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클릭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클릭률(CTR, Click-Through Rate)은 광고나 링크가 노출된 횟수 대비 클릭된 횟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웹사이트 방문을 유도하기 위한 온라인 광고나 이메일 마케팅 캠페인의 효과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CTR이 높을수록 마케팅 효과가 좋다고 평가된다. 온라인 광고의 경우, 배너 광고의 클릭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광고의 형태, 게재 위치, 타겟팅 등에 따라 클릭률이 달라진다. 이메일 마케팅에서는 이메일 내 링크 클릭 수를 측정하여 캠페인 성과를 평가하며, 이메일 내용, 수신자, 발송 시간 등 다양한 요인이 클릭률에 영향을 미친다. 검색 엔진 최적화(SEO) 분야에서는 클릭률이 검색 순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비자 행동 - 쇼핑
    쇼핑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행위로, 역사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소비자와 판매자가 참여하여 경제적, 사회문화적 역할을 수행하고 가격 결정 및 협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 소비자 행동 - 프로슈머
    프로슈머는 생산 과정에 참여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소비자를 의미하며, 앨빈 토플러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디지털 기술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무보수 노동 착취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 전자 우편 - 전자우편
    전자우편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편지와 메시지를 주고받는 시스템으로, 시분할 메인프레임 통신에서 시작하여 @ 기호 주소 체계 도입 후 아파넷을 통해 대중화되었으며, 다양한 형식의 파일 첨부와 스팸 등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널리 사용되는 통신 수단이다.
  • 전자 우편 - 레이 톰린슨
    미국의 프로그래머 레이 톰린슨은 ARPANET에서 이메일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메일 주소에 앳(@) 기호를 도입하여 이메일의 아버지로 불린다.
  • 온라인 광고 - 구글
    구글은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개발한 웹 검색 엔진에서 출발하여 검색 기술 혁신을 통해 유튜브,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술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개인정보보호 및 독점 논란에도 직면하고 있다.
  • 온라인 광고 - 타겟 광고
    타겟 광고는 소비자 집단의 특성에 맞춰 광고를 제공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방식이며, 웹사이트 방문 기록, 검색어, 소셜 미디어 활동 등 다양한 정보를 분석하여 개인별 맞춤 광고를 제공하고, 소셜 미디어, 텔레비전, 모바일 기기, 검색 엔진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활용되지만 개인 정보 보호 문제와 같은 윤리적 논란도 존재한다.
클릭률
개요
정의웹 페이지에서 노출된 횟수 대비 클릭된 횟수의 비율
활용 분야온라인 광고 캠페인의 성과 측정
계산 방법(클릭 수 / 노출 수) * 100%
세부 사항
영향 요인광고 소재의 매력도
타겟팅 정확도
광고 게재 위치
중요성광고 효율 측정
광고 최적화
웹사이트 트래픽 증가
개선 방법매력적인 광고 문구 및 이미지 사용
정확한 타겟팅 설정
최적의 광고 게재 위치 선정
업계 평균캠페인 유형, 산업, 광고 플랫폼에 따라 크게 다름
첫 배너 광고 클릭률 (1994년)44% ()
이메일 마케팅개인화된 콘텐츠
매력적인 제목
명확한 콜 투 액션 (Call to Action, CTA)
관련 지표
전환율 (Conversion Rate)클릭 후 구매, 가입 등 원하는 행동을 완료한 비율
참고 자료
마케팅 사전 (AMA)클릭률 정의 (영문)
관련 연구이메일 클릭률 향상 방안 연구 (영문)

2. 클릭률의 용도

클릭률은 사용자의 초기 반응을 파악하고, 광고 캠페인의 효과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22] 대부분의 상업적 웹사이트는 도서 구입, 기사 읽기, 뮤직비디오 감상, 항공권 검색 등 방문자가 특정 행동을 하도록 유도한다. 그러나 텔레비전 광고를 보기 위해 텔레비전을 보는 사람이 거의 없듯이, 광고를 보기 위해 특정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경우는 드물다.[4]

마케팅 전문가는 웹 방문자의 반응을 알고 싶어하지만, 현재 기술로는 사용자의 감정적 반응이나 웹사이트가 기업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히 정량화하기 어렵다. 반면 클릭률은 쉽게 얻을 수 있는 정보이다. 클릭률은 광고를 클릭하여 의도된 페이지로 연결된 방문자 중 특정 행동을 한 방문자의 비율을 측정한다.[22] '마우스 클릭'이라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용어이다.[22]

2. 1. 온라인 광고

온라인 광고에서의 클릭률(CTR)은 광고가 보여진 횟수, 즉 노출수 대비 클릭수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22][23][24][25][26][27] 예를 들어 배너 광고가 100번 노출되었을 때 한 번의 클릭이 발생하면, 해당 광고의 클릭률은 1%가 된다.

