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클리브 솔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리브 솔리스(Claidheamh Soluis)는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게일 신화 및 민담에 등장하는 "빛의 검"을 의미한다. 아일랜드어로는 Claíomh Solais, 스코틀랜드 게일어로는 claidheamh solais로 표기되며, 영어로는 Sword of Light 또는 Shining Sword로 번역된다. 이 검은 신부 찾기 퀘스트, 특히 영웅이 내기를 통해 신부를 얻고 검을 찾아야 하는 이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빛의 검은 켈트 신화의 신성한 무기, 특히 번개 무기와 연관되며, 아서왕 전설의 엑스칼리버와 유사한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대중문화에서는 투아하 데 다난의 누아다의 검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 신화 (신화 대계) - 에린 침략의 서
    《에린 침략의 서》는 게일인의 기원에서 아일랜드 역사, 신화, 왕사를 구약성서의 영향 아래 서사적으로 다룬 중세 문헌으로, 역사적 사실과는 거리가 있지만 아일랜드 신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아일랜드 신화 (신화 대계) - 딘센허스
    딘센허스는 아일랜드 지명에 대한 전설, 시, 산문 해설 등을 담은 문학 작품으로, 구전 문학의 산물이며 지명의 기원을 설명하고 고대 아일랜드 엘리트의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신화의 도검 - 엑스칼리버
    엑스칼리버는 아서 왕 전설에 등장하는 마법의 검으로, 호수의 요정에게서 아서 왕이 받아 영국을 통일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아서 왕 사후 호수에 반환되어 켈트족 전설에서 귀환을 상징한다.
  • 신화의 도검 - 아론다이트
    아서 왕 전설에 등장하는 아론다이트는 가이 경의 검으로, 햄프턴의 비베스 요약본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카롤링거 이야기군에서는 오토클레르의 기원으로도 묘사된다.
  • 아일랜드어 낱말 - 타흐터 달러
    타흐터 달러는 아일랜드 의회인 대일 에이렌의 국회의원을 지칭하는 용어로, 1918년 총선에서 선출된 아일랜드 의원들이 더블린에 모여 제1대일 에이렌을 구성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아일랜드 시민권과 21세 이상의 자격 요건을 갖춘 이들이 선거구와 인구수에 따라 선출되어 기본 급여와 추가 수당, 경비를 받는다.
  • 아일랜드어 낱말 - 샤너히
    샤너히는 아일랜드어에서 유래된 이야기꾼 또는 역사가를 뜻하는 단어로, 가문의 정보 기록 및 구전, 법률, 족보, 연대기, 문학 등을 보존하며 아일랜드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고, 독특한 어투와 몸짓으로 아일랜드 역사, 신화, 전설을 전달하는 예술가로서 현대까지 그 전통이 이어져 문화적 정체성을 잇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시드니의 크리켓 클럽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클리브 솔리스
개요
유형신화 속 무기
문화아일랜드 신화, 스코틀랜드 신화
관련 인물누아다, 투아하 데 다난
명칭
아일랜드어Claíomh Solais, Claidheamh Soluis
발음 (아일랜드어)/ˈkɫiːvʲ ˈsˠɔlʲɪʃ/
로마자 표기Claíomh Solais (개정 로마자 표기법)
스코틀랜드 게일어Claidheamh Soluis
발음 (스코틀랜드 게일어)/ˈkʰl̪ˠajəv ˈs̪ɔl̪ˠɯʃ/
로마자 표기 (스코틀랜드 게일어)Claidheamh Soluis (개정 로마자 표기법)
특징
소유자누아다를 포함한 다양한 영웅
능력막을 수 없는 힘, 빛을 발함
상징정의, 힘, 신성
등장 작품
주요 출처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의 민담 및 문학 작품
관련 설화투아하 데 다난의 네 가지 보물 중 하나
기타
관련 개념신화, 전설, 마법
유사한 무기프라가라흐
칼라드볼그

