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라만 해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쿨라만 해전은 1943년 7월 5일부터 6일까지 솔로몬 제도 쿨라 만에서 벌어진 제2차 세계 대전의 해전이다. 연합군은 과달카날 전역 이후 뉴 조지아 섬의 문다 비행장을 점령하기 위해 렌도바 섬에 상륙했고, 일본군의 증원을 차단하기 위해 쿨라 만에서 일본 함대와 교전했다. 전투 결과, 미 해군은 경순양함 헬레나를 잃고, 일본군은 구축함 2척을 잃었지만, 일본군은 병력과 물자를 빌라에 상륙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3년 미국 - 타라와 전투
타라와 전투는 1943년 베티오 섬에서 미국과 일본군 사이에 벌어진 태평양 전쟁의 상륙전으로, 미군은 타라와를 점령했으나 막대한 피해를 입고 상륙 작전 교리를 개선하는 계기가 되었다. - 1943년 미국 - 제15회 아카데미상
제15회 아카데미상은 1943년에 개최된 영화 시상식으로, 미세스 미니버가 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을 포함해 6개 부문을 수상하며 최다 수상작이 되었고, 양키 두들 댄디는 남우주연상을 포함하여 3개 부문을 수상했으며, 어빙 벌린은 홀리데이 인의 "화이트 크리스마스"로 주제가상을 수상했고, 전시 상황으로 인해 석고 트로피가 수여되었다. - 1943년 9월 - 카시빌레 휴전
카시빌레 휴전은 1943년 이탈리아가 연합국에 항복하고 추축국에서 이탈하기 위해 체결된 비밀 휴전 협정이며, 이로 인해 이탈리아는 혼란에 빠지고 독일군에 점령당했으며, 연합군의 이탈리아 전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43년 9월 - 연합군의 이탈리아 침공
연합군의 이탈리아 침공은 1943년 7월 시칠리아 점령 후 이탈리아 본토를 공격하여 이탈리아 왕국을 해방시키고 지중해 전역을 종식시키기 위한 군사 작전으로, 영국군의 칼라브리아 상륙과 미국군의 살레르노 상륙 후 독일군의 저항에 맞서 북진하며 나폴리를 점령했으나 독일군의 구스타프 방어선에 막혔다. - 태평양 전쟁의 해전 - 미드웨이 해전
미드웨이 해전은 1942년 6월 4일부터 7일까지 미드웨이 환초에서 벌어진 태평양 전쟁의 결정적인 해전으로 미국의 승리로 끝났으며, 일본의 MI 작전은 미국의 암호 해독, 일본군의 실책, 미군의 반격으로 실패하여 태평양 전쟁의 전황을 역전시키는 전환점이 되었다. - 태평양 전쟁의 해전 - 산호해 해전
산호해 해전은 1942년 5월 미국과 일본 해군이 산호해에서 벌인 해전으로, 일본의 MO 작전은 실패하고 연합군의 전략적 승리로 끝났으며, 항공모함 중심 해전의 시작을 알렸다.
쿨라만 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정보 | |
분쟁 | 태평양 전쟁 / 대동아 전쟁 |
명칭 | 쿨라만 해전 |
일본어 명칭 | クラ湾夜戦 (쿠라만 야센) |
영어 명칭 | Battle of Kula Gulf |
![]() | |
시기 | 1943년 7월 6일 |
장소 | 솔로몬 제도, 쿨라만 (콜롬방가라 섬과 뉴조지아 섬 사이) |
결과 | 일본군의 수송 작전은 일응 성공. 물자 전부의 육양은 실패. 피해로만 보면 무승부이지만, 미군 함대가 전력이 압도적이었다는 점에서 보통 일본 함대의 승리로 간주함.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일본 제국 |
교전국 2 | 미국 |
지휘관 | |
일본 제국 | 아키야마 데루오 소장 |
미국 | 월든 L. 에인스워스 소장 |
병력 규모 | |
일본 제국 | 구축함 10척 |
미국 | 경순양함 3척, 구축함 4척 |
피해 규모 | |
미국 | 경순양함 1척 침몰, 168명 이상 사망 |
일본 제국 | 구축함 2척 침몰, 구축함 2척 손상, 324명 사망 |
