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리스토프 에셴바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스토프 에셴바흐는 독일 출신의 지휘자이자 피아니스트로, 1940년 브레슬라우(현재 브로츠와프)에서 태어났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부모를 잃고 고아로 성장했지만, 피아니스트로서 두각을 나타내 1965년 클라라 하스킬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1970년대부터 지휘자로 전향하여 취리히 톤할레 오케스트라, 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파리 오케스트라,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워싱턴 내셔널 교향악단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에서 음악 감독을 역임했다. 특히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음악 감독 재임 시절에는 단원들과의 불화로 논란이 일기도 했다. 2019년부터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 관현악단 수석 지휘자를, 2024년부터 NFM 브로츠와프 필하모니 관현악단의 예술 감독을 맡고 있다. 그는 다양한 훈장과 상을 수상하며 음악적 업적을 인정받았으며, 80개 이상의 음반을 제작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셔널 교향악단 -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는 20세기 최고 첼리스트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소련과 러시아의 첼리스트이자 지휘자이며, 뛰어난 기교와 음악성, 작곡가들과의 협업, 그리고 자유와 인권을 옹호하는 사회 운동가로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 독일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펠릭스 멘델스존
    펠릭스 멘델스존은 1809년 독일에서 태어난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이며, 낭만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음악가로서 다양한 작품을 남겼고, 바흐의 음악 부활에 기여했으며, 라이프치히 음악원을 설립했다.
  • 독일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출신의 천재 작곡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다양한 장르에 걸쳐 900곡이 넘는 방대한 작품을 남겼고, 유럽 순회 연주 여행과 빈에서의 프리랜서 활동을 통해 성공적인 음악가 경력을 쌓았으며, 그의 음악은 독일 고전주의 음악의 정수로 평가받는다.
  • 독일의 지휘자 - 헤르만 셰르헨
    헤르만 셰르헨은 독일 출신의 비올리스트이자 지휘자로, 20세기 주요 작곡가들의 작품을 지지하고 초연했으며, 빈터투어 시립 오케스트라 수석 지휘자로 재직하며 현대 음악 발전에 공헌하고 젊은 작곡가들을 발굴하는 데 힘쓴 교육자였다.
  • 독일의 지휘자 - 막스 브루흐
    막스 브루흐는 독일 낭만주의 작곡가이자 지휘자로, 바이올린 협주곡 1번 G단조 Op. 26과 첼로 협주곡 '콜 니드라이' 등 협주곡 작품들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생전에는 합창곡으로 명성을 얻었고, 리버풀 필하모닉 협회 지휘자와 베를린 고등 음악학교 작곡 교수를 역임했다.
크리스토프 에셴바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2년의 크리스토프 에셴바흐
2012년의 크리스토프 에셴바흐
본명크리스토프 링만
출생1940년 2월 20일
출생지브로츠와프, 돌니실롱스크주, 폴란드
직업클래식 피아니스트
지휘자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가족
부모헤리베르트 링만, 마르가레테 야로스
경력
소속 단체휴스턴 심포니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미국 국립 교향악단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 오케스트라
수상
수상 내역독일 연방 공로 훈장
예술 문화 훈장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

2. 생애

크리스토프 에셴바흐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고아가 되는 아픔을 겪었다. 전쟁의 트라우마로 한동안 말을 잃었으나, 양어머니 발리도르 에셴바흐의 보살핌과 음악 교육을 통해 다시 세상과 소통하게 되었다.[3] 그는 양어머니에게 피아노를 배우며 음악적 재능을 키웠고, 빌헬름 푸르트벵글러의 연주를 보고 지휘자의 꿈을 꾸게 되었다.[39]

이후 쾰른 음악대학과 함부르크에서 피아노와 지휘를 공부하며 음악적 역량을 쌓았다.[40][41][42][43] 여러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피아니스트로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도이치 그라모폰에서 음반을 발매하며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5]

