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디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쿨디가는 라트비아 쿠르제메에 위치한 도시로, 벤타 강과 알렉슈피테 강을 끼고 있으며, 역사적인 구시가지와 유럽에서 가장 넓은 폭포인 벤타 폭포를 자랑한다. 1242년에 도시로 처음 언급되었으며, 리보니아 기사단, 쿠를란트-젬갈렌 공국 시대를 거치며 경제적, 문화적으로 성장했다. 19세기 후반에는 산업화가 진행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소련과 독일의 점령을 겪었다. 쿨디가는 2023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역사적인 건축물과 자연 경관을 보존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쿨디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쿨디가 |
독일어 명칭 | 골딩겐 |
위치 | 라트비아 |
종류 | 도시 |
행정 구역 | |
국가 | 라트비아 |
구 | 쿨디가 주 |
역사 | |
도시 권리 획득 | 1378년 |
정치 | |
시장 | 이네세 아스타셰프스카 |
시의회 의원 수 | 11명 |
지리 | |
면적 | 13.04 제곱킬로미터 |
육지 면적 | 11.68 제곱킬로미터 |
해발 고도 | 알려지지 않음 |
참고 | 알렉슈피테 강 폭포가 위치함 |
인구 | |
총 인구 | 11,768명 |
인구 조사 기준 시점 | 알려지지 않음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교통 | |
우편 번호 | LV-330(1–3) |
지역 번호 | +371 633 |
시간대 | |
시간대 | EET |
협정 세계시 (UTC) 오프셋 | +2 |
하계 시간대 | EEST |
하계 시간 협정 세계시 (UTC) 오프셋 | +3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쿨디가 공식 웹사이트 |
세계유산 등재 유형 | 문화유산 |
세계유산 등재 연도 | 2023년 |
유네스코 지역 | 유럽 |
참고 | 쿨디가 구시가지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됨. |
참고 | 벤타 강을 가로지르는 오래된 벽돌 다리가 있음. |
2. 역사
고대 도시 쿨디가는 벤타 강과 프로이센 영토, 다우가바 강의 하류를 연결하는 육로의 교차로에 위치해 있었다. 고대 쿠로니아인들은 벤타 강에서 북쪽으로 3.5km 떨어진 강 왼쪽에 요새화된 성 언덕과 정착지를 건설했다. 성 언덕은 오늘날에도 볼 수 있으며, 벡쿨디가 강과 벤타 강의 고대 계곡 사이에 있는 곶에 위치해 있다. 벡쿨디가 강가에는 항구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동유럽의 많은 도시와 달리 쿨디가 구 시가지는 20세기의 전쟁과 현대적인 도시 개발로 거의 훼손되지 않아 전통적인 거리 풍경이 잘 보존되어 있다. 또한 벤타 폭포의 존재로 무역 거점으로 발전하여 장인들이 많이 모여 있었다. 이러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쿨디가 구 시가지는 2023년 유네스코(UNESCO) 세계 유산 목록에 등록되었다.[14]
2. 1. 중세 시대
