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레디탄슈탈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레디탄슈탈트는 1855년 살로몬 마이어 폰 로스차일드와 안젤름 살로몬 폰 로스차일드에 의해 설립된 오스트리아의 은행이다.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주요 은행으로 성장하여 지점망을 확장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해체로 인해 사업 영역이 축소되었다. 1931년 파산 위기를 겪으며 대공황을 촉발했고, 나치 독일에 병합된 후에는 재정적, 인종적 이유로 표적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유화되었다가 부분 민영화되었으며, 1997년 오스트리아 은행에 인수된 후 2008년 브랜드가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은행 - 골든스타 은행
    1982년 오스트리아 빈에 설립된 골든스타 은행은 간첩 행위, 돈세탁, 위조지폐 유통, 방사성 물질 불법 거래 연루 의혹으로 2004년에 돈세탁 및 북한 무기 자금 지원 혐의로 폐쇄되었다.
  • 1855년 설립된 기업 - 콜트 제조회사
    콜트 제조 회사는 1836년 새뮤얼 콜트가 설립한 미국의 총기 제조 회사이며, M1851, M1873 권총과 M1911 권총 등을 생산하여 성공을 거두었으나, 경영 부실로 파산 위기를 겪고 2021년 콜트 CZ 그룹으로 변경되어 현재 권총, 소총 등을 생산한다.
  • 1855년 설립된 기업 - 토론토 도미니온 은행
    토론토 도미니온 은행은 1955년 토론토 은행과 도미니온 은행의 합병으로 설립된 캐나다의 다국적 금융 서비스 기업으로, 캐나다와 미국에서 개인 및 상업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온라인 증권 거래, 투자 및 자산 운용, 사회 공헌 활동 등을 진행한다.
크레디탄슈탈트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정보
회사명크레디탄슈탈트 AG
로고
유형유니크레딧의 자회사
설립1855년
위치, 오스트리아
주요 인물로트실트 가문
기업가
산업금융
상품상업은행
투자은행
자산관리 전문가
본사, 오스트리아
웹사이트www.bankaustria.at
추가 정보
설립자안젤름 잘로몬 폰 로트실트
설립 연도1855년
해체2002년 방크 오스트리아에 합병됨
후신방크 오스트리아-크레디탄슈탈트
주요 사업금융 서비스
위치, 오스트리아
역사적 명칭제국 왕립 특권 오스트리아 상공업 신용 기관
현재 건물방크 오스트리아 쿤스트포룸 (과거 크레디탄슈탈트 본사 건물)
관련 인물안젤름 폰 로트실트
공식 웹사이트www.ba-ca.com
참고 자료The Economist 기사
BIS 보고서
Financial Times 기사
1920년대와 1930년대 초 크레디탄슈탈트 본사 건물(현재 방크 오스트리아 쿤스트포룸)

2. 설립과 초기 발전 (1855년 ~ 1931년)

1855년 11월 6일자 빈 자이퉁에 실린 크레디탄슈탈트 창립 광고


1858년 3월 31일 발행된 크레디탄슈탈트 푸어 한델 운트 게베르베 주식 증서


크레디탄슈탈트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주요 은행으로 빠르게 성장했다.[20] 1856년 프라하에 첫 지점을 개설한 이후, 1867년까지 페슈트(헝가리), 브르노, 브라쇼브, 리비우, 트리에스테 등에 지점을 설립하며 확장했다.[3] 1869년에는 영국-오스트리아 은행과 함께 카이로에 오스트리아-이집트 은행을 공동 설립하기도 했다.[2] 1872년에는 알베르트 살로몬 안젤름 폰 로스차일드가 크레디탄슈탈트를 경영하게 되었고, 1911년에는 그의 아들 루이스 나다니엘 드 로스차일드에게 경영권이 승계되었다.[5]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패배하고 해체되면서 크레디탄슈탈트의 상황은 급변했다. 제1오스트리아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1919년에는 체코슬로바키아 지역 사업을 보헤미아 에스콤프트 은행에 매각해야 했다. 1920년에는 류블랴나 지점이 유고슬라비아 은행으로 재편되었고,[6] 폴란드 제2공화국의 지점들도 주식 교환 방식으로 매각되어, 크레디탄슈탈트는 해당 은행들 자본의 3분의 1을 보유하게 되었다.[7]

