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오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오주는 중국 공산당의 혁명가이자 정치가로, 1908년 후난성에서 태어났다. 황푸 군관학교를 졸업하고 공산당에 가입하여 난창 봉기와 광저우 봉기에 참여했으며, 이후 푸젠성에서 당 간부로 활동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광둥성 성장과 당 서기를 역임하며 대약진 운동에 참여했으나, 이후 정책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피해를 완화하려 했다.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중앙 정치국 상무위원까지 올랐으나, 마오쩌둥과의 갈등으로 실각하여 숙청되었고, 1969년 사망했다. 1978년 명예가 회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푸 군관학교 동문 - 안춘생
    안춘생은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군인, 정치인으로, 광복 후 육군 장성, 국회의원, 광복회 회장, 독립기념관장 등을 역임하며 국가에 기여했다.
  • 황푸 군관학교 동문 - 김광협
    김광협은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 투쟁에 참여한 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이 되었으나, 김일성 주체사상 비판으로 숙청된 인물이다.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 류윈산
    류윈산은 내몽골 출신의 중화인민공화국 정치인으로, 중국 공산당의 주요 직책을 역임하며 이념 및 선전 분야에서 활동했고, 보수적인 성향으로 언론 통제 정책을 추진했으며, 2017년 은퇴했다.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 저우융캉
    저우융캉은 중국의 정치인으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을 역임하며 사법, 정보, 공안 기관을 총괄했지만, 퇴임 후 권력 남용 등의 혐의로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 문화 대혁명 피해자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문화 대혁명 피해자 - 후진타오
    후진타오는 칭화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공산당에서 경력을 쌓아 덩샤오핑 등의 지지로 최연소 상무위원이 되었으며, 장쩌민의 뒤를 이어 중국공산당 총서기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을 역임하면서 베이징 올림픽 개최와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타오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타오주
본명타오지화 (陶际华)
젠한 (剑寒)
출생1908년 1월 16일
출생지후난성 치양현, 청나라
사망1969년 11월 30일
사망지안후이성 허페이시, 중국
국적중국
민족한족
배우자쩡즈 (1932년 결혼, 1969년 사망)
자녀타오스량
부모타오톄정
학력황푸 군관학교
정치 경력
소속 정당중국 공산당
주요 직책중국 공산당 중앙선전부 부장 (1966년 12월 ~ 1967년)
중국 공산당 중앙서기처 상무서기 (1966년 6월 ~ 1967년)
지난 대학 총장 (1958년 6월 ~ 1963년 1월)
중국 공산당 광둥성 위원회 제1서기 (1955년 7월 ~ 1965년 2월)
중국 인민 정치 협상 회의 광둥성 위원회 주석 (1955년 1월 ~ 1960년 12월)
광둥성 성장 (1953년 9월 ~ 1957년 8월)
광둥 군구 정치위원 (1952년 6월 ~ 1954년 7월)
이전 직책루딩이 (중국 공산당 중앙선전부 부장)
예젠잉 (중국 공산당 광둥성 위원회 제1서기)
리서우용 (지난 대학 총장)
탄정 (광둥 군구 정치위원)
이후 직책겅뱌오 (중국 공산당 중앙선전부 부장)
자오쯔양 (중국 공산당 광둥성 위원회 제1서기)
천쉬징 (지난 대학 총장)
천위 (정치인) (광둥성 성장)
쑹웨이시 (광둥 군구 정치위원)
오우멍쥐에 (중국 인민 정치 협상 회의 광둥성 위원회 주석)

2. 생애

(내용 없음)

2. 1. 초기 생애 및 혁명 활동

타오주는 1908년 1월 16일 후난성 치양 현 스둥위안 랑수촌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타오톄정(陶铁铮)은 신해혁명에 참가했으나, 1918년 군벌 우페이푸의 부하에게 살해되었다.

1926년 황푸 군관학교 제5기로 입학했으며, 같은 해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1927년, 제1차 국공 합작 결렬 후 난창 봉기광저우 봉기에 참가했다. 같은 해 말 고향으로 돌아와 류둥쉔과 함께 중국공산당 치양 현 위원회를 조직하고 군사위원 겸 청년위원을 맡아 '연관 폭동'을 이끌었다.

