마스네 등을 가르쳤다. 교수 활동으로 오페라 작곡은 줄었지만, 1866년 발표한 「미농(Mignon)」과 1868년의 「햄릿」이 큰 성공을 거두며 다시 명성을 얻었다. 1871년 다니엘-프랑수아-에스프리 오베르의 뒤를 이어 파리 음악원 원장에 취임하여 사망할 때까지 재직했다. 1894년에는 「미농」의 공연 횟수가 1000회를 돌파했고, 작곡가로서는 처음으로 레지옹 도뇌르 훈장 최고위 훈장인 그랑 크루아를 받았다. 1896년 2월 12일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토마의 음악은 간결하고 아름다운 선율과 효과적인 인물 묘사가 특징이며, 엑토르 베를리오즈, 샤를 구노, 조르주 비제 등에게 칭찬을 받았다. 그러나 음악원 원장으로서는 보수적인 성향을 보여 에마뉘엘 샤브리에는 "음악에는 세 종류가 있다. 좋은 음악과 나쁜 음악, 그리고 앙브루아즈 토마의 음악이다."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33]
2. 1. 초기 생애 ( ~ 1832)
토마는 메스에서 음악 교사였던 마르탱 토마(Martin Thomas, 1770~1823)와 그의 아내 잔느 윌롬(Jeanne, née Willaume, 1780~1866) 사이에서 태어났다.[1][2] 어릴 때부터 아버지에게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배우며 음악적 재능을 보였다. 1823년 아버지가 사망한 후 가족과 함께 파리로 이주했다.[2]1828년, 파리 음악원에 입학하여 피에르 지메르만에게 피아노를, 빅토르 두를랭에게 화성과 대위법을 배웠다.[2] 1829년과 1830년에 이 과목들에서 1등상을 받았다. 이후 프리드리히 칼크브레너에게도 피아노를 배웠고, 장-프랑수아 르 쉬에르와 오귀스트 바르베로에게 작곡을 배웠다.[2]
1832년, 칸타타 《헤르만과 케티(Hermann et Ketty)》로 로마 대상을 수상했다.[3]
2. 2. 로마 유학 및 초기 작품 활동 (1832 ~ 1856)
1832년 앙브루아즈 토마는 칸타타 「엘만과 케티(Hermann et Ketty)」로 로마 대상을 수상했다.[3] 로마 대상 수상자에게 주어지는 특전으로 토마는 3년간 로마의 프랑스 아카데미에서 유학 생활을 했다. 그는 그곳에서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와 친분을 맺었고, 엑토르 베를리오즈를 만나 격려를 받았다. 이탈리아 체류 중 토마는 실내악곡과 가곡집 《이탈리아의 추억》(Souvenirs d'Italie)을 작곡했다.1835년 파리로 돌아온 토마는 오페라 작곡을 시작했다. 1837년 그의 첫 오페라 《이중 사다리》(La double échelle)가 오페라 코미크 극장에서 상연되어 성공을 거두었다.[3] 엑토르 베를리오즈는 이 작품에 대해 "극도의 활기와 재치"를 지녔다고 칭찬했다.[3] 《이중 사다리》는 이후 브뤼셀, 뉴올리언스, 베를린, 비엔나, 런던에서도 공연되었다.[3]
이후 10년간 토마는 6편의 오페라를 더 작곡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1839년에는 발레 《라 집시》(La Gipsy)를 작곡하기도 했다.
1849년, 토마는 오페라 《르 카이드(Le caïd)》(Le caïd)를 발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작품은 엘리자베스 포브스에 따르면 "''세빌리아의 이발사(Il barbiere di Siviglia)''와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L'italiana in Algeri)''의 혼합"과 같은 작품이었다.[4] 《르 카이드》는 19세기 내내 프랑스 오페라 레퍼토리에 남아 있었으며, 이후 50년 동안 400회 이상 공연되었다.[4]

1850년, 토마는 오페라 코미크 《한여름 밤의 꿈(Le songe d'une nuit d'été)》을 발표하여 또 한 번 성공을 거두었다. 조제프-베르나르 로지에(Joseph-Bernard Rosier)와 아돌프 드 뢰뱅(Adolphe de Leuven)이 쓴 대본은 셰익스피어의 한여름 밤의 꿈(A Midsummer Night's Dream)과는 관련이 없지만, 셰익스피어가 극중 인물로 등장한다.[4] 이 작품은 파리 초연 이후 유럽과 미국의 여러 극장에서 공연되었다.[5] 《한여름 밤의 꿈》은 자주 재공연되었지만, 토마 사후에는 레퍼토리에서 사라졌다.