관련 전투 | |
전역 | 솔로몬 제도 전역, 뉴조지아 전역 |
2. 배경
1943년 중반, 과달카날 전역 이후, 연합군은 솔로몬 제도에서 공세를 시작하여 6월 30일 렌도바 섬에 병력을 상륙시켰다. 이는 뉴조지아 섬 문다의 일본 비행장을 점령하기 위한 예비 단계였다. 미군은 블랑쉬 해협을 건너 뉴 조지아로 병력을 이동시키기 위한 교두보를 구축하고자 렌도바 상륙작전을 실시했다. 렌도바 확보 후, 7월 2일 미군은 본토의 자나나로 이동, 서쪽으로 문다로 진격했다. 이 노력을 지원하고 바이로코에서 문다로 증원오는 일본군을 차단하기 위해, 연합군은 7월 5일 뉴 조지아 북쪽 해안에 병력을 상륙시키기로 결정했다. 한편, 일본군은 문다 지역 강화를 위해 쇼트랜드 제도에서 콜롬방가라 섬을 거쳐 바지선으로 병력과 물자를 이동시켰다.[4][5]
쿨라 만 해전 전날 밤, 윌든 L. 에인스워스 소장의 기동 부대 36.1(TG 36.1)은 순양함으로 콜롬방가라 섬 빌라와 바이로코를 포격했다. 이는 미국 해병대와 미국 육군 병력이 뉴 조지아 북쪽 해안 라이스 앵커리지에 상륙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작전이었다.[6]
해병대 상륙과 함께, 미 해군 구축함 USS ''스트롱''과 ''슈발리에''는 함포 지원을 위해 바이로코 항에 진입했다. 이른 아침, 93식 어뢰가 ''스트롱'' 좌현 후미를 명중시켜[7] 미 해군 병사 46명이 사망했다.[8] 이 어뢰는 4척의 일본 구축함이 발사한 14발 중 하나로, 11nmi 거리를 이동, 전쟁에서 가장 성공적인 장거리 어뢰 공격으로 기록된다.[8] 일본 구축함들은 탐지되지 않고 퇴각했고, 미군 지휘관은 잠수함 공격으로 오인했다.[9]
7월 초, 연합군은 카트휠 작전으로 렌도바 섬과 뉴조지아 섬에 상륙, 뉴조지아 섬 전투가 시작되었다. 일본군은 뉴조지아 섬 옆 콜롬방가라 섬 방어를 강화해야 했다. 일본 해군 남동 방면 함대 사령관 구사카 진이치 중장은 제8함대 사령관 사메지마 구시게 중장에게 대응을 명령했다.
볼든 L. 에인스워스 소장은 경순양함 3척과 구축함 4척으로 연합군 상륙 작전을 엄호했지만, 일본군 수송 함대(도쿄 급행) 접근에 쿨라 만으로 이동했다.
2. 1. 연합군의 솔로몬 제도 공세
1943년 중반, 과달카날 전역에서 승리한 연합군은 솔로몬 제도에서 일본군을 몰아내기 위한 공세를 시작했다. 6월 30일, 연합군은 뉴조지아 섬의 문다 비행장을 점령하기 위한 첫 단계로 렌도바 섬에 상륙했다.[4] 렌도바 섬 점령 후, 미군은 뉴조지아 섬 본토로 진격하여 문다 비행장을 향한 공세를 시작했다.[5]연합군은 일본군의 증원을 차단하고 문다 비행장을 점령하기 위해 뉴조지아 섬 북쪽 해안에 상륙 작전을 계획했다. 7월 5일, 연합군은 뉴조지아 섬 북쪽 해안의 라이스 앵커리지에 상륙했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윌든 L. 에인스워스 소장의 기동 부대 36.1(TG 36.1)이 콜롬방가라 섬의 빌라와 바이로코를 포격했다.[6]
2. 2. 일본군의 뉴조지아 섬 방어 및 증원
1943년 7월 초, 연합군이 카트휠 작전에 따라 렌도바 섬과 뉴조지아 섬에 상륙하면서 뉴조지아 섬 전투가 시작되었다.[4][5] 일본군은 뉴조지아 섬 옆 콜롬방가라 섬의 방어를 강화해야 했다.[53] 이에 일본 해군 남동방면함대 사령관 구사카 진이치 중장은 제8함대 사령관 사메지마 구시게 중장에게 증원 부대 파견을 명령했다.[41][54] 아키야마 테루오 소장이 지휘하는 제3수뢰전대가 증원 부대로 편성되어 콜롬방가라 섬으로 수송 작전을 실시하게 되었다.[42][43]일본군은 뉴조지아 섬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속사포, 육군 병력 2,600명, 대발 30척 분량의 물자와 연료 80톤, 해상 트럭 3척 등을 수송하기로 결정했다.[55] 이 수송 작전은 구축함을 이용한 고속 수송 방식인 '도쿄 익스프레스'였다.