국제적 관점을 잃은 크레디탄슈탈트는 오스트리아 시장에 집중하게 되었다. 1926년에는 영국-오스트리아 은행의 빈 사업체를 인수했는데, 이 과정에서 영국 중앙은행은 크레디탄슈탈트의 주요 주주가 되었다. 1929년 1929년 월가 폭락 당시, 오스트리아 정부의 압력을 받아 크레디탄슈탈트는 재정 위기에 처한 알게마이네 보덴크레디탄슈탈트를 인수해야 했다.[20][8]

2. 1. 설립 배경

살로몬 마이어 폰 로스차일드와 그의 아들 안젤름 살로몬 폰 로스차일드에 의해 1855년 설립되었으며, 오스트리아 재무장관 카를 루트비히 폰 브룩의 지원과 오스트리아 및 보헤미아 귀족들의 재정적 참여가 있었다.[3] 이는 페레르 형제(Pereire brothers)가 파리에 설립한 크레디 모빌리에(1852년 설립)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오랜 역사를 가진 로스차일드 가문과의 경쟁에서 페레르 형제의 유럽 진출에 대한 방어적 조치를 의미했다.

설립 신청서는 오스트리아 황실에 제출되었으며, 초기 자본 조달은 다음과 같이 보장되었다.

참여 주체지분율
로스차일드 가문의 빈, 프랑크푸르트, 파리 소재 은행들40%
저명한 귀족들 (

2. 2. 초기 성장

살로몬 마이어 폰 로스차일드와 그의 아들 안젤름 살로몬 폰 로스차일드가 1855년에 크레디탄슈탈트를 설립했다. 카를 루트비히 폰 브룩 오스트리아 재무장관의 지원과 오스트리아 및 보헤미아 귀족들의 재정적 참여가 있었다.[3] 이는 크레디 모빌리에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로스차일드 가문과의 경쟁에서 유럽 진출을 방어하기 위한 조치였다. 초기 자본의 40%는 로스차일드 가문의 은행들이, 50%는 귀족들이, 10%는 프라하의 레오폴트 폰 레멜 은행이 제공했다.[2]

크레디탄슈탈트는 빠르게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주요 은행이 되었다.[20] 1856년 프라하에 첫 지점을 열었고, 1867년까지 페슈트(헝가리), 브르노, 브라쇼브, 리비우, 트리에스테에 지점을 설립했다.[3] 같은 해 헝가리 계열사인 헝가리 일반 신용은행을 설립하여 페슈트 지점을 합병했다.[4] 1869년에는 영국-오스트리아 은행과 함께 카이로에 오스트리아-이집트 은행을 공동 설립했다.[2] 1872년 알베르트 살로몬 안젤름 폰 로스차일드가 경영권을 장악했고, 1911년 그의 아들 루이스 나다니엘 드 로스차일드에게 계승되었다.[5]

3. 위기와 합병 (1931년 ~ 1938년)

1929년 월가 붕괴의 여파와 알게마이네 보덴크레디탄슈탈트 인수 등으로 크레디탄슈탈트는 재정난을 겪었다. 1931년 5월 11일, 크레디탄슈탈트는 1930년 재무제표를 발표할 수 없다고 선언하며 파산 위기에 직면했다.[9] 당시 크레디탄슈탈트는 오스트리아 은행 부문 총자산의 27%를 차지했고, 이는 국내총생산(GDP)의 16%에 해당하는 규모였다.