1929년 푸젠성으로 이동하여 중국 공산당 푸젠성 위원회 비서장과 서기를 지냈다. 이후 푸젠성 당 조직부장, 장저우 당 특별위원회 서기, 푸저우 중심시 당위원회 서기 등을 역임하며 민난 공농홍군 유격대를 창설했다.

1933년 5월 상하이에서 국민당 정부에 의해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난징 중앙감옥에 수감되었다. 1937년 제2차 국공 합작이 성립되면서 저우언라이예젠잉의 도움으로 석방되었다. 이 시기 국민당 감옥에 수감된 경력 때문에 옌안 정풍 운동 기간 동안 스파이 혐의로 조사를 받기도 했다.[1]

석방 후, 후베이성 당위원회 상무위원 겸 선전부장, 후베이-허난 정진지대(鄂豫挺進支隊) 정치위원 대리를 맡았다. 1940년 옌안으로 이동하여 당 중앙군사위원회 비서장 겸 정치부 총서기가 되었고, 이후 정치선전부장도 겸임했다. 1945년 중국 공산당 제7차 당대회에 참석했다.

2. 2. 중일 전쟁 및 국공 내전 시기

1937년, 제2차 국공 합작이 성립되면서 저우언라이예젠잉의 도움으로 석방되었다. 출옥 후에는 후베이성 당위원회 상무위원 겸 선전부장과 어위 팅진 지대(鄂豫挺進支隊) 정치위원 대리를 맡았다. 1940년에는 옌안으로 이동하여 당 중앙군사위원회 비서장 겸 정치부 비서장이 되었고, 이후 정치선전부장도 겸임했다. 1945년에는 제7차 당대회에 참석했다.

국공 내전 시기에는 랴오닝성, 랴오지성, 랴오베이성 등 여러 지역의 당위원회 서기를 거쳤으며, 둥베이 야전군(이후 제4 야전군) 정치부 부주임을 맡아 활동했다.

2. 3.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49년부터 당 중난국(中南局) 상무위원, 중난군구(中南軍區) 정치부 부주임과 주임을 차례로 역임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인 1950년 1월 19일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대좌로 전역하였고, 같은 해 광시 성 당위원회 서기 대리가 되었다. 1951년 11월 광저우로 옮겨 1952년 1월 광둥성 인민정부 위원이 되었다. 1953년 당 화남분국(華南分局) 서기 대리 겸 광둥성 인민정부 주석 대리로 취임했다.

1954년, 광둥성을 시찰하는 저우언라이, 류사오치에 동행하는 타오주(왼쪽 끝)


1955년 1월 8일 광둥성 성장으로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7월 1일에는 광둥성 당위원회 제1서기가 되어 1965년까지 재임했다. 또한 광저우 군구 제1정치위원, 군구 당위원회 제1서기를 겸했다. 1956년 9월 제8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58년 대약진 운동 초기에는 보고된 생산량을 실제라고 믿고 식량 부족이 농민들의 사재기 때문이라 생각하여 광둥성에서 "사재기 방지 운동"에 열성적으로 참여했다.[1] 그러나 1년 안에 자신의 실수를 깨달았는데, 운동에도 불구하고 마을에서 비축된 식량을 찾을 수 없었고, 실제로는 대부분의 농민이 굶주리고 있었기 때문이다.[1] 1959년 루산 회의에서는 처음에는 대약진 운동을 비판하는 펑더화이에게 동조했으나, 마오쩌둥의 강경한 반응 이후 입장을 바꿔 마오쩌둥의 "우경 기회주의자" 공격에 동참했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후 광둥성에서는 개인 농민의 토지 소유 확대를 허용하고 홍콩으로의 이주를 허가하는 등 대약진 운동의 폐해를 완화하려는 조치를 시행했다.[1]

1960년 12월 1일부터는 당 중앙 중난국 제1서기도 겸임했다(1965년까지). 1964년 2월, 타오주가 집필한 〈인민공사는 전진한다〉라는 제목의 논문이 인민일보에 게재되면서 마오쩌둥의 눈에 띄어 중앙에 발탁되었다.[15][5]