2. 3. 양측 함대 구성
미 해군 제36.1 임무군 | 일본 해군 외남양 부대 증원 부대 |
---|---|
1943년 7월 초, 연합군은 카트휠 작전에 따라 렌도바 섬과 뉴 조지아 섬에 상륙했고, 뉴 조지아 섬 전투가 시작되었다. 이에 일본군은 뉴 조지아 섬 옆 콜롬방가라 섬의 방비를 강화해야 했다. 일본 해군 남동 방면 함대는 휘하 외남양 부대에 대응을 명령했고, 외남양 부대 증원 부대는 구축함 10척을 동원해 콜롬방가라 섬으로 수송 작전을 실시했다.
1943년 7월 5일 오후, 윌리엄 할시 제독으로부터 솔로몬 제도의 "더 슬롯"으로 향하는 일본 해군의 "도쿄 특급" 임무가 있다는 정보를 받은 월든 L. 에인스워스는 경순양함 호놀룰루, 세인트루이스, 헬레나와 4척의 구축함 니콜라스, 오배넌, 래드포드, 젠킨스를 이끌고 일본군을 요격하기 위해 뉴 조지아 섬 북서쪽으로 진격했다.[10][11][12]
3. 7월 4일 전초전
한편, 볼든 L. 에인스워스 소장이 이끄는 미 해군 경순양함 3척과 구축함 4척은 연합군 상륙 작전을 엄호 중이었다. 일본군 수송 함대 접근에 따라 쿨라 만에서 양측 간 야간 수상 전투가 벌어졌다. 일본 측은 신게츠 침몰로 제3수뢰전대 사령부가 전멸했고, 나가츠키가 좌초되어 손실을 입었다.[4] 야간 포격전에서도 여러 척이 손상되었다. 연합군 측은 경순양함 헬레나가 어뢰 공격을 받아 침몰했다.[5]
일본군 수송 작전은 일단 성공하여 병력 약 1600명을 양륙했지만,[7] 연합군은 뉴 조지아 제도 각지에서 공세를 폈고, 중부 솔로몬 전황은 악화되어 갔다.
4. 쿨라 만 해전 (7월 5-6일)
7월 6일 자정 직후, 미 함선은 뉴 조지아 북서 해안의 비수 비수 포인트를 통과했다. 약 한 시간 후, 에인스워스의 기동 부대는 아키야마 테루오 제독 휘하의 일본 해군 증원 부대와 접촉했다. 일본군은 총 10척의 구축함으로 구성되었으며, 지원 부대와 2개의 수송 부대로 나뉘어 있었다.[14][15] 일본 함선은 2,600명의 지상군을 수송하고 있었으며, 문다로 증원 병력을 이동하기 위한 중간 기지인 빌라로 향하고 있었다.[16]
일본 지원 부대의 호위함이 처음 교전했다. 미 해군은 레이더로 적 함선을 추적하여 01시 57분에 포격을 시작하여 구축함 니즈키를 빠르게 침몰시키고 아키야마 제독을 사망시켰다.[19][20] 그러나 헬레나는 무연 화약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고, 매번의 일제사격으로 일본 함선에 자신을 노출시켰다. 일본 구축함 2척은 롱 랜스 어뢰를 발사하여 헬레나에 명중시켜 치명적인 피해를 입혔다.[16]
최초 접촉 후 빌라에서 벗어난 주력 일본군은 연막 뒤로 물러섰다.[16] 그 과정에서 나가츠키는 콜롬방가라섬의 밤바리 항 근처에 좌초되었고, 하츠유키는 약간의 피해를 입었다.[22][25]
03시 30분경, 에인스워스는 툴라기로 퇴각하기 시작했고, 일본군은 부인을 향했다. 미국 구축함 두 척인 래드포드와 오배넌은 생존자를 구출하기 위해 남았다. 05시경, 아마기리와 니콜라스는 어뢰와 포격을 주고받았고,[21] 아마기리는 물러났다. 좌초된 나가츠키는 아침에 승무원에 의해 버려졌고, 나중에 미군 항공기에 의해 폭격되어 파괴되었다.[22]
4. 1. 전개
