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와레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와레트는 고대 이집트의 출산과 다산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하마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때로는 사자, 악어, 인간의 특징을 함께 갖춘 모습으로 묘사된다. 기원전 3000년 이전부터 숭배받았으며, 보호 부적, 가구, 의식 용기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다. 타와레트는 이집트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다른 문화권에서도 숭배되었다.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등장하며, 특히 텔레비전 시리즈 《로스트》와 《문나이트》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마과 - 하마속
    하마속은 하마과에 속하며,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현생 하마와 아프리카, 유럽, 서아시아 등지에서 발견되는 멸종된 종들, 그리고 난쟁이하마 형태와 마다가스카르 고유종을 포함한다.
  • 하마과 - 피그미하마
    피그미하마는 서아프리카 숲과 늪지대에 사는 하마과의 포유류로, 하마보다 작고 단독 또는 작은 가족 단위로 생활하는 멸종 위기 야행성 동물이다.
  • 출산의 신 - 시바
    시바는 힌두교의 주요 신으로, 파괴와 창조, 고행과 자비 등 상반된 속성을 지닌 복합적인 신격이며, 다양한 이름과 형태로 숭배받고 여러 종교에 영향을 미쳤다.
  • 출산의 신 - 메스케네트
    메스케네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출산과 관련된 여신으로, 여성의 머리를 가진 벽돌이나 소의 자궁을 머리에 쓴 여성으로 묘사되며, 인간의 영혼인 카를 창조하여 운명과 연관되었다.
  • 전설의 포유류 - 카마소츠
    카마소츠는 마야 신화에 등장하는 박쥐 형상의 정령으로, 지하 세계 시발바에서 마야 영웅 쌍둥이에게 시련을 가하며, 고전 마야 도상학에서는 질병을 가져오는 영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 전설의 포유류 - 갈린티아스
    갈린티아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헤라클레스의 출산을 도왔으나 족제비로 변한 인물로, 기지를 발휘해 여신을 속이고 출산을 성공시킨 후 헤카테의 시녀가 되거나 헤라클레스에게 숭배를 받는 등 다양한 이야기로 전해지며 여성의 연대와 저항 정신을 상징한다.
타와레트
기본 정보
하마 머리를 하고 고양이과 동물의 팔다리를 가진 타와레트.
하마 머리를 하고 고양이과 동물의 팔다리를 가진 타와레트.
역할출산
신앙 중심지특정할 수 없음. 가정의 수호신으로서 이집트 전역에서 숭배됨.
상징상아 단검, 하마
신성 문자X1-G1-G36:D21-X1-I12
성별여신
배우자세트
자식아문-레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

2. 역사와 발전

고대 이집트에서 하마는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기원전 3000년 이전)부터 나일강에 서식했다. 하마의 폭력적이고 공격적인 행동은 고대 이집트인들의 관심을 끌었고, 그들은 하마를 박해하면서도 숭배했다. 수컷 하마는 혼돈의 상징으로 여겨 왕의 사냥감이 되었지만,[3] 암컷 하마는 새끼를 보호하는 모습 때문에 주술적인 신으로 숭배되었다. 암컷 하마를 본뜬 보호 부적은 선왕조 시대(기원전 3000–2686년경)부터 만들어졌으며, 이러한 전통은 프톨레마이오스 왕국과 로마 시대(기원전 332년경 – 서기 390년)까지 이어졌다.[4]

타와레트는 이페트, 레레트, 헤제트 등 다른 보호 하마 여신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으며, 이들은 동일한 신의 다른 측면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페트는 "간호사", 레레트는 "암퇘지"라는 뜻을 가지며, 헤제트의 이름("백색")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5] 이집트 구왕국(기원전 2686 – 2181년경) 시대의 피라미드 텍스트에는 이페트가 죽은 왕에게 젖을 먹여 하늘로 올라가도록 돕는다는 내용이 있다.[6]

이집트 중왕국(기원전 2055–1650년경)에 타와레트는 출산과 유아 보호를 위한 주술적 물건에 등장하며 중요성이 커졌다. 또한, 묘와 사원에 늪 식물로 장식된 하마 조각상을 놓는 풍습을 통해 장례 여신으로서의 역할도 했음을 알 수 있다.[8]

이집트 신왕국(기원전 1550–1069년경)에는 가정신 숭배가 강화되면서 타와레트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아케나톤의 종교 개혁 시기에도 타와레트는 여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9] 타와레트는 죽은 자의 사후 세계를 돕는 "순수한 물의 여주인"으로 여겨졌지만,[8] 사후 세계에서 부당한 자를 심판하는 암미트와는 역할이 달랐다.