2. 1. 초기 생애

크리스토프 링만(Christoph Ringmann)이라는 이름으로 1940년 2월 20일 나치 독일 브레슬라우(현재 폴란드 브로츠와프)에서 태어났다.[1] 그의 부모는 성악가이자 피아노 교사인 마르가레테(결혼 전 성씨는 야로스, Margarethe Jaross)와 브레슬라우와 포젠에서 지휘자이자 음악학자였던 헤리베르트 링만(Heribert Ringmann)이었다.[2]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고아가 되었다. 어머니는 그를 낳다가 사망했고, 아버지 헤르베르트 링만은 나치의 징벌 부대에 투입되어 전투에서 목숨을 잃었다.[3] 이 트라우마로 인해 에셴바흐는 음악을 연주하고 싶은지 묻기 전까지 1년 동안 말을 하지 않았다.[4]

1946년 어머니의 사촌인 발리도르 에셴바흐(결혼 전 성 야로스)에게 맡겨졌다. 에셴바흐는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

"비참한 과거 생활 때문에 말을 할 수 없게 되었다. 발리도르 에셴바흐는 피아니스트이자 가수였고 음악 교사였으며, 밤늦게까지 베토벤, 슈베르트, 쇼팽, 라흐마니노프, 바흐를 연주했다. 내가 다시 말을 할 수 있게 된 것은, 자신도 음악을 연주하고 싶냐는 질문에 '네'라는 말을 했을 때였다."[35][36][37][38]

이후 양어머니 발리도르에게 음악 교육을 받고 피아노를 배웠다. 1950년 함부르크로 이주하여 스타인웨이 콩쿠르에서 1위를 차지했다. 오이겐 요훔의 추천으로 Eliza Hansen|엘리자 한센de에게 배웠다. 11세 때, 킬에 공연을 온 베를린 필하모니 관현악단을 지휘하는 푸르트벵글러의 연주에 감동받아 "그날부터" 지휘자를 꿈꾸게 되었다. 지휘자가 되기 위해서는 다른 악기도 필요하다는 발리도르의 권유로 바이올린을 구입하여 피아니스트로서 활동하면서 이후 15년 동안 바이올린도 계속 배웠다.[39] 1955년 쾰른 음악대학에 입학하여 한스-오토 슈미트-노이하우스에게 피아노를 배웠다. 1959년 함부르크로 돌아와 다시 엘리자 한센에게 배우고, Wilhelm Brückner-Rüggeberg|빌헬름 브뤼크너-뤼게베르크de에게 지휘를 배우기 시작했다.[40][41][42][43]

2. 2. 음악 교육

양어머니 발리도르 에셴바흐에게 음악 교육을 받고 피아노를 배웠다. 1950년 함부르크로 이주하여 스타인웨이 콩쿠르에서 1위를 차지했다. 오이겐 요훔의 추천으로 Eliza Hansen|엘리자 한센de에게 사사했다. 11세 때, 킬에 공연을 온 베를린 필하모니 관현악단을 지휘하는 푸르트벵글러의 연주에 감동받아 "그날부터" 지휘자를 꿈꾸게 되었다. 발리도르의 권유로 바이올린을 구입하여 피아니스트로 활동하면서 이후 15년 동안 바이올린도 계속 배웠다.[39] 1955년 쾰른 음악대학에 입학하여 한스-오토 슈미트-노이하우스에게 피아노를 배웠다. 1959년 함부르크로 돌아와 다시 엘리자 한센에게 사사, Wilhelm Brückner-Rüggeberg|빌헬름 브뤼크너-뤼게베르크de에게 지휘를 배우기 시작했다.[40][41][42][43]

2. 3. 피아니스트 경력

에셴바흐는 수많은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5] 1965년 스위스 베베에서 열린 클라라 하스킬 콩쿠르에서 1위를 차지하며 특히 주목받았다.[5] 그는 1964년 도이치 그라모폰에서 모차르트 곡으로 첫 녹음을 하고 계약을 맺었다.[5] 그는 슈베르트와 모차르트 녹음으로 유명하며, 모차르트의 경우 유스투스 프란츠와 함께 연주하는 경우가 많았다. 치몬 바르토와 함께 피아노 4 hands 또는 두 대의 그랜드 피아노를 위한 음악을 연주하기도 했다.