2. 어원 및 표기

"클리브 솔리스"라는 명칭은 아일랜드어스코틀랜드 게일어에서 유래했다. 현대 아일랜드어 발음은 "클레이브 솔리스"이지만, 일본어 가나 표기로는 "클라우 솔라스"라고도 한다.[70][71]

2. 1. 아일랜드어

"Claidheamh Soluis" 또는 "'''(an) cloidheamh solais'''"[1]는 출판된 아일랜드어 텍스트와 학술 해설에 나타난 표기이지만, 이들은 개혁 이전 표기이며, 현대화된 개혁 철자법에서는 "Claíomh Solais"가 사용된다. 이 이름은 하이베르노-영어로 '''chloive solais'''로 음역되기도 한다. 영어로는 "Sword of Light" 또는 "'''Shining Sword'''"로 번역될 수 있다.[2]

2. 2. 스코틀랜드 게일어

현대 스코틀랜드 게일어에서 검은 "'''클라이아브'''~" 등으로 발음된다.

스코틀랜드 게일어 어형은 ''Claidheamh Soluis'' (영어: "white glaive of light", "흰 빛의 그레이브")[40][41] 또는 ''claidheamh geal soluis'' (영어: "glaive of light", "빛의 그레이브")이다. 여기서 "그레이브"는 자루가 긴 무기를 가리키기도 하지만, "검"을 의미하는 단어이기도 하다.

2. 3. 영어 및 기타 언어

아일랜드어 텍스트와 학술적 해설에 나타난 표기는 ''Claidheamh Soluis'' 또는 '''''(an) cloidheamh solais'''''[1]이지만, 이들은 개혁 이전 표기이며, 현대화된 개혁 철자법에서는 ''Claíomh Solais''가 사용된다. 이 이름은 하이베르노-영어로 '''chloive solais'''로 음역되었으며, 영어로는 "Sword of Light" 또는 "'''Shining Sword'''"로 번역될 수 있다.[2]

스코틀랜드 게일어 형태는 claidheamh solaisgd ("빛의 글레이브(glaive)") 또는 claidheamh geal solaisgd ("빛의 흰색 글레이브(White Glave of Light)")이다.[3][2] 글레이브(glaive)는 대검을 나타낼 수 있지만, 종종 폴암을 지칭할 수도 있다.

3. 민담에서의 등장

클리브 솔리스는 여러 민담에서 영웅이 빛의 검을 찾아 떠나는 모험담이나 탐구담의 형태로 자주 등장한다. 이러한 이야기는 신부 찾기 퀘스트와 연결되기도 하지만, 영웅이 도박에서 져서 퀘스트를 강요받는 변형된 형태를 띠기도 한다.

민담 속 클리브 솔리스는 단순한 무기가 아닌 특별한 힘을 지닌 존재로 묘사된다. 이 검은 거인이나 마녀와 같은 초자연적인 존재를 물리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으로 자주 등장하며, 때로는 적의 숨겨진 약점을 공격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야기에 따라 영웅은 예비 신부, 동물, 또는 "작은 녹색/빨간 남자"와 같은 초자연적인 존재 등 다양한 조력자들의 도움을 받는다.

몇몇 이야기에서는 "하나의 이야기" 퀘스트가 빛의 검 이야기와 얽혀 있기도 하다. "하나의 이야기"는 여성의 진실에 관한 것으로, 불신하는 아내 때문에 늑대로 변한 남자의 이야기를 통해 그 의미가 드러난다.[10]

또한, 빛의 검 이야기에는 외부 영혼 모티프가 나타나기도 한다. 적의 영혼이 몸 밖 어딘가에 숨겨져 있어 이 영혼을 파괴해야만 적을 물리칠 수 있다는 설정이다. 외부 영혼은 여러 겹으로 보호되어 있기도 하여 영웅의 험난한 여정을 보여주기도 한다.

3. 1. 신부 찾기 퀘스트

빛의 검을 특징으로 하는 민담은 신부 찾기 퀘스트일 수 있으며, 영웅의 약혼녀가 영웅의 조력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 몇몇 이야기 사례는 신부 탐색담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에린 왕의 열셋째 아들」에서는 션 루아드(실제로는 맏왕자)가 우르페이스트(바다 뱀)에게 잡아먹힐 운명의 공주를 구하고, 그 아내로 삼는다(공주도 주인공을 돕는다). 「과부의 아들」에서는 주인공이 거인의 딸과 결혼 약속을 하고, 그 도움을 얻는다.

