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탁구 정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탁구 정리는 군과 군의 작용, 부분군, 집합을 이용하여 부분군이 자유곱임을 보이는 정리이다. 군 G의 두 부분군 H, H'와 G가 작용하는 집합 X, 그리고 X의 부분집합 Y, Y'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H와 H'로 생성되는 부분군은 H와 H'의 자유곱과 같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이 정리는 펠릭스 클라인이 클라인 군 연구에 처음 사용했으며, 기하학적 위상수학, 기하학적 군론, 티츠 대안 증명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2. 정의

탁구 정리는 의 작용과 관련된 조건을 통해 부분군들의 자유곱을 정의하는 정리이다. G집합 X 위에 작용할 때, G의 부분군들과 X의 부분집합들 사이에 특정 관계가 성립하면, 이 부분군들로 생성되는 군이 자유곱이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1. 기본 정의

GG의 부분군 H, H', 그리고 G가 작용하는 집합 X가 주어졌다고 하자. Y,Y'\subseteq XX의 두 부분 집합이다. 이때 다음 조건들이 성립한다고 가정한다.

  • |H|\ge3
  • Y \ne \varnothing \ne Y'
  • Y \not \subseteq Y'
  • h'\cdot Y \subseteq Y' \qquad\forall h'\in H'\setminus\{1\}
  • h\cdot Y' \subseteq Y \qquad\forall h\in H\setminus\{1\}


이때, '''탁구 정리'''에 따르면 HH'로 생성되는 부분군은 HH'자유곱과 같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langle H\cup H'\rangle = H*H'

여기서 좌변은 G의 부분 집합으로 생성되는 부분군이며, 우변은 군들의 자유곱이다.[5] [3]

2. 2. 여러 부분군에 대한 탁구 정리

''G''를 집합 ''X''에 작용하는 군이라고 하고, ''H''1, ''H''2, ..., ''H''''k''를 ''G''의 부분군이라고 하자. 여기서 ''k''는 2 이상이고, 이 부분군 중 적어도 하나는 차수가 2보다 크다. 그리고 ''X''의 서로소인 공집합이 아닌 부분 집합 ''X''1, ''X''2, ...,''X''''k''가 있다고 가정하자.

만약 모든 ''i'' ≠ ''s''에 대해, ''H''''i''에 있는 모든 ''h'' ≠ 1에 대해, ''h''(''X''''s'') ⊆ ''X''''i''가 성립하면, \langle H_1,\dots, H_k\rangle=H_1\ast\dots \ast H_k이다. 즉, H_1, H_2, \dots, H_k에 의해 생성되는 군은 이들의 자유곱이 된다.[5][3]

이는 두 부분군뿐만 아니라 여러 부분군에 대한 탁구 정리의 확장이다. 각 부분군에 대응하는 서로소인 부분집합들이 존재하고, 이 부분집합들에 대한 군 작용이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해당 부분군들로 생성되는 군은 자유곱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역사

탁구 정리는 19세기 말 펠릭스 클라인이 클라인 군을 연구하기 위해 처음 사용하였다.[3] 이후 자크 티츠가 티츠 대안 증명에 활용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 핑퐁 보조정리와 그 변형은 기하학적 위상수학과 기하학적 군론에서 널리 사용된다. 핑퐁 보조정리의 현대적 버전은 여러 책에서 찾아볼 수 있다.[2][3][4]

3. 1. 펠릭스 클라인과 클라인 군

이 정리의 이름은 증명 과정에서 HH'의 번갈아 가는 군의 작용탁구에서 탁구공을 양 선수가 번갈아서 치는 것에 빗댄 것이다.

펠릭스 클라인은 19세기 말에 클라인 군(쌍곡 공간의 등거리 변환 또는 리만 구의 뫼비우스 변환의 이산군)을 연구하기 위하여 탁구 정리를 최초로 사용하였다.[3]

3. 2. 자크 티츠와 티츠 대안

이 정리의 이름은 증명 과정에서 HH'의 번갈아 가는 군의 작용탁구에서 탁구공을 양 선수가 번갈아서 치는 것에 빗댄 것이다.

탁구 정리는 펠릭스 클라인이 19세기 말에 클라인 부분군을 연구하기 위하여 최초로 사용하였다. 이후 자크 티츠 등이 이 정리의 기법을 다시 사용하였다.