프톨레마이오스 왕국과 로마 시대(기원전 332년경 – 서기 390년)에도 타와레트는 이집트인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카르나크에는 이페트를 위한 사원이 건설되었고, 타와레트는 다른 하마 여신들과 함께 태양신의 어머니로 여겨졌다.[8] 타와레트의 이미지는 악을 물리치는 주술적 힘 때문에 다른 신에게 헌정된 사원 외부에도 나타났다.[9]

이집트 중왕국 시대에 타와레트 신앙은 레반트와의 교류를 통해 아시아로 전파되었고, 미노아 문명과 누비아 판테온에도 영향을 주었다. 타와레트는 페니키아의 임신 여신 데아 그라비다(Dea Gravida)와도 연관된다.[12]

2. 1. 고대 이집트

타와레트는 고대 이집트에서 가정의 수호신이자 다산의 여신으로 널리 숭배받았다. 주로 직립한 암컷 하마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손에는 부적을 들고, 하마의 머리, 사자의 다리, 악어의 등과 꼬리, 그리고 크게 늘어진 유방을 가진 인간의 모습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하마의 폭력성과 공격성을 두려워했지만, 동시에 출산과 관련된 신으로 숭배했다. 그러나 왕가에서는 크게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아, 타와레트를 위한 큰 신전이나 신화는 남아있지 않다.

타와레트는 어머니 여신으로서 세크메트하토르와 동일시되기도 했다.

2. 1. 1. 선왕조 시대와 초기 왕조 시대

타와레트의 파이앙스 조상, 손은 sa 위에 놓여 있다.


하마는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 (기원전 3000년 이전) 훨씬 이전부터 이집트 나일강에 서식했다. 하마의 폭력적이고 공격적인 행동은 고대 이집트인들의 흥미를 끌었고, 그들은 하마를 박해하면서도 숭배했다. 아주 초기부터 수컷 하마는 혼돈의 화신으로 여겨져 왕실 사냥의 대상이 되었지만,[3] 암컷 하마는 어린 생명을 보호하는 모습 때문에 주술적인 신의 화신으로 숭배되었다. 암컷 하마의 모습을 본뜬 보호 부적이 선왕조 시대(기원전 3000–2686년경)부터 발견되었으며, 이러한 부적을 만들고 착용하는 전통은 프톨레마이오스 왕국과 로마 시대 (기원전 332년경 – 서기 390년)까지 이어졌다.[4]

타와레트는 이념적으로 다른 보호 하마 여신들(예: 이페트, 레레트, 헤제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일부 학자들은 이 여신들을 동일한 신의 측면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이페트의 이름("간호사")은 출산, 육아와 관련이 있으며, 레레트의 이름("암퇘지")은 이집트인들이 하마를 물돼지로 분류한 데서 유래한다. 헤제트의 이름("백색")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5] 하마 여신 숭배에 대한 증거는 이집트 구왕국 (기원전 2686 – 2181년경) 시대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찾아볼 수 있다. ''피라미드 텍스트'' 주문 269는 이페트를 언급하며, 죽은 왕이 하늘로 올라갈 때 여신의 "희고 눈부시며 달콤한 우유"를 빨아먹을 것이라고 묘사한다.[6] 이 여신들은 왕족과 비왕족 모두를 양육하고 보호하는 모성 신으로서의 역할을 했다.