음악 경력 초창기에 에셴바흐는 뛰어난 피아니스트로 국제적인 명성을 떨쳤으며, 일본 음대 피아노과 학생들의 아이돌과 같은 존재였다. 모차르트 소나타,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베를린 필하모니와 함께 한 베토벤 협주곡 녹음 등이 대표적이다. 바이어를 시작으로 체르니, 소나티네 앨범, 소나타 앨범 등 뛰어난 연주 녹음으로도 알려져 있다.

3. 지휘자 경력

크리스토프 에셴바흐는 음악 경력 초기에 뛰어난 피아니스트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모차르트 소나타,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과 베를린 필하모니와 함께 한 베토벤 협주곡 녹음 등이 대표적이다. 바이어, 체르니, 소나티네 앨범, 소나타 앨범 등 피아노 교본 연주 녹음으로도 유명하다.

1970년대부터 게오르크 숄티, 카라얀 등의 지도를 받아 지휘자로 전향했다. 객원 지휘 경력을 쌓은 후, 북독일 방송 교향악단 음악 감독으로 실력을 인정받았다. 이후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파리 관현악단 등 유럽과 미국의 주요 오케스트라 음악 감독을 역임했다.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음악제, 라비니아 음악제, 퍼시픽 뮤직 페스티벌 등 여러 음악제의 예술 감독을 역임했으며, 2007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내한 공연에서 제임스 레바인의 대역으로 오페라를 지휘하기도 했다. 2010년부터 워싱턴 D.C.의 내셔널 교향악단 및 존 F. 케네디 센터 음악 감독을 맡았다. 2019년부터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 관현악단 수석 지휘자를, 2024년부터 NFM 브로츠와프 필하모니 관현악단 예술 감독을 맡고 있다.

쿠르트 마주어, 크리스토프 폰 도흐나니,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등 베테랑 세대와 프란츠 뵐저-메스트, 크리스티안 틸레만, 쥰 마이클 킴 등 젊은 세대의 중간에 위치하며, 독일 출신 지휘자가 부족한 세대에서 주요 직책을 연이어 맡으며 활약했다.

3. 1. 초기 지휘 경력

크리스토프 에셴바흐는 3년 넘게 게오르크 젤에게 지휘를 배웠고,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을 멘토로 삼았다.[5] 1970년대부터 게오르크 숄티, 카라얀 등의 지도를 받으며 지휘자로 전향했다. 1981년 취리히 톤할레 오케스트라의 수석 객원 지휘자가 되었고, 1982년부터 1986년까지 수석 지휘자를 역임했다.

3. 2. 주요 오케스트라 경력

에셴바흐는 1982년부터 1986년까지 취리히 톤할레 오케스트라의 수석 지휘자를 역임했다.[5] 1998년부터 2004년까지 NDR 심포니 오케스트라 (함부르크)의 수석 지휘자를,[5] 2000년부터 2010년까지 파리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을 역임했다.[6]

미국에서는 1988년부터 1999년까지 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을 역임하며 일본과 유럽 투어를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코흐 인터내셔널 클래식 및 RCA와 함께 여러 음반을 녹음했다. 휴스턴 시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공연장인 존스 홀 앞에 그의 이름이 새겨진 청동 기념 별을 설치했다.[7] 2003년부터 2008년까지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을 역임했으나, 임명 과정과 음악적 견해 차이로 인해 논란이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논란' 참조)