자크 티츠는 1972년 논문에서 핑퐁 보조정리를 핵심 도구로 사용하여[1] 티츠 대안으로 알려진 유명한 결과를 수학적 증명하였다. 이 결과는 유한 생성 선형군은 가상적으로 가해군이거나 자유군 계수가 2인 자유 부분군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3. 3. 현대적 발전

핑퐁 논증은 19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일반적으로 펠릭스 클라인이 사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클라인은 이를 클라인 군의 부분군, 즉 쌍곡 공간의 등거리 변환 또는 리만 구의 뫼비우스 변환의 이산군을 연구하는 데 사용했다.[3] 핑퐁 보조정리는 자크 티츠가 1972년 논문에서 사용한 핵심 도구였으며,[1] 이는 티츠 대안으로 알려진 유명한 결과에 대한 수학적 증명을 담고 있다. 이 결과는 유한 생성 선형군은 가상적으로 가해군이거나 자유군 계수가 2인 자유 부분군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핑퐁 보조정리와 그 변형은 기하학적 위상수학과 기하학적 군론에서 널리 사용된다.

핑퐁 보조정리의 현대적 버전은 Lyndon & Schupp,[2] de la Harpe,[3] Bridson & Haefliger[4] 등을 포함한 많은 책에서 찾아볼 수 있다.

4. 예시

핑퐁 보조정리를 사용하면 SL₂(ℤ)의 부분군이 자유 순위 2임을 증명할 수 있다.[3] 이 부분군은 다음과 같은 두 행렬로 생성된다.

:A = \begin{pmatrix}1 & 2\\ 0 &1 \end{pmatrix}, B = \begin{pmatrix}1 & 0\\ 2 &1 \end{pmatrix}

A영어와 B영어는 각각 무한 차수를 갖는 원소이며, 이들로 생성되는 순환 부분군 H영어1과 H영어2는 다음과 같다.

:H_1 = \{A^n \mid n\in \Z\} = \left\{\begin{pmatrix}1 & 2n\\ 0 & 1 \end{pmatrix} : n\in\Z\right\}

:H_2 = \{B^n \mid n\in \Z\} = \left\{\begin{pmatrix}1 & 0\\ 2n & 1 \end{pmatrix} : n\in\Z\right\}.

SL₂(ℤ)영어의 ℝ²영어에 대한 표준 군 작용을 선형 변환으로 고려하면, 다음과 같은 두 집합을 정의할 수 있다.

:X_1 = \left\{ \begin{pmatrix}x \\ y \end{pmatrix}\in \R^2 : |x|>|y|\right\}

:X_2 = \left\{ \begin{pmatrix}x \\ y \end{pmatrix}\in \mathbb R^2 : |x|<|y|\right\}.

H영어1과 H영어2의 원소들은 다음 성질을 만족한다.


  • 모든 자명하지 않은 g영어 ∈ H영어1에 대해 g(X₂)영어 ⊆ X₁영어
  • 모든 자명하지 않은 g영어 ∈ H영어2에 대해 g(X₁)영어 ⊆ X₂영어


따라서 핑퐁 보조정리에 의해 H = H₁ * H₂영어이며, 이는 랭크 2의 자유군이다.

4. 1. 특수 선형군 SL(2, ℤ)

\operatorname{SL}(2;\mathbb Z)에서, 다음과 같은 두 행렬 AB로 생성되는 부분군을 생각할 수 있다.[3]

:A = \begin{pmatrix}

1&2\\0&1

\end{pmatrix}

:B = \begin{pmatrix}

1&0\\2&1

\end{pmatrix}

AB는 각각 무한 차수의 원소이다. 즉, A^n = 1이 되는 정수 nn=0 밖에 없으며, B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A^nB^n은 다음과 같다.

:A^n = \begin{pmatrix}

1&2n\\

0&1

\end{pmatrix}

:B^n = \begin{pmatrix}

1&0\\

2n&1

\end{pmatrix}

\operatorname{SL}(2;\mathbb Z)X=\mathbb R^2 = \mathbb Z^{\oplus2}\otimes_{\mathbb Z}\mathbb R^2 위에 선형 변환으로 작용한다.

