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발힐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탁발힐분은 위서와 신당서에 기록된 인물로, 탁발씨 부족의 지도자였다. 위서에 따르면 탁발린의 명을 받아 부족을 이끌고 남쪽으로 이동하여 흉노의 옛 거주지에 정착했으며, 천녀와의 사이에서 탁발역미를 낳았다. 신당서에는 탁발힐분에게 탁발역미 외에 독발필고라는 아들이 있었으며, 탁발힐분 사후 독발필고가 독발선비의 시조가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위의 추존황제 - 탁발십익건
탁발십익건은 오호십육국 시대 대나라의 군주로서, 국가 체제 정비와 영토 확장으로 대나라의 세력을 크게 일으켰으나, 말년에 내분으로 인해 살해당했으며, 사후 소성황제로 추존되었다. - 북위의 추존황제 - 탁발울률
탁발울률은 탁발부의 수령 탁발의로의 아들로, 316년 대나라의 대왕으로 옹립되어 유능한 군사 지도자로서 세력을 확장했지만, 321년 백모 유씨에게 살해당했다. - 선비의 군주 - 단석괴
단석괴는 후한 시대 선비족을 통합하여 강력한 세력을 구축하고 넓은 영역을 지배하며 후한을 위협한 지도자로, 그의 통치는 이후 선비족 발흥의 기반이 되었다. - 선비의 군주 - 모용준
모용준은 오호십육국시대 전연의 2대 군주이자 초대 황제로, 아버지 모용황의 뒤를 이어 연왕에 즉위한 후 후조의 혼란을 틈타 중원 진출을 본격화하여 황제를 칭하고 영토를 확장하며 전진, 동진과 대립했고 수도를 업으로 옮겼다. - 몰년 미상 - 미와 와사부로
미와 와사부로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경찰 관료로, 항일 운동가들을 탄압하여 "염라대왕"이라 불렸으며 조선어에 능통했고, 해방 이후 행적은 불분명하다. - 몰년 미상 - 이태준
이태준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이자 문학평론가로, 섬세한 문체와 서정적인 분위기로 현실을 그린 단편소설들을 발표하여 주목받았으며, 특히 1930년대 〈달밤〉, 〈까마귀〉, 〈복덕방〉 등의 작품으로 한국 단편소설의 미학을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월북 후 숙청되어 정확한 사망 시기와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탁발힐분 | |
---|---|
기본 정보 | |
휘 | 힐분 (詰汾, gil bun) |
묘호 | 성무제(聖武帝, Seongmuje) |
시호 | 선목황제(宣穆皇帝, Seongmuje) |
생몰 | ? ~ ? |
재위 기간 | ? ~ ? |
가계 | |
부친 | 헌제 탁발린(獻帝 拓跋鄰, Heonje Takbalrin) |
자녀 | |
아들 | 사문제 탁발의로(思文帝 拓跋猗盧, Samunje Takbaluiro) |
2. 생애
《위서》에 따르면, 탁발힐분은 탁발린의 명을 받아 부족민들을 이끌고 남쪽으로 이동하여 신수(神獸)의 인도로 흉노의 옛 거주지에 정착했다.
수렵 중 하늘의 명을 받았다는 천녀(天女)를 만나 하룻밤을 보냈고, 1년 후 천녀에게서 아들 탁발역미를 얻었다. 탁발힐분 사후 탁발역미가 그 뒤를 이었다.
2. 1. 위서 기록
《위서》에 따르면 탁발힐분은 탁발린의 명으로 부족민들을 이끌고 남쪽으로 이동하였다.[1] 신수(神獸)의 인도를 받아 흉노의 옛 거주지에 정착하였다.[1]탁발힐분은 수렵 중 만난 천녀(天女)와 하룻밤을 보냈다.[1] 1년 후, 천녀는 탁발힐분에게 아들 탁발역미를 주었고, 탁발역미는 탁발힐분의 뒤를 이어 탁발부의 수령이 되었다.[1]
2. 2. 신당서 기록
《신당서(新唐書)》에 따르면 탁발힐분에게는 탁발역미 외에 독발필고라는 아들이 있었다. 탁발힐분 사후, 탁발역미가 수령 자리를 계승하자 독발필고는 자신의 세력을 이끌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독발선비의 시조가 되었다. '독발(禿髮)'과 '탁발(拓跋)'은 본래 같은 음을 다르게 표기한 것이었는데, 이 사건을 계기로 표기가 갈라지면서 부족도 분리되었다.3. 가계
탁발힐분에게는 탁발역미와 독발필고 두 아들이 있었다.[1]
3. 1. 아들
탁발힐분에게는 아들 탁발역미와 독발필고가 있었다.[1]《위서》에 따르면, 탁발힐분이 수렵 중 만난 천녀가 낳은 아들이 탁발역미이며, 탁발힐분 사후 탁발역미가 뒤를 이었다.[1]
《신당서》에 따르면, 탁발힐분이 죽은 후 탁발역미가 수령 자리를 이어받자 독발필고는 자신의 세력을 이끌고 다른 곳으로 이동해 독발선비의 시조가 되었다.[1] '독발(禿髮)'과 '탁발(拓跋)'은 본디 같은 음의 표기인데 이때 표기가 갈리면서 부족도 갈리게 되었다.[1]
참조
[1]
서적
Origins, Ancestors, and Imperial Authority in Early Northern Wei Historiography
https://academiccomm[...]
COLUMBIA UNIVERSITY
2015
[2]
간행물
中国考古集成
https://books.google[...]
北京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