리보니아 기사단은 1242년 4월 19일 벤타 강둑에 성을 지을 수 있는 권한을 받았다. 쿨디가가 언급된 가장 오래된 문서이기 때문에 이 해를 쿨디가 건립 연도로 간주한다. 리보니아 기사단의 성은 벤타 강 왼쪽 둑에 지어졌으며, 강바닥의 백운석이 건축 자재로 사용되었다. 1263년에 이 성과 주변 정착지는 이미 ''골딩겐''이라는 도시로 언급되었으며, 도시로서의 권리는 리가 시의 권리를 기반으로 했다.[1]1355년 4월 28일, 기사단장 Goswin von Herike|고스빈 폰 헤리케de는 새로운 토지를 할당했다. 동시에 그는 도시에게 성 카테리나의 이미지가 담긴 문장과 새로운 특권을 부여했다. 1439년부터 쿨디가/골딩겐은 매주 시장을 열 수 있는 특권을 받았다. 이 도시는 도시, 성의 작은 마을(쿠로니아인의 도시), 언덕 위의 마을(오늘날 라트비아어로 "Kalnamiests"라고 불림)의 세 주요 거주 지역을 합쳐 세워졌다.[1] 콤투르는 12명의 기사 형제들과 함께 리보니아 기사단의 성에 살았다. 또한 콤투르는 쿨디가 콤투레이를 이끌었으며, 이곳은 쿨디가 외에도 두르베, 사빌레, 스크룬다, 아이즈푸테, 알숭가, 살두스를 소유하고 있었다.[1]

2. 2. 쿠를란트-젬갈렌 공국 시대
1561년 쿠를란트-젬갈렌 공국이 설립된 후 쿨디가의 역사에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다. 초대 공작 고트하르트 케틀러는 이전 기사단 성을 그의 거주지 중 하나로 선택했다. 그는 이후 다른 공작들과 마찬가지로 쿨디가의 경제 발전을 지원하면서 쿨디가의 이전 도시 권리를 승인했다. 고트하르트 공작이 사망하자 공국은 두 부분으로 나뉘었고, 1618년까지 쿨디가는 그의 막내 아들 빌헬름의 거주지이자 쿠르제메의 수도였다. 쿨디가는 다리를 건너는 모든 상품에 세금을 부과했기 때문에 리가 및 옐가바와의 무역으로 이익을 얻었다. 1615년, 홍수로 다리가 파괴되어 도시에 큰 손실을 입혔다. 같은 해, 도시의 주요 목조 건축물을 파괴하는 대화재가 발생했다. 도시 재건축 후 새로운 시장(오늘날의 시청 광장)이 세워졌고 새로운 시청(오늘날의 바즈니카스 iela 5, 구 시청)이 건설되었다. 도시의 중심은 성 카테리나 교회 근처의 옛 장소에서 현재의 시청 광장으로 옮겨졌다. 가장 부유한 시민들과 상인들은 도시의 새로운 중심지 주변에 집을 지었다.
2. 3. 근대
1355년 4월 28일, 기사단장 Goswin von Herike|고스빈 폰 헤리케de는 쿨디가에 새로운 토지를 할당하고, 성 카테리나의 이미지가 담긴 문장과 새로운 특권을 부여했다.[1] 1439년부터 쿨디가는 매주 시장을 열 수 있는 특권을 얻었다.[1] 이 도시는 도시, 성의 작은 마을(쿠로니아인의 도시), 언덕 위의 마을(오늘날 라트비아어로 "Kalnamiests")의 세 주요 거주 지역을 합쳐 세워졌다.[1] 콤투르는 12명의 기사 형제들과 함께 리보니아 기사단의 성에 살면서 쿨디가 콤투레이를 이끌었는데, 여기에는 쿨디가 외에도 두르베, 사빌레, 스크룬다, 아이즈푸테, 알숭가, 살두스가 포함되었다.[1]1561년 쿠를란트-젬갈렌 공국이 설립되면서 쿨디가의 역사에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다.[1] 초대 공작 고트하르트 케틀러는 이전 기사단 성을 그의 거주지 중 하나로 선택하고 쿨디가의 도시 권리를 승인하며 경제 발전을 지원했다.[1] 고트하르트 공작 사후 공국은 둘로 나뉘었고, 1618년까지 쿨디가는 그의 막내 아들 빌헬름의 거주지이자 쿠르제메의 수도였다.[1] 쿨디가는 리가 및 옐가바와의 무역으로 이익을 얻었는데, 다리를 건너는 모든 상품에 세금을 부과했기 때문이다.[1] 1615년, 홍수로 다리가 파괴되고 대화재로 도시의 주요 목조 건축물이 파괴되는 큰 피해를 입었다.[1] 도시 재건축 후 새로운 시장(오늘날의 시청 광장)과 새로운 시청(오늘날의 바즈니카스 iela 5, 구 시청)이 건설되면서 도시의 중심은 성 카테리나 교회 근처에서 현재의 시청 광장으로 옮겨졌다.[1] 가장 부유한 시민들과 상인들은 도시의 새로운 중심지 주변에 집을 지었다.[1]
2. 4. 현대
