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그미하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그미하마는 하마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하마와 유사한 외형을 가지지만 크기가 작다. 학명은 'Choeropsis liberiensis'이며, 하마속과는 별도의 속으로 분류된다. 서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야행성이며, 숲이나 늪지에서 초식 생활을 한다. 19세기까지 유럽에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현재는 동물원에서의 번식 노력을 통해 개체 수를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마과 - 하마속
    하마속은 하마과에 속하며,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현생 하마와 아프리카, 유럽, 서아시아 등지에서 발견되는 멸종된 종들, 그리고 난쟁이하마 형태와 마다가스카르 고유종을 포함한다.
  • 하마과 - 타와레트
    타와레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다산과 출산을 관장하며 임산부와 어린아이를 보호하는 하마 형상의 여신으로, 시대가 흐르며 가정신으로서 중요성이 커지고 주변 지역으로 숭배가 확산되어 모성, 보호, 재생의 상징이 되었다.
  • 1849년 기재된 포유류 - 웨들새들백타마린
  • 1849년 기재된 포유류 - 니알라영양
    니알라영양은 소과에 속하는 영양의 일종으로, 남아프리카 저지대 숲과 덤불에 서식하며 잎과 과일을 먹고 살고, 멸종 위기 등급은 관심대상이다.
  • 라이베리아의 포유류 - 봉고 (동물)
    봉고는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숲에 사는 가장 큰 영양으로, 짙은 밤색 털과 흰색 줄무늬가 특징이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라이베리아의 포유류 - 아프리카물소
    아프리카물소는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소과의 동물로, "검은 사신"이라 불릴 만큼 성질이 거칠고 서식지 파괴와 질병으로 인해 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었다.
피그미하마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에든버러 동물원의 피그미하마
에든버러 동물원의 피그미하마
상태멸종 위기 (EN)
상태 기준IUCN 3.1
CITES부록 II
학명Choeropsis liberiensis
명명자(Morton, 1849)
코에롭시스속 (Choeropsis) Leidy, 1853
이명Hexaprotodon liberiensis
영명Pygmy hippopotamus
분포도
아종

2. 분류와 기원



피그미하마는 하마와 같은 하마과(Hippopotamidae)에 속하지만, 하마속이 아닌 피그미하마속(''Choeropsis'')으로 분류된다. 피그미하마속의 학명인 '코에롭시스'는 '돼지를 닮은'이라는 뜻을 지녔다.

피그미하마는 새뮤얼 조지 모턴에 의해 처음 학계에 보고되었을 때는 하마속(''Hippopotamus'')으로 분류되어 '히포포타무스 미노르'(''Hippopotamus minor'')라는 학명이 붙여졌다. 하지만 이후 하마속과 뚜렷한 차이점이 있다고 판단되어 별도의 속인 코에롭시스(''Choeropsis'')로 재분류되었다. 1977년, 셜리 코린든은 피그미하마가 아시아에 살던 헥사프로토돈속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46]

2005년, 보이세리는 하마과의 계통 발생을 조사한 결과 피그미하마가 헥사프로토돈속에 속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다시 피그미하마속(''Choeropsis'')으로 재분류했다.[41][43][44][45] 그러나 ITIS는 기존 학명인 헥사프로토돈 리베리엔시스(''Hexaprotodon liberiensis'')를 유효한 학명으로 유지했다.[49] 2021년, 미국 포유류학회는 IUCN의 지원을 받아 피그미하마를 다시 피그미하마속으로 재분류했다.[42]

플라이스토세 후기 또는 홀로세 초기에 지중해 지역에 서식했던 몇몇 작은 하마들은 그 크기 때문에 '피그미하마'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피그미하마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크레타난쟁이하마, 시칠리아하마, 몰타하마, 키프로스난쟁이하마 등이 있으며, 섬 왜소화로 인해 크기가 작아진 유럽하마의 후손으로 추정된다.[56]

2. 1. 나이지리아 아종

나이지리아피그미하마(''Choeropsis liberiensis heslopi'')는 니제르강 삼각주, 특히 포트하커트 근처에 분포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피그미하마의 아종이다. 1940년대 초 영국 식민지 장교인 이언 헤슬롭이 확보한 박물관 표본을 수집한 이후 신뢰성 있는 보고가 없어, 현재는 멸종된 것으로 보고 있다.[42]