:Y = \{(x,y)\in X\colon |x|>|y|\}

:Y' = \{(x,y)\in X\colon |x|<|y|\}

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

:A^n Y' \subseteq Y

:B^n Y \subseteq Y'

따라서, 탁구 정리에 의하여 \langle A,B\rangle 은 두 개의 원소로 생성되는 자유군이다.[3]

4. 2. 단어 쌍곡군 (Word-hyperbolic group)

단어 쌍곡군이 비틀림 없는 군이라고 하자. 즉, 유한한 차수를 갖는 항등원이 아닌 원소가 없다. ''G''의 원소 ''g'', ''h'' 가 두 개의 교환하지 않는 원소, 즉 ''gh'' ≠ ''hg''를 만족한다고 하자. 그러면 어떤 정수 ''n'' ≥ ''M'', ''m'' ≥ ''M''에 대해 부분군 H = \langle g^n, h^m \rangle \le G가 랭크 2의 자유군이 되도록 하는 ''M'' ≥ 1이 존재한다.

5. 응용

핑퐁 논증은 19세기 후반 펠릭스 클라인이 클라인 군의 부분군, 즉 쌍곡 공간의 등거리 변환이나 리만 구의 뫼비우스 변환의 이산군을 연구하는 데 사용하면서 시작되었다.[3] 자크 티츠는 1972년 티츠 대안을 증명할 때 핑퐁 보조정리를 핵심 도구로 사용했다.[1]

핑퐁 보조정리는 기하학적 위상수학과 기하학적 군론에서 널리 사용되며, 현대적 버전은 여러 책에서 찾아볼 수 있다.[2][3][4] 또한 자유군의 외부 자기 동형 사상 군의 부분군 연구에도 사용된다.[9]

그룹의 여러 요소가 자유 반군을 생성하도록 보장하는 핑퐁 보조정리의 버전도 있으며, 이는 집합에 대한 군 작용의 일반적인 맥락[12]과 선형 군,[13] 트리에 작용하는 군[14] 등 특정 유형의 작용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15]

5. 1. 쇼트키 군 (Schottky group)

핑퐁 보조정리는 클라인 군에서 이른바 쇼트키 부분군을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클라인 군의 맥락에서 핑퐁 보조정리는 쌍곡 공간의 특정 등거리 변환군이 자유군일 뿐만 아니라 제대로 불연속적이고 기하학적으로 유한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사용될 수 있다.[6]

5. 2. 기하학적 군론

기하학적 군론에서 널리 사용되는 쇼트키 유형의 논증은 단어 쌍곡 군의 부분군[6] 및 트리의 자기 동형 사상 군에 사용된다.[7]

5. 3. 사상류군 (Mapping class group)

리만 곡면사상 클래스 군의 쇼트키 유형 부분군 연구에 탁구 정리가 사용되며, 여기서 사상 클래스 군이 작용하는 집합은 타히미어 공간의 Thurston 경계이다.[8]

5. 4. 티츠 대안 (Tits alternative)

자크 티츠는 1972년 논문에서 탁구 정리를 핵심 도구로 사용하여 선형군에 대한 티츠 대안을 증명했다.[1] 이 결과는 유한 생성 선형군이 가상적으로 가해군이거나 자유군계수(rank)가 2인 자유 부분군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티츠의 증명에 대한 개요와 관련 아이디어에 대한 설명은 [10]를 참조.

5. 5. 자유곱 및 HNN 확장

핑퐁 보조정리의 일반화는 자유곱뿐만 아니라 합병된 자유곱과 HNN 확장을 생성한다.[2] 이러한 일반화는 특히 클라인 군에 대한 마스키트 조합 정리의 증명에 사용된다.[11]

참조

[1] 논문 Free subgroups in linear groups. https://www.scienced[...] 1972
[2] 서적 Combinatorial Group Theory. Springer-Verlag 2001
[3] 서적 Topics in geometric group the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 서적 Metric spaces of non-positive curvature.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1999
[5] 논문 Representations of free products by infinite unitriangular matrices over finite fields. http://www.worldscin[...] 2004
[6] 서적 Hyperbolic groups. Springer 1987
[7] 논문 Lattices in rank one Lie groups over local fields. https://doi.org/10.1[...] 1991
[8] 서적 Subgroups of mapping class groups from the geometrical viewpoint.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07
[9] 논문 Laminations, trees, and irreducible automorphisms of free groups. https://doi.org/10.1[...] 1997
[10] 논문 Free groups in linear groups. 1983
[11] 서적 Kleinian groups. Springer-Verlag 1988
[12] 서적 Topics in geometric group the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3] 논문 On uniform exponential growth for linear groups. https://doi.org/10.1[...] 2005
[14] 서적 Uniform growth, actions on trees and GL2. https://books.googl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02
[15] 논문 Quasi-isometrically embedded free sub-semigroups. http://msp.warwick.a[...]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