2008년 9월, 내셔널 심포니 오케스트라(NSO)는 에셴바흐를 2010-2011 시즌부터 6대 음악 감독으로 임명했으며, 케네디 센터의 음악 감독으로도 임명했다.[25] 그의 계약은 2016-2017 시즌까지 연장되었으며,[26][27] 이후 NSO의 명예 지휘자 칭호를 받았다.[28]

2017년 11월,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 오케스트라는 에셴바흐를 2019-2020 시즌부터 수석 지휘자로 임명했으며,[29] 2022-2023 시즌까지 계약을 연장했다.[30] 2024년 1월, 브로츠와프의 국립 음악 포럼(NFM)은 에셴바흐를 2024-2025 시즌부터 차기 예술 감독으로 임명했다.[33][34]

그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음악 페스티벌, 라비니아 페스티벌, 퍼시픽 뮤직 페스티벌 등의 음악제에서 예술 감독을 맡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3. 2. 1.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논란

에셴바흐는 2003년에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으로 임명되었으나, 이는 여러 논란을 일으켰다.[8][9][10] 임명 발표 당시 에셴바흐는 4년 넘게 오케스트라를 지휘한 경험이 없었고, 단원들과의 개인적인 유대감도 부족했기 때문이다.[8]

오케스트라의 한 단원은 발표 후 "우리와의 30분 회의 후에 이 발표가 나오자 박수 소리는 없었고, 비판이 쏟아졌습니다."라고 회상했다. 또 다른 단원은 "에셴바흐와의 유대감은 없었습니다. 그는 4, 5년 동안 우리를 지휘하지 않았고, 20명에서 30명의 단원은 그와 함께 연주한 적이 없었습니다."라고 말했다.[8]

2004년 기사에서 에셴바흐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 자신의 독특한 해석 스타일을 언급하며, "나는 융통성 있는 템포를 선호하며 고정되지 않으려 합니다. 더 빠른 템포는 피상성에 굴복하는 경향이 있습니다."라고 말했다.[11]

초기 3년 계약은 2008년까지 갱신되었지만, 2006년 10월 오케스트라와 에셴바흐는 2007-2008 시즌을 끝으로 그가 필라델피아에서의 임기를 종료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필라델피아 인콰이어러''의 음악 평론가 피터 도브린은 에셴바흐의 리허설과 공연이 단원들의 불만을 야기했다고 썼다. 그는 에셴바흐가 공연에서 악보를 잃어버리고, 조직적이지 못한 리허설을 이끌다가 초과 근무를 요구하며, 특이한 템포 변화를 고집한다고 지적했다.[15]

하지만, 새로운 음반 계약과 9명의 단원 임명(그 중 4명은 수석 단원)이라는 성과도 있었다. 또한 에셴바흐는 오케스트라 기금 모금 활동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16][17]

2006년 당시 오케스트라 회장이었던 제임스 언더코플러는 오케스트라 단원들과의 대화 내용을 에셴바흐에게 요약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 단원들의 80%가 그의 예술적 해석에 동의하지 않았다.
  • 단원들의 80%가 공연을 보고 큰 분노를 느꼈다.
  • 오케스트라는 "시한폭탄"이었다.[20]


2007년, 도브린은 에셴바흐와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의 문제는 성격이 아닌 음악적 질과 관련이 있다고 강조했다.[22] 그는 "많은 사람들이 믿으려 하지 않지만, 크리스토프 에셴바흐의 임기를 훼손한 요인은 성격이 아니다... 문제는 음악이다."라고 말했다.