1965년 1월 4일 국무원 부총리로 취임했다. 같은 해 루딩이가 숙청되자 베이징으로 이동하여 중앙 선전부 부장을 맡았다. 1966년 6월 4일 당 중앙서기처 상무 서기 겸 중앙선전부 부장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8월, 제8기 11중전회에서 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어 서열이 마오쩌둥, 린뱌오, 저우언라이에 이어 4위로 올라섰다. 이를 통해 그의 제자 자오쯔양이 광둥성 수장이 될 수 있었다.

1966년 마오쩌둥이 문화 대혁명을 시작했을 때, 타오주는 중앙문화혁명소조의 선전 담당 고문으로 임명되어 마오쩌둥의 기대를 받았다. 그는 마오쩌둥의 지시에 따라 문화 대혁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자 했지만, 문화 대혁명의 목적이 류사오치덩샤오핑 타도에 있다는 점은 이해하지 못했다.[16][6] 이 때문에 마오쩌둥의 신임을 잃게 되었다.[17][7] 타오주 역시 홍위병의 과격한 행동에 의문을 느꼈고, 장칭을 좋게 생각하지 않았다.[18][8]

린뱌오는 타오주가 제4야전군 시절 부하였기 때문에[19][9] 여러 차례 "수동적인 입장을 취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1966년 확대 정치국 회의에서 타오주는 중앙문화혁명소조의 왕리로부터 생산 보호를 구실로 혁명을 억제한다는 비판을 받았다.[3] 12월 중순에는 왕런중을 보호했다는 이유로 다시 공격받았다. 처음에는 마오쩌둥이 장칭의 행동을 비판하며 타오주를 보호했지만, 중앙문화혁명소조의 공격은 계속되었다.[3] 그는 류사오치와 덩샤오핑의 문제를 인민 내부 모순으로 다루자고 주장하여 마오쩌둥의 불쾌감을 샀고, 결국 마오쩌둥의 보호를 받지 못했다.[3]

1967년 1월 4일, 장칭은 타오주를 ‘부르주아 반동 노선의 새로운 대표’로 규정했고, 중앙문화혁명소조 조장 천보다는 ‘타오주는 중국 최대의 보황파(保皇派)이다’라고 선언하며 ‘타도 타오주’를 외쳤다.[20][12] 그는 급진 좌파 세력에 의해 " 노선의 대리 지도자", "흐루쇼프 스타일의 야심가"로 낙인 찍혔다.[1] 1월 10일 모든 직책에서 해임되어 실각했고, 홍위병들에게 비판대회에 끌려 나와 폭력을 당하며 가택 연금되었다.[1]

1967년 9월, 야오원위안인민일보에 '타오주의 두 권의 책을 평한다' (评陶铸的两本书zho)라는 글을 발표하여 타오주를 ‘흐루쇼프와 같은 야심가’, ‘반역자’, ‘체포를 면한 우파’, ‘수정주의자’, ‘반혁명의 배신자’라고 비난했다.

가택 연금 상태에서 타오주는 담낭암 진단을 받았으나 처음에는 치료를 거부당했다. 저우언라이가 개입하여 수술을 주선했지만, 이미 암이 너무 진행되어 치료할 수 없었다.[4] 실각 후 안후이성 허페이시로 옮겨진 타오주는 1969년 11월 30일 담낭암으로 사망했다. 그의 가족은 임종이나 사망 후에도 그를 만날 수 없었다.[4]

1978년 12월, 덩샤오핑이 권력을 장악한 후 제11기 3중전회에서 타오주의 명예가 회복되었고,[13][14] 같은 해 12월 24일 인민대회당에서 펑더화이와 함께 추도회가 거행되었다. 사후 그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4]

2. 4. 문화 대혁명과 숙청

1964년 2월, 타오주가 집필한 '인민공사는 전진한다' 논문이 인민일보에 실리면서 마오쩌둥의 주목을 받아 중앙 정치 무대에 진출했다.[15][5] 1965년 1월 국무원 부총리가 되었고, 1966년 6월에는 당 중앙서기처 상무 서기 겸 중앙선전부장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8월 제8기 11중전회에서는 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어 마오쩌둥, 린뱌오, 저우언라이에 이은 서열 4위에 올랐으며, 중앙 문화혁명 소조 고문도 겸했다.