2. 1. 2. 고왕국 시대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 (기원전 3000년 이전) 훨씬 이전부터 하마는 이집트 나일강에 서식했다. 하마의 폭력적이고 공격적인 행동은 고대 이집트인들의 흥미를 끌었고, 그들은 하마를 박해하면서도 숭배했다. 수컷 하마는 혼돈의 화신으로 여겨져 왕실 사냥의 대상이 되었지만,[3] 암컷 하마는 어린 생명을 보호하는 모습 때문에 주술적인 신으로 숭배되었다. 암컷 하마의 모습을 본뜬 보호 부적은 선왕조 시대(기원전 3000–2686년경)부터 발견되었으며, 이러한 전통은 프톨레마이오스 왕국과 로마 시대 (기원전 332년경 – 서기 390년)까지 이어졌다.[4]

타와레트는 이념적으로 다른 보호 하마 여신들(이페트, 레레트, 헤제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이 여신들은 동일한 신의 다른 측면으로 해석되기도 하며, 모두 보호 가정 여신으로서의 역할을 공유했다. 이페트는 "간호사", 레레트는 "암퇘지"라는 뜻을 가지며, 헤제트의 이름("백색")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5]

이집트 구왕국 (기원전 2686 – 2181년경) 시대의 고대 이집트 장례 텍스트인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하마 여신 숭배의 증거를 찾을 수 있다. ''피라미드 텍스트'' 주문 269는 이페트를 언급하며, 죽은 왕이 하늘로 올라갈 때 이페트의 "희고 눈부시며 달콤한 우유"를 빨아먹을 것이라고 묘사한다. 이는 이페트가 모성 신으로서 왕족과 비왕족 모두를 양육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6]

2. 1. 3. 중왕국 시대

이집트 중왕국(기원전 2055–1650년경)에 이르러 타와레트는 종교적 헌신의 인물로 더욱 두드러지게 등장했다. 그녀의 이미지는 주술적 물건, 특히 출산 및 유아 보호와 관련된 의식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하마 상아로 조각된 흔한 형태의 "지팡이" 또는 "칼"을 장식한다. 이와 유사한 이미지가 어린이 젖병에도 나타나 타와레트가 육아의 수호 여신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다시 한번 보여준다.[7] 이와 반대로, 그녀는 이 시기에 장례 여신의 역할도 맡았으며, 늪 식물로 장식된 하마를 사원에 놓는 일반적인 관행으로 입증된다.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관행이 하마 여신이 현세의 출산을 돕는 것처럼 죽음 이후의 부활 과정을 용이하게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믿는다. 그러면 이 조상들은 죽은 자의 사후 세계로의 통과를 도왔다.[8]

이와 같은 파이앙스 하마 조각상은 죽은 자가 사후 세계에서 성공적으로 부활하도록 돕기 위해 사원에 놓였다. 브루클린 브루클린 박물관 소장.

2. 1. 4. 신왕국 시대

이집트 신왕국 (기원전 1550–1069년경)에 타와레트와 같은 가정신은 대중적 신앙에서 더욱 중요해졌다. 타와레트의 이미지는 가정용 물건에서 발견되어 가정에서의 중심 역할을 보여준다. 아케나톤의 통치 기간 (기원전 1352–1336년경) 아마르나에서 발견된 물건들 중에는 아텐 숭배에 초점을 맞춘 일신교 종교로 개편하면서 많은 전통 신에 대한 숭배가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타와레트가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9] 이 시대에 타와레트는 장례 여신으로서의 역할이 강화되어, 그녀의 힘은 생명을 주는 것뿐만 아니라 재생력도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다양한 신화는 그녀가 "순수한 물의 여주인"으로서 죽은 자의 사후 세계를 돕는 양육과 정화의 역할을 보여준다.[8] 그러나 타와레트는 암미트와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암미트는 사후 세계로 들어가기 전에 부당한 자들을 삼키는 역할을 했지만, 타와레트를 비롯한 다른 하마 여신들은 파괴가 아닌 영양 공급과 지원을 담당했다.

2. 1. 5. 후기 시대와 프톨레마이오스 및 로마 시대

타와레트를 묘사한 파이앙스 부적, 후기 시대 (기원전 600-400년경), 루브르 박물관, 파리 소장.