오토 엔더 총리는 오스트리아 정부, 오스트리아 국립은행, 로스차일드 가문의 비용 분담을 포함하는 구제 계획을 조직하여,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이 주장한 국유화 계획을 거부했다. 크레디탄슈탈트의 해외 자산은 모나코에 등록된 Société Continentale de Gestion이라는 법인으로 이전되었으며, 크레디탄슈탈트는 지분의 절반을 소유하고 해외 채권자들에게 나머지 절반이 배분되었다.[12]

1933년, 엥겔베르트 돌푸스 총리는 크레디탄슈탈트를 비너 뱅크파어라인(Wiener Bankverein) 및 니더외스터라이히셰 에스꽁프테게젤샤프트(Niederösterreichische Escompte-Gesellschaft)와 합병하도록 명령했다. 그 결과 정부가 지분 대부분을 소유하게 되었지만, 외국인들도 여전히 약 42%의 지분을 보유했다.[12] 합병된 은행은 '외스터라이히셰 크레디탄슈탈트-비너 뱅크파어라인'(Österreichische Creditanstalt - Wiener Bankverein)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1938년 오스트리아가 나치 독일에 병합(Anschluss)된 후, 크레디탄슈탈트는 재정적 및 인종적 이유로 즉각 표적이 되었다. 1938년 3월 26일, 독일은행(Deutsche Bank)과의 "우호 협정" 체결을 강요받았고, 이를 통해 독일은행은 이사회에 진출하게 되었다.[15] 루이 나다니엘 드 로스차일드는 은행 파산 당시 오스트리아 국가가 입은 손실 때문에 즉각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직위와 재산을 박탈당한 그는 2,100만 달러를 지불하고 석방되었는데, 이는 개인에 대한 역사상 최대 보석금으로 여겨진다.[13]

1938년 후반, 크레디탄슈탈트는 보상 없이 독일 정부가 소유한 VIAG, 독일은행,[14] 그리고 독일중앙은행(Reichsbank)에 의해 공동으로 인수되었다. 1939년, 은행 이름은 크레디탄슈탈트-방크파어인(Creditanstalt-Bankverein)으로 단축되었고, 독립이라는 허구는 선전 목적으로 유지되었지만, 실제로는 독일은행의 완전히 통합된 운영으로 운영되었다.

수데텐란트 합병 후, 크레디탄슈탈트는 룬덴부르크(브르제츠라프), 니콜스부르크(미쿨로프), 츠나임(즈노이모)에 지점을 개설했고, 1939년에는 새로 설립된 슬로바키아 공화국(1939~1945)에서 보헤미안 유니온 은행(Böhmische Union Bank)의 이전 운영을 인수했다.

1942년 4월, 독일은행은 VIAG로부터 주식 블록을 인수하여 지분을 51%로 늘렸다.[15] 전시 중 크레디탄슈탈트-방크파어인은 나치 점령하의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유고슬라비아,[20] 그리고 나치 동맹국인 불가리아로 사업을 확장했다.

전쟁 중에도 이사회 멤버였던 전 회장 요제프 요함(Josef Joham)이 미국 전략사무국(Office of Strategic Services)과 접촉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크레디탄슈탈트는 여러 나치 강제수용소의 재정 문제뿐만 아니라 유대인 소유 사업체의 아리아화와 같은 문제를 해결했는데, 사샤-필름의 비엔-필름(Wien-Film) 리미티드로 재설립이 그 예시이다.

3. 1. 전후 상황

크레디탄슈탈트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체로 인해 사업 영역이 축소되었다. 제국 해체로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유고슬라비아 등지의 사업을 매각해야 했다.[12] 특히 유고슬라비아 계열사는 류블랴나 시립 저축은행 등에 인수되었다.[5]

3. 2. 1931년 파산 위기

1929년 월가 붕괴의 여파와 알게마이네 보덴크레디탄슈탈트 인수 등으로 크레디탄슈탈트는 재정난을 겪었다. 1931년 5월 11일, 크레디탄슈탈트는 1930년 재무제표를 발표할 수 없다고 선언하며 파산 위기에 직면했다.[9] 당시 크레디탄슈탈트는 오스트리아 은행 부문 총자산의 27%를 차지했고, 이는 국내총생산(GDP)의 16%에 해당하는 규모였다. 따라서 1927년 유니온뱅크나 1929년 보덴크레디탄슈탈트처럼 다른 더 큰 은행에 흡수될 여지가 없었다.