1850년 후반에 초연된 토마의 다음 오페라인 《레이몽》(Raymond)은 오페라 레퍼토리에는 남아있지 않지만, 서곡은 인기 있는 오케스트라 작품이 되었다.[2]
1851년, 토마는 가스파레 스폰티니(Gaspare Spontini)의 사망 후 그를 계승하여 미술 아카데미(Académie des Beaux Arts) 회원이 되었다.
2. 3. 파리 음악원 교수 및 전성기 (1856 ~ 1871)
1856년 오베르의 지휘 아래 토마스는 파리 음악원의 작곡 교수로 임명되었다.[8] 그는 사망하기 40년 전까지 교수직과 이후 원장직을 역임했다. 그의 제자들 중에는 마스네, 세르페트, 에네스쿠와 같은 작곡가들이 있었다. 또한 뒤부아, 레네프뵈와 같은 미래의 학자들과 콜론느, 앵겔브레흐와 같은 지휘자들도 그의 제자였다.[9] 그 외에도 그로브 사전에 언급된 토마스의 제자로는 부르골-뒤쿠드레, 쇼베, 디에메르, 푸크, 라비냐크, 르페브르, 레구이, 로토, 메트라, 젤머,[9] 푸뇨,[10] 토메,[11] 히메네스[12] 가 있었다.1850년대 동안 토마스는 계속 작곡을 하여 다섯 편의 오페라를 썼지만, 큰 인상을 주지는 못했다. 1860년대 초 침체기를 보낸 후 그는 그의 이름을 가장 널리 알리게 된 작품인 ''미뇽''을 작곡했다.[2] 대본은 바르비에와 카레가 괴테의 소설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 시대''를 바탕으로 썼다.[4] 당시 오페라 코미크에서는 행복한 결말이 필수적이었기 때문에, 소설에서는 미뇽이 죽지만 오페라에서는 행복한 결말을 채택했다.[4] 초연 당시 강력한 캐스트에는 훗날 카르멘 역을 맡게 된 갈리-마리에가 주역으로 출연했다.[2]
토마스는 그의 다음 성공작인 ''햄릿''(1868)에서도 마찬가지로 행운이었다. 이 작품에는 포르가 햄릿 역을, 닐손이 오필리아 역을 맡았다. 이 오페라는 알렉상드르 뒤마 피에르와 뫼리스의 프랑스 각색을 거쳐 카레와 바르비에가 대본으로 더 각색한 것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 각색은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희화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오페라에서 의무적인 발레 디베르티스망과 햄릿이 왕으로 추대되는 행복한 결말을 가지고 있었지만, 파리와 런던에서 성공을 거두었다.[13] 이 작품은 가끔 오페라 레퍼토리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 후대의 오필리아 가수에는 칼베, 알바니, 멜바, 가든이 있었고, 햄릿 역에는 모렐, 루포, 바티스티니, 밀네스, 토마스 앨런, 햄프슨 등이 있었다.[13][17] 토마스는 음악적 보수주의로 명성을 얻었지만, ''햄릿''의 악보는 색소폰을 악기 편성에 도입하는 혁신을 보였다.[3]
2. 4. 파리 음악원 원장 및 말년 (1871 ~ 1896)
1870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이 일어나자, 거의 60세였던 토마스는 국민경비대에 자원 입대했다.[3] 1871년 오베르의 뒤를 이어 파리 음악원 원장에 취임했다.[3] 교육부 장관 쥘 시몽은 토마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당신은 이 직책에 너무나 적합하기 때문에, 제가 당신을 지명하지 않는다면 이미 당신의 자리인 직책에서 당신을 해고하는 것처럼 보일 것입니다."라고 말했다.[19]토마스는 파리 음악원 운영에 있어 혁신을 가져왔다. 수업 수를 늘리고, 교수진의 처우를 개선했으며, 솔페주, 시창, 오케스트라 연습을 교육 과정에 의무적으로 추가했다.[25] 반면 음악적으로는 완고하게 보수적인 입장을 고수했다.[22] 알레비, 메이어베어 등의 음악을 학생들에게 적합한 모델로 여겼고, 라모와 같은 초기 프랑스 음악과 바그너를 포함한 현대 음악은 교육 과정에서 배제했다.[23] 그는 진보적인 음악가들이 파리 음악원 교수진으로 임명되는 것을 막으려 했다.[24]
1894년 오페라 코믹에서 ''미뇽''이 1,000회 공연을 기념하여 80세의 작곡가는 카르노 대통령에게 대십자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28]
토마스는 1896년 84세의 나이로 파리 음악원의 자택에서 폐렴으로 사망했다.[2][29]
3. 작품
앙브루아즈 토마는 오페라 20편을 비롯하여 칸타타, 발레 음악, 종교 음악, 실내악곡, 피아노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3]
토마의 대표적인 오페라 작품으로는 《미뇽》, 《햄릿》, 《레이몽》(서곡) 등이 있다.
