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배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웹 배너는 광고주의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하이퍼링크를 포함한 이미지로, 1993년 최초의 클릭 가능한 웹 광고에서 시작되었다. HotWired는 1994년 주요 기업의 배너 광고를 게재하며 대중화를 이끌었고, 이후 기술 발전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배너 광고가 등장했다. 광고는 노출, 클릭, 성과에 따라 비용이 지급되며, 노출형(CPM), 클릭형(CPC), 성과형(CPA) 광고 유형으로 나뉜다. 미국 온라인 광고 협회(IAB)는 표준 크기를 제공하며, 한국에서는 IAB 표준 외에도 다양한 크기의 배너가 사용된다. 웹사이트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되며, 접근성 문제, 로딩 속도 저하, 사용자 피로도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웹 애널리틱스 - 구글 애널리틱스
구글 애널리틱스는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의 사용자 활동을 추적, 분석하는 웹 분석 서비스로, GA4가 주요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으나 개인정보보호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웹 애널리틱스 - 구글 옵티마이즈
- 웹 1.0 - 전화 접속
전화 접속은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모뎀과 전화선으로 인터넷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1980년대부터 사용되었으나 광대역 인터넷의 등장으로 2000년대 이후 사용이 줄어 현재는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사라지는 추세이다. - 웹 1.0 - 자바 애플릿
자바 애플릿은 웹 페이지에서 실행되는 자바 기반 프로그램으로, 웹 상호작용성을 높였으나 기술적 문제와 웹 표준 기술 발전에 따라 쇠퇴하여 사용이 중단되었다. - 디지털 마케팅 - 네이티브 광고
네이티브 광고는 웹사이트나 플랫폼의 콘텐츠 형식과 사용자 경험을 모방하여 광고처럼 보이지 않게 설계된 온라인 광고의 한 형태로, 홍보 동영상, 이미지, 기사, 검색 광고, 소셜 미디어 게시물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광고 고지 의무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기만 문제가 제기되고, 개방형, 폐쇄형, 하이브리드형 플랫폼으로 분류된다. - 디지털 마케팅 - 클릭당 지불
클릭당 지불 광고는 광고주가 광고 클릭당 비용을 지불하는 온라인 광고 방식으로, 정액제와 입찰 기반 모델이 있으며 검색엔진 결과 페이지 등에 게재되고 키워드 매칭, 광고 품질, 실시간 입찰 등이 노출 순위에 영향을 미치며 클릭 사기 등의 문제점도 존재하지만 인공지능 기반 타겟팅 기술과 함께 진화하고 있다.
웹 배너 | |
---|---|
웹 배너 | |
유형 | 광고 형식 |
용도 | 웹사이트 광고 |
관련 유형 | 배너 광고 팝업 광고 전면 광고 |
기술적 정보 | |
형식 | GIF JPEG PNG HTML5 |
크기 | 다양함 (IAB 표준 존재) |
2. 역사
온라인 배너 광고는 1990년대 초 인터넷의 상업적 이용과 함께 시작되었다.[2]
1993년 최초의 상업적 웹사이트 중 하나였던 Global Network Navigator (GNN)가 실리콘 밸리의 한 로펌에 판매한 클릭 가능한 웹 광고가 최초의 "배너 광고"로 알려져 있다. 1994년 10월 24일, 타임 워너의 웹사이트 "Pathfinder"는 HotWired보다 3일 먼저 배너 광고를 게재했다. 이후 HotWired가 1994년 10월 27일 통신 회사 AT&T의 광고를 게재하며 디지털 배너 광고를 발명한 것으로 오랫동안 알려졌으며, 쿠어스의 지마 캠페인이 HotWired의 최초 웹 배너였다고도 한다.
IBM, 스프린트, MCI, 볼보 등 여러 기업이 HotWired와 광고 계약을 체결하면서 배너 광고는 빠르게 확산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애니메이션 GIF 등을 사용하여 약간의 움직임을 더한 광고도 등장했다.
최초의 중앙 광고 서버(ad server)는 1995년 7월 Focalink Communications에서 출시되어 온라인 광고의 관리, 타겟팅 및 추적을 가능하게 했다.[14] 1996년 1월 NetGravity에서 로컬 광고 서버가 출시되었다.[15]
야후!와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는 배너 광고를 적극 활용하여 이익을 올리고 인터넷 붐을 이끌었다. 야후!는 웹 디렉토리나 검색 엔진과 같은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면서 배너 광고를 게재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했다.