오토 엔더 총리는 오스트리아 정부, 오스트리아 국립은행, 로스차일드 가문의 비용 분담을 포함하는 구제 계획을 조직하여,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이 주장한 국유화 계획을 거부했다. 크레디탄슈탈트의 해외 자산은 모나코에 등록된 Société Continentale de Gestion이라는 법인으로 이전되었으며, 크레디탄슈탈트는 지분의 절반을 소유하고 해외 채권자들에게 나머지 절반이 배분되었다.[12]

크레디탄슈탈트의 파산과 이로 인한 세계적인 금융 위기는 아돌프 히틀러와 나치당에게 독일과 국제적인 경제 및 사회적 문제에 대한 책임을 유대인에게 돌리는 주요 선전 기회를 제공했다.[5] 이는 1931년 유럽 은행 위기의 주요 은행 파산 사례 중 하나였으며, 대공황을 촉발했다.[9][10][11]

3. 3. 합병과 나치 독일의 영향

1933년, 엥겔베르트 돌푸스 총리는 크레디탄슈탈트를 비너 뱅크파어라인(Wiener Bankverein) 및 니더외스터라이히셰 에스꽁프테게젤샤프트(Niederösterreichische Escompte-Gesellschaft)와 합병하도록 명령했다. 그 결과 정부가 지분 대부분을 소유하게 되었지만, 외국인들도 여전히 약 42%의 지분을 보유했다.[12] 합병된 은행은 '외스터라이히셰 크레디탄슈탈트-비너 뱅크파어라인'(Österreichische Creditanstalt - Wiener Bankverein)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1938년 초, 이 은행은 오스트리아 내 여러 도시에 지점을 두고 있었고, 여러 은행의 지배 지분을 소유하고 있었다. 또한 폴란드, 유고슬라비아, 불가리아, 헝가리 등 해외에도 소수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다.[12]

크레디탄슈탈트의 파산과 그로 인한 세계적인 금융 위기는 아돌프 히틀러와 나치당이 경제 및 사회 문제의 책임을 유대인에게 돌리는 주요 선전 도구로 활용되었다.[5]

1938년 초, 외스터라이히셰 크레디탄슈탈트-비너 뱅크파어라인은 다음 지역들에 지점을 두고 있었다.



또한, 다음 은행들의 지배 지분을 소유하고 있었다.

은행
오베뢰스터라이히 운트 잘츠부르크 은행(Bank für Oberösterreich und Salzburg)
BKS 은행(BKS Bank)(Bank für Kärnten)
티롤 운트 포어아를베르크 은행(Bank für Tirol und Vorarlberg)
슈타이어마르키셰 에스꽁프테방크(Steiermärkische-Escompte-Bank)



그리고 다음 지역에 해외 소수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다.

내용
폴란드유고슬라비아에 있는 이전 비너 뱅크파어라인 계열사
불가리아의 프랑코-벨기에 앤 발칸 은행(Banque Franco-Belge et Balkanique)
헝가리 일반 신용 은행(Hungarian General Credit Bank)의 이사회 대표권


4. 나치 독일 병합과 제2차 세계 대전 (1938년 ~ 1945년)

1938년 오스트리아나치 독일에 병합(안슐루스)된 후, 크레디탄슈탈트는 재정적 및 인종적 이유로 즉각적인 표적이 되었다. 당시 자본의 약 36%는 오스트리아 정부가, 12%는 오스트리아 국립은행, 16%는 은행 직원 연금 기금, 7%는 자회사를 통해 은행 자체가 보유하고 있었다.[15]

1938년 3월 26일, 독일은행과 "우호 협정"을 체결하여 독일은행이 이사회에 진출하게 되었다.[15] 루이 나다니엘 드 로스차일드는 은행 파산으로 오스트리아 국가가 입은 손실 때문에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직위와 재산을 박탈당한 그는 2100만달러를 지불하고 석방되었는데, 이는 개인에 대한 역사상 최대 보석금으로 여겨진다.[13] 그는 1년 이상 구금된 후 1939년 미국으로 이주했다.

1938년 후반, 크레디탄슈탈트는 보상 없이 독일 정부 소유의 VIAG, 독일은행,[14] 독일중앙은행에 의해 공동 인수되었다. 1939년 은행 이름은 크레디탄슈탈트-방크파어인(Creditanstalt-Bankverein)으로 단축되었으나, 독립이라는 허울은 선전 목적으로 유지되었고 실제로는 독일은행에 완전히 통합되어 운영되었다.