19세기 후반, 쿨디가에는 소규모 산업 기업들이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이 중 일부는 100명 이상의 노동자를 고용하는 공장이 되었다. 쿨디가에서 가장 큰 공장은 성냥을 생산하는 "불칸스" 공장(1878년 설립, 2004년 폐쇄)이었으며, 성냥갑 라벨에는 사슴 이미지가 있었다. 두 번째로 큰 공장은 빈텔러스 투키 공장이었다. 또한 바늘, 시가, 비누, 보드카, 리큐어, 미네랄 워터 등이 쿨디가에서 생산되었다. 맥주 양조는 기사단 성, 공작의 영지 및 도시에서도 맥주가 양조될 정도로 깊은 뿌리를 가진 전통이었다. 이 기간 동안 주거용 건물뿐만 아니라 시청 및 공공 건물 등 많은 새로운 건물들이 건설되었다. 수 세기 후 쿨디가는 벤타 강을 가로지르는 새로운 다리(1873~74년)를 건설했고, 새로운 시청(1868년)이 건설되었으며, 리에파자스 iela에 정교회 교구회관과 교회, 감옥(현재는 우체국), 라트비아 사회의 집(현재는 문화 센터), 칼나 iela 19에 있는 독일 '김나지움'(중등학교) 및 기타 건물들도 건설되었다. 곧 지역 주민 수는 두 배로 증가하여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에 13,000명에 달했다.[1]제2차 세계 대전 중, 1940년부터 소련 점령 하에 있었고, 1941년부터 1944년까지 독일 점령 하에 있었다.[1]
3. 주요 명소
조각가 리비야 레제브스카의 조각 박물관은 2003년에 설립되었으며, 라트비아 민족의 힘, 단결, 사랑을 표현하는 15개 이상의 조각품을 감상할 수 있다.
3. 1. 쿨디가 구시가지

쿨디가 구시가지는 17세기와 18세기에 발전한 역사적인 시내로, 좁고 작은 거리를 형성하는 오래된 목조 건물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쿠르제메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1670년)은 타운 광장 근처에 있으며, 구 시청사는 17세기에 지어졌다. 타운 광장은 초기부터 마을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였으며, 현재도 도시의 활력은 직조공 전시회, 전통 축제 및 기타 행사가 열리는 중심 광장에서 가장 잘 느껴진다.
벤타 폭포는 유럽에서 가장 넓은 폭포(폭 240m)로, 수많은 전설과 역사적 사건들과 관련이 있다. 봄에는 물고기가 폭포를 뛰어 넘는 모습을 볼 수 있어, 쿨디가는 한때 "공중에서 연어를 잡는 곳"으로 유명했다.
1874년에 건설된 벤타 강을 가로지르는 오래된 벽돌 다리는 유럽에서 가장 긴 다리(164m) 중 하나이다. 19세기 표준에 따라 약 152.40m 길이, 약 7.92m 너비로 건설되어 두 대의 마차가 서로 지나갈 수 있었다. 7개의 벽돌 아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2개의 경간이 폭파되었다. 다리 위에서 '알몸 달리기'는 하지 축제 밤의 연례 전통이다.[11]

쿨디가는 알렉슈피테 강이 많은 건물의 벽을 따라 직접 흐르기 때문에 '라트비아의 베니스'라고 불려왔다. 1701년 대북방 전쟁 동안 스웨덴 군대가 쿨디가 성을 침공했고 1709년에는 사람이 살 수 없게 되었지만, 19세기에 성 유적지가 이전되었다.
알렉슈피테 폭포는 17세기에 쿠르제메 최초의 제지 공장을 운영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알렉슈피테에서는 매년 경주가 열리는데, 참가자들은 강바닥을 따라 직접 달린다.
성 카테리나 교회는 원래 1252년에 지어졌으며, 제단에는 바로크 양식의 목각이 새롭게 새겨졌다. 교회는 도시의 수호성인인 성 카테리나의 이름을 받았다. 쿠를란트 공국의 야콥 케틀러 공작이 이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고, 브란덴부르크의 루이즈 샤를로테 공주와의 결혼식도 이곳에서 열렸다.

리예파야 거리는 17~20세기의 건물, 흥미로운 문, 특별한 창문이 있는 보행자 전용 거리이다.
조각가 리비야 레제브스카의 조각 박물관은 2003년에 설립되었다. 방문객들은 라트비아 민족, 그 힘, 단결, 사랑을 특징짓는 15개 이상의 조각품을 볼 수 있다.