2007년 8월, 오케스트라는 에셴바흐의 음악 감독 임기가 종료된 후 2008-2009 시즌과 2009-2010 시즌에 객원 지휘 기간을 연장한다고 발표했다.[23][24]

3. 3. 최근 활동

2017년 11월,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 오케스트라는 에셴바흐를 2019-2020 시즌부터 차기 수석 지휘자로 임명한다고 발표했으며, 초기 계약 기간은 3년이었다.[29] 2021년 7월,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 오케스트라는 에셴바흐의 계약을 2022-2023 시즌까지 연장한다고 발표했다.[30] 그는 2022-2023 시즌 말에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 오케스트라 지휘자직에서 물러났다.[31]

2022년 1월, 코펜하겐 필하모닉은 2021년 가을 오케스트라 데뷔 이후 에셴바흐를 2시즌 동안 ''æres-gæstedirigent''(명예 객원 지휘자)으로 임명한다고 발표했다.[32] 2024년 1월, 브로츠와프의 국립 음악 포럼(NFM)은 에셴바흐를 2024-2025 시즌부터 차기 예술 감독으로 임명한다고 발표했으며, 초기 계약 기간은 5시즌이다.[33][34]

4. 업적 및 평가

에셴바흐는 피아니스트이자 지휘자로서 국제적인 명성을 쌓았으며, 르네 플레밍, 치몬 바르토, 랑랑 등 재능 있는 젊은 음악가들의 멘토 역할을 하며 그들의 경력 개발을 지원했다.[5]

4. 1. 음반 및 방송 활동

에셴바흐는 피아노 솔리스트이자 지휘자로서 80개 이상의 음반을 제작했다.[5] 여러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에 출연했으며, 유럽, 일본, 미국 등 다양한 네트워크에서 콘서트 방송을 했다. 소프라노 르네 플레밍, 피아니스트 치몬 바르토와 랑랑 등 재능 있는 젊은 음악가들의 경력 개발을 지원했다.[5]

음악 경력 초창기에는 뛰어난 피아니스트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일본에서는 음대 피아노과 학생들의 아이돌과 같은 존재였다. 모차르트 소나타,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베를린 필하모니와 함께 한 베토벤 협주곡 녹음 등이 대표적이다. 바이어, 체르니, 소나티네 앨범, 소나타 앨범 등 교본의 뛰어난 연주 녹음으로도 알려져 있다.

4. 2. 수상 및 훈장


  • 1993년: 퍼시픽 뮤직 페스티벌 레너드 번스타인 상
  • 2002년 8월: 독일 연방 공화국 공로 훈장 기사 십자장
  • 2002년 10월: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 2006년 6월: 프랑스 문예 공로 훈장 기사 훈작
  • 2010년: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로 훈장
  • 2015년: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