수데텐 지역 합병 후, 크레디탄슈탈트는 룬덴부르크(브르제츠라프), 니콜스부르크(미쿨로프), 츠나임(즈노이모)에 지점을 개설했고, 1939년 슬로바키아 공화국(1939~1945)에서 보헤미안 유니온 은행(Böhmische Union Bank)을 인수했다. 리비우 기반 계열사인 주식 저당 은행 (Akcyjny Bank Hipotecznypl)은 1939년 9월 소련의 폴란드 침공 이후 국유화되어 청산되었다. 1942년 4월, 독일은행은 VIAG로부터 주식 블록을 인수하여 지분을 51%로 늘렸다.[15]

전시 중 크레디탄슈탈트-방크파어인은 나치 점령하의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유고슬라비아,[20] 그리고 나치 동맹국인 불가리아로 사업을 확장했다. 여기에는 알게마이너 유고슬라비셔 방크파어인, 알게마이너 방크파어인 인 폴렌, 브르노에 있는 모라비아 은행 (), 보헤미안 유니온 은행(프라하), 독일-불가리아 크레디트방크 (Deutsch-Bulgarische Kreditbankde) (소피아), 방카 코메르찰라 로머너 (Banca Comercială Românăde) (부쿠레슈티)의 30% 지분이 포함되었다.

전 회장 요제프 요함은 미국 전략사무국과 접촉했지만, 크레디탄슈탈트는 나치 강제 수용소 관련 재정 문제와 유대인 소유 사업체의 아리아화(Aryanization (Nazism))에 협력했다. 사샤-필름을 비엔-필름으로 재설립한 것이 그 예시이다.

4. 1. 강제 합병

1938년 오스트리아나치 독일에 병합(안슐루스)된 후, 크레디탄슈탈트는 재정적 및 인종적 이유로 즉각적인 표적이 되었다.[15] 루이 나다니엘 드 로스차일드는 은행 파산 당시 오스트리아 국가가 입은 손실 때문에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직위와 재산을 박탈당한 그는 2100만달러를 지불하고 석방되었는데, 이는 개인에 대한 역사상 최대 보석금으로 여겨진다.[13] 그는 1년 이상 구금된 후 1939년 미국으로 이주했다.

1938년 후반, 크레디탄슈탈트는 보상 없이 독일 정부 소유의 VIAG, 독일은행,[14] 독일중앙은행에 의해 공동으로 인수되었다. 1939년, 은행 이름은 크레디탄슈탈트-방크파어인(Creditanstalt-Bankverein)으로 단축되었고, 독립이라는 허울은 선전 목적으로 유지되었지만, 실제로는 독일은행에 완전히 통합되어 운영되었다.

1942년 4월, 독일은행은 VIAG로부터 주식 블록을 인수하여 지분을 51%로 늘렸다.[15] 전시 중에 크레디탄슈탈트-방크파어인은 나치 점령하의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유고슬라비아,[20] 그리고 나치 동맹국인 불가리아로 사업을 확장했다.

4. 2. 전쟁 중 활동

1938년 오스트리아가 나치 독일에 병합된 후, 크레디탄슈탈트는 독일은행(Deutsche Bank)과 "우호 협정"을 체결해야 했고, 루이 나다니엘 드 로스차일드는 체포되어 재산을 빼앗기고 막대한 보석금을 내고 풀려난 후 미국으로 이주했다.[13] 이후 크레디탄슈탈트는 독일 정부, 독일은행,[14] 독일중앙은행(Reichsbank)에 인수되었으며, 1939년에는 크레디탄슈탈트-방크파어인(Creditanstalt-Bankverein)으로 이름이 바뀌었지만 실제로는 독일은행에 완전히 통합되어 운영되었다.