그러나 사용자들이 배너 광고에 대한 "내성"을 가지게 되면서, 웹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광고를 모색하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2. 1. 초기 온라인 광고
1993년 최초의 상업적 웹사이트 중 하나였던 Global Network Navigator (GNN)가 실리콘 밸리의 한 로펌에 판매한 클릭 가능한 웹 광고가 최초의 "배너 광고"로 알려져 있다.[3][4][5]오랫동안 HotWired가 1994년 10월 27일 통신 회사 AT&T의 광고를 게재하며 디지털 배너 광고를 발명한 것으로 여겨졌다.[9] 다른 자료에서는 쿠어스의 지마 캠페인이 HotWired의 최초 웹 배너였다고도 한다.[10] 그러나 타임 워너의 웹사이트 "Pathfinder"가 1994년 10월 24일에 출시되어 HotWired보다 3일 먼저 배너 광고를 포함했다.[11][12]
IBM, 스프린트, MCI, 볼보 등 여러 기업이 HotWired와 광고 계약을 체결하면서 배너 광고는 빠르게 확산되었다.
2. 2. 한국 배너 광고의 발전
한국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PC 통신과 인터넷 보급이 확대되면서 배너 광고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단순한 이미지 형태의 배너 광고가 주를 이루었으나, 기술 발전과 함께 플래시,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배너 광고가 등장했다.야후!와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는 배너 광고를 적극 활용하여 이익을 올리고 인터넷 붐을 이끌었다. 야후!는 웹 디렉토리나 검색 엔진과 같은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면서 배너 광고를 게재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했다.
2000년대 이후 모바일 인터넷 확산으로 모바일 배너 광고 시장이 급성장했으며, 최근에는 빅데이터 기반의 타겟팅 광고, 인공지능 기반의 광고 최적화 등 새로운 기술이 적용된 배너 광고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들이 배너 광고에 대한 "내성"을 가지게 되면서, 웹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광고를 모색하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3. 광고로서의 배너
배너 광고는 웹 페이지에 게재되는 이미지 형태의 광고로, 사용자가 클릭하면 광고주의 웹사이트로 이동한다.[2]
온라인 광고의 선구자는 IBM과 시어스(Sears)가 소유한 회사인 프로디지(Prodigy)였다. 프로디지는 1980년대에 시어스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처음 온라인 광고를 사용했고, 이후 다른 광고주들에게도 광고를 했다. 최초의 클릭 가능한 웹 광고(이후 "배너 광고"라는 용어로 알려짐)는 1993년 Global Network Navigator(GNN)가 Heller, Ehrman, White, & McAuliffe에 판매했다.[3][4]
HotWired는 디지털 배너 광고의 발명가로 여겨졌으며,[6][7] 주요 기업 광고주에게 대량의 배너 광고를 판매한 최초의 웹사이트였다. 릭 보이스(Rick Boyce)가 회사의 판매 노력을 주도했다.[8] HotWired는 "배너 광고"라는 용어를 만들었고, 고객에게 클릭률 보고서를 제공한 최초의 회사였다. HotWired가 판매한 최초의 웹 배너는 AT&T Corp.가 지불했고, 1994년 10월 27일에 온라인에 게시되었다.[9] 쿠어스 양조 회사(Coors Brewing Company)의 "지마(Zima)" 캠페인을 최초의 웹 배너로 꼽는 자료도 있다.[10]
타임 워너(Time Warner)의 패스파인더(Pathfinder (웹사이트))는 1994년 10월 24일에 출시되었으며,[11] HotWired보다 3일 먼저 배너 광고를 포함했다.[12] 월터 아이작슨(Walter Isaacson)과 ''컬럼비아 저널리즘 리뷰''는[13] 브루스 저드슨(Bruce Judson)을 배너 광고의 개념을 발명한 인물로 꼽고 있다.
최초의 중앙 광고 서버(ad server)는 1995년 7월 Focalink Communications에서 출시되어 온라인 광고의 관리, 타겟팅 및 추적을 가능하게 했다.[14] 1996년 1월 NetGravity에서 로컬 광고 서버가 출시되었다.[15] 21세기 초, GoTo.com(나중에 Overture, 그 다음 야후!)에 의해 도입되고 구글(Google)의 애드워즈(AdWords) 프로그램을 통해 대량 판매된 새로운 온라인 광고 모델은 노출 횟수보다는 광고 응답 추적에 크게 의존한다.