클릭률은 마케팅 캠페인이 사람들을 웹사이트로 유도하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대부분의 상업용 웹사이트는 책 구매, 뉴스 기사 읽기, 뮤직 비디오 시청, 항공편 검색 등 특정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그러나 사람들은 광고를 보기 위해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4]

마케터들은 웹 방문자의 반응을 파악하고 싶어하지만, 현재 기술로는 사이트에 대한 감정적 반응이나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기 어렵다. 반면 클릭률은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광고를 클릭한 방문자의 비율을 측정하므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4]

2. 1. 1. 온라인 광고 클릭률 변천사

배너 광고의 클릭률(CTR)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배너 광고가 처음 등장했을 때는 5%가 넘는 클릭률이 흔했다. 그러나 이후 클릭률은 점차 하락하여, 현재는 평균 0.2%에서 0.3%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6] 1990년대에는 평균 3%였던 클릭률이 2002년에는 2.4%에서 0.4%까지 감소했다.[7]

일반적으로 2% 정도의 클릭률은 매우 성공적인 광고로 평가받지만, 이 수치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정확한 값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광고주는 높은 클릭률에 대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므로, 클릭만 많고 실제 구매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는 바람직하지 않다.[6]

이러한 상황에서, 적절한 광고 사이트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예를 들어, 영화 관련 광고를 영화 잡지 사이트에 게재하는 경우, 관련성이 높아져 더 높은 클릭률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맞춤형 광고나 특이한 형식의 광고, 눈에 띄는 광고는 일반적인 배너 광고보다 높은 클릭률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눈에 띄는 광고는 오히려 사용자들의 외면을 받을 수 있다.[7][8]

2. 1. 2. 온라인 광고 클릭률 개선 방안

광고주들은 높은 클릭률을 달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우선, 광고와 관련성이 높은 웹사이트를 선정하여 광고를 게재한다. 예를 들어, 영화 광고는 영화 잡지 사이트에 게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7] 또한, 맞춤형 광고나 독특한 형식의 광고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끄는 것도 중요하다. 일반적인 배너 광고보다 눈에 띄는 광고가 더 높은 클릭률을 유도할 수 있지만, 지나치게 자극적인 광고는 오히려 사용자들이 외면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7][8]

현대의 온라인 광고는 단순한 배너 광고를 넘어, 웹 검색 엔진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검색 결과와 함께 광고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검색어와 관련된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높은 클릭률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광고는 텍스트 형식으로 제공되며, 전화번호, 주소, 제품 페이지 링크 등 추가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9] 높은 클릭률은 광고의 품질 점수를 높여 클릭당 비용(CPC)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광고주는 지속적으로 광고의 관련성을 개선하도록 유도된다.

2. 2. 이메일 마케팅

이메일 클릭률이란 이메일 안에 첨부된 링크를 클릭해 발신자의 웹사이트, 블로그 혹은 다른 의도된 웹페이지에 방문하는 이메일 수신자의 수를 말한다. 더 간단히 말하면, 이메일 클릭률은 이메일로 인해 발생한 클릭수를 나타낸다.[28][29]

이메일 클릭률은 백분율로 나타내며, 클릭수를 발송된 메시지의 수로 나누어 계산한다.

이메일 마케터의 대다수는 이메일 캠페인의 효과 및 성과를 파악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메일 클릭률과 더불어 오픈율, 반송률 등의 다른 수치를 함께 사용한다. 대개의 경우, 이상적인 클릭률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수치는 발송된 이메일의 종류와 이메일을 얼마나 자주 보냈는지, 수신자 목록은 어떤 방식으로 나뉘어 있는지, 수신자에게 보내진 이메일 내용이 얼마나 적절한지 등, 그외 많은 요인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심지어 하루 중 이메일이 전송된 시각도 영향을 줄 수 있다. 평균적으로, 일요일에 전송된 이메일은 다른 요일에 비해 상당히 더 높은 클릭률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인다.[15]

전반적으로 클릭률이 이메일 마케팅에 미치는 효과를 추적하기 위해 매년 다양한 종류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30][31]

3. 클릭률의 구성

클릭률(%)은 광고가 클릭된 횟수를 광고가 게재된 횟수, 즉 노출수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백분율이다.[1]

:\text{CTR} = \frac{\text{클릭 수}}{\text{노출 수}} \times 100[1]

4. 검색 엔진 최적화(SEO)와 클릭률

검색 엔진 최적화(SEO) 전문가들은 2010년대 중반부터 클릭률이 자연 검색 순위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해 왔다.[18] 이러한 이론을 뒷받침하는 수많은 사례 연구가 발표되었다. 이 이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클릭률이 구글의 랭크브레인(RankBrain) 알고리즘에 대한 순위 신호라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다.