크레디탄슈탈트는 수데텐 지역 합병 후 룬덴부르크(브르제츠라프), 니콜스부르크(미쿨로프), 츠나임(즈노이모)에 지점을 개설했고, 슬로바키아 공화국(1939~1945)에서는 보헤미안 유니온 은행(Böhmische Union Bank)을 인수했다. 리비우 기반 계열사는 소련 침공 이후 국유화되었다. 1942년 독일은행은 크레디탄슈탈트 지분을 51%로 늘렸다.[15] 전시 중 크레디탄슈탈트-방크파어인은 나치 점령하의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유고슬라비아[20], 그리고 동맹국인 불가리아로 사업을 확장했다. 여기에는 알게마이너 유고슬라비셔 방크파어인 (알게마이너 유고슬라비셔 방크파어인 (Belgrade and Zagreb)), 알게마이너 방크파어인 인 폴렌 (알게마이너 방크파어인 인 폴렌 (Warsaw)), 모라비아 은행 (), 보헤미안 유니온 은행(Böhmische Union Bank) (프라하), 독일-불가리아 크레디트방크 (Deutsch-Bulgarische Kreditbankde), 방카 코메르찰라 로머너 (Banca Comercială Românăde) 등이 포함되었다.

전 회장 요제프 요함은 미국 전략사무국과 접촉했지만, 크레디탄슈탈트는 나치 강제수용소 관련 재정 문제와 유대인 소유 사업체의 아리아화(Aryanization (Nazism))에 협력했다. 사샤-필름을 비엔-필름으로 재설립한 것이 그 예시이다.

5. 전후 재건과 발전 (1945년 ~ 1997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크레디탄슈탈트는 오스트리아에 사업을 집중해야 했고, 1946년 연합군 점령하 오스트리아의 법률에 따라 국유화되었다.[16] 1956년 부분 민영화되었지만, 정부는 여전히 많은 지분을 소유했다. 1980년대 런던, 뉴욕, 홍콩에 지점을 개설하며 국제적인 확장을 추진했다. 1989년 철의 장막 붕괴 이후 동중부 유럽으로 사업을 확장했다.[20] 1997년 제프리 호게트가 투자은행에서 일을 그만두었는데, 그는 당시 오스트리아 은행에서 일하던 로스차일드 가문의 마지막 인물이었다.[18]

5. 1. 국유화와 부분 민영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크레디탄슈탈트는 다시 오스트리아에 사업을 집중해야 했고, 1946년 7월 28일 연합군 점령하 오스트리아의 법률에 따라 국유화되었다.[16] 1947년에는 비엔나에 23개, 오스트리아 기타 지역에 9개의 지점과 클라겐푸르트의 BKS 은행, 인스브루크의 티롤과 포어아르베르크 은행, 린츠의 오베뢰스터라이히 및 잘츠부르크 은행 등 3개의 지방 계열사를 두고 있었다.[16] 주로 상업은행이 되어 오스트리아 경제에 참여했으며, 비너베르거, 슈타이어-다임러-푸흐, 렌징 AG, 젬페리트와 같은 중요한 오스트리아 기업의 지분을 보유했다. 1956년부터 크레디탄슈탈트는 주식의 40%를 발행하여 부분적으로 민영화되었지만, 보통주는 10%에 불과했다. 1970년대부터 중앙 및 동유럽으로 국제 확장을 재개했다.[20] 1975년에는 부다페스트에 대표 사무소를 개설한 최초의 서구 은행이 되었다.[17]

1981년, 브루노 크라이스키 내각에서 물러난 전 사회민주당 재무장관 하네스 안드로슈가 총책임자 직을 맡았다. 산업 분야 투자가 줄어든 반면 정부 소유 지분은 51%로 감소했다. 1980년대 크레디탄슈탈트는 런던, 뉴욕, 홍콩에 지점을 개설했다. 1989년부터는 철의 장막 붕괴로 동중부 유럽에 대한 국제적 방향이 강화되었다.

5. 2. 사업 재편

크레디탄슈탈트는 주로 상업은행으로서 오스트리아 경제 발전에 참여했으며, 비너베르거, 슈타이어-다임러-푸흐, 렌징 AG, 젬페리트와 같은 주요 오스트리아 기업들의 지분을 보유했다.[20] 1970년대부터 중앙 및 동유럽으로 국제 확장을 재개했으며,[20] 1975년에는 부다페스트에 대표 사무소를 개설한 최초의 서구 은행이 되었다.[17]

1978년에는 안토니오 비발디 탄생 300주년을 기념하여 빈 공과대학교(Karlskirche) 본관에 있던 그의 옛 묘지 자리에 기념비를 세웠다.