분야 | 주요 작품 |
---|---|
오페라 | 《미뇽》, 《햄릿》, 《레이몽》(서곡) |
칸타타 | 《엘만과 케티》(Hermann et Ketty, 1832) |
발레 음악 | 《집시》(La gipsy, 1839, 공동 작곡, 2막만 토마 작곡), 《템페스트》(La tempête, 1889) |
피아노곡 | 폴카 단조(1846년경) |
종교 음악 | 미사 솔렘니스(1852) |
실내악 | 현악사중주곡 E장조 작품 1(1833) |
토마의 상세한 작품 목록은 앙브루아즈 토마의 오페라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주요 작품
토마스가 작곡한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오페라 《이중 사다리》(La double échelle, 1837) - 토마스의 첫 오페라로, 베를리오즈는 "극도의 활기와 재치"를 지녔다고 칭찬했다.[3] 오페라 코미크에서 247회 공연되었고,[4] 브뤼셀, 뉴올리언스, 베를린, 비엔나, 런던에서도 공연되었다.[3]
- 발레 음악 《집시》(La Gipsy, 1839)
- 오페라 《Le caïd프랑스어》(Le caïd, 1849) - 엘리자베스 포브스는 "''세비야의 이발사''와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의 혼합"이라고 묘사했다.[4] 19세기 프랑스 오페라 레퍼토리에 남아 있었고, 50년 동안 400회 이상 공연되었다.[4]
- 오페라 《Le songe d'une nuit d'été프랑스어》(Le songe d'une nuit d'été, 1850) - 셰익스피어의 희곡 ''한여름 밤의 꿈''과는 관련이 없지만, 셰익스피어, 폴스타프, 엘리자베스 1세가 등장한다.[4] 파리 초연 이후 유럽과 미국에서 공연되었다.[5]
- 오페라 《레이몽》(Raymond, 1851) - 서곡이 유명하다.[2]
- 오페라 《미뇽》(Mignon, 1866) - 괴테의 소설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 시대''를 바탕으로 바르비에와 카레가 대본을 썼다.[4]
- 오페라 《햄릿》(Hamlet, 1868) - 뒤마와 뫼리스의 프랑스어 각색을 바탕으로 카레와 바르비에가 대본을 썼다.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희화화했다는 비판도 있었지만,[14][15][16] 파리와 런던에서 성공을 거두었다.[13]
- 오페라 《Françoise de Rimini프랑스어》(Françoise de Rimini, 1882)
- 발레 음악 《템페스트》(La tempête, 1889) - 셰익스피어의 희곡 ''템페스트''를 각색한 작품이다.[3]
'''참고: 앙브루아즈 토마의 오페라 목록'''
3. 2. 작품 목록
토마스는 생애 동안 20편의 오페라를 작곡했다. 현재 미뇽과 햄릿이 알려져 있지만, 레이몽의 서곡도 알려져 있다.자세한 내용은 앙브루아즈 토마의 오페라 목록을 참조.