3. 2. 유사 신부 찾기 퀘스트

이 유형은 전형적인 신부 찾기 퀘스트와 유사하지만, 영웅이 도박에서 져서 퀘스트를 강요받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과정에서 영웅은 게이스(금기)에 묶여 빛의 검을 찾기 위한 퀘스트를 수행해야만 한다.[4] 이러한 퀘스트를 강요하는 상대는 대개 ''gruagach''( "마법사-챔피언"[7]) 또는 마법사/드루이드이다.

3. 3. 조력자

클리브 솔리스 민담에서 영웅은 종종 다양한 조력자들의 도움을 받는다. 조력자는 예비 신부, 도움이 되는 동물영어, 초자연적인 존재("작은 녹색/빨간 남자")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몇몇 이야기에서 영웅은 조력자들의 도움을 받아 세 가지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오포르타(O'Foharta)의 아일랜드 이야기에서는 매, 수달, 여우가 조력자로 등장하며, 캠벨(Campbell)의 스코틀랜드 이야기 이사이 루아의 젊은 왕에서는 개, 매, 수달이 조력자로 등장한다.

"에린 왕의 열셋째 아들"에서 션 루아드(실제로는 맏왕자)는 그의 신부가 될 공주와 함께 ''우르페이스트''(바다 뱀)를 처치하는 것을 돕는다. "과부의 아들"에서 영웅은 거인의 딸에게 결혼을 약속하고, 그녀는 또한 영웅의 조력자가 된다.

요제프 바우디시는 신부 탐색 유형과 비슷하지만 구별되는 약간 다른 분류를 제시했다. 영웅은 ''그루아가흐''(마법사 챔피언)와 벌이는 게임에서 내기로 아름다운 아내(와 부)를 얻지만, 그것은 함정이며 영웅이 손실을 입으면 보통 빛의 검을 찾아 탐험을 떠나야 한다.

"거인의 딸" 유형의 아일랜드 신부 탐색은 여섯 명이 온 세상을 헤쳐나가는 법 유형(ATU 513A)과 동일한 민담으로 인식되며, 이 유형은 "마법의 조력자" 또는 "특별한 조력자"를 특징으로 한다.

3. 4. "하나의 이야기"와 늑대인간 설화

An t-Aon Scéalga(하나의 이야기)는 '여성에 대한 진실'을 의미하며, 아일랜드 민담에서 영웅이 찾아 떠나는 퀘스트의 대상이다.[10] 이는 "빛나는 검과 여성에 대한 유일한 이야기의 원인에 대한 지식"과 같이 더 완전한 제목을 가진 버전에서 그 의미가 드러난다.[20]

조지 라이먼 키트리지는 1903년 연구에서 "하나의 이야기"를 찾는 퀘스트가 중세 늑대인간 설화의 아일랜드 버전에 대한 액자 소설을 형성한다고 결론 내렸다.[19] 늑대인간 설화는 배신한 아내 때문에 마법으로 늑대가 된 남자가 들려주는 이야기이다.[23]

빛의 검을 찾는 이야기는 종종 "하나의 이야기"("여성에 대한 진실")를 찾는 퀘스트와 얽혀 있다.[18] 그러나 아일랜드 민담과 달리 스코틀랜드 버전의 늑대인간 설화에서는 빛의 검이 등장하지 않고, 영웅이 말을 거래하여 늑대인간을 직접 확보하는 것으로 대체된다.[60]

3. 5. 외부 영혼 모티프

제라드 머피는 빛의 검 설화에서 외부 영혼 모티프를 찾아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민화학자 캐서린 브릭스는 "외부 영혼"(모티프 유형 E 710)의 전형적인 예시로 빛의 검 탐구담(캠벨 편) "The Young King of Easaidh Ruadh|label=젊은 왕영어"을 들었다.