1943년 7월 5일 밤, 테루오 아키야마 제독이 지휘하는 일본 해군 증원 부대는 1,600명의 병력과 물자를 싣고 부인 항을 출발하여 쿨라만으로 향했다.[102] 이들은 아키즈키급 구축함 니즈키를 기함으로 하는 지원대와 2개의 수송대로 나뉘어 있었다.[102]
한편, 미군은 월든 L. 에인스워스 제독이 지휘하는 제36.1 임무군으로, 경순양함 헬레나, 세인트루이스, 호놀룰루와 구축함 니콜라스, 오배넌, 래드포드, 젠킨스로 구성되어 있었다.[103] 이들은 일본 함대를 요격하기 위해 쿨라 만으로 진입했다.[10]
7월 6일 자정 직후, 미 함선은 뉴 조지아 북서 해안의 비수 비수 포인트를 통과했다. 약 한 시간 후, 에인스워스의 기동 부대는 콜롬방가라 동쪽 해안에서 일본 해군 증원 부대와 접촉했다.[13] 일본군은 총 10척의 구축함으로 구성되었으며, 지원 부대와 2개의 수송 부대로 나뉘어 있었다.[14][15]
일본 지원 부대의 호위함이 먼저 교전했다. 미 해군은 레이더로 적 함선을 추적하여 01시 57분에 포격을 시작, 구축함 ''Niizuki''를 빠르게 침몰시키고 아키야마 제독을 사망시켰다.[19][20] 그러나 ''Helena''는 일제사격으로 일본 함선에 자신을 노출시켰고, 일본 구축함 2척이 발사한 어뢰에 맞아 큰 피해를 입었다.[16]
최초 접촉 후 주력 일본군은 연막 뒤로 물러섰다.[16] 그 과정에서 Nagatsuki는 콜롬방가라섬의 밤바리 항 근처에 좌초되었고, Hatsuyuki는 약간의 피해를 입었다.[22][25]
03시 30분경, 에인스워스는 툴라기로 퇴각하기 시작했고, 일본군은 부인을 향했다. 05시경, Amagiri와 Nicholas는 어뢰와 포격을 주고받았고,[21] ''Amagiri''는 물러났다. 좌초된 ''Nagatsuki''는 아침에 승무원에 의해 버려졌고, 나중에 미군 항공기에 의해 파괴되었다.[22]
4. 2. 전투
1시 57분, 미 해군은 레이더로 일본 함대를 탐지하고, 아인즈워스 제독의 명령에 따라 일제히 포격을 시작했다. 미 경순양함들은 엄청난 속도로 포탄을 쏟아부었고, 일본군 기함 니즈키를 공격하여 아키야마 테루오 소장과 함께 격침시켰다.[19][20] 그러나 일본 구축함들은 이미 어뢰 발사 준비를 마친 상태였다. 스즈카제와 타니카제는 어뢰를 발사하고 재빨리 전장을 이탈했다.
2시 4분, 미 경순양함 헬레나에 4발의 어뢰가 명중했다. 이 중 1발은 불발이었지만, 헬레나는 화염에 휩싸여 3분 만에 침몰했다.[102] 이후에도 전투는 계속되었으나, 2시 35분 아인즈워스 제독은 전투 중지 명령을 내렸다. 3시 30분, 니콜라스와 래드포드가 헬레나의 생존자 구조에 나섰다.
한편, 나가츠키는 콜롬방가라 섬 밤바리 항 근처에 좌초되었고,[22] 하츠유키는 약간의 피해를 입었다.[22][25] 좌초된 나가츠키는 아침에 승무원들이 배를 버렸고, 이후 미군 항공기의 폭격으로 파괴되었다.[22]
4. 3. 전투 결과
미국 해군은 경순양함 헬레나 1척을 잃었고, 일본 해군은 구축함 니즈키, 나가츠키 2척을 잃었다.[1] 이 해전에서 일본 제3수뢰전대 사령관 아키야마 테루오 소장이 전사했다.[2],[3] 피해 규모는 비슷했으나, 미 해군의 전력이 더 컸고 일본군이 양륙 작업을 성공했다는 점에서 보통 일본군의 승리로 평가된다.