리예주페 모래 동굴은 라트비아에서 가장 긴 동굴 미로를 이룬다(총 약 2km, 460m를 둘러볼 수 있다). 야콥 공작 시대에 리예주페 모래 동굴의 모래는 유리 생산을 위해 배로 해외로 운송되었다.
동유럽의 많은 도시와 달리 구 시가지는 20세기의 전쟁과 현대적인 도시 개발로 거의 훼손되지 않아 전통적인 거리 풍경이 잘 보존되어 있다. 또한 벤타 폭포의 존재로 무역의 거점도 발전하여 장인들이 많이 모여 있었다. 구 시가지는 2023년 유네스코(UNESCO)의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14]
3. 2. 벤타 폭포 (벤타 룸바)
'''벤타 폭포''' (벤타 룸바)는 유럽에서 가장 넓은 폭포이다. 폭 240미터의 이 자연적으로 형성된 폭포는 수많은 전설과 역사적 사건들과 관련이 있다. 봄에는 물고기가 폭포 위로 뛰어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 때문에 쿨디가는 한때 "공중에서 연어를 잡는 곳"으로 유명했다.3. 3. 벤타 강 벽돌 다리
'''벤타 강'''을 가로지르는 오래된 '''벽돌 다리'''는 1874년에 건설되었으며, 유럽에서 가장 긴 다리(164m)이다. 19세기 표준에 따라 약 152.40m 길이, 약 7.92m 너비로 건설되어 두 대의 마차가 서로 지나갈 수 있었다. 7개의 벽돌 아치로 구성되어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2개의 경간이 폭파되었다. 다리 위에서 '알몸 달리기'는 하지 축제 밤의 연례 전통이 되었다.[11]
3. 4. 알렉슈피테 강과 폭포
'''알렉슈피테''' 강은 많은 건물의 벽을 따라 직접 흐르기 때문에 쿨디가는 라트비아의 베니스라고 불려왔다. 처음에는 시내 건물들이 쿨디가의 교외로 건설되었다. 1701년 대북방 전쟁 동안 스웨덴 군대가 쿨디가 성을 침공했고 1709년에는 사람이 살 수 없게 되었지만, 19세기에 성 유적지가 이전되었다.
'''알렉슈피테 폭포'''는 17세기에 쿠르제메 최초의 제지 공장을 운영하기 위해 시내를 이용하고자 만들어졌다. 알렉슈피테에서는 매년 경주가 열리는데, 참가자들은 강바닥을 따라 직접 달린다.
3. 5. 성 카테리나 교회
'''성 카테리나 교회'''는 원래 1252년에 지어졌다. 그러나 제단에는 바로크 양식의 목각이 새롭게 새겨졌다. 교회는 도시의 수호성인인 성 카테리나의 이름을 받았다. 쿠를란트 공국의 가장 성공적인 통치자 중 한 명인 야콥 케틀러 공작이 이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고, 브란덴부르크의 루이즈 샤를로테 공주와의 결혼식도 이곳에서 열렸다.3. 6. 리예파야 거리
리예파야 거리는 17~20세기의 건물, 흥미로운 문, 특별한 창문이 있는 보행자 전용 거리이다.3. 7. 리예주페 모래 동굴
리예주페 모래 동굴은 라트비아에서 가장 긴 동굴 미로를 이루며 총길이는 약 2km이고, 이 중 460m를 둘러볼 수 있다. 야콥 공작 시대에는 리예주페 모래 동굴의 모래를 배로 해외로 운송하여 유리 생산에 사용하였다.3. 8. 쿨디가 유대교 회당
쿨디가에서 가장 큰 건물 중 하나(1905 거리 6)는 금박 장식과 대리석으로 된 화려한 내부로 유명하며, 유대교 회당이었다. 1875년에 건물의 건설을 묘사한 고대 히브리어 문서가 쿨디가 지방 박물관에 있다. 이 회당은 알렉산드르 2세 차르 시대에 지어졌으며 활기찬 유대인 공동체의 중심지였다. 회당은 인접한 기도실, 유대인 묘지, 유대인 학교를 포함하는 더 큰 단지의 일부였으며, 오늘날에도 볼 수 있다.[11]유대인 공동체는 16세기에 쿠를란트 공국에 정착한 이후로 활동해 왔다. 최초 이민자 대부분은 북서부 독일 영토에서 왔지만, 17세기 중반 폴란드에서 발생한 불안으로 인해 해당 지역에서 유대인 유입이 있었다. 18세기까지 쿠르제메의 유대인 인구는 지방의 경제 생활에서 활발한 역할을 했다.[11]
