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리크 이븐 지야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리크 이븐 지야드는 8세기 초 이베리아 반도를 정복한 우마이야 왕조의 베르베르 출신 장군이다. 북아프리카 출신으로, 무사 이븐 누사이르의 휘하에서 탕헤르의 총독을 지냈다. 711년, 그는 소규모 군대를 이끌고 이베리아 반도로 건너가 과달레테 전투에서 서고트 왕 로데릭을 격파하며 이베리아 반도 정복의 서막을 열었다. 이후 군대를 이끌고 코르도바, 톨레도 등 주요 도시를 점령하며 이베리아 반도의 3분의 2를 정복하는 데 기여했다. 타리크는 무사 이븐 누사이르와 함께 다마스쿠스로 소환되어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정복 활동은 서구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중세 아랍 역사가들은 타리크의 출신과 민족에 대해 상반된 정보를 제공한다. 그의 성격과 알안달루스 진출의 정황에 대한 몇몇 결론은 불확실성에 싸여 있다.[1] 현대 자료의 대다수는 타리크가 무사 이븐 누사이르의 베르베르 ''마울라''였다고 말한다. 무사 이븐 누사이르는 이프리키야의 우마이야 총독이었다.[1][2][3][4]
무사 이븐 누사이르의 명령에 따라 무슬림 군의 지휘관으로서 711년 4월 29일 이베리아 반도에 상륙했다.[21][22] 상륙 지점은 아랍어로 그의 이름을 따서 자발 타리크(지브롤터, جبل طارق|자발 타리크ar)라고 불리며, 스페인어 지브롤터의 어원이 되었다.
타리크는 《천일야화》의 한 이야기(272-273 야)에 등장한다. 그는 예언에 따라 랍타이트(Labtayt, 아마도 톨레도)의 왕을 죽인 것으로 언급된다.[19]
16세기 역사가 아흐메드 무함마드 알-마카리는 그의 저서 《향수의 숨결》에서 과달레테 전투 전에 타리크가 그의 군대에게 한 긴 연설을 인용하고 있다.[16][17][18]
[1]
서적
The Great Islamic Conquests AD 632–750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4
2. 출신 및 초기 생애
이븐 할둔에 따르면 타리크 이븐 지야드는 현재 알제리에 위치한 베르베르 부족 출신이었다.[1] 하인리히 바르트는 타리크 이븐 지야드가 울하사 부족 출신의 베르베르족이라고 언급했는데,[2] 울하사 부족은 타프나[3] 출신으로 현재 알제리의 베니 사프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4] 데이비드 니콜에 따르면, 타리크 이븐 지야드는 역사 기록에서 처음 탕헤르의 총독으로 언급된다.[1] 또한 데이비드 니콜에 따르면 그는 전통적으로 와디 타프나(현재 틀렘센 지역)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그는 탕헤르 통치 이전에도 아내와 함께 그곳에 살았다.[6]
타리크 이븐 지야드의 전반생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지만, 북아프리카의 베르베르인으로 추정된다.[20]
3. 이베리아 반도 정복
무사 이븐 누사이어는 710~711년 정복 이후 타리크를 탕헤르의 총독으로 임명했다.[7] 그러나 세우타 인근에는 세우타 백작 율리안이 지휘하는 정복되지 않은 서고트족 전초 기지가 남아 있었다.
로데릭이 스페인의 권력을 잡은 후, 율리안은 자신의 딸 플로린다 라 카바를 교육을 위해 서고트 왕의 궁정에 보냈는데, 로데릭이 그녀를 강간하여 율리안은 이에 격분하여 무슬림이 서고트 왕국을 멸망시키도록 결심했다고 전해진다.[8]
711년 4월 26일경, 베르베르인 출신 병사들로 구성된 타리크 빈 지야드의 군대는 율리안에 의해 이베리아 반도(현재 스페인)에 상륙했다. 그들은 지브롤터(자발 타리크)의 기슭에 하선했다. 타리크의 군대는 약 7,00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과달레테 전투에서 로데릭 왕이 패배하고 사망하면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9][10][11][12]
타리크는 군대를 4개 부대로 나누어 코르도바, 그라나다, 톨레도 등을 점령하고, 과달라하라와 아스토르가에 도달했다.[13] 타리크는 무사가 도착할 때까지 히스파니아의 실질적인 총독이었다.
몇 년 안에 타리크와 무사는 이베리아 반도의 3분의 2를 서고트족으로부터 점령했다.[13][14] 이들은 714년 우마이야 왕조 칼리프 알-왈리드 1세에 의해 다마스쿠스로 소환되었고, 그곳에서 여생을 보냈다.[15]
3. 1. 과달레테 전투
이븐 압드 알-하캄에 따르면, 무사 이븐 누사이어는 710~711년 정복 이후 타리크를 탕헤르의 총독으로 임명했다.[7] 그러나 세우타 인근에는 세우타 백작 율리안이 지휘하는 정복되지 않은 서고트족 전초 기지가 남아 있었다.
로데릭이 스페인의 권력을 잡은 후, 율리안은 관례에 따라 자신의 딸 플로린다 라 카바를 교육을 위해 서고트 왕의 궁정에 보냈다. 로데릭이 그녀를 강간했고, 율리안은 이에 격분하여 무슬림이 서고트 왕국을 멸망시키도록 결심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타리크와 조약을 맺고 지브롤터 해협을 건너 무슬림 군대를 은밀히 호송했다.[8]
711년 4월 26일경, 타리크 빈 지야드의 군대는 율리안에 의해 이베리아 반도에 상륙했다. 그들은 지브롤터(`자발 타리크`)의 기슭에 하선했다.