이집트 신왕국 (기원전 1550–1069년경) 시대에 가정신들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타와레트 역시 중요한 신으로 여겨졌다. 타와레트의 이미지는 가정용 물건들에서 발견되어 가정에서 그녀의 역할을 보여준다. 아케나톤의 통치 기간 (기원전 1352–1336년경) 동안 아마르나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아텐 신앙 아래에서도 타와레트가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음을 보여준다.[9] 이 시기에 타와레트는 죽은 자의 사후 세계를 돕는 재생의 힘을 가진 존재로 여겨졌다. 여러 신화에서 그녀는 "순수한 물의 여주인"으로서 죽은 자를 양육하고 정화하는 역할을 했다.[8] 다만, 타와레트는 사후 세계에서 부당한 자를 심판하는 암미트와는 다른 역할을 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국과 로마 시대 (기원전 332년경 – 서기 390년)에도 타와레트는 이집트인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했다. 이집트 후기 시대 (기원전 664–332년경) 후반 또는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초기에 카르나크에 이페트를 위한 사원이 건설되었다. 이 사원은 하마 여신들로부터 태양신 (아문)이 매일 탄생하는 장소로 여겨졌다. 타와레트는 다른 하마 여신들과 함께 태양신의 어머니로 여겨졌다.[8] 타와레트의 이미지는 악의 세력을 물리치는 주술적 힘 때문에 다른 신에게 헌정된 사원 외부에도 나타났다.[9] 사원 밖에서도 가정 숭배는 계속되었고, 타와레트의 모습을 새긴 부적은 이 시기에 큰 인기를 얻었다.

2. 2. 이집트 외부

이집트 중왕국(기원전 2055~1650년경) 시대에 아시아레반트와의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교류를 통해 타와레트 신앙이 전파되었다. 레반트인들은 타와레트를 받아들여 그들의 종교에서 동일한 모성적 역할을 부여했다.

2. 2. 1. 고대 크레타

레반트 해안 도시와 지중해 지역 간의 소통으로 인해 타와레트는 크레타의 미노아 종교에서 중요한 부분이 되었으며, 그곳에서는 미노아 천재로 알려졌다.

이집트에서처럼 타와레트의 이미지는 보호 부적에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 이미지는 미노아의 다른 이미지와 일치하는 예술적 스타일로 미노아 도상학에 통합되면서 이집트 이미지와 약간 변경되었다. 크레타에서 이 이미지는 그리스 본토로 퍼져나가 미케네의 궁정 예술에도 등장했다.[10]

2. 2. 2. 누비아

타와레트는 현재의 수단인 이집트 바로 남쪽에 위치한 제국인 누비아인들에게도 받아들여졌다. 미노아의 경우처럼, 누비아의 타와레트는 이집트 중왕국 후기에 누비아 판테온의 일부가 되었다. 그녀는 제국의 수도인 케르마에서 열리는 왕실 의례에 등장하기도 했다.[11]

누비아 왕 안람마니(기원전 623–595년)의 피라미드 외벽 아래 기초 제단에서 발견된 타와레트 점토 조각상. 보스턴 미술관 소장

2. 2. 3. 페니키아

타와레트는 페니키아의 임신 여신 데아 그라비다(Dea Gravida)와 연관이 있다.[12]

3. 신화

하마는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기원전 3000년 이전) 훨씬 이전부터 이집트 나일강에 서식했다. 하마의 폭력적이고 공격적인 행동은 고대 이집트인들의 관심을 끌었고, 그들은 하마를 박해하면서도 숭배했다. 초기부터 수컷 하마는 혼돈의 화신으로 여겨져 왕의 신성한 힘을 보여주기 위한 사냥의 대상이 되었다.[3] 그러나 암컷 하마는 새끼를 보호하는 모습 때문에 주술적인 신으로 숭배되었다. 암컷 하마의 모습을 본뜬 보호 부적은 선왕조 시대(기원전 3000–2686년경)부터 발견되었으며, 이러한 전통은 프톨레마이오스 왕국과 로마 시대 (기원전 332년경 – 서기 390년)까지 이어졌다.[4]