이 이론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클릭률이 자연 검색 순위에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바르토시 고랄레비츠(Bartosz Góralewicz)는 Search Engine Land에 게재된 실험 결과를 발표하며 "대중적인 믿음과는 달리 클릭률은 순위 요소가 아닙니다. 엄청난 자연 트래픽조차도 웹사이트의 자연 검색 순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라고 주장했다.[19] 최근 배리 슈워츠는 Search Engine Land에 "구글은 CTR이 자사의 순위 알고리즘에 사용되지 않는다고 수없이, 문서로, 컨퍼런스에서 말해왔습니다."라고 썼다.[20]

참조

[1] 웹사이트 Dictionary http://www.marketing[...] 2012-11-29
[2] 간행물 How to improve e-mail click-through rates – A national culture approach https://linkinghub.e[...] 2020
[3] 웹사이트 This Is the World's First Banner Ad http://mashable.com/[...] 2015-09-11
[4] 서적 Marketing Metrics: The Definitive Guide to Measuring Marketing Performance Pearson Education, Inc. 2010
[5] 서적 Advertising Promotion and Other Aspects of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6-09-18
[6] 뉴스 8 ways to improve your click-through rate http://www.imediacon[...] 2010-02-07
[7] 웹사이트 Internet Advertising Formats and Effectiveness https://www.semantic[...] 2024-07-31
[8] 특허 US patent application
[9] 문서 Google Ads: Ad Sitelinks https://support.goog[...]
[10] 웹사이트 Email Campaign Performance Metrics Definitions http://www.iab.net/g[...] 2012-12-18
[11] 웹사이트 Click Through Rates: Click Through Rates Numbers and Their Meaning http://emailmarketin[...] 2012-12-18
[12] 웹사이트 Calculating the Click-through Rate for Your E-Mail Marketing Campaign from E-Mail Marketing for Dummies, 2nd Ed. http://www.dummies.c[...] 2011-04
[13] 웹사이트 Email marketing metrics: Click through rate (CTR) relevant to email marketing measurement http://www.michaelle[...] 2010-01-17
[14] 웹사이트 Average Email Click-Through Rate http://bluesite.lyri[...] 2012-12-20
[15] 웹사이트 EMail Marketing Metrics 2011 http://www.websitema[...] 2011-07-21
[16] 웹사이트 E-mail Open Rates Declining, Click-Through Rates Rising [Study] http://marketingland[...] 2012-07-23
[17] 웹사이트 Email marketing stats: consumers open just 20% of messages http://econsultancy.[...] 2012-07-24
[18] 웹사이트 Click-Through Rate (CTR): Is It a Google Ranking Factor? https://www.searchen[...] 2021-10-17
[19] 문서 Is CTR A Ranking Factor In Organic Results? https://searchengine[...] 2015-08-12
[20] 문서 Google doc rekindles myth that click-through rate affects rankings https://searchengine[...] 2019-02-21
[21] 웹사이트 Dictionary http://www.marketing[...] 2012-11-02
[22] 서적 Marketing Metrics: The Definitive Guide to Measuring Marketing Performance Pearson Education, Inc. 2010
[23] 문서 Google AdWords Help: Clickthrough rate (CTR) http://adwords.googl[...]
[24] 웹인용 Yahoo Search Marketing Glossary http://developer.sea[...] 2014-01-29
[25] 문서 IAB Click Measurement Guidelines http://www.iab.net/m[...]
[26] 웹인용 Google Analytics Help: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clicks, visits, visitors, pageviews, and unique pageviews? https://www.google.c[...] 2018-05-11
[27] 문서 IAB Glossary of Interactive Advertising Terms http://www.iab.net/m[...]
[28] 웹인용 Email Campaign Performance Metrics Definitions http://www.iab.net/g[...] 2012-12-18
[29] 웹인용 Click Through Rates: Click Through Rates Numbers and Their Meaning http://emailmarketin[...] 2012-12-18
[30] 웹인용 E-mail Open Rates Declining, Click-Through Rates Rising [Study] http://marketingland[...] 2012-07-23
[31] 웹인용 Email marketing stats: consumers open just 20% of messages http://econsultancy.[...] 2012-07-2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