이 아종은 1935년과 1943년에 피그미하마 세 마리를 사냥한 이언 헤슬롭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50] 헤슬롭은 이 지역에 피그미하마가 30마리 이하로 남아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51] 그는 자신이 수집한 피그미하마 두개골 4개를 런던의 대영 자연사 박물관으로 보냈는데, 이 표본들은 1969년 고든 바클레이 코벳이 두개골 비율의 일관된 변화를 바탕으로 별도의 아종으로 분류하기 전까지는 분류학적 평가를 받지 못했다.[52]

나이지리아피그미하마는 나이지리아리버스 주, 이모 주, 바엘사 주에서 목격되거나 총에 맞았다는 보고가 전해지기도 한다. 일부 지역 주민들은 이 종이 한때 존재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이 지역에서 피그미하마에 대한 제대로 된 기록은 없다.[44]

나이지리아피그미하마는 야생에서 연구되거나 포획된 적이 없으며, 현재 모든 연구 및 동물원 개체들은 전부 라이베리아 아종이다.[44] 이 아종은 서아프리카의 삼림 지역을 나누는 사바나 지역인 다호미 갭에 의해 라이베리아피그미하마와 1800km 이상 떨어져 서식했다.

2. 2. 진화

피그미하마의 진화는 가까운 사촌인 하마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두 종 모두 멧돼지과나 페커리과와 가깝다고 여겨졌지만, 연구 결과 고래하목과 더 가까운 친척인 것으로 밝혀졌다. 하마와 고래는 약 6,000만 년 전 우제류에서 갈라져 나온 반수생 동물을 공통 조상으로 두었을 것으로 추정된다.[53][54]

이 공통 조상은 약 600만 년 후 두 갈래로 갈라졌다.[55] 한쪽은 고대고래아목으로 진화하고, 다른 한쪽은 에오세 말기에 안트라코테리움과(Anthracotheres) 동물로 진화했다. 안트라코테리움과는 현생 하마보다 비교적 작고 가는 머리를 가졌다.[47]

올리고세유럽에서 살던 안트라코테리움 마그눔(''Anthracotherium magnum'')


가장 먼저 나타난 하마 종류는 약 1,500-900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서식했던 케냐포타무스속 생물들이다. 케냐포타무스는 단편적인 화석으로만 확인되지만, 현생 피그미하마와 비슷한 크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48] 현생 하마의 직계 조상으로 추정되는 생물은 750-180만 년 전 중동아프리카에 살았던 아르케오포타무스다.[43]

하마의 화석 기록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현생하는 두 속인 하마속과 피그미하마속의 계통은 800만 년 전에 분기된 것으로 보인다. 현생 피그미하마의 조상은 사오테리움속(''Saotherium'')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오테리움속과 피그미하마속은 하마속과 헥사프로토돈속에 비해 원시적인 특징이 강해 하마의 조상 종과 더 유사하다.[43][48]

3. 형태적 특성

루이빌 동물원에서 휴식을 취하는 피그미하마


독일 뒤스부르크 동물원의 피그미하마 부부


피그미하마는 하마와 유사한 외형을 가지지만, 몸길이는 절반, 몸무게는 1/4 정도이다. 성체의 어깨높이는 75cm 에서 100cm, 몸길이는 150cm 에서 175cm, 몸무게는 180kg 에서 275kg이다.[60][19] 피부색은 녹흑색 또는 갈색이며, 하체는 크림색 또는 회색을 띤다. 하마와 마찬가지로 히포수도르산이라는 분비물을 가지고 있어, 피부가 분홍빛을 띤다.[44][26] 이 물질은 소독 및 자외선 차단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4]

피그미하마의 뼈대는 하마보다 가늘고, 다리와 목은 더 길며, 머리는 더 작다.[61][25] 안와와 콧구멍은 하마에 비해 덜 뚜렷하며, 발가락은 더 넓게 퍼져 있고 물갈퀴가 적다.[61][25]

4. 생태

싱가포르 동물원에서 잠수하는 두 마리의 피그미하마


피그미하마는 하마와 달리 단독 생활을 하거나, 짝을 이루거나 어미와 새끼로 구성된 소규모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 다른 개체와 마주치면 싸우기보다는 서로 무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수컷의 영역 범위는 약 1.85㎢, 암컷은 0.4~0.6㎢이다.[45]

야행성[40]으로, 낮에는 주로 강이나 늪에 숨어 지낸다.[39] 며칠 동안 같은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다가 새로운 곳으로 이동한다. 강둑의 굴을 은신처로 이용하기도 하는데, 직접 굴을 파는 모습은 관찰된 적 없지만 혹멧돼지 등 다른 동물이 파놓은 굴을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된다.[44]