빛의 검 소유자는 거인이나 해그(요바)인 경우가 많지만, 검을 찾는 마인의 형제이기도 하다. 주인공이 검 소유자를 쓰러뜨리는 경우, 종종 특별한 수단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빛의 검을 사용해야만 쓰러뜨릴 수 있는 상대인 경우다. 더 나아가, 특정 약점에 명중해야만 쓰러뜨릴 수 있는 경우도 있다. 그 약점이 몸의 일부가 아니라, 세상 어딘가에 숨겨진 "외부 영혼"인 경우도 있다. 외부 영혼이 여러 종류의 동물 체내(혹은 용기)에 상자 구조처럼 들어있는 경우도 있다(「어린 왕」[48] 등).

4. 주요 민담 목록

아일랜드 왕의 아들이 빛의 검을 휘두르고 있다. 윌리 포가니 삽화, 패드릭 콜럼의 ''아일랜드 왕의 아들'' (1916) 앞면.


클리브 솔리스(빛의 검)는 아일랜드 민속 및 스코틀랜드 게일 민담에 등장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여러 이야기에서 영웅이 찾아 나서거나 사용하는 강력한 무기로 묘사된다.

키트리지(Kittredge)가 사용한 '''K J L C1 O'F H c m''' 기호는 굵게 표시하였다.

  • '''C2'''는 빛의 검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
  • '''S'''는 스코틀랜드 판본으로, '설명, 보고, 비방'으로 번역되는 투아리스게울이 등장한다. J. F. 캠벨의 ''이사이드 루아드의 젊은 왕''에서 "빛의 글레이브"가 등장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4. 1. 아일랜드 민담



다음은 빛의 검이 등장하는 아일랜드 민담 목록이다. 키트리지(Kittredge)가 사용한 '''K J L C1 O'F H c m''' 기호는 굵게 표시하였다.

아일랜드 민담 목록
제목수집가출판 연도 및 출처비고
머스커리의 스컬로그의 아들 이야기 (Sceal Vhic Scoloige)패트릭 케네디1866, 아일랜드 켈트족의 전설적 허구K, 이 이야기 안에 "유일한 이야기의 완벽한 서사(Fios Fath an aon Sceil)"가 포함됨.
스골로그와 붉은 자의 모험 (GruagachEachtra air an sgolóig agus air an ngruagach ruadh)오브라이언1889, Gaelic JournalJ, 케네디의 "머스커리의 스컬로그의 아들" 또는 라미니의 "모라하"의 다른 버전.
직조공의 아들과 흰 언덕의 거인제레마이어 커틴1890, Myths and Folk-lore of Ireland"날카로움의 검"이 등장.
에린 왕의 열세 번째 아들제레마이어 커틴1890, Myths and Folk-lore of Ireland
Leaduidhe na luaithe ("Ashypet" 또는 "게으른 친구")오포하르타/오포하티/오패허티1892윌리엄 루니에 의해 "Domhnal OFoharty"로 부분 영어화, 릴런드 덩컨에 의해 "Donald OFaherty"로 영어화.
스몰헤드와 왕의 아들들제레마이어 커틴1892 (New York Sun 연재), 1894 (제이콥스 편)
바라노르, 에린 왕의 아들과 파도 아래 왕의 딸제레마이어 커틴1893, Béaloideas 12 (1/2)AT 유형 507A "괴물의 신부: 그리스 왕의 딸"과 531로 지정.
모라하; 에린의 고위 왕의 아들 브라이언 모어, 빈 에딘의 마법의 우물에서윌리엄 라미니1893, 서아일랜드 민속 이야기와 로맨스; 1894 (제이콥스 편)L
사이먼과 마가렛윌리엄 라미니1893, 서아일랜드 민속 이야기와 로맨스
세상의 아름다움윌리엄 라미니1893, 서아일랜드 민속 이야기와 로맨스
열두 아들을 둔 왕윌리엄 라미니1893, 서아일랜드 민속 이야기와 로맨스
커드, 카드 및 미카드제레마이어 커틴1894, Hero-tales of Ireland
콜드피트와 외로운 섬의 여왕제레마이어 커틴1894, Hero-tales of Ireland
아트와 발로르 베이메나흐제레마이어 커틴1894, Hero-tales of IrelandC1
빛나는 검과 한 여성에 대한 이야기의 원인에 대한 지식오포하르타1897, ZCP 1''OF'''
아일랜드 왕의 아들 (Mac Riġ Eireann)더글러스 하이드1890, Beside the Fire하이드 버전에서는 영웅 일행이 "세 개의 날을 가진 검(cloiḋeaṁ na tri faoḃarga|클로이데암 나 트리 파오바르)"을 얻음.
Mac Rígh Eireann agus Ceann Gruagach na g-Cleasann (아일랜드 왕의 아들과 요술의 수장과 그의 속임수)더글러스 하이드1899, Annales de BretagneH, 도틴의 프랑스어 번역이 아일랜드어 텍스트와 함께 제공.
눈, 까마귀, 그리고 피맥마너스1900, In Chimney Corners하이드의 Mac Riġ Eireann과 줄거리가 유사.
도네갈의 글렌티스에서 수집된 이탈리아 여왕에 의한 핀의 세 아들에 대한 무제 이야기앤드류스1919
'An Claiḋeaṁ Soluis: agus Fios-fáṫa-n-aoin-scéil'' (빛의 검과 유일한 (?) 이야기의 동기에 대한 지식)오케오한1928, Béaloideas 1
Fios ḃás an an-sgéalaiḋe agus an Claiḋeaṁ Solais (안스겔리드(이야기꾼)의 죽음에 대한 지식과 빛의 검)오킬린1933, Béaloideas 4벤트리 교구의 발렌슬레의 파드레이그 오 롱시가 전한 이야기로, 커틴의 이야기꾼 중 한 명.