제목 | 원제 | 초연 연도 | 막 수 | 비고 |
---|---|---|---|---|
이중 사다리 | La double échelle프랑스어 | 1837 | 1 | 첫 오페라 작품 |
카르마뇰라 백작 | Le comte de Carmagnola | 1841 | ||
르 카이드 | Le caïd프랑스어 | 1849 | ||
한여름 밤의 꿈 | Le songe dune nuit dété프랑스어 | 1850 | ||
레이몽 | Raymond | 1851 | ||
셀리메느의 궁정 | La cour de Célimène프랑스어 | 1855 | 2 | 오페라 코믹 |
프시케 | Psyché | 1857 | 3 | 오페라 코믹 |
미뇽 | Mignon | 1866 | 3 | 오페라 코믹 |
햄릿 | Hamlet | 1868 | 5 | 오페라 |
리미니의 프랑수아즈 | Françoise de Rimini프랑스어 | 1882 |
제목 | 원제 | 연도 | 비고 |
---|---|---|---|
헤르만과 케티 | Hermann et Ketty | 1832 | 칸타타 |
실비오 펠리코 | Silvio Pellico | 1831 | 악보 분실 |
넬 이지니아 다스티 | Nel iginia d'Asti | 1834 | 장면과 아리아 |
넬 포스카리니 | Nel Foscarini | 1834 | 2성부, 오케스트라 |
듀오 이탈리엔-테레사 | Duos Italiens-Téresa | 1834 | 2성부, 오케스트라 |
콜럼버스 이야기 | Storia di Colombo | 1834 | 장면과 이중창, 성부, 오케스트라 |
마리아와 레스터 | Maria e Leicester | 1834 | 2성부, 피아노 |
델라 피아 | Della Pia | 1834 | 장면과 로망스 |
수녀원의 자선 | La charité du couvent | 1843 | 칸타타 |
르쇠르에게 바치는 헌정 | Hommage à Lesueur | 1852 | 칸타타 |
보이엘디외에게 바치는 헌정 | Hommage à Boieldieu | 1875 | 칸타타 |
비아, 비아! | Via, via! | 연대 미상 | 베네치아 가곡, 4성부, 피아노 |
합창 장면 | Scènes chorales | 1853 | 혼성합창 |
민족들의 조화 | L'harmonie des peuples | 1855년경 | |
사냥꾼 합창 | Choeur des gardes-chasses | 1857년경 | |
친구들의 노래 | Le chant des amis | 1858 | |
프랑스 가수들에게 경례 | Salut aux chanteurs de la France | 1859 | |
프랑스 | France | 1860 | |
대장장이 | Le forgeron | 1861 | |
티롤 | Le Tyrol | 1862 | |
부비네의 궁수들 | Les archers de Bouvines | 1863 | |
썰매 | Les traîneaux | 1864 | |
로마의 카니발 | Le carnaval de Rome | 1864 | |
평화의 사원 | Le temple de la paix | 1867 | |
파리!, 보댕 | Paris!, Vaudin | 1867 | |
안식일의 밤 | La nuit du sabbat | 1869 | |
대서양 | L'Atlantique | 연대 미상 | |
애국가 | Chant patriotique |
제목 | 연도 | 비고 |
---|---|---|
레퀴엠 미사 | 1833 | 합창, 오케스트라 |
아베 베룸 | 1835년경 | 모차르트 작품 편곡, 토마스 편곡 |
오 살루타리스 | 1836 | 모테트, SAA, 오르간 |
수브 투움 프레시디움 | 1836 | 모테트, SSA, 오르간 |
베니 스폰사 크리스티 | 1836 | 모테트, TTBB, 오르간 |
장엄 미사 | 1852 | 독창, 합창, 오케스트라 |
피에 예수 | 1864, 1896 | 테너, 오르간 |
베아티 모르투이 | 독창, 오르간 | |
아뉴스 데이 | 1895년경 | 3성부, 오르간 |
오르페옹 미사 | 연대 미상 | TTBB, 신경(Credo)만; 아돌프 아당과 프로멘탈 알레비와 공동 작곡 |
아베 마리아 | 연대 미상 | SATB, 오르간 |
아뉴스 데이 | 3성부, 오르간 |
4. 평가
에마뉘엘 샤브리에는 "음악에는 세 종류가 있다. 좋은 음악과 나쁜 음악, 그리고 앙브루아즈 토마의 음악이다."라는 말을 남겼다.[31] 이 말은 토마스의 음악이 나쁜 것보다 더 나쁜 것인지, 좋은 것과 나쁜 것 사이 어딘가에 있는 것인지, 아니면 다른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밝히고 있지는 않다.