6. 오스트리아 은행과의 합병 (1997년 ~ 2008년)

1997년, 오스트리아 정부는 크레디탄슈탈트에 대한 지분 대부분을 오스트리아은행(BA)에 매각했다. 2001년, 오스트리아은행은 독일의 히포페어라인스방크(HypoVereinsbank, HVB)에 인수되었고, 2002년 크레디탄슈탈트와 합병하여 '오스트리아 크레디탄슈탈트 은행'(Bank Austria Creditanstalt, BA-CA)을 설립했다. 2005년, HVB는 이탈리아의 유니크레딧(UniCredit)에 인수되었다.[19] 2008년에는 153년 만에 크레디탄슈탈트 브랜드가 최종적으로 단계적으로 폐지되었지만, 'CA 임모'(CA Immo)라는 부동산 자회사에는 그 이름이 남아있었다.

6. 1. 합병 배경

1997년, 오스트리아 정부는 크레디탄슈탈트에 대한 지분 대부분을 오스트리아은행(BA)에 매각했는데, 이는 사회민주당과 오스트리아 국민당 간의 여당 연정에 위기를 초래했다. 크레디탄슈탈트는 오스트리아 특유의 분배 정치 체제하에서 오스트리아 국민당의 영향권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반면 오스트리아은행의 전신인 란더방크(Länderbank)와 비엔나 중앙저축은행(Zentralsparkasse)은 좌파와 연관되어 있었다.[19]

6. 2. 합병 이후

1997년, 오스트리아 정부는 크레디탄슈탈트에 대한 지분 대부분을 오스트리아은행(BA)에 매각했는데, 이는 사회민주당과 오스트리아 국민당 간의 여당 연정에 위기를 초래했다. 크레디탄슈탈트는 오스트리아 특유의 분배 정치 체제하에서 오스트리아 국민당의 영향권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반면 오스트리아은행의 전신인 란더방크와 비엔나 중앙저축은행은 좌파와 연관되어 있었다. 2001년, 오스트리아은행은 독일의 히포페어라인스방크(HypoVereinsbank, HVB)에 인수되었고, 2002년 크레디탄슈탈트와 합병하여 '오스트리아 크레디탄슈탈트 은행'(Bank Austria Creditanstalt, BA-CA)을 설립했다. 2005년, HVB는 이탈리아의 유니크레딧(UniCredit)에 인수되었다.[19] 2008년에는 153년 만에 크레디탄슈탈트 브랜드가 최종적으로 단계적으로 폐지되었지만, 'CA 임모'라는 부동산 자회사에는 그 이름이 남아있었다.

7. 주요 건물

크레디탄슈탈트는 외에도 프라하, 트리에스테, 인스브루크, 그라츠, 잘츠부르크, 빌라흐 등 여러 도시에 지점 건물을 두었다.[23][24]

7. 1. 빈

1855년, 크레디탄슈탈트는 비엔나 프라잉 광장 렌가세 1번지에 임시로 설립되었다.[20] 1860년에는 암 호프 광장 6번지에 본사 건물을 완공했는데, 이 건물은 항해, 철도, 상업, 산업, 농업, 광업을 상징하는 조각상으로 장식되었다. 이 건물은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군의 폭격으로 파괴되었다.[21]

1915년부터 1921년까지 크레디탄슈탈트는 티퍼 그라벤 거리를 가로질러 본사를 확장했다. 이 건물은 건축가 에른스트 고트힐프와 알렉산더 노이만이 설계한 신고전주의 양식의 건물이었다. 현재 이 건물의 일부는 오스트리아 헌법재판소로 사용되고 있으며, 나머지는 뱅크 오스트리아 아트 포럼 비엔나로 사용되고 있다.[22]

1934년, 크레디탄슈탈트-뱅크파어라인은 쇼텐토르에 있는 비너 뱅크파어라인의 이전 본사에 본사를 설립했다.