케네디가 수집한 이야기에서 영웅은 자신의 장인이자 검 주인의 형제인 왕의 도움을 받는다. 영웅의 적인 드루이드는 검을 요구한다. 스컬로지는 검 주인의 거처로 세 번 말을 타고 갔는데, 처음 두 번은 칼에 말이 썰렸지만 세 번째 시도에서 성공했다. 세 번의 시도 요소는 라르미니가 수집한 ''모라하'' 이야기에도 나타난다.

4. 2. 스코틀랜드 게일 민담

존 프랜시스 캠벨gd이 1860년에 출판한 《서부 고지의 민담》(Popular Tales of the West Highlands영어)은 고지(Highlands) 지방의 이야기를 담은 책으로, 아일랜드 이야기가 인쇄물로 나오기 전에 출판되었다.

다음은 《서부 고지의 민담》에 수록된 이야기들이다.

제목원제 (스코틀랜드 게일어)비고
Easaidh Ruadh의 젊은 왕Rìgh òg Easaidh Ruadhgd
과부의 아들 2번째 변형
코날 크로비의 이야기
코날의 이야기
마올 아' 클리오반
과부와 그녀의 딸들 2번째 변형
맥 이안 디레아흐
아 시오나흐, 여우 4번째 변형
크루아찬의 목축Buachaillechd Chruachaingd
키티 일-프레츠의 역사


5. 분석 및 해석

클리브 솔라스, 또는 "빛의 검"은 여러 게일 신화와 민담에 등장하는 중요한 문학적 장치이자 유물이다.[16] 이는 단순한 무기를 넘어선 상징적 의미를 지니며, 학자들은 다양한 관점에서 그 의미를 해석해왔다.

"빛의 검을 찾아서"라는 모티프는 스티스 톰슨의 ''민담 모티프 지수''에 H1337로 등재되어 있을 정도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모티프는 프랑스령 캐나다에서는 "지혜의 검" 설화로 변형되어 전해지기도 했으며,[17] 이는 AT 305A 유형으로 분류된다. 비록 아일랜드 관련 설화는 아르네-톰슨 유형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레이다르 토랄프 크리스티안센과 숀 오 쉬리반의 ''아일랜드 민담의 유형''에는 별도로 인지되어 있다.