타와레트는 이념적으로 여러 다른 보호 하마 여신들(이페트, 레레트, 헤제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일부 학자들은 이 여신들을 동일한 신의 측면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이 하마 여신들은 모두 출산, 육아, 돌봄과 관련된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이페트의 이름은 "간호사"를 뜻하며, 레레트의 이름은 "암퇘지"를 의미한다.[5] 이집트 구왕국(기원전 2686 – 2181년경) 시대의 고대 이집트 장례 텍스트인 피라미드 텍스트에는 이페트가 언급되어 있는데, 죽은 왕이 하늘로 올라갈 때 이페트의 "희고 눈부시며 달콤한 우유"를 빨아먹을 것이라고 묘사되어 있다.[6]

타와레트가 종교적으로 중요해진 것은 이집트 중왕국(기원전 2055–1650년경)부터였다. 타와레트의 이미지는 출산 및 유아 보호와 관련된 의식에 사용되었을 "지팡이" 또는 "칼"을 장식하는데 사용되었다. 또한 어린이 젖병에도 타와레트의 이미지가 나타나는데, 이는 그녀가 육아의 수호 여신이었음을 보여준다.[7] 타와레트는 장례 여신의 역할도 맡았는데, 늪 식물로 장식된 하마를 사원에 놓는 관행이 이를 증명한다.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관행이 하마 여신이 현세의 출산을 돕는 것처럼 죽음 이후의 부활 과정을 돕는다고 믿었다.[8]

이집트 신왕국(기원전 1550–1069년경)에 대중적 신앙이 부상하면서 타와레트와 같은 가정신은 더욱 중요해졌다. 타와레트의 이미지는 가정용 물건에서 발견되어 가정에서의 그녀의 중심 역할을 보여준다. 아케나톤의 통치 기간(기원전 1352–1336년경) 동안 아텐 숭배로 종교가 개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텐의 수도에서 타와레트의 이미지가 발견된 것은 그녀의 중요성을 보여준다.[9] 이 시대에 타와레트는 장례 여신으로서의 역할이 강화되었으며, 그녀의 힘은 생명을 주는 것뿐만 아니라 재생력도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다양한 신화는 그녀가 "순수한 물의 여주인"으로서 죽은 자의 사후 세계를 돕는 역할을 보여준다.[8] 한편, 타와레트는 또 다른 복합 하마 여신인 암미트와는 구별되는데, 암미트는 부당한 자들을 삼키는 역할을 했다.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와 로마 시대(기원전 332년경 – 서기 390년)에도 타와레트는 이집트인의 일상생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유지했다. 이집트 후기 시대(기원전 664–332년경) 후반부 또는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초기에 카르나크에 이페트를 위한 사원이 건설되었다. 이 사원은 하마 여신들로부터 태양신(아문-레)이 매일 탄생하는 것을 목격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타와레트의 이미지는 악의 세력을 물리치는 주술적 능력 때문에 다른 신에게 헌정된 사원의 외부에 나타나기도 했다.[9] 사원 밖에서는 여신들의 가정 숭배가 강하게 유지되었고, 이들의 모습을 새긴 부적은 이 시기에 인기가 절정에 달했다.

이페트는 고왕국의 피라미드 텍스트에 언급되었고, 타와레트는 중왕국의 의례적 물건에서 자주 발견되지만, 하마 여신은 신왕국(기원전 1550년–1069년)까지 이집트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얻지 못했다. 타와레트는 라의 눈이 아버지에게 화가 나서 사자 형상으로 누비아로 후퇴하는 신화의 몇몇 버전에서 등장한다. 라의 눈이 이집트로 돌아오자, 그녀는 하마의 형태(아마도 타와레트)를 취하고 결과적으로 나일강의 범람을 가져온다. 이 신화는 타와레트가 다산과 회춘의 여신으로서의 주요 기능을 보여준다. 일부 학자들은 나일강 범람에서의 그녀의 역할이 그녀에게 "순수한 물의 여주인"이라는 칭호가 부여된 이유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그녀는 물리적인 출생과 범람을 통해 산 자에게 생명을 제공했듯이, 죽은 자를 정화하여 그들이 사후 세계로 안전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했다.[13]

세티 1세의 무덤(KV17)의 천문학적 천장 디테일. 타와레트의 천상의 형태가 오른쪽 끝에서 보인다.


이 이미지(기원전 1463년경)는 세네무트 무덤의 천문학적 천장을 보여준다. 타와레트의 천상의 형태가 중앙 하단에서 보인다.