일본군은 1,600명의 병력과 90톤의 물자를 양륙하는 데 성공하여, 수송 작전 자체는 부분적으로 성공했다.[22]
''헬레나''의 생존자 구조 작전을 펼친 구축함 ''래드퍼드''와 ''니콜라스''는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24]
참고로 이후 커먼스먼트 베이급 호위항공모함 CVE-108에 쿨라 만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5. 전투의 영향
쿨라만 해전에서 미 해군은 경순양함 헬레나가 침몰하고 168명이 사망했다.[1] 일본군은 구축함 2척(니이즈키, 나가츠키)이 침몰하고 2척(아마기리, 하츠유키)이 손상되어 324명이 사망했다. 일본군 함선별 사상자는 다음과 같다.[2][3]
함선 | 피해 | 사상자 |
---|---|---|
니이즈키 | 침몰 | 사망 300명 |
아마기리 | 손상 | 사망 10명 |
나가츠키 | 침몰 | 사망 8명, 부상 13명 |
하츠유키 | 손상 | 사망 6명 |
이 해전에서 일본군은 빌라에 1,600명의 병력과 90톤의 물자를 성공적으로 상륙시켰지만,[22] 주력함과 지휘관을 잃는 큰 손실을 입었다.
로버트 W. 하일러 함장은 이전 작전과 쿨라만에서 순양함 함대를 이끈 공로로 ''호놀룰루''에서 두 번째 해군 십자 훈장을 받았다.[23] 구축함 ''래드퍼드''와 ''니콜라스''는 헬레나의 생존자 750명 이상을 구조하는 동안 일본군과 세 번이나 교전해야 했고, 구조 작전으로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아마기리''는 8월 2일 콜롬방가라 남서쪽 블랙켓 해협에서 존 F. 케네디가 지휘하는 어뢰정을 들이받아 절단냈다.[24]
이 해전 이후에도 일본군은 콜롬방가라 섬으로의 증원 수송을 계속했다. 7월 12일에는 제2수뢰전대 (경순양함 진츠, 사령관 이자키 토시지 소장)와 미 함대 (에인스워스 소장) 사이에 콜롬방가라 섬 해전이 발생했다.
6. 전후 평가 및 분석
쿨라만 해전에서 미군은 경순양함 1척을 잃었고, 일본군은 구축함 2척을 잃었다.[1] 양측의 피해는 비슷했지만, 일본군이 병력과 물자 수송에 일부 성공했기 때문에 일본군의 승리로 평가되기도 한다.[22]
미 해군은 ''헬레나'' 한 척에서만 168명이 사망했다.[1] 일본 해군은 ''니이즈키''에서 300명,[2] ''아마기리''에서 10명,[2] ''나가츠키''에서 8명,[3] ''하츠유키''에서 6명이 사망하는[3] 등 총 324명이 사망했다. 일본군은 1,600명의 병력과 90톤의 물자를 빌라에 상륙시키는 데 성공했다.[22]
''호놀룰루''의 로버트 W. 하일러 함장은 이전 작전에서의 공로와 이번 해전에서의 활약으로 두 번째 해군 십자 훈장을 받았다.[23] ''헬레나''의 생존자 구조에 큰 역할을 한 ''래드퍼드''와 ''니콜라스''는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24]
이 해전 이후, 일본군은 뉴조지아로 병력을 계속 증원했다. 7월 9일, 1,200명의 병력이 콜롬방가라 섬으로 이동했지만, 7월 12일/13일에 시도한 또 다른 증원은 콜롬방가라 해전으로 이어졌다.[26]
7. 기타
미국 해군은 이 해전을 기념하여 호위항공모함 쿨라 걸프를 취역시켰다.[28]
7. 1. 명칭
미국 해군은 이 해전을 기념하여 호위항공모함 쿨라 걸프를 취역시켰다.[28]참조
[1]
서적
Breaking the Bismarcks
[2]
웹사이트
Amagiri, Nagatsuki, Hatsuyuki, The Long Lancers
http://www.combinedf[...]