4. 1. 먹이

피그미하마는 초식동물로, 양치식물, 활엽식물, 숲 바닥에 떨어진 과일 등을 주로 먹는다.[44][20] 수생 식물은 거의 먹지 않는데, 이는 피그미하마가 서식하는 울창한 숲에서는 풀을 찾기가 드물기 때문이다.[44][20] 피그미하마가 먹는 것으로 관찰된 다양한 식물은 이들이 가능한 모든 식물을 먹는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 식단은 일반 하마의 식단보다 영양 면에서 품질이 높다.[44][26]

야채를 먹는 피그미하마


피그미하마는 해질녘에 먹이를 먹기 위해 물 밖으로 나온다. 울창한 숲 속 초목을 돌아다니기 위해 개별적으로 뚫어놓은 길을 이용하며, 배변을 할 때 꼬리를 힘차게 흔들어 배설물을 더 퍼뜨려 흔적을 표시한다. 피그미하마는 하루에 약 6시간 동안 먹이를 찾는다.[44][26]

4. 2. 번식

야생 피그미하마의 번식 행동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며,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는 동물원에서 관찰된 피그미하마의 행동을 바탕으로 한다.[45] 따라서 사육 환경의 인위적인 조건이 자연 상태와 다를 수 있다. 피그미하마의 성적 성숙은 3~5세 사이에 이루어진다.[28] 보고된 가장 어린 출산 사례는 스위스 바젤 동물원의 피그미하마로, 3년 3개월 만에 새끼를 낳았다.[26] 암컷 피그미하마의 발정 주기는 평균 35.5일이며, 발정은 24~48시간 동안 지속된다.[1][27]

피그미하마는 짝짓기를 위해 짝을 이루지만, 이 관계가 얼마나 지속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동물원에서는 일부일처제로 번식한다. 짝짓기는 육지나 물에서 모두 일어날 수 있으며, 한 쌍은 발정 기간 동안 1~4번 짝짓기를 한다. 사육 상태에서는 1년 내내 임신과 출산이 가능하다.[28] 임신 기간은 190~210일이며, 보통 한 마리의 새끼를 낳지만, 쌍둥이를 낳는 경우도 보고되었다.[26]

하마와 달리 피그미하마는 육지와 물 모두에서 짝짓기와 출산을 한다. 새끼는 태어나자마자 바로 수영할 수 있다. 갓 태어난 피그미하마의 무게는 4.5~6.2kg이며, 수컷이 암컷보다 약 0.25kg 더 무겁다. 피그미하마는 생후 6~8개월 사이에 완전히 젖을 뗀다. 젖을 떼기 전에는 어미가 먹이를 찾으러 나갈 때 함께 가지 않고, 어미가 돌아올 때까지 물속에 숨어 있다. 어미는 하루에 세 번 정도 은신처로 돌아와 새끼에게 젖을 먹으라고 울음소리로 신호를 보내며, 새끼가 젖을 빨 때는 옆으로 눕는다.[26]

4. 3. 성격

피그미하마는 일반적으로 유순하고 인간에게 위험하지 않다고 여겨지지만, 때때로 매우 공격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63] 인간 사망 사례는 없지만, 여러 차례 공격 사례가 보고되었다.[21]

5. 보존

피그미하마는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는 멸종위기종(EN)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피그미하마가 겪는 가장 큰 위협은 서식지 손실이다. 피그미하마가 사는 숲은 벌목, 정착, 농경지 전환 등으로 인해 줄어들고 있으며, 이는 피그미하마 개체군을 파편화시켜 유전적 다양성을 감소시킨다.[41] 라이베리아에서는 식용을 목적으로 한 밀렵도 심각한 문제이다.[64] 피그미하마의 고기는 멧돼지고기처럼 질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 하마와 달리 피그미하마의 이빨은 상업적 가치가 없어 밀렵꾼들의 주요 표적이 되지는 않는다.[45] 서아프리카 내전 역시 피그미하마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41]

표범, 비단뱀, 악어와 같은 포식자도 피그미하마의 생존을 위협하지만, 이로 인한 사망 빈도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44]

피그미하마는 2007년 EDGE 프로젝트에서 상위 10종의 초점종 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65] 일부 개체는 시에라리온의 골라 삼림 보호 구역과 같은 보호 구역에 서식한다.[66]

스위스 바젤 동물원은 국제 종 보존 기록을 관리하며 전 세계 동물원의 피그미하마 번식 프로그램을 조정하고 있다. 1970년부터 1991년 사이 동물원에서 태어난 피그미하마의 수는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동물원에서의 생존율은 야생보다 더 안정적이다.[51][61] 사육 상태의 피그미하마는 야생보다 더 오래 살 수 있어, 42~55년까지 생존 가능하다.[44] 1919년 이후 동물원에서 태어난 피그미하마의 41%만이 수컷이었다.[62]

