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와 와사부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와 와사부로는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활동한 일본인 경찰이다. 1905년 조선에 와서 경기도 경찰부 고등경찰과에서 근무하며 한용운, 이상재 등 항일 성향 인물들을 탄압하여 "염라대왕"으로 불렸다. 조선어에 능통했으며, 1934년 충청남도 경찰부 고등과장, 1935년 원산경찰서장 등을 역임했다. 해방 후 행적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며, 1968년 김을한에게 보낸 연하장을 통해 생존 사실이 확인되었으나, 공식 자료는 1944년까지이다. SBS 드라마 《야인시대》에서 배우 이재용이 미와 와사부로 역을 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상재 - 신간회
    신간회는 1927년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이 연합하여 결성한 독립운동 단체로, 민족 대단결을 목표로 노동 운동과 농민 운동을 지원하며 일제에 저항하다가 1931년 해산되었다.
  • 이상재 - 독립협회
    독립협회는 1896년 서재필 등에 의해 결성되어 자주적 근대화와 백성의 권리 신장을 추구하며, 자주 국권 운동, 자유 민권 운동, 자강 개혁 운동을 펼치다 고종의 견제 등으로 1898년 해산된 단체이다.
  • 특별고등경찰관 - 아베 겐키
    아베 겐키는 일본의 내무 관료이자 정치인으로, 태평양 전쟁 말기 내무대신을 역임하고 전후 A급 전범 용의자로 체포되었으나 석방되었으며, 내무성 재직 시절 공산주의 탄압에 앞장섰고 전후에는 우익 활동을 펼쳤다.
  • 특별고등경찰관 - 하라 분베에
    하라 분베에는 일본의 관료이자 정치인으로, 경시총감, 참의원 의원, 환경청 장관, 참의원 의원 회장, 그리고 참의원 의장을 역임했으며, 요시노부짱 유괴 살인 사건과 1964년 도쿄 올림픽 치안 대책을 지휘하고 사할린 잔류 조선인 귀환 문제와 위안부 문제 해결에도 기여했다.
  • 김두한 - 김을동
    김을동은 배우로 데뷔하여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서울시의회 의원과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김두한 - 조춘
    조춘은 1950년대 김두한의 부하로 활동하다가 배우로 전향하여 영화 《군도》로 데뷔했고, 심형래와 함께 《영구와 땡칠이》에 출연했으며, 영화와 드라마를 넘나들며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고 사회복지활동도 했다.
미와 와사부로
기본 정보
이름미와 와사부로
출생일1884년
출생지일본 제국
사망일미상
사망지일제강점기
국적일본 제국
별칭염라대왕
학력명륜중학교
직업경찰
형사
소속종로경찰서
사인자살

2. 생애

일본 아이치현 출신 미와 와사부로는 기병대 복무 후 1905년 한국으로 건너와 조선 주둔 일본군 헌병으로 근무했다. 1908년부터 경기도 경찰부 고등경찰과 조사계 주임으로 근무하면서 항일 독립운동가 체포 및 탄압에 앞장섰다.[1]

조선어에 유창하여 조선어장려시험 갑종 1등, 경찰관 공로 휘장(警察官功勞徽章)을 수상했다.

1934년 충청남도 경찰부 고등과장, 1935년 원산경찰서장, 함경북도 경찰국장을 거쳐 1940년대부터 총독부에서 활동했다. 1944년 매일신보에 따르면 종로총궐기위원회 특별위원으로 참가했다는 기록이 있다.[2]

2. 1. 항일 독립운동 탄압

일본 아이치현 메이린중학교를 졸업하고 기병대에서 복무한 미와 와사부로는 1908년 경부에 임명되어 경기도 경찰부 고등경찰과 조사계 주임으로 근무하면서 항일 독립운동가들을 탄압하는 데 앞장섰다.[1]

한용운, 이상재, 안창호 등 민족 지도자들뿐만 아니라 박헌영, 의친왕 이강, 김두한, 나석주 등 좌우를 가리지 않고 독립운동가들을 체포하고 감시했다.[1] 뛰어난 조선어 실력을 바탕으로 독립운동가들을 색출하고 탄압하여 조선인들 사이에서 "염라대왕"이라는 별명으로 불릴 정도로 악명이 높았다.[1]

특히, 김좌진 장군의 아들인 김두한과는 오랜 악연을 맺었다. 미와 와사부로는 김두한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탄압했으며, 김두한은 1966년 국회 오물 투척 사건으로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기도 했다.