3. 1. 작동 방식
웹 배너 광고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열면, 페이지 내에 배너 이미지가 표시된다. 이를 ''광고 게재자가 광고 수입을 언제 얻는지에 관해서는 크게 3가지 유형이 있다.
; 노출 보상형 (인상형 보상)
: 노출 횟수, 즉 광고 게재자의 페이지가 열린 횟수에 따라 보상이 지급되는 방식이다. 1000 노출 단위로 계산되는 경우가 많다. 게재자는 사람들이 여러 번 방문하는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보상을 늘릴 수 있다. 광고주는 자사 사이트를 보는 열람자가 적어도 보상을 지불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 클릭 보상형 (클릭률 보상)
: 클릭 횟수에 따라 보상이 지급되는 방식이다. 클릭 보장형이라고도 하며, 이는 광고가 일정 클릭 수를 소모할 때까지 배포되는 광고 계약 방식을 지칭하지만, 클릭률형 보상과 동의어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광고주는 지불하는 보상만큼 자사 사이트를 방문한다는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 성과 보상형 (매출형 성공 보상)
: 배너 광고를 통해 열람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횟수나 매출에 따라 보상이 지급되는 방식이다. 광고주는 이익을 얻었을 때만 보상을 지불하면 되므로 불필요한 광고 투자를 걱정할 필요가 없는 반면, 게재 측에 보상이 들어올 확률이 낮아 게재를 받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3. 2. 광고 유형
웹 배너 광고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노출형 광고(CPM, Cost Per Mille)''': 광고 노출 1,000회당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이다. 광고 게재자의 페이지가 열린 횟수에 따라 보상이 지급되므로, 많은 사람들이 여러 번 방문하는 콘텐츠를 제작하면 광고 수익을 늘릴 수 있다. 하지만 광고주는 자사 사이트 방문자가 적어도 광고비를 지불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1]
- '''클릭형 광고(CPC, Cost Per Click)''': 광고 클릭 1회당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이다. 클릭 보상형 광고라고도 한다. 광고주는 지불하는 비용만큼 확실하게 자사 사이트를 방문하는 사람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
- '''성과형 광고(CPA, Cost Per Action)''': 광고를 통해 특정 행동(구매, 회원 가입 등)이 발생했을 때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이다. 성공 보상형 광고라고도 한다. 광고주는 실제 이익이 발생했을 때만 광고비를 지불하면 되므로 불필요한 광고 투자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반면, 광고 게재자는 광고 수익이 발생할 확률이 낮아 광고를 게재하기 어려울 수 있다.[1]
4. 표준 크기
웹 배너 광고의 크기는 매우 다양하지만, 미국 온라인 광고 협회(IAB)가 제시한 표준 크기를 따르는 경우가 많다. IAB 표준 크기는 2012년 기준으로 전체 배너 광고의 80% 이상을 차지했다. IAB가 표준화하기 전에는 250개 이상의 다양한 배너 광고 크기가 사용되었다.[16]
그러나 일부 웹사이트나 광고 네트워크(유럽 또는 북미 이외 지역)에서는 IAB 표준 광고 크기를 모두 사용하지 않거나 일부만 사용할 수 있다.[17] 일본에서는 IAB 규격이 제정되기 전에 널리 사용되었던 폭 400 x 높이 40 픽셀, 폭 200 x 높이 40 픽셀의 배너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표준 배너 광고는 소비자들의 피로감과 배너에 대한 무시 현상(banner blindness) 때문에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광고 회사들은 고객을 위해 최대의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광고 단위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테스트한다. IAB는 지침을 반기별로 업데이트하며, BuzzFeed, CraveOnline, Quartz (publication), Thought Catalog, Elite Daily, Vice Media, Inc., Mic (media company) 등은 고유하고 사용자 지정된 광고를 실행하는 게시자로 알려져 있다. 미디어 연구 회사 eMarketer에 따르면, 게시자 직접 구매를 통한 이러한 유형의 사용자 지정 실행이 증가하고 있으며, 네이티브 광고 지출은 2015년 말까지 43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었다.[31]
4. 1. IAB 표준 크기
미국 온라인 광고 협회(Interactive Advertising Bureau)에 따르면 표준화된 광고 크기는 다음과 같다.[59]이름 | 너비 (px) | 높이 (px) | 가로세로비 |
---|---|---|---|