참조

[1] 웹사이트 Eschenbach, Christoph (1940– ), Pianist – BMLO https://bmlo.de/e034[...] 2023-07-15
[2] 웹사이트 Christoph Eschenbach https://www.munzinge[...] 2014-12-30
[3] 웹사이트 Dirigent Christoph Eschenbach: Ich bin gegen eine Abschottung https://www.nmz.de/k[...] 2016-02-01
[4] 인터뷰 Interview with Margaret Throsby 2013-07-31
[5] 서적 '88 notes pour piano solo' Neva Éditions 2015
[6] 뉴스 Eschenbach out of post in Paris Philadelphia Inquirer 2007-06-01
[7] 뉴스 City Honors Eschenbach http://www.chron.com[...] 1999-06-01
[8] 뉴스 Musicians Are Gaining Bigger Voice In Orchestras https://www.nytimes.[...] 2001-02-06
[9] 뉴스 Conductor Under Fire, Orchestra Under Pressure https://www.nytimes.[...] 2006-10-29
[10] 뉴스 Orchestra has some lessons to consider Philadelphia Inquirer 2006-10-29
[11] 뉴스 Chemistry lessons https://www.telegrap[...] 2004-05-18
[12] 뉴스 Call it quits: Start search now for a harmonious match. Philadelphia Inquirer 2006-09-24
[13] 뉴스 Keep him: His personal music-making is a treasure. Philadelphia Inquirer 2006-09-24
[14] 뉴스 Few standing ovations for Eschenbach. Courier-Post 2006-10-15
[15] 뉴스 Eschenbach to bow out in 2008 Philadelphia Inquirer 2006-10-21
[16] 뉴스 Palm Beach overture Philadelphia Inquirer 2005-04-03
[17] 뉴스 In tune with the task Philadelphia Inquirer 2006-08-30
[18] 뉴스 Letter from The Philadelphia Orchestra Association 2006-10-27
[19] 뉴스 A Visiting Orchestra Gets a Taste of Its Future https://www.nytimes.[...] 1998-10-04
[20] 뉴스 Eschenbach talks of a 'time bomb' Philadelphia Inquirer 2006-11-16
[21] 뉴스 A Classic Coup Los Angeles Times 2007-01-21
[22] 뉴스 Youth takes another podium, in NYC Philadelphia Inquirer 2007-07-19
[23] 뉴스 Eschenbach, orchestra to continue relationship Philadelphia Inquirer 2007-08-15
[24] 간행물 Christoph Eschenbach to Maintain Relationship with Philadelphia Orchestra Beyond End of Tenure http://www.playbilla[...] 2007-08-15
[25] 뉴스 Christoph Eschenbach to Lead National Symphony https://www.washingt[...] 2008-09-25
[26] 뉴스 Kennedy Center extends Eschenbach's contract; new organ in works https://www.washingt[...] 2011-09-25
[27] 뉴스 Eschenbach's NSO contract to end in 2017; will become conductor laureate https://www.washingt[...] 2015-02-18
[28] 뉴스 Eschenbach's NSO contract to end in 2017; will become conductor laureate https://www.washingt[...] 2015-02-18
[29] 뉴스 Christoph Eschenbach übernimmt den Taktstock https://www.rbb24.de[...] 2017-11-13
[30] 보도자료 Christoph Eschenbach bleibt Chefdirigent bis 2023 https://www.konzerth[...] Konzerthausorchester Berlin 2021-07-20
[31] 보도자료 Joana Mallwitz wird ab Saison 2023/24 Chefdirigentin und Künstlerische Leiterin des Konzerthausorchesters Berlin https://www.konzerth[...] Konzerthausorchester Berlin 2021-08-31
[32] 보도자료 Maestro Eschenbach ny æres-gæstedirigent https://via.ritzau.d[...] Copenhagen Philharmonic 2022-01-13
[33] 보도자료 Christoph Eschenbach is the new Artistic Director of the NFM Wrocław Philharmonic https://www.nfm.wroc[...] NFM Wrocław Philharmonic 2024-01-06
[34] 웹사이트 Christoph Eschenbach takes over National Forum of Music in Poland's Wrocław – English Section – polskieradio.pl https://polskieradio[...]
[35] 웹사이트 Die Kindheitsjahre und meine ersten Begegnungen mit der Musik http://www.christoph[...] cristoph-eschenbach.com 2007
[36] 웹사이트 幼少期と最初の音楽体験 http://www.christoph[...] christoph-eschenbach.com 2014-07-08
[37] 웹사이트 Biografie & Fotos 1940-1950 http://www.christoph[...] christoph-eschenbach.com 2014-07-08
[38] 웹사이트 年譜および写真 1940-1950 http://www.christoph[...] christoph-eschenbach.com 2014-07-08
[39] 서적 吉村(2000年)
[40] 웹사이트 Wie die Musik zu meiner Lebensbestimmung wurde http://www.christoph[...] cristoph-eschenbach.com 2014-07-08
[41] 웹사이트 音楽がわが人生 http://www.christoph[...] cristoph-eschenbach.com 2014-07-08
[42] 웹사이트 Biografie & Fotos 1950-1960 http://www.christoph[...] christoph-eschenbach.com 2014-07-08
[43] 웹사이트 年譜および写真 1950-1960 http://www.christoph[...] christoph-eschenbach.com 2014-0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