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스키노 토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라스키노 토성은 러시아 연해주 포시예트 만 안쪽의 습지에 위치한 항만 유적이다. 본래 발해 유적으로 알려졌으나, 2009년 유적 내 주거지 터에서 채취한 목탄 연대 측정 결과 고구려 안장왕 때 축조된 것으로 밝혀졌다. 발해 시대에는 염주성으로 불렸으며, 남북 380m, 동서 300m의 사각형 모양을 갖추고 있다. 이곳은 일본과 신라 사이의 사절이 왕래하던 해상 및 육상 교통의 중심지였으며, 불교 사찰, 온돌 등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크라스키노 토성은 고구려와 발해의 해상 교역과 영토 확장 역량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해의 성 - 의주읍성
의주읍성은 고구려 때 축조되어 서북 방어 요새로 활용되었고, 고려 시대에는 성곽을 보수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개축 공사가 이루어졌고 임진왜란 때 선조가 피난했던 곳이며, 병자호란 때 함락되었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관광지 - 악마의 문 동굴
악마의 문 동굴은 러시아 연해주에 위치한 고고학 유적으로,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직물 조각과 고대 동북아시아인의 유전적 특징을 밝히는 데 중요한 인골 등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 러시아의 성 - 부티르카 감옥
부티르카 감옥은 17세기에 처음 언급된 러시아 모스크바의 감옥으로, 예카테리나 2세 시대에 건설되어 제정 러시아와 소련 시대를 거치며 정치범 수용소 및 굴라크 이송 수용소로 사용되었고, 수많은 인사가 수감되었으며 과밀 수용과 열악한 환경으로 악명 높았다. - 러시아의 성 - 미하일롭스키성
미하일롭스키 성은 파벨 1세의 명령으로 1797년부터 1801년까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건설되었으며, 완공 당시 요새 기능을 갖추었고, 현재는 러시아 미술관의 분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크라스키노 토성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명칭 | 크라스키노 토성 |
원어명 | Краскинское городище |
로마자 표기 | Kraseukinseukoe gorodishche |
유형 | 토성 |
위치 | 러시아 연해주 크라스키노 |
역사 | |
시대 | 고구려 발해 |
축성일 | 알 수 없음 |
건설자 | 알 수 없음 |
구조 | |
상태 | 알 수 없음 |
면적 | 알 수 없음 |
둘레 | 알 수 없음 |
높이 | 알 수 없음 |
구성 | 알 수 없음 |
기타 | |
주요 성주 | 알 수 없음 |
주요 전투 | 알 수 없음 |
현 소유 | 알 수 없음 |
좌표 | 알 수 없음 |
웹사이트 | 알 수 없음 |
2. 역사
본래 이 토성은 발해의 유적지로 알려졌지만 2009년 성 내 주거지 터 최하층에서 채취한 목탄을 측정한 결과 이 지역의 문화층(당대 문화의 흔적이 있는 지층)의 연대가 530년으로 나타났다.[5] 그리하여 이 성이 본래 고구려 안장왕 때 축조된 성으로 수정되었다. 발해 때엔 '''염주성'''(鹽州城)으로 불렀다. 포시예트 만 안쪽의 습지에 축조된 항만 유적이고 남북 380m, 동서 300m로 사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북쪽으로 뻗어있는 제철장 성벽에 둘러싸여 있다.
이곳에서 일본이나 신라 사이의 사절이 갔다 온 해상 교통과 육상 교통의 중심지라고도 불리고 있다.
불교사찰이나 온돌 등도 발견되었다.
2. 1. 고구려 시대
이 토성은 본래 발해의 유적지로 알려졌지만, 2009년 성 내부 주거지 터 최하층에서 채취한 목탄을 측정한 결과 문화층 연대가 530년으로 나타났다.[5] 그리하여 이 성은 본래 고구려 안장왕 때 축조된 성으로 밝혀졌다.[5] 발해 때엔 '''염주성'''(鹽州城)으로 불렀다. 포시예트 만 안쪽의 습지에 축조된 항만 유적이고 남북 380m, 동서 300m로 사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북쪽으로 뻗어있는 제철장 성벽에 둘러싸여 있다.이곳은 일본이나 신라 사이의 사절이 왕래했던 해상 교통과 육상 교통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
불교사찰이나 온돌 등도 발견되었다.
2. 2. 발해 시대
발해 시대에는 염주성(鹽州城)으로 불렸다. 이곳은 일본이나 신라 사이의 사절(발해사·견발해사)이 왕래했던 해상 교통과 육상 교통의 중심지였다.[3] 포시예트 만 안쪽의 습지에 축조된 항만 유적이고 남북 380m, 동서 300m로 사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북쪽으로 뻗어있는 제철장 성벽에 둘러싸여 있다.[5]불교사찰이나 온돌 등도 발견되었다. 발해의 중심 도시 상경 용천부에서 크라스키노 토성까지 일본과의 교역 루트인 '일본도'가 정비되어 있었다.
에·베·샤프크노프(에. 베. 샤프크노프/E. V. Shavkunov영어, Эрнст Владимирович Шавкуновru)는, 크라스키노 토성에서 출토된 발해 기와에는 현저한 고구려 기와의 특징이나 영향이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4]
3. 구조 및 특징
4. 발굴 조사
5. 의의
크라스키노 토성은 포시에트 만 안쪽의 저습지에 조성된 항만 유적으로, 남북 380m, 동서 300m 크기의 대략 사변형 형태를 띠고 있다. 북쪽을 향한 말굽 모양의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삼방에 성문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 7~10세기에는 일본과 신라와의 사절단(발해사·견발해사)이 왕래했던 해상 및 육상 교통의 중심 성곽으로 여겨진다.[3] 상경 용천부에서 크라스키노 토성까지 일본과의 교역 루트인 '일본도'가 정비되어 있었다.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의 타무라 코이치 명예 교수는 성문과 성벽을 발굴하여, 성문이 옹성 형태를 하고 있으며 성벽에 치를 갖추고 있음을 보고했다.[3] 에·베·샤프크노프(E. V. Shavkunov영어, Эрнст Владимирович Шавкуновru)는 크라스키노 토성에서 출토된 발해 기와에는 현저한 고구려 기와의 특징이나 영향이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4]
크라스키노 토성은 고구려와 발해의 해상 교역 및 영토 확장 역량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특히 '일본도'의 존재는 발해가 동해를 통해 활발한 해상 활동을 전개했음을 시사한다.
참조
[1]
기타
КРА́СКИНСКОЕ ГОРОДИ́ЩЕ
https://bigenc.ru/ar[...]
[2]
웹사이트
クラスキノ城と福良港
http://kousin242.sak[...]
[3]
서적
クラスキノ:ロシア・クラスキノ村における一古城跡の発掘調査
2011
[4]
서적
동아시아의 발해사 쟁점 비교 연구
http://contents.nahf[...]
동북아역사재단
2009-09
[5]
뉴스
연해주 남부서 고구려 계열 유물 출토
https://m.news.naver[...]
2009-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