직사각형과 팝업 | |||
가운데 직사각형 | 300 | 250 | 1.2 |
직사각형 팝업 | 250 | 250 | 1 |
수직 직사각형 | 240 | 400 | 1.67 |
큰 직사각형 | 336 | 280 | 1.2 |
직사각형 | 180 | 150 | 1.2 |
3:1 직사각형 | 300 | 100 | 3 |
팝 언더(Pop-Under) | 720 | 300 | 2.4 |
배너 및 단추 | |||
꽉찬 배너 | 468 | 60 | 7.8 |
절반 배너 | 234 | 60 | 3.9 |
마이크로 바 | 88 | 31 | 2.84 |
단추 1 | 120 | 90 | 1.33 |
단추 2 | 120 | 60 | 2 |
수직 배너 | 120 | 240 | 2 |
사각 단추 | 125 | 125 | 1 |
리더보드 | 728 | 90 | 8.09 |
스카이스크래퍼 | |||
와이드 스카이스크래퍼 | 160 | 600 | 3.75 |
스카이스크래퍼 | 120 | 600 | 5 |
절반 페이지 광고 | 300 | 600 | 2 |
2015년에 IAB는 HTML5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및 모바일 광고 크리에이티브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23]
2017년에 IAB는 조정 가능한 광고 형식과 증강 현실(AR), 가상 현실(VR), 소셜 미디어, 모바일 비디오, 이모지 광고 메시지 및 360도 비디오 광고와 같은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 경험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가이드라인도 도입했다.[24][25][26]
4. 2. 한국의 배너 광고 크기
한국에서는 미국 온라인 광고 협회(IAB) 표준 크기 외에도 다양한 크기의 배너 광고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환경에서는 다양한 화면 크기에 대응하기 위한 반응형 배너 광고가 널리 사용된다.5. 기타 유형
웹 배너는 온라인 광고 외에도 웹사이트 디자인이나 동적으로 생성되는 라이브 배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5. 1. 웹사이트 디자인 요소
웹사이트 디자인에서는 "히어로 이미지" 또는 "히어로 헤더"[32]라고도 하는 비광고 배너를 미적인 이유로 사용한다. 히어로 이미지는 웹사이트의 눈에 띄는 부분에 배치되는 대형 사진, 그래픽 또는 비디오로 표현된다.[33][34]5. 2. 라이브 배너
"라이브 배너"는 고정된 콘텐츠로 미리 프로그래밍하는 대신 표시 시점에 동적으로 생성되는 배너 광고이다. 라이브 배너는 텍스트, 이미지, 그래픽, 사운드 및 비디오와 함께 애니메이션을 사용하여 시청자의 관심을 끄는 것이 일반적이다. 배너 디자인에 따라 이러한 멀티미디어 요소 중 일부는 동적으로 정의되어 가변적일 수 있다. 이전에는 어도비 플래시(Adobe Flash), 자바(Java), 마이크로소프트 실버라이트(Microsoft Silverlight)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32][33][34]6. 배너의 문제점
배너 광고는 사용자 경험 및 접근성 측면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사용자들이 배너 광고에 피로감을 느껴 무시하는 Banner blindness|배너 블라인드니스영어 현상이 발생한다.[1] 이미지로 정보를 제공하는 배너는 스크린 리더 사용자 등에게 정보가 전달되지 않아 접근성 문제가 발생한다. 광대역 인터넷 연결에 적합한 배너는 다이얼 업 접속과 같은 협대역 환경에서 로딩 시간이 길어져 사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1]
6. 1. 사용자 피로도 및 배너 무시
Banner blindness|배너 블라인드니스영어 현상은 웹 사용자들이 웹 페이지 상의 배너 형태의 광고에 대해 피로감을 느끼고, 이를 무시하거나 회피하는 경향을 말한다.[1] 사용자들은 과도한 배너 광고에 노출되면서 광고에 대한 거부감이 커지고, 심지어는 광고를 차단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기도 한다.[1]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고 회사들은 지속적으로 광고 단위의 성능을 테스트하고, 새로운 광고 형식을 개발하여 사용자들의 광고 회피를 극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1]
6. 2. 접근성 문제
배너는 정보 대부분을 이미지로 제공하기 때문에 스크린 리더나 텍스트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경우, 또는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가 이미지 확대가 불가능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경우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등 접근성 문제가 발생한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배너 이미지의 데이터 용량을 줄이거나, 배너 수를 줄이거나, ALT 속성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거나, 배너 이미지를 텍스트 배너로 바꾸는 방법 등이 있다.