7. 2. 기타 지역

1894년부터 1896년까지 크레디탄슈탈트는 에밀 폰 퍼스터가 설계하고 안토닌 포프가 조각상을 제작한 프라하 지점을 위한 새 건물을 건립했다.[23] 1907년부터 1909년까지는 나중에 레푸블리카 광장이 된 곳에 트리에스테 지점 건물을 세웠다.[23]

8. 역대 경영진

이름재임 기간
Arie van Hengel|아리에 판 헹겔nl1932년–1936년
Josef Joham|요제프 요함de1936년–1938년, 1945년–1959년
Erich Miksch|에리히 믹슈de1959년–1970년
Heinrich Treichl|하인리히 트라이클de1970년–1981년
한네스 안드로슈1981년–1988년
구이도 슈미트-키아리1988년–1997년


참조

[1] 뉴스 Plugging the hole https://www.economis[...] 2010-11-25
[2] 웹사이트 International financial relations of the Habsburg Empire http://centraleurope[...] 2017-02-07
[3] 웹사이트 Überblick 1855-1914 https://www.bankaust[...]
[4] 웹사이트 Types of banks in the Habsburg Empire http://centraleurope[...] 2017-02-06
[5] 웹사이트 The Creditanstalt https://guide-to-the[...] Rothschild Archive 2023-03-11
[6] 서적 Army Service Forces Manual M355-5 / Civil Affairs Handbook Yugoslavia: Money and Banking https://books.google[...] U.S. Army Service Forces 1944-02-01
[7] 학회발표 Austrian banks in Poland up to 1948 https://www.research[...] Paul Zsolonay Verlag 2005-01-01
[8] 문서 The Austrian Banking Crisis Of 1931: One Bad Apple Spoils The Whole Bunch https://eprints.lse.[...] Economic History Department,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2018-01-01
[9] 저널 Banking crises and the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in the Great Depression and now http://www.bis.org/p[...]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2010-12-01
[10] 뉴스 Potential for black swan 'Credit Anstalt' event Variant Perception 2010-05-10
[11] 웹사이트 Panic has become all too rational http://www.ft.com/in[...] Financial Times 2012-06-05
[12] 서적 Army Service Forces Manual M360-5 / Civil Affairs Handbook Austria - Section 5: Money and Banking https://books.google[...] U.S. Army Service Forces 1943-11-01
[13] 웹사이트 Baron Louis De Rothschild Dead: Paid $21,000,000 Ransom to Nazis https://www.jta.org/[...] 2015-03-20
[14] 서적 1938: Hitler's Gamble https://archive.org/[...] Basic Books
[15] 웹사이트 Überblick 1938-1945 https://www.bankaust[...]
[16] 문서 The Rehabilitation of Austria 1945-1947, Volume III https://cgsc.content[...] 1947-01-01
[17] 저널 Critical phases in the evolution of the Hungarian banking system and the process of regime change https://bankszovetse[...] Hungarian Banking Association 2017-10-01
[18] 뉴스 Rothschilds Sell Last Piece of Austrian Empire After 200 Years https://www.bloomber[...]
[19] 웹사이트 A Bank Merger With the East in Mind https://www.dw.com/e[...] 2015-06-13
[20] 웹사이트 Creditanstalt-Bankverein https://www.geschich[...]
[21] 웹사이트 Heidenschuss 2 https://www.geschich[...]
[22] 웹사이트 Niederösterreichische Eskomptegesellschaft https://www.geschich[...]
[23] 웹사이트 Trieste - Piazza della Repubblica http://www.carbonaio[...]
[24] 웹사이트 Graz v. 1959 Creditanstalt - Bankenveren,Herrengasse 15 (51318) https://oldthing.de/[...]
[25] 뉴스 Plugging the hole http://www.economist[...] 2010-11-25
[26] 저널 Banking crises and the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in the Great Depression and now http://www.bis.org/p[...]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2010-12-01
[27] 뉴스 Potential for black swan 'Credit Anstalt' event Variant Perception 2010-05-10
[28] 웹사이트 Panic has become all too rational http://www.ft.com/in[...] Financial Times 2012-0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