2020-05-22
[3]
서적
Breaking the Bismarcks
[4]
서적
The Solomons 1943–44: The Struggle for New Georgia and Bougainville
[5]
서적
Breaking the Bismarcks Barrier
[6]
서적
Breaking the Bismarcks Barrier
[7]
서적
Breaking the Bismarcks Barrier
[8]
웹사이트
Introduction: The Niizuki
http://www.combinedf[...]
Combined fleet.com
2020-05-17
[9]
서적
The Solomons 1943–44: The Struggle for New Georgia and Bougainville
[10]
서적
The Solomons 1943–44: The Struggle for New Georgia and Bougainville
[11]
서적
Breaking the Bismarcks Barrier
[12]
서적
Breaking the Bismarcks Barrier
[13]
서적
Breaking the Bismarcks Barrier
[14]
서적
The U.S. Navy Against the Axis: Surface Combat, 1941–1945
[15]
서적
Breaking the Bismarcks Barrier
[16]
서적
History of the U.S. Navy: 1942–1991
[17]
서적
The Solomons 1943–44: The Struggle for New Georgia and Bougainville
[18]
서적
The Solomons 1943–44: The Struggle for New Georgia and Bougainville
[19]
서적
Cartwheel: The Reduction of Rabaul
[20]
서적
Combined Fleet Decoded
[21]
서적
Breaking the Bismarcks Barrier
[22]
서적
The Solomons 1943–44: The Struggle for New Georgia and Bougainville
[23]
웹사이트
Vice Admiral Robert W. Hayter
http://www.spear.nav[...]
United States Navy
2020-06-17
[24]
서적
Breaking the Bismarcks Barrier
[25]
서적
Breaking the Bismarcks Barrier
[26]
서적
The Solomons 1943–44: The Struggle for New Georgia and Bougainville
[27]
서적
Japanese Army in World War II
[28]
웹사이트
Kula Gulf (CVE-108)
https://www.history.[...]
Naval Heritage and History Command
2020-05-22
[29]
문서
アメリカ海軍側の呼称
[30]
서적
[31]
문서
"写真PW六 12頁「〈ソロモンの戦い〉/クラ湾夜戦」"
[32]
문서
「(昭和17年)一二月一日(火)晴(中略)一六〇〇、軍令部総長、戦況〔奏上〕。昨夜、サボ島東海面にて、我d×8 敵有力部隊と夜戦。概報に依れば、敵B×1、C×1、d×2撃沈。我「高波」〔駆逐艦〕沈? 尚戦果確むるを要す。」《註、戦果は誤認》
[33]
문서
「(昭和17年)一二月三日(木)半晴(中略)戦況、三十日のサボ島沖夜戦の詳報来る。撃沈、B×1、C×1、d×2、我「高波」連絡なし。「ルンガ」沖夜戦として夕刻発表。」
[34]
문서