빛의 검은 스코틀랜드 게일 민담[51]과 특정 아일랜드 민담에서 자주 등장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주요 연구 및 해석 자료다음은 클리브 솔라스(빛의 검)에 대한 주요 연구 및 해석 자료이다.

저자제목출판물연도주요 내용
F. A. Milne, A. Nutt아서와 골라곤(Arthur and Gorlagon)민속(Folklore)1904아서왕과 빛의 검의 연관성 탐구
Josef Baudiš토크마르크 에메르에 관하여(On Tochmarc Emere)에리우(Ériu)1921–1923빛의 검 모티프 분석
Katharine Mary Briggs분리 가능한 영혼, 또는 외부 영혼(Separable Soul, or external soul)요정 백과사전(An Encyclopedia of Fairies)1976빛의 검과 관련된 민속학적 요소 분석
Alan Bruford게일 민담과 중세 로맨스(Gaelic Folk-Tales and Mediæval Romances)벨로이드(Béaloideas)1966게일 민담 속 빛의 검 연구
G. L. Kittredge아서와 골라곤(Arthur and Gorlagon)문헌학 및 문학 연구 및 노트(Studies and Notes in Philology and Literature)1903아서왕 전설과 빛의 검 비교
A. Haggerty Krappe아서와 골라곤(Arthur and Gorlagon)스펙큘럼(Speculum)1933아서왕 전설과 빛의 검 비교
로저 셔먼 루미스켈트 신화와 아서왕 로맨스(Celtic Myth and Arthurian Romance)1927 (1997 재출간)켈트 신화와 아서왕 전설 속 빛의 검 비교
데이히 오 호겐시간이 왔는가?(Has the Time Come?) (MLSIT 8009): 아일랜드의 바르바로사 전설과 그 역사적 배경(The Barbarossa Legend in Ireland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벨로이드(Béaloideas)1991아일랜드 전설 속 빛의 검 분석
T. F. O'Rahilly초기 아일랜드 역사와 신화(Early Irish History and Mythology)1946켈트 신화 속 빛의 검 기원 탐구
Martin Puhvel켈트 및 게르만 신화 전통에서 신을 죽이는 다른 세계의 무기(The Deicidal Otherworld Weapon in Celtic and Germanic Mythic Tradition)민속(Folklore)1972켈트 및 게르만 신화 속 빛의 검 비교


5. 1. 신화적 기원

클라우 솔라스는 켈트 신화에 나오는 신성한 무기, 특히 번개 무기와 관련이 있다는 해석이 있다.

T. F. O'Rahilly의 설명에 따르면, 원시 켈트의 태양신은 번개의 신이기도 하였으며, 그의 무기는 불타오르는 번개 무기였다.[35] 이 무기는 창이나 검, 또는 화살, 돌멩이, 쇠망치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었다. 아일랜드 신화에서 루는 바롤을 쓰러뜨릴 때 이 신비한 투척 무기를 사용했다.[35] 민간 설화에서는 루가 대장장이의 창이나 붉게 달아오른 쇠막대기로 바롤의 눈을 꿰뚫는 것으로 나타난다. 영웅 쿠 쿨린의 창 가에 보르그도 "번개 불가사의 창"과 같은 의미를 연상시킨다.

시간이 지나면서, 중세 이야기에서는 영웅들이 빛나는 검(크루지인 등)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었고, 민담 속에서는 창이 아닌 빛의 검이 주로 기억에 남게 되었다.[66]

5. 2. 아서왕 전설과의 연관성

T. F. O'Rahilly는 켈트 전통의 빛 또는 번개 무기가 아서왕의 엑스칼리버와 유사하다고 설명한다.[35] 엑스칼리버는 벌게이트 사이클과 토마스 맬러리의 ''아서 왕의 죽음''에서 밝게 빛나는 것으로 묘사된다.[36]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민담에서 빛의 검은 "(치명적인) 자신의 칼에 의한 부상" 모티프를 담고 있는데, 아서왕 전설에도 모르가나가 연인 아칼론에게 엑스칼리버를 훔쳐 아서를 죽이려 하지만 호수의 여인의 개입으로 실패하는 유사한 에피소드가 있다.[37]