1966년 문화 대혁명이 시작되자 마오쩌둥은 타오주가 중앙문화혁명소조 고문으로서 혁명을 적극 추진해주기를 기대했다. 타오주는 마오의 지시에 따라 문혁을 추진하려 했지만, 그 목표가 류사오치덩샤오핑 타도라는 점에는 동의하지 않았고,[16][6] 이는 마오쩌둥의 신임을 잃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17][7] 또한 타오주는 홍위병의 과격한 행동에 회의적이었고 장칭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이었다.[18][8] 과거 제4야전군 시절 부하였던 타오주에게[19][9] 린뱌오는 여러 차례 "수동적인 입장을 취해야 한다"고 경고했지만,[3] 타오주는 류사오치와 덩샤오핑 문제를 인민 내부 모순으로 다루자고 주장하여 마오쩌둥의 불만을 샀다.[3]

결국 1967년 1월 4일, 장칭은 타오주를 '부르주아 반동 노선의 새로운 대표'로, 중앙문화혁명소조 조장 천보다는 '중국 최대의 보황파'로 규정하며 타도를 외쳤다.[20][12] 타오주는 홍위병에게 끌려다니며 비판과 폭력을 당했고, 1월 10일 모든 직무에서 해임되어 실각했다. 그는 "- 노선의 대리 지도자", "흐루쇼프식 야심가"로 낙인찍혔다.[1]

1967년 9월, 야오원위안인민일보에 '타오주의 책 2권을 비평한다'는 글을 통해 타오주를 '흐루쇼프와 같은 야심가', '반도(叛徒)', '체포를 면한 우파', '수정주의자', '반혁명의 배반자' 등으로 맹렬히 비난했다. 야오원위안은 타오주의 저서 《이상·정조·정신 생활》과 《사상·감정·문채》가 "자산 계급의 반혁명적 '이상'이며, 배반자의 '정신 생활'이며, 무산 계급에 대한 원한이 골수에 사무친 감정이 가득 차 있다"고 주장했다.

실각 후 안후이성 허페이시로 이송되어 가택 연금된 타오주는 담낭암 진단을 받았으나 초기에는 치료를 받지 못했다. 저우언라이의 개입으로 뒤늦게 수술을 받았지만 이미 암이 심각하게 진행된 상태여서 1969년 11월 30일 사망했다. 그의 가족은 임종은 물론 사후에도 그를 만날 수 없었다.[4]

1978년 12월, 덩샤오핑 집권 이후 열린 제11기 3중전회에서 타오주의 명예가 공식적으로 회복되었고,[13][14] 같은 해 12월 24일 인민대회당에서 펑더화이와 함께 추도 대회가 거행되었다.

3. 가족 관계

아내 曾志|쩡즈중국어와 딸 陶斯亮|타오쓰량중국어이 있었다.[4] 딸 타오쓰량은 1980년대 후반 중국 정치인이 되어 공중 보건 및 서방 의료 기술 수입에 대한 여러 정부 이니셔티브를 이끌었다.

4. 평가

타오주는 격동의 중국 현대사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황푸 군관학교 입학 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난창 봉기, 광저우 봉기 등에 참여하며 초기 혁명 활동에 투신했다.[15][5] 푸젠성 등지에서 활동하며 홍군 유격대를 창설하기도 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는 광둥성 성장과 당위원회 제1서기를 역임하며 지역 발전에 기여했다. 1958년 대약진 운동 초기에는 마오쩌둥의 노선을 따라 농민들의 식량 사재기를 비판하는 등 열성적으로 참여했으나, 곧 현실을 파악하고 자신의 실수를 인정했다.[1] 1959년 루산 회의에서는 초기에 펑더화이의 대약진 운동 비판에 동조했으나, 마오쩌둥의 강경한 반응 이후 입장을 바꿔 마오쩌둥을 지지하며 "우경 기회주의자" 공격에 가담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둥성에서는 개인 농민의 토지 소유를 확대하고 홍콩으로의 이주를 허용하는 등 대약진 운동의 폐해를 완화하려는 실용적인 조치를 취했다.[1]