6. 3. 로딩 속도 문제
광대역 인터넷 연결에 적합한 배너나 배너 수가 많은 웹 페이지는, 다이얼 업 접속 등 협대역 환경에서 이미지 로딩 시간이 오래 걸려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1]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배너 이미지의 데이터 용량을 줄이거나, 배너 수를 줄이는 등의 해결 방법이 있다.[1]
참조
[1]
간행물
Advertising on the Web: Is there Response Before Clickthrough?
1997-03
[2]
논문
Revisiting online banner advertising recall: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banner recall in an Arab context
2016-11-01
[3]
웹사이트
O'Reilly Network Weblogs: SLAC Symposium on the Early Web
http://www.oreillyne[...]
2001-11-26
[4]
웹사이트
Heller Ehrman law firm to dissolve Friday
https://www.sfgate.c[...]
2008-09-26
[5]
웹사이트
The Global Network Navigator (GNN)
http://gulib.georget[...]
Georgetown University Library
2012-05-18
[6]
잡지
Oct. 27, 1994: Web Gives Birth to Banner Ads
https://www.wired.co[...]
2022-04-08
[7]
웹사이트
The First-Ever Banner Ad on the Web: It was an advertisement for AT&T in 1994, and people clicked on it like crazy
https://www.theatlan[...]
2022-04-08
[8]
서적
Architects of the Web: 1,000 Days that Built the Future of Business
John Wiley & Sons
1997
[9]
웹사이트
Happy Birthday, Digital Advertising! - Advertising Age - DigitalNext
http://adage.com/dig[...]
2011-01-19
[10]
서적
In search of stupidity: over 20 years of high-tech marketing disasters
Apress
[11]
뉴스
THE MEDIA BUSINESS; Time Inc. Raises Its Multimedia Profile With an Internet Test
https://www.nytimes.[...]
1994-10-24
[12]
웹사이트
Riptide
https://www.digitalr[...]
[13]
웹사이트
Who killed Time Inc.?
https://www.cjr.org/[...]
[14]
웹사이트
Hyperlink Advertising Explodes on the World Wide Web
http://www.zinman.co[...]
[15]
뉴스
5 Tips To Reduce And Tackle HTML5 Banner Size
http://www.digitalan[...]
2016-07-16
[16]
서적
Reverse Engineering Social Media
Temple
2014
[17]
웹사이트
Ad Unit Guidelines
http://www.iab.net/s[...]
Interactive Advertising Bureau
2021-03-21
[18]
웹사이트
Universal Ad Package
http://www.iab.net/g[...]
2014-07-28
[19]
웹사이트
Ad Unit Guidelines
http://www.iab.net/i[...]
Interactive Advertising Bureau
2021-03-21
[20]
웹사이트
Ad Unit Guidelines
http://www.iab.net/s[...]
Interactive Advertising Bureau
2021-03-21
[21]
웹사이트
Ad Unit Guidelines
http://www.iab.net/s[...]
Interactive Advertising Bureau
2021-03-21
[22]
웹사이트
Ad Unit Guidelines
http://www.iab.net/s[...]
Interactive Advertising Bureau
2021-03-21
[23]
웹사이트
INTERACTIVE ADVERTISING BUREAU – DISPLAY & MOBILE ADVERTISING CREATIVE FORMAT GUIDELINES: 2015 ADVERTISING CREATIVE GUIDELINES FOR DISPLAY & MOBILE – UPDATED FOR HTML5
https://www.iab.com/[...]
2021-03-21
[24]
웹사이트
IAB New Ad Portfolio
https://www.iab.com/[...]
2021-03-21
[25]
웹사이트
IAB New Standard Ad Unit Portfolio July 2017
https://www.iab.com/[...]
2021-03-21
[26]
웹사이트
IAB New Standard Ad Unit Portfolio Transition Guide July 2017
https://www.iab.com/[...]