신왕국에서 타와레트의 이미지는 황도대에서 북쪽 별자리를 나타내기 위해 자주 사용되었다. 이 이미지는 타르와스(무덤 353), 하트셉수트의 유명한 고문 세네무트(무덤 232), 그리고 왕들의 계곡의 파라오 세티 1세(KV17)를 포함한 여러 천문학적 무덤 그림에서 증명되었다.[9] 별자리에서 타와레트의 이미지는 세트의 앞다리 옆에 거의 독점적으로 나타난다. 세트의 앞다리는 큰곰자리를 나타내며 혼돈의 신인 세트와 관련이 있다. "낮과 밤의 책"(기원전 1186–1069년경의 이집트 제20왕조의 우주론에 초점을 맞춘 신화적 텍스트)에서는 "세트의 이 앞다리에 관해서는 북쪽 하늘에 있으며, 금 사슬로 두 개의 부싯돌 기둥에 묶여 있다. 그것은 하마로서 그것을 지키는 이시스에게 맡겨져 있다."라고 묘사하고 있다.[14] 비록 이 텍스트에서 하마 여신이 타와레트가 아닌 이시스로 식별되었지만, 이집트 역사 후기 시대에는 강력한 여신들이 타와레트의 형태를 취하거나 타와레트가 다른 여신들의 자질을 흡수하는 경우가 많았다. 타와레트는 하토르이시스 모두와 도상학적으로 관련된 하토릭 태양 원반을 착용하는 것으로 흔히 보인다.[8]

이 우주적 이미지는 후기 시대에도 계속해서 나타났지만, 추상적으로 보여주는 경향이 있었다. 파이윰의 책에서 타와레트는 등에 악어, 오른손에 작은 똑바로 선 악어를 든 표준 형태로 묘사된다. 타와레트는 모에리스 호수를 묘사하기 위한 부분에서 보여지는데, 이는 태양신이 밤의 여정으로 내려가는 곳이다. 타와레트는 여기에서 모에리스 호수의 천상의 특성을 보여주기 위해 잘 알려진 별자리로 나타난다. 그녀는 또한 위태로운 여정 동안 소베크-레에게 좋은 보호적인 신성한 어머니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점에서 그녀는 소베크의 주요 신성한 어머니인 네이트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타와레트 인물은 "아들을 보호하는 위대한 네이트"로 표기되어 있다.[15]

타와레트는 이 후기 시대 동안 다른 신화에서도 등장했다. 메테르니히 석비에서 이시스는 호루스에게 그가 "암퇘지와 드워프"에 의해 길러졌다고 말하는데, 이는 타와레트와 베스를 지칭한다. 그녀는 또한 플루타르크의 이시스와 오시리스의 주요 신화에 대한 노트에서도 언급된다. 그녀는 질서의 세력에 합류하여 호루스가 세트를 물리치는 것을 도왔다.[16]

타와레트는 주로 직립한 암컷 하마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손에는 부적, 하마의 머리, 사자의 다리, 악어의 등과 꼬리, 그리고 크게 늘어진 유방을 가진 인간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하마는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두려움을 주는 동물이었지만, 출산의 신으로 널리 숭배받았다. 반대로 왕가에서는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아, 큰 신전이나 신화는 남아있지 않다. 마찬가지로 어머니 여신으로서 세크메트하토르와 동일시되었다.

4. 예술



하마는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기원전 3000년 이전) 훨씬 이전부터 이집트 나일강에 서식했다. 하마의 폭력적이고 공격적인 행동은 고대 이집트인들의 흥미를 끌었고, 그들은 하마를 박해하고 숭배했다. 초기부터 수컷 하마는 혼돈의 화신으로 여겨져 왕실 사냥에서 정복되었다.[3] 그러나 암컷 하마는 어린 생명체를 보호하는 모습 때문에 주술적인 신의 화신으로 숭배되었다. 암컷 하마의 모습을 본뜬 보호 부적은 선왕조 시대(기원전 3000–2686년경)부터 발견되었으며, 이러한 전통은 프톨레마이오스 왕국과 로마 시대 (기원전 332년경 – 서기 390년)까지 이어졌다.[4]