타리크의 군대는 약 7,000명의 병사로 구성되었으며, 대부분 베르베르인 출신이었지만 아랍 군대도 포함되었다.[9] 로데릭은 우마이야 왕조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100,000명으로 추정되는 군대를 소집했지만,[10] 실제 숫자는 훨씬 적었을 수 있다.[11] 군대의 대부분은 로데릭이 잔혹하게 폐위시킨 비티자의 아들들이 지휘하고 충성을 다했다.[12] 타리크는 7월 19일 과달레테 전투에서 로데릭이 패배하고 사망하면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타리크 빈 지야드는 군대를 4개 부대로 나누어, 무기스 알-루미가 코르도바를 점령하고, 그라나다 및 기타 지역을 점령하는 동안, 그는 톨레도를 점령한 부대를 이끌었다. 그 후 그는 북쪽으로 계속 진격하여 과달라하라와 아스토르가에 도달했다. 타리크는 1년 후 무사가 도착할 때까지 히스파니아의 실질적인 총독이었다.
3. 2. 주요 도시 점령
이븐 압드 알-하캄에 따르면, 무사 이븐 누사이어는 710~711년 정복 이후 타리크를 탕헤르의 총독으로 임명했다.[7] 그러나 세우타 인근에는 정복되지 않은 서고트족 전초 기지가 남아 있었고, 이곳은 세우타 백작 율리안이라는 귀족이 지휘했다.
로데릭이 스페인의 권력을 잡은 후, 율리안은 관례에 따라 자신의 딸 플로린다 라 카바를 교육을 위해 서고트 왕의 궁정에 보냈다. 로데릭이 그녀를 강간했고, 율리안은 이에 격분하여 무슬림이 서고트 왕국을 멸망시키도록 결심했다고 전해진다. 이에 따라 그는 타리크(무사는 카이르완으로 돌아갔다)와 조약을 맺고, 여러 상선을 소유하고 스페인 본토에 요새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지브롤터 해협을 건너 무슬림 군대를 은밀히 호송했다.[8]
711년 4월 26일경, 이슬람으로 개종한 베르베르인 출신 병사들로 구성된 타리크 빈 지야드의 군대는 율리안에 의해 이베리아 반도(현재 스페인)에 상륙했다. 그들은 그 후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산, 지브롤터(자발 타리크)의 기슭에 하선했다.
타리크의 군대는 약 7,000명의 병사로 구성되었으며, 대부분 베르베르 출신이었지만 아랍 군대도 포함되었다.[9] 로데릭은 우마이야 왕조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100,000명으로 추정되는 군대를 소집했지만,[10] 실제 숫자는 훨씬 적었을 수 있다.[11] 군대의 대부분은 로데릭이 잔혹하게 폐위시킨 비티자의 아들들이 지휘하고 충성을 다했다.[12] 타리크는 7월 19일 과달레테 전투에서 로데릭이 패배하고 사망하면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타리크 빈 지야드는 군대를 4개 부대로 나누어, 무기스 알-루미가 코르도바를 점령하고, 그라나다 및 기타 지역을 점령하는 동안, 그는 톨레도를 점령한 부대를 이끌었다. 그 후 그는 북쪽으로 계속 진격하여 과달라하라와 아스토르가에 도달했다.[13] 타리크는 1년 후 무사가 도착할 때까지 히스파니아의 실질적인 총독이었다.
4. 정복 이후의 생애
상륙 후, 타리크는 함대를 불태우고 불퇴전의 각오를 보였다고 한다. 7월 19일에 서고트 왕국의 왕 로데릭을 과달레테 전투에서 패사시키고, 코르도바 (스페인)와 톨레도 등의 도시를 점령하여 이베리아 반도를 정복했다. 정복 후, 총독으로 임명되었지만, 곧 다마스쿠스로 소환되어 그곳에서 여생을 마쳤다.[23]
5. 평가 및 유산
6. 전설 및 일화
타리크는 《천일야화》의 한 이야기(272-273 야)에 등장하며, 예언에 따라 랍타이트(Labtayt, 아마도 톨레도)의 왕을 죽인 것으로 언급된다.[19]
참조
[2]
서적
Travels and Discoveries in North and Central Africa: Being a Journal of an Expedition Undertaken Under the Auspices of H.B.M.'s Government, in the Years 1849–1855
https://books.google[...]
Longman, Brown, Green, Longmans, & Roberts
1857
[3]
논문
Approche Anthropo-biologique de la consanguinité sur les paramètres de fitness et de morbidité dans la population de Oulhaça dans l’Ouest Algérien.
http://dspace.univ-t[...]
PhD diss.
2012
[4]
간행물
Oulhassa (Tribu).
https://journals.ope[...]
Encyclopédie berbère 36
2013
[5]
서적
الأدب العربي لغير الناطقين بالعربية.
https://books.google[...]
Al Manhal
2014
[6]
서적
موسوعة اعلام وقادة الفتح الاسلامي
https://books.google[...]
دار أسامة للنشر والتوزيع
2002
[7]
문서
[8]
웹사이트
10 Interesting Facts About The Straits Of Gibraltar
https://www.marinein[...]
2023-01-12
[9]
문서
[10]
문서
[11]
서적
Visigothic Spain 409–711
John Wiley and Sons Ltd
[12]
문서
[13]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Medieval Warfare and Military Techn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4]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Isla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5]
문서
[16]
서적
Franks and Saracens: Reality and Fantasy in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17]
서적
Speeches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Infobase
[18]
서적
The Sacred Books and Early Literature of the East: With Historical Surveys of the Chief Writings of Each Nation...
https://babel.hathit[...]
Parke, Austin, and Lipscomb
[19]
웹사이트
Burton Nights: The city of Labtayt
http://www.mythfolkl[...]
2024-09-03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서적
The Medieval Spai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