「(昭和18年)三月八日(月)晴(中略)一五三〇~一五五〇、総長戦況奏上。五日夜、敵C、dコロンバンガラ砲撃の際、我d×2(「峯雲」「時津風」)交戦、沈没す。(以下略)」《註、沈没した駆逐艦は村雨》
[35]
서적
[36]
기록
(昭和18年)六月三〇日(水)曇 戦況。昨夜「コロンバンガラ」に敵艦砲撃あり。今朝「レンドバ」島に敵大規模の上陸を企図。(以下略)
[37]
서적
359페이지
[38]
서적
167페이지
[39]
서적
368페이지
[40]
서적
360페이지
[41]
문서
南東方面艦隊は、前年12月24日に新編された。草鹿任一海軍中将は、南東方面艦隊司令長官と[[第十一航空艦隊 (日本海軍)|第十一航空艦隊]]司令長官の兼任である。
[42]
서적
日本水雷戦史
[43]
기록
第三水雷戦隊戦時日誌
[44]
문서
軽巡川内は5月上旬から佐世保で修理と整備を実施。6月30日に横須賀出発後、7月5日にトラック泊地進出、7月8日ラバウル入港。
[45]
사진
写真日本の軍艦9巻、軽巡II、131-132頁「軽巡洋艦『大井・北上・夕張』行動年表 ◆夕張◆」
[46]
문서
軽巡夕張は1943年(昭和18年)4月1日に、第八艦隊隷下の第三水雷戦隊に編入されていた。
[47]
문서
「…有明ハ(司令官)7S指揮ノ下ニ7S(最上欠)新月ト共ニAdB電令作第二二五號ニ依ル「ラボール」」行輸送任務ニ従事二十三日「トラツク」発二十五日「ラボール」着揚陸後同地發二十七日「トラツク」皈着」
[48]
기록
(昭和18年)七月二日(金)半晴、時々雨 午前、戦況説明を聞きに行く。「レンドバ」上陸の敵に対し、昨夜のdの夜襲は、天候の関係もあり実施出来ず。補給の上、今夜決行す。fb、fcにて空襲、敵C、d、〔航空機〕に対し相当の戦果あり。本日「トラック」より増勢。本日は、陸軍期も空襲の予定。(以下略)
[49]
기록
(昭和18年)七月一日(木)半晴(中略)軍令部総長、戦況〔奏上〕。昨日、「レンドバ」方面敵上陸部隊に対する攻撃戦果につき。昨日〔航空機〕隊は、三回攻撃し、その綜合戦果、乙巡二撃沈、乙巡一大破、d×1撃沈、T×6撃沈破、〔航空機〕撃墜調査中(三〇機以上)。損害、未帰還機fc×15、flo×18、水上艦艇の夜襲は、成功せざりしが如し(天候も不良、敵も見えず)。(以下略)
[50]
사진
写真太平洋戦争6巻24-25頁「木俣滋郎/ソロモン方面基地航空隊の作戦」
[51]
기록
(昭和18年)七月三日(土)雨 一六〇〇、軍令部総長拝謁、戦況〔奏上〕。「レンドバ」に対し、陸軍機の上陸点附近の爆撃。昨夜「夕張」〔軽巡洋艦〕、d×5の夜襲、上陸点附近の砲撃。(以下略)
[52]
사진
写真日本の軍艦6巻、重巡II、108頁「重巡洋艦『鳥海』行動年表」
[53]
서적
日本水雷戦史
[54]
문서
日本軍において、中部ソロモン防備の担任は日本海軍であったため、陸軍南東支隊は第八艦隊の指揮下にあった。現地では、陸軍南東支隊が海軍第八聯合特別陸戦隊を指揮する立場にあった。
[55]
기록
第三水雷戦隊戦時日誌
[56]
서적
日本水雷戦史
[57]
서적
日本水雷戦史
[58]
서적
日本水雷戦史
[59]
서적
日本水雷戦史
[60]
서적
日本戦艦戦史
[61]
문서
○横須賀第七特別陸戦隊(五-〇七二六)
[62]
서적
日本水雷戦史
[63]
기록
(昭和18年)七月五日(月)当直 一五三〇、軍令部総長、戦況〔奏上〕。陸軍重爆を海軍戦闘機護衛、「レンドバ」揚陸場、爆撃。T×5撃沈、敵機九機撃墜、重爆十数機未帰還。/「コロンバンガラ」増援部隊d×2 敵Cに遭遇、揚陸せず引き返す。/夜は「ライス」にも上陸、「バイロコ」上陸は、守備隊撃退す。/「アンバアンバ」は我方、上陸敢行、撃退す。/「ソロモン」南東に、〔空母〕×1、T数隻あり。(以下略)
[64]
서적
日本水雷戦史
[65]
기록
第三水雷戦隊戦時日誌
[66]
서적
日本水雷戦史
[67]
문서
軽巡夕張は7月17日、ラバウル出発。7月30日より横須賀で修理。11月3日、ラバウルに到着。
[68]
문서
○増援部隊(五-一〇〇九)作十一号 本五日ノコロンバンガラ緊急輸送要領左ノ通改ム(中略)○第三水雷戦隊(五-一五〇〇)一四四五将旗ヲ「新月」ニ移揚。《「夕張」「ショートランド」港内ニテ触雷浸水、ラボールニ向フ》