타와레트는 이페트, 레레트, 헤제트와 같은 여러 다른 보호 하마 여신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으며, 일부 학자들은 이 여신들을 동일한 신의 측면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이페트의 이름("간호사")은 출산 및 육아와의 관련성을 보여주고, 레레트의 이름("암퇘지")은 이집트인들이 하마를 물돼지로 분류한 데서 유래한다. 하마 여신 숭배에 대한 증거는 이집트 구왕국 (기원전 2686 – 2181년경) 시대의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찾아볼 수 있다. ''피라미드 텍스트''의 주문 269는 이페트를 언급하며, 죽은 왕이 하늘로 올라갈 때 여신의 "희고 눈부시며 달콤한 우유"를 빨아먹을 것이라고 묘사한다.[6]

이집트 중왕국 (기원전 2055–1650년경)에 타와레트는 종교적 헌신의 인물로 더욱 두드러지게 등장했다. 그녀의 이미지는 주술적 물건, 특히 출산 및 유아 보호와 관련된 의식에 사용되었을 "지팡이" 또는 "칼"을 장식한다. 이와 유사한 이미지가 어린이 젖병에도 나타난다.[7] 타와레트는 이 시기에 장례 여신의 역할도 맡았으며, 늪 식물로 장식된 하마를 사원에 놓는 관행으로 입증된다.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관행이 하마 여신이 현세의 출산을 돕는 것처럼 죽음 이후의 부활 과정을 용이하게 했다고 믿는다.[8]

이집트 신왕국 (기원전 1550–1069년경)에 타와레트와 같은 가정신은 더욱 중요해졌다. 타와레트의 이미지는 가정용 물건에서 발견된다. 아케나톤의 통치 기간 (기원전 1352–1336년경) 아마르나에서도 발견되었는데, 이는 아텐 숭배에 초점을 맞춘 일신교 종교로 개편된 시기에도 타와레트가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9] 이 시대에 그녀의 장례 여신으로서의 역할은 강화되었으며, 그녀의 힘은 재생력도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다양한 신화는 그녀가 "순수한 물의 여주인"으로서 죽은 자의 사후 세계를 돕는 역할을 보여준다.[8] 그러나 타와레트는 암미트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암미트는 사후 세계로 들어가기 전에 부당한 자들을 삼키는 역할을 했다.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와 로마 시대 (기원전 332년경 – 서기 390년)에 타와레트는 이집트인의 일상생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유지했다. 이집트 후기 시대 (기원전 664–332년경) 후반부 또는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초기에 이페트를 위한 사원이 카르나크에 건설되었다. 이 사원은 그곳에 살았던 하마 여신들로부터 태양신(아문-레)이 매일 탄생하는 것을 목격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8] 타와레트의 이미지는 악의 세력을 물리치는 주술적 능력 때문에 다른 신에게 헌정된 사원의 외부에 나타났다.[9] 사원 밖에서는 여신들의 가정 숭배가 강하게 유지되었고, 이들의 모습을 새긴 부적은 이 시기에 인기가 절정에 달했다.

초기 프톨레마이오스 시대(기원전 4세기)의 이 파이앙스 용기는 타와레트의 형태로 성형되었으며, 액체를 의식적으로 정화하는 데 사용되었을 것이다. 월터스 미술관(Walters Art Museum), 볼티모어.


타와레트를 숭배하는 두 사람(오른쪽)을 묘사한 석회암 조각(제19-20왕조, 신왕국).


타와레트는 다산의 여신이자 수호신의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그녀는 암컷 하마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나일 악어의 꼬리와 사자 암컷의 발과 같이 다른 포식성 생물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타와레트의 양육적인 측면 또한 그녀의 도상학에서 강화되는데, 그녀는 종종 임신한 배와 늘어진 인간의 유방을 가지고 나타난다. 이 유방은 나일 강의 범람 신인 하피와 공유되며, 재생력을 의미한다. 그녀는 종종 "보호"를 의미하는 ''sa'' 상형 문자 기호(가디너 V17)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17]

이 주술 지팡이(기원전 1880년부터 1700년까지)는 하마 여신을 포함한 수호신들의 행렬을 보여준다. 이러한 지팡이는 출산과 관련된 의식에 사용되었으며, 어쩌면 어머니와 아이 주변에 마법의 원을 그리는 데 사용되었을 것이다. 월터스 미술관(Walters Art Museum), 볼티모어.