데이히 오 호겐은 빛의 검의 특정 속성(만지면 소유자에게 알리기 위해 비명을 지르는 것 등)이 아서왕 이야기에서 빌려온 것일 수 있다고 추론한다.[38]

로저 셔먼 루미스는 웨일스 이야기 ''쿨후흐와 올웬''에서 케이 경이 얻은 거인 구르나흐의 검이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민담의 빛의 검과 관련 있다고 주장했다. 일부 평론가들은 빛의 검을 성배의 검과 동일시하기도 한다.[38]

6. 대중문화 속 클라우 솔라스

근래의 대중문화에서 "빛의 검"은 투아하 데 다난의 네 가지 보물 중 하나인 누아다의 검과 동일시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아일랜드 고대 문학(중세 필사본에 남아있는 작품)에서는 누아다의 검이 특별히 빛의 검으로 언급되지 않으며, 이는 확장 해석이다.[70] 일본의 판타지 서적에서는 "클라우 솔라스"라는 검이 빛나는 검(뽑으면 주변의 눈을 부시게 함), 주문이 새겨진 검, 신족의 도시 중 하나인 핀니아스에서 가져온 불패의 검[70], 숨겨진 적도 찾아내어 저절로 쓰러뜨리는 자동 추적 기능이 있는 검[71] 등으로 소개되는데, 이는 모든 켈트 신화·민담·요정 이야기에 등장하는 검의 속성을 모아놓은 몽타주라고 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EIHM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웹사이트 leaduidhe http://www.smo.uhi.a[...]
[12] 웹사이트 luaithe https://www.teanglan[...]
[13] 서적 https://books.google[...]
[14] 서적
[15] 뉴스 hero Tales of Ireland https://chroniclinga[...] The Sun (New York [N.Y.]) 1893-05-28
[16] 서적
[17] 간행물 La Littérature Orale En Gaspésie Ottawa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https://books.google[...]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Latin Arthur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Brewer
[30] 서적
[31] 문서
[32] 서적
[33] 서적 EIHM
[34] 문서 Scél na Fír Flatha, Echtra Chormaic i Tír Tairngiri ocus Cert Claidib Chormaic
[35] 서적 EIHM
[36] 서적 The Works of Sir Thomas Mal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37] 서적 Le Morte D'Arthur https://books.google[...] Macmillan 1899
[38] 서적 Arthurian Literature in the Middle Ages: A Collaborative History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961
[39] 간행물 1946
[40] 간행물 1972
[41] 간행물 1860
[42] 간행물 1860
[43] 간행물 1890
[44] 간행물 1866
[45] 간행물 1933
[46] 간행물 1890
[47] 간행물 1860
[48] 간행물 1975
[49] 웹사이트 leaduidhe http://www.smo.uhi.a[...] Béaloideas 1950, 1952
[50] 웹사이트 luaithe https://www.teanglan[...] Foclóir Gaeilge–Béarla 1977
[51] 간행물 1860
[52] 간행물 1903
[53] 간행물 1903
[54] 간행물 1991
[55] 간행물 1903
[56] 간행물 1903
[57] 간행물 1903
[58] 간행물 1903
[59] 간행물 1903
[60] 간행물 1903
[61] 간행물 1903
[62] 간행물 https://books.google[...] 1860
[63] 간행물 2004
[64] 간행물 1860
[65] 간행물 1860
[66] 간행물 EIHM 1946
[67] 간행물 1972
[68] 서적 Latin Arthur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Brewer 2005
[69] 서적 Le Morte D'Arthur https://books.google[...] Macmillan 1899
[70] 서적 허공의 신들 新紀元社 1990
[71] 서적 伝説の「武器・防具」がよくわかる本 PHP 文庫
[72] 논문
[73] 간행물 review of {{Harvnb|O'Rahilly|1946}}(EIHM) http://www.jstor.org[...] 194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