6. 역사와 문화

피그미하마는 19세기까지 서아프리카 외 지역에는 알려지지 않은 동물이었다. 라이베리아에서는 물소로 오인되기도 했으며,[45] 초기 보고에서는 멧돼지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 새뮤얼 조지 모턴은 1843년에 처음으로 피그미하마를 학계에 설명했다.[45] 1870~1880년대에 요한 뷔티코퍼 박사가 라이베리아 동물군을 조사하면서 피그미하마의 완전한 표본을 수집하여 네덜란드 레이던의 자연사 박물관으로 옮겼다.[45]

1873년 시에라리온에서 포획된 피그미하마가 유럽으로 옮겨졌으나 곧 사망했다. 1911년, 피그미하마는 유럽 동물원에 성공적으로 정착했는데, 처음에는 독일로 보내졌고 이후 미국 뉴욕 시의 브롱스 동물원으로 옮겨져 번성했다.[44][45] 1927년 파이어스톤 타이어회사의 하비 새뮤얼 파이어스톤은 빌리라는 이름의 피그미하마를 캘빈 쿨리지 대통령에게 선물했다. 쿨리지는 빌리를 미국 국립동물원에 기증했고, 빌리는 오늘날 미국 동물원에 있는 대부분의 피그미하마들의 조상이 되었다.[61][67]

서아프리카 민담에서는 피그미하마가 밤에 숲을 통과할 때 빛나는 다이아몬드를 입에 물고 다닌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45]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애기하마'라는 이름으로 소개되었으나, 현재는 '피그미하마'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참조