1965년 국무원 부총리로 중앙에 진출했고, 1966년에는 당 중앙서기처 상무 서기 겸 중앙선전부 부장, 정치국 상무위원에 오르며 마오쩌둥, 린뱌오, 저우언라이에 이어 당 서열 4위까지 올랐다.[15][5] 문화 대혁명 초기에는 중앙문화혁명소조 고문으로서 마오쩌둥의 기대를 받았으나, 혁명의 목표가 류사오치덩샤오핑 타도에 있다는 점에 동의하지 못했고, 홍위병의 과격한 행동과 장칭 등 급진 좌파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16][18][6][8] 이러한 태도는 마오쩌둥의 불신을 샀고,[17][7] 린뱌오의 경고에도 불구하고[19][9] 결국 급진파의 표적이 되었다.

1967년 장칭천보다 등에 의해 '부르주아 반동 노선의 새로운 대표', '중국 최대의 보황파'로 낙인찍혀 모든 직위에서 해임되고 실각했다.[20][12] 이후 홍위병에게 끌려다니며 비판과 폭력을 당했고, 야오원위안인민일보에 '评陶铸的两本书|타오주의 두 권의 책을 평한다중국어'라는 글을 발표하여 타오주를 '흐루쇼프식 야심가', '반역자', '체포를 면하고 있는 우파', '수정주의자', '반혁명의 배신자' 등으로 격렬하게 비난했다. 가택 연금 상태에서 담낭암 진단을 받았으나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고 1969년 허페이시에서 사망했다.[4] 그의 죽음은 문화대혁명의 비극적인 단면을 보여준다.

1978년 덩샤오핑 집권 이후 제11기 3중전회에서 공식적으로 명예가 회복되었고,[13][14] 펑더화이와 함께 추도회가 거행되었다. 사후에는 '훌륭한 인품을 가진 사람'으로 기억되었다.[4] 그의 딸 타오쓰량은 1980년대 후반 정계에 진출하여 공중 보건 및 서방 의료 기술 도입에 기여하며 아버지의 명예를 회복하는 데 힘썼다.

참조

[1] 서적 How the Red Sun Rose: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Yan'an Rectification Movement, 1930–1945 https://books.google[...]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Press 2018-11-15
[2] 서적 Canton Under Communism: Programs and Politics in a Provincial Capital, 1949-68 Harper & Row 1969
[3] 서적 The Lin Biao Tragedy: Riding the Tiger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4] 서적 Wild Swans: Three Daughters of China https://books.google[...] Touchstone 2003
[5] 서적 毛沢東秘録 産経新聞社 1999
[6] 서적 毛沢東秘録
[7] 서적 만년의 저우언라이(晩年周恩来) 2007
[8] 서적 만년의 저우언라이(晩年周恩来) 2007
[9] 서적 만년의 저우언라이(晩年周恩来) 2007
[10] 서적 만년의 저우언라이(晩年周恩来) 2007
[11] 서적 만년의 저우언라이(晩年周恩来) 2007
[12] 서적 毛沢東秘録
[13] 웹사이트 (一九七八年十二月二十二日採択)中国共産党第十一期中央委員会第三回総会コミュニケ http://japanese.beij[...]
[14] 웹사이트 中国共産党第十一届中央委員会第三次全体会議公報 http://cpc.people.co[...]
[15] 서적 마오쩌둥 비록 산케이 신문 1999
[16] 서적 마오쩌둥 비록
[17] 서적 만년의 저우언라이(晩年周恩来) 明镜出版社 2003
[18] 서적 만년의 저우언라이(晩年周恩来) 明镜出版社 2003
[19] 서적 만년의 저우언라이(晩年周恩来) 明镜出版社 2003
[20] 서적 만년의 저우언라이(晩年周恩来) 明镜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