파이앙스 부적
고대 이집트 후기 시대의 타와레트의 파이앙스 부적. 이집트 박물관(토리노, 이탈리아)


타와레트의 이미지는 다양한 물건에 사용되었다. 부적은 어머니와 아이들을 보호했다. 기원전 3000년 이전에 나타난 이러한 부적은 고대 이집트 역사 대부분 동안 인기가 있었다. 그녀는 또한 의자, 발받침, 머리 받침대를 포함하여 역사 전반에 걸쳐 가구에 꾸준히 나타났다.[9] 주술적인 물건은 중왕국 시대(기원전 2055–1650년경)에 인기를 얻었으며, 임신과 출산과 관련된 의식에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상아 지팡이와 칼이 이 시대에 널리 사용되었다. 타와레트는 거의 모든 알려진 지팡이에 등장하며, 특히 그녀의 힘은 아이들과 그들의 어머니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타와레트가 이 회사에 포함된 것은 보호적인 태양의 역할을 시사한다. 이는 나중에 프톨레마이오스 시대(기원전 332–30년경)의 여신에 대한 개념에 의해 뒷받침되며, 그녀는 어린 태양신을 양육했으며, 일부 전통에서는 출산했다고 한다(cf. 메테르니히 석비).[18]

타와레트의 이미지를 담은 의식용 물건은 이집트 가구에서 인기가 있었다. 타와레트의 모양을 한 용기는 신왕국 시대(기원전 1550–1069년경)에 인기를 얻었다. 이 용기는 타와레트가 "순수한 물의 여신"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그 안에서 부어진 액체를 정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종종 이 용기에는 젖꼭지를 통해 열린 구멍이 있어, 타와레트의 모성적인 측면을 강조했다.[9]

5. 대중문화

타와레트의 거대한 조각상은 공상 과학 텔레비전 시리즈 로스트에 등장하며, 이 드라마의 신비로운 섬의 배경 이야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9]

안토니아 살리브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 텔레비전 시리즈 문나이트 (2022)에서 타와레트를 연기했다.[20] 이 드라마에서 타와레트는 심장의 무게를 보호하고, 사람들을 갈대밭을 통해 사후 세계로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참조

[1] 서적 Magic in Ancient Egypt British Museum Press 1994
[2] 서적 Taweret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 논문 A Statue of Twert (Cairo Museum no. 39145) Dedicated by Pabesi and Several Remarks on the Role of the Hippopotamus Goddess 1969
[4] 서적 An Egyptian Bestiary Thames and Hudson 2001
[5] 문서
[6] 서적 The Ancient Egyptian Pyramid Text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05
[7] 간행물 Household Religion in Ancient Egypt Blackwell Publishing Ltd 2008
[8] 문서 Mythology
[9] 문서
[10]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Taweret into the Minoan Genius: A Study in Cultural Transmission in the Middle Bronze Age P. Åströms 1991
[11] 논문 Cognition, Materiality, and Monsters: the cultural transmission of counter-intuitive forms in Bronze Age societies 2011
[12] 논문 Dea Tyria Gravida 1969
[13] 문서 Mythology
[14] 논문 Ancient Egyptian Astronomy 1974
[15] 서적 Das Buch vom Fayum: zum religiösen Eigenverständnis einer ägyptischen Landschaft. Harrassowitz 1991
[16] 문서 Mythology
[17] 서적 Egyptian Grammar: Being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Hieroglyphs Griffith Institute, Oxford 1957
[18] 서적 Die Apotopaia und Die Götter Mittelägyptens Ludwig-Maximilians University 1965
[19] 웹사이트 "Lost's Foot Statue: What It Is & Where It Came From" https://screenrant.c[...] 2022-02-26
[20] 웹사이트 "Moon Knight' Star Praises Freedom Marvel Gave Her as New Character Taweret" https://comicbook.co[...] 2022-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