1889년판 ''그로브 음악 사전'' 초판에서 기스텟 슈케는 토마스가 무대에 대한 타고난 본능과 다양한 극적인 상황을 해석하는 재능을 지녔다고 평가했다. 그는 토마스의 오케스트라 다루는 기술이 완벽하며, 새로운 음향 효과를 얻는 데 능숙하다고 칭찬했다. 그러나 슈케는 토마스가 조금만 더 대담하고 독창적인 선율을 사용했다면 현대 작곡가들의 선두 주자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을 것이라고 아쉬워했다.[32]
2001년판 ''그로브 사전''에서 리처드 랭험 스미스는 토마스가 19세기 후반 프랑스 오페라에서 상당히 중요한 인물이며, 상상력이 풍부한 혁신가이자 음악적 인물묘사의 대가였다고 평가했다. 랭험 스미스는 토마스의 작품이 20세기 후반부터 《미뇽》과 《햄릿》의 주요 공연을 통해 부흥을 맞이했다고 결론지었다.[3]
엘리자베스 포브스는 토마스가 다양한 스타일로 작곡할 수 있는 절충적인 작곡가였다고 평가했다. 초기 작품에는 에롤과 오베르의 영향이 나타나며, 《르 카이드》는 독창성을 보여주는 첫 작품이지만 로시니의 영향이 남아있다. 후기 작품에서도 토마스의 음악은 때때로 모방적일 수 있었다. 포브스는 토마스가 최고의 작품에서 즐겁고 개성적인 음악을 작곡했으며, "종종 매우 황홀한" 오케스트레이션을 할 수 있었고, 등장인물의 성격을 음악적으로 강하고 명확하게 전달했다고 결론짓는다. 그녀는 토마스가 《미뇽》과 《햄릿》을 제외한 다른 작품을 쓰지 않았다면, 19세기 프랑스 오페라 작곡가 중 가장 영향력 있고 중요한 작곡가 중 한 명으로 더 널리 인정받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4]
참조
[1]
웹사이트
Ambroise Thomas: Essai de Généalogie
https://gw.geneanet.[...]
2018-09-24
[2]
간행물
Ambroise Thomas
https://www.jstor.or[...]
1896-03-01
[3]
웹사이트
Thomas, (Charles Louis) Ambrose
https://doi.org/10.1[...]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9-21
[4]
웹사이트
Thomas, (Charles Louis) Ambroise (opera)
https://doi.org/10.1[...]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9-21
[5]
서적
Loewenberg
[6]
웹사이트
Le songe d'une nuit d'été d'Ambroise Thomas exhumé à Pari
https://www.forumope[...]
2017-01-02
[7]
간행물
Berlioz à l'Institut Revisited
https://www.jstor.or[...]
1981-07-12
[8]
웹사이트
Ambroise Thomas
http://data.bnf.fr/1[...]
2018-09-23
[9]
웹사이트
Search: Ambroise Thomas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9-23
[10]
웹사이트
Raoul Pugno
https://www.britanni[...]
2018-09-23
[11]
서적
Briscoe
[12]
서적
Randel
[13]
웹사이트
Hamlet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9-23
[14]
뉴스
Royal Italian Opera
The Morning Post
1869-06-21
[15]
뉴스
Royal Italian Opera / Royal Opera
The Observer / The Pall Mall Gazette
1876-06-09
[15]
뉴스
Royal Italian Opera / Royal Opera
The Observer / The Pall Mall Gazette
1890-07-22
[16]
뉴스
Hamlet
The Times
1910-10-04
[17]
서적
Sen
[18]
웹사이트
Daniel, Francisco (Alberto Clemente) Salvador
https://www.oxfordmu[...]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9]
뉴스
Personal
Illustrated London News
1896-02-22
[20]
서적
Prod'homme and Dandelot
[21]
웹사이트
Gounod, Charles-François
https://www.oxfordmu[...]
Oxford University Press
2019-11-21
[22]
서적
Nichols and Orenstein
[23]
서적
Nectoux
[24]
서적
Nectoux
[25]
뉴스
Ambroise Thomas
The Manchester Guardian
1896-02-13
[26]
서적
Grove
[27]
웹사이트
Massenet, Jules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7-28
[28]
뉴스
M. Ambroise Thomas
The Times
1894-05-16
[28]
뉴스
M. Ambroise Thomas
The Times
1894-05-19
[29]
서적
Massenet
[30]
서적
Nectoux
[31]
간행물
Good, Bad and...
https://www.jstor.or[...]
1997-11
[32]
서적
Grove
[33]
서적
Wagnérisme et création en France, 1883-1889
H. Champ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