1941년, 회당은 쿨디가의 모든 유대인들이 나치와 라트비아 동조자들에 의해 며칠 동안 억류된 후, 더 작은 그룹으로 나뉘어 인근 숲에서 총살당하는 함정이 되었다. 유대인 학살 직후, 독일군은 회당에 식량 저장고를 설치했다. 이후 소련 초창기에는 곡물 창고가 들어섰고, 몇 년 동안 방치되었다. 1958년에는 회당이 쿠르제메 영화관으로 바뀌어 450석의 좌석과 열람실을 갖추었다. 라트비아 독립이 회복된 후 2003년까지 영화관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몇 년 동안 카페와 나이트 클럽도 있었다. 2011년 현재, 회당은 쿨디가 중앙 도서관과 공연 공간으로 완전히 바뀌었다. 현재 상태의 건물은 웅장하고 깨끗하지만, 건물의 유대교 역사를 나타내는 외부 표지(예: 다윗의 별)는 없다. 회당의 옛 사진에서 볼 수 있는 지붕 장식은 여전히 사라진 상태이며, 굴뚝처럼 생긴 세 개의 맨 널빤지가 건물의 양쪽에 있는 박공을 표시한다. 2017년 8월 현재, 건물의 역사를 설명하는 현판이 있다.[11]
4. 스포츠
쿨디가 하프 마라톤은 2006년부터 쿨디가에서 매년 열리는 로드 마라톤 대회이다.
2008년 쿨디가에는 육상 경기를 위한 라트비아 최초의 실내 경기장이 개장했다.
5. 자매 도시
쿨디가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2]
국가 | 도시 |
---|---|
Norway|노르웨이영어 | 드뢰박 |
Deutschland|독일de | 게스하트 |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조지아ka | 므츠헤타 |
6. 세계유산
동유럽의 많은 도시와 달리 쿨디가 구 시가지는 20세기의 전쟁과 현대적인 도시 개발로 거의 훼손되지 않아 전통적인 거리 풍경이 잘 보존되어 있다. 또한 벤타 폭포의 존재로 무역 거점으로 발전하여 장인들이 많이 모여 있었다. 구 시가지는 2023년 유네스코(UNESCO) 세계유산 목록에 등록되었다[14]。
6. 1. 등록 기준
세계 유산 등록 기준 5참조
[1]
웹사이트
Old town of Kuldīga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3-09-18
[2]
웹사이트
Town - Kuldīgas novads
https://www.kuldiga.[...]
2022-05-25
[3]
웹사이트
Kuldiga
https://www.latvia.t[...]
2022-05-25
[4]
웹사이트
Municipality
https://www.kuldiga.[...]
2022-05-25
[5]
웹사이트
History
https://kuldiga.lv/e[...]
City of Kuldiga
[6]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kuldiga.[...]
2022-05-25
[7]
웹사이트
The Historical Centre of Kuldiga
https://www.latvia.t[...]
2022-05-25
[8]
웹사이트
Alekšupīte Waterfall
https://www.lonelypl[...]
2022-05-25
[9]
웹사이트
The Old Brick Bridge across the Venta river
https://www.latvia.t[...]
2022-05-25
[10]
웹사이트
Kuldīga, the pearl of small towns, shines ever brighter
https://www.latvia.t[...]
2022-05-25
[11]
뉴스
LUSTĪGU LĪGOŠANU: Jāņu naktī Kuldīgā kā katru gadu notiks pliko skrējiens
http://nra.lv/latvij[...]
nra.lv
2016-06-22
[12]
웹사이트
Sadraudzības pilsētas
https://kuldiga.lv/k[...]
Kuldīga
2019-08-31
[13]
문서
Latvijas iedzīvotāju skaits pašvaldībās pagastu dalījumā
http://www.pmlp.gov.[...]
[14]
웹사이트
Old town of Kuldīga
https://whc.unesco.o[...]
2023-1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