[69]
기록
第三水雷戦隊戦時日誌
[70]
서적
80페이지
[71]
기사
"クラ」湾夜戦、「新月」電探ニテ先ヅ敵発見、併シナガラ敵ノ機先砲撃ニテ損傷、消息ヲタツ。第二十四駆逐隊「谷風」ハ引続シテヰテ敵ヲ雷撃、巡洋艦一、駆逐艦一ヲ撃沈。(以下略)"
1943-07-05
[72]
서적
佐藤
[73]
서적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74]
간행물
駆逐艦谷風戦闘詳報
[75]
서적
佐藤
[76]
서적
日本水雷戦史
[77]
서적
日本水雷戦史
[78]
서적
日本水雷戦史
[79]
서적
日本水雷戦史
[80]
간행물
駆逐艦谷風戦闘詳報
[81]
서적
日本水雷戦史
[82]
간행물
駆逐艦谷風戦闘詳報
[83]
간행물
駆逐艦谷風戦闘詳報
[84]
간행물
第三水雷戦隊戦時日誌
[85]
문서
"浜風」(六-〇五三〇)「浜風」揚陸未済160名、物件大発五隻分。戦場急行ヲ止メショートランド湾ニ回航ス。
[86]
서적
日本水雷戦史
[87]
사진
写真太平洋戦争6巻
[88]
문서
"(昭和18年)七月八日(木)半晴(中略)「長月」乗員は「コロンバンガラ」陸上に移る。「ウィクハム」派遣隊中、一三三名「バイロコ」帰着。(以下略)"
1943-07-08
[89]
문서
谷風蓮76号日誌(1)p.15『七.参考(イ)昭和十八年七月五日夜半「クラ」灣夜戰々訓所見』
[90]
문서
" 一.今次夜戰ニ於テハ驅逐隊自体ガ主隊兼補助部隊ニシテ戰果発揚ハ遍ニ駆逐隊自身ノ攻撃効果ニ依ラザルベカラザルガ如キ情況ニシテ徒ニ肉迫猛撃シ猪突盲進スルハ装備優秀ナル敵新式巡洋艦以上ノ部隊ニ対シテハ我ガ未ダ近迫セザルニ全滅シ何等戰果ナク敵ヲシテ名ヲ威サシムルノミナリ "
[91]
문서
" (B)最近ニ於ケル「ソロモン」方面局地夜戰ヲ研究セラルルニ当リ対勢図ヨリ見ル発射距離ノ大ヲ以テ直ニ肉迫攻撃ノ精神力不足ト謂フハ早計ナリ爾後ノ対勢変化ノ状況ヲ洞察シ其ノ時機ガ駆逐艦ノ戰力発揮ノ好機ナルヤ否ヤニ着眼ノ要アリト偲ム "
[92]
문서
"(昭和18年)七月七日(水)半晴 支那事変六周年記念日。「コロンバンガラ」には、陸兵一,四〇〇輸送、坐礁中の「長月」〔駆逐艦〕爆撃を受く。(以下略)"
1943-07-07
[93]
간행물
昭和18年7月7日(発令7月7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167号 p.4
아시아역사자료센터
1943-07-07
[94]
문서
○外南洋部隊(六-一〇二九)作337号 「鳥海」ヲ増援部隊ニ編入、増援部隊指揮官ヲ「鳥海」」艦長トス〔行間書込〕(一〇-一〇二四)「鳥海」艦長ノ第三水雷戦隊司令官代理ヲ解ク《第三水雷戦隊司令官ハ「新月」ニテ、消息ヲ断チタリ。五日夜》。
[95]
문서
○外南洋部隊(五-一〇三一)作331号 一、本職「鳥海」「雪風」「夕暮」ヲ率ヰ、本夕刻ラボール出撃、RWO(ショートランド)ニ回航、全作戦ヲ支援セントス。二、三、〔空白〕《第八艦隊進出》。《「雪風」ニ第八艦隊司令長官旗ヲ掲ゲ「鳥海」ハ増援部隊ニ入レ、第一根拠地隊司令部デ執務ス》
[96]
사진
写真太平洋戦争6巻
[97]
서적
포터
[98]
서적
日本水雷戦史
[99]
서적
日本水雷戦史
[100]
웹인용
Battle of Kula gulf
https://military.wik[...]
2020-09-19
[101]
문서
피해로만 보면 무승부이지만, 미군 함대가 전력이 압도적이었다는 점에서 보통 일본 함대의 승리로 간주한다.
[102]
웹인용
Second Battle of Kula Gulf, July 6, 1943, by Vincent P. O'Hara
http://www.microwork[...]
2020-09-20
[103]
문서
원래 스트롱과 슈발리에가 있었으나, 스트롱이 격침되었고 슈발리에가 대파되어 교체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