2021-03-21
[27]
웹사이트
IAB New Ad Portfolio Fixed Size Ad Specifications
https://www.iab.com/[...]
2021-03-21
[28]
웹사이트
Ad Unit Guidelines
http://www.iab.net/g[...]
2014-07-28
[29]
웹사이트
IAB Rolls Out 'Universal Ad Package'
http://www.clickz.co[...]
2014-07-28
[30]
웹사이트
IAB General Members
http://www.iab.net/m[...]
[31]
웹사이트
Marketers Expect Healthy Native Ad Spend Growth
http://www.emarketer[...]
2014-11-24
[32]
웹사이트
Optimization Glossary: Hero image
https://www.optimize[...]
2023-05-09
[33]
웹사이트
Exploring the Hero Image Trend in Web Design
http://marketblog.en[...]
2014-07-28
[34]
웹사이트
12 Outdated Web Features That Need to Disappear in 2014
http://mashable.com/[...]
2014-07-28
[35]
웹사이트
O'Reilly Network Weblogs: SLAC Symposium on the Early Web
http://www.oreillyne[...]
2021-03-21
[36]
웹사이트
Heller Ehrman law firm to dissolve Friday
http://articles.sfga[...]
2021-03-21
[3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gulib.georget[...]
2012-05-18
[3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appy Birthday, Digital Advertising!
2011-01-19
[39]
서적
In search of stupidity: over 20 years of high-tech marketing disasters
Temple
2014
[40]
뉴스
THE MEDIA BUSINESS; Time Inc. Raises Its Multimedia Profile With an Internet Test, The New York Times, October 24, 1994
https://www.nytimes.[...]
[41]
뉴스
"Digital Riptide, What really Happened to the News Business, Interview with Walter Isaacson", Shorenstien Center on Media, Politics and Public Policy
https://www.digitalr[...]
[42]
웹사이트
Hyperlink Advertising Explodes on the World Wide Web
http://www.zinman.co[...]
2011-07-18
[43]
뉴스
5 Tips To Reduce And Tackle HTML5 Banner Size
http://www.digitalan[...]
2016-07-16
[44]
서적
Reverse Engineering Social Media
Temple
2014
[45]
웹사이트
Ad Unit Guidelines
http://www.iab.net/s[...]
Interactive Advertising Bureau
2021-03-21
[46]
웹사이트
Universal Ad Package
http://www.iab.net/g[...]
2014-07-28
[47]
웹사이트
Ad Unit Guidelines
http://www.iab.net/i[...]
Interactive Advertising Bureau
2021-03-21
[48]
웹사이트
Ad Unit Guidelines
http://www.iab.net/s[...]
Interactive Advertising Bureau
2021-03-21
[49]
웹사이트
Ad Unit Guidelines
http://www.iab.net/s[...]
Interactive Advertising Bureau
2021-03-21
[50]
웹사이트
Ad Unit Guidelines
http://www.iab.net/s[...]
Interactive Advertising Bureau
2021-03-21
[51]
웹사이트
Ad Unit Guidelines
http://www.iab.net/s[...]
Interactive Advertising Bureau
2021-03-21
[52]
웹사이트
Universal Ad Package
http://www.iab.net/g[...]
2014-07-28
[53]
웹사이트
Ad Unit Guidelines
http://www.iab.net/i[...]
Interactive Advertising Bureau
2021-03-21
[54]
웹사이트
INTERACTIVE ADVERTISING BUREAU – DISPLAY & MOBILE ADVERTISING CREATIVE FORMAT GUIDELINES: 2015 ADVERTISING CREATIVE GUIDELINES FOR DISPLAY & MOBILE – UPDATED FOR HTML5
https://www.iab.com/[...]
2021-03-21
[55]
웹사이트
IAB New Ad Portfolio
https://www.iab.com/[...]
2021-03-21
[56]
웹사이트
IAB NEW STANDARD AD UNIT PORTFOLIO JULY 2017
https://www.iab.com/[...]
2021-03-21
[57]
웹사이트
IAB NEW STANDARD AD UNIT PORTFOLIO TRANSITION GUIDE JULY 2017
https://www.iab.com/[...]
2021-03-21
[58]
웹사이트
IAB New Ad Portfolio Fixed Size Ad Specifications
https://www.iab.com/[...]
2021-03-21
[59]
웹사이트
http://www.iab.ne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