[1] 간행물 "''Choeropsis liberiensis''" 2021-08-27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논문 The care and breeding of the Pygmy hippopotamus (''Choeropsis liberiensis'') in captivity 1972-01
[4] 웹사이트 Hippopotamus https://www.thefreed[...]
[5] 문서 List of animal names
[6] 웹사이트 ITIS Standard Report Page: ''Hexaprotodon liberiensis'' https://www.itis.gov[...] 2020-12-07
[7] 논문 The phylogeny and taxonomy of Hippopotamidae (Mammalia: Artiodactyla): a review based on morphology and cladistic analysis
[8] 논문 The taxonomy and nomenclature of the Hippopotamidae (Mammalia, Artiodactyla) and a description of two new fossil species
[9] 문서 "''Choeropsis liberiensis''" 2021-08-26
[10] 서적 The Pygmy Hippo Story: West Africa's Enigma of the Rainforest Oxford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Pigs, Peccaries and Hippos Status Survey and Action Plan http://www.iucn.org/[...] 2008-08-23
[12] 논문 The taxonomic status of the pygmy hippopotamus, Choeropsis liberiensis, from the Niger Delta
[13] 웹사이트 Scientists find missing link between the dolphin, whale and its closest relative, the hippo http://www.sciencene[...] 2008-08-23
[14] 논문 More DNA support for a Cetacea/Hippopotamidae clade: the blood-clotting protein gene gamma-fibrinogen 1997-05-01
[15] 논문 Analyses of mitochondrial genomes strongly support a hippopotamus-whale clade
[16] 논문 The position of Hippopotamidae within Cetartiodactyla 2005-02
[17] 논문 Origins of Hippopotamidae (Mammalia, Cetartiodactyla): towards resolution 2005-03
[18] 논문 Note on the taxonomy of Pleistocene hippopotamuses http://www.mountaine[...] 2008-08-23
[19]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Mammal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0] 웹사이트 Hexaprotodon liberiensis (Madagascan pygmy hippopotamus) https://animaldivers[...]
[21] 웹사이트 Are Pygmy Hippos Aggressive? Are Dangerous as The Common? https://iildnature.c[...] 2023-05-18
[22] 웹사이트 Poaching in Liberia's Forests Threatens Rare Animals http://www.voanews.c[...] 2014-11-05
[23] 뉴스 Protection for 'weirdest' species http://news.bbc.co.u[...] 2008-08-23
[24] 웹사이트 Gola Forest Reserve http://www.visitsier[...]
[25] 웹사이트 Pygmy Hippo fact sheet http://nationalzoo.s[...] National Zoological Park 2008-08-23
[26] 서적 The Hippos Academic Press
[27] 논문 Distorted Sex Ratio at Birth in the Captive Pygmy Hippopotamus, Hexaprotodon Liberiensis
[28] 웹사이트 River Horses and Water Cows http://moray.ml.duke[...] 2007-07-30
[29] 논문 The hippo's tale: how the anatomy and physiology of Late Neogene Hexaprotodon shed light on Late Neogene environmental change
[30] 웹사이트 Moo Deng: Thailand zoo's celebrity baby pygmy hippo https://www.bbc.com/[...] 2024-09-18
[31] 웹사이트 Moo Deng: Why is internet obsessed with the viral baby hippo? https://www.independ[...] 2024-10-01
[32] 간행물 "''Choeropsis liberiensis''" https://doi.org/10.2[...]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4-12-22
[33] 문서 Hexaprotodon liberiensisとして掲載
[34]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https://cites.org/en[...]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2024-12-22
[35] 논문 "''Choeropsis liberiensis'' (Artiodactyla: Hippopotamidae)"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36] 서적 Order Artiodactyla https://www.departm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7] 서적 カバ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38] 웹사이트 可愛すぎる、世界各地の動物園で誕生した「動物の赤ちゃん」 https://www.msn.com/[...] Microsoft News 2017-05-10
[39] 서적 カバ 平凡社
[40] 서적 コビトカバ(リベリアカバ) 講談社
[41] 간행물 Choeropsis liberiensis 2021-08-27
[42] 저널 The care and breeding of the Pygmy hippopotamus (''Choeropsis liberiensis'') in captivity 1972-01
[43] 저널 The phylogeny and taxonomy of Hippopotamidae (Mammalia: Artiodactyla): a review based on morphology and cladistic analysis https://academic.oup[...] 2005-01
[44] 서적 The Hippos Academic Press
[45] 웹사이트 River Horses and Water Cows http://moray.ml.duke[...]
[46] 저널 The taxonomy and nomenclature of the Hippopotamidae (Mammalia, Artiodactyla) and a description of two new fossil species
[47] 저널 The position of Hippopotamidae within Cetartiodactyla https://pnas.org/doi[...] 2005-02
[48] 저널 Origins of Hippopotamidae (Mammalia, Cetartiodactyla): towards resolution https://onlinelibrar[...] 2005-03
[49] 저널 ITIS 2022 Cover Page http://dx.doi.org/10[...] IEEE 2022-10-19
[50] 서적 The pygmy hippo story: West Africa's enigma of the rainforest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51] 서적 African primate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http://dx.doi.org/10[...] IUCN 1996
[52] 저널 The taxonomic status of the Pygmy hippopotamus, Choeropsis liberiensis , from the Niger Delta https://zslpublicati[...] 1969-07
[53] 웹인용 Japan Times Weekly, Volume 08, Issue 04 - 1941-01-23 http://dx.doi.org/10[...] 2024-01-09
[54] 저널 More DNA support for a Cetacea/Hippopotamidae clade: the blood-clotting protein gene gamma-fibrinogen https://academic.oup[...] 1997-05-01
[55] 저널 Analyses of mitochondrial genomes strongly support a hippopotamus-whale clade https://royalsociety[...] 1998-12-07
[56] 웹인용 inta, 2008-5-12.pdf http://dx.doi.org/10[...] 2024-01-09
[57] 저널 Family Hippopotamidae Clarendon Press, Oxford
[58] 저널 Taxonomy and Conservation Status of the Suiformes — an Overview http://www.mountaine[...]
[59] 간행물 Hippopotamus madagascariensis 2021-11-11
[60]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mammals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61] 웹인용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fact sheet 2007-08 http://dx.doi.org/10[...] 2024-01-09
[62] 저널 DISTORTED SEX RATIO AT BIRTH IN THE CAPTIVE PYGMY HIPPOPOTAMUS, HEXAPROTODON LIBERIENSIS https://academic.oup[...] 2002-08
[63] 저널 Common Complications in Reconstructive Surgery http://dx.doi.org/10[...] 2023-05-27
[64] 웹인용 news-from-washington-office-on-latin-america-falkland-dispute-threatens-to-erode-interamerican-system-may-10-1982-2-pp http://dx.doi.org/10[...] 2024-01-10
[65] 저널 8. NHR Dom 2007-01-08. Rt. 2007 s. 16 http://dx.doi.org/10[...] 2008-05-14
[66] 서적 3. THE GOLA FOREST OF SIERRA LEONE http://dx.doi.org/10[...]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94-07-01
[67] 저널 The hippo's tale: how the anatomy and physiology of Late Neogene Hexaprotodon shed light on Late Neogene environmental change https://linkinghub.e[...] 20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