2. 2. 해방 이후 행적

미와 와사부로의 해방 이후 행적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김두한에 의해 해방 후 사망했다는 설과 일본으로 돌아가 1968년에 사망했다는 설이 있지만, 국사편찬위원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1944년 이후 그의 행적에 대한 공식적인 자료는 대한민국일본 양국 모두에 존재하지 않는다.[3]

김영식의 저서 "그와 나 사이를 걷다"에 따르면, 1968년 당시 도쿄에 거주하던 김을한에게 미와 와사부로가 연하장을 보냈다는 기록이 있으며, 연하장 내용에 따르면 미와는 1968년 당시 86세였다고 한다.

3. 경력

연도소속직위관등(월급)공훈
1920년경기도 제3부 경성종로경찰서도경부보(道警部補)27KRW7
1921년경기도 경찰부 경성종로경찰서도경부보(道警部補)57KRW7
1922년경기도 경찰부 경성종로경찰서경부보(警部補)60KRW7
1923년 ~ 1926년경기도 경찰부 경성종로경찰서경부(警部)70KRW7
1927년 ~ 1929년경기도 경찰부 경성종로경찰서경부(警部)67
1930년 ~ 1933년경기도 경찰부 고등경찰과경부(警部)57
1934년충청남도 경찰부 고등경찰과경부(警部)4
1935년함경남도 경찰부 원산경찰서경시(警視)7등8급
1936년함경북도 경찰부 고등경찰과경시(警視)7등8급
1937년 ~ 1938년함경북도 경찰부 고등경찰과경시(警視)6등7급
1939년함경북도 경찰부 고등경찰과경시(警視)6등6급
1940년 ~ 1941년조선총독부 경무국 보안과특수직 촉탁(囑託)210KRW


4.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비고
아버지미와 리자에몬
배우자미와 유키코1888년 11월나가사키현 출신, 이이토 겐스케의 누나. 고녀 졸업. 취미는 다도, 꽃꽂이.
장남미와 기요시1910년동경상대 재학
차남미와 쓰토무1911년선린상업 졸업. 식은 근무
삼남미와 다쿠1913년경상 졸업. 경전 사원
장녀미와 게이코1918년경성제일고녀 재학
사남미와 료1921년경성중학 재학
차녀미와 하루코1923년


5. 인물평

조선 총독부 자료에 의하면 미와 와사부로는 온후하고 독실한 사람이며, 부하들에게 인자한 아버지처럼 존경받았고 고등경찰 방면에 특히 정통해서 경찰계에서 그의 이름을 모르는 사람이 없으며, 조선의 경찰행정에 진력한 공적이 크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일제강점기 친일파들의 전형적인 자기 미화 방식이며, 실제로는 항일 독립운동가들을 탄압하는 데 앞장선 악질적인 친일 경찰이었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볼 때, 미와 와사부로는 일제 식민 통치의 하수인으로서 민족의 독립을 억압하고 탄압한 반민족행위자이다.

6.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SBS 드라마 야인시대 (2002년~2003년)에서 배우 이재용이 미와 와사부로 역을 맡았다.

참조

[1] 뉴스 경성종로경찰서 사진첩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10-08-12
[2] 간행물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 13권 http://db.history.go[...] 每日新報 1944-03-07
[3] 웹인용 국사편찬위원회 2015년 3월 27일 http://mlbpark.donga[...] 2015-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