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탕자쉬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탕자쉬안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으로, 1938년 장쑤성 전장 시에서 태어났다. 푸단 대학과 베이징 대학에서 수학한 후, 외교부에서 번역, 주일 대사관 근무, 외교부 부부장을 거쳐 1998년부터 2003년까지 외교부장을 역임했다. 탕자쉬안은 1997년 당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2003년 국무위원으로 승진했다. 외교부장 재임 기간 중 대만, 야스쿠니 신사 문제, 북핵 문제 등 외교 현안에 관여했으며, 2009년에는 외교 경험을 담은 회고록을 출판했다. 그는 중일우호협회 회장을 역임하는 등 일본과의 관계에도 깊이 관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부장 - 친강
    친강은 1966년 톈진에서 태어나 외교부 대변인, 주미 중국 대사를 역임하고 2022년 12월 외교부장에 임명되었으나 7개월 만에 해임된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부장 - 리자오싱
    리자오싱은 중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외교부장을 역임했으며, 주미 대사, 유엔 대사 등을 지내며 이라크 전쟁, 북한 핵 문제 등 국제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40여 년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시인 외교관"이라는 별칭을 얻었으나, 대만 문제에 대한 강경한 입장과 직설적인 화법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푸단 대학 동문 - 리위안차오
    리위안차오는 1950년 장쑤성 출신으로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에서 활동하며 정치 경력을 쌓아 상하이 공산주의 청년단 책임자, 중앙서기처 일원, 국무원 신문판공실 부주임, 문화부 부부장, 장쑤성 당 서기를 거쳐 중앙정치국 위원 겸 조직부 부장, 국가 부주석을 역임한 중국 공산당 고위 간부이다.
  • 푸단 대학 동문 - 리환
    리환은 중화민국 정치인이자 교육자로, 중국 국민당에서 요직을 역임하고 행정원장으로서 대만 계엄령 해제와 국민대회 개혁에 기여했으며, 국립 중산 대학 학장과 교육부 부장을 지내며 교육 개혁을 추진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 - 친강
    친강은 1966년 톈진에서 태어나 외교부 대변인, 주미 중국 대사를 역임하고 2022년 12월 외교부장에 임명되었으나 7개월 만에 해임된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 - 리바오둥
    리바오둥은 베이징 출신의 중국 외교관으로, 다양한 외교 직책을 거쳐 잠비아 대사, 유엔 제네바 사무소 대표, 유엔 주재 중국 대사를 역임했으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직을 수행하며 중국의 국제적 영향력 확대에 기여했다.
탕자쉬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당 가선
영어 이름Tang Jiaxuan
직함
임기 시작2003년 3월 17일
임기 종료2008년 3월 17일
총리원자바오
전임 외교부장첸치천
후임 외교부장리자오싱
임기 시작1998년 3월 17일
임기 종료2003년 3월 16일
개인 정보
출생일1938년 1월 17일
출생지중화민국 장쑤성 전장 시
학력푸단 대학
베이징 대학
서명
소속 정당중국 공산당

2. 이력

탕자쉬안은 장쑤성 전장 시에서 태어나 푸단 대학베이징 대학에서 수학했다. 1962년부터 외교부에서 번역 업무를 시작했으며, 문화 대혁명 기간에는 하방되기도 했다. 1970년 복권된 후 중일우호협회 이사 등을 역임하고 1973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1978년부터 주일 대사관에서 근무하며 외교관 경력을 쌓았다.

1983년 중앙국가기관 외사정당사업 지도소조 판공실 부주임, 1985년 외교부 아시아국 부국장을 거쳐, 1988년 주일 대사관 공사급 참사관으로 다시 일본에서 근무했다.

1997년 제15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고,[1] 2002년 제16차 당대회에서 재선출되었다.[2] 2007년 제17차 당대회에서는 중앙위원에서 퇴임했다.

2004년 중국 국제관계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2008년 주룽지 총리와 함께 일본을 방문했으며, 같은 해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은퇴했다. 2009년 중일우호협회 명예고문, 2010년 제5기 신중일우호 21세기 위원회 수석 위원(의장)을 역임했다. 2012년 중일우호협회 회장에 취임했다.

2. 1. 초기 생애 및 학력

탕자쉬안은 1938년 1월 17일 장쑤성 전강현에서 태어났다.[1] 1955년부터 1958년까지 상하이 푸단 대학 외국어학과 영어과에서 공부했으며, 1958년에는 베이징 대학 동양어학과 일본어학과로 전학하여 1962년에 졸업했다.[1]

2. 2. 외교 경력

탕자쉬안은 1991년 외교부 부장 보좌관을 거쳐, 1993년 외교부 부부장이 되었다.[1] 1998년에는 첸치천의 뒤를 이어 외교부장에 취임했다.

1999년 타이완 대지진 당시 "우리나라의 일부인 타이완성"이라고 발언하여 중화민국의 반발을 샀다. 2001년에는 야스쿠니 신사 문제에 대한 대응과 관련하여 다나카 마키코 외무 대신과의 회담에서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하지 말라고 겐메이(ゲンメイ)했습니다"라고 말해, 일부로부터 오만함과 내정 간섭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겐메이(ゲンメイ)'에 해당하는 한자가 '언명(言明)'인지 '엄명(厳命)'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2003년 국무위원으로 승진했으며, 리자오싱이 후임 외교부장이 되었다. 2005년 2월 북한이 핵 보유국 선언을 하자, 같은 해 7월 후진타오 주석의 특별대표로 방북하여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회담했다.[3] 2006년 10월 북한이 핵실험을 했을 때도 즉시 주석 특별대표 자격으로 방북하여[4] 김정일과 회담하고 핵 재실험 자제와 6자 회담 복귀를 강력히 촉구했다.[5]

2008년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은퇴했다.

2. 3. 외교부장 재임 기간 중 주요 활동

1998년 첸치천의 후임으로 외교부장에 취임하여 2003년 국무위원으로 승진할 때까지 외교부장직을 수행했다. 탕자쉬안은 외교부장 재임 기간 동안 타이완 문제, 야스쿠니 신사 문제, 북핵 문제 등 다양한 외교 현안을 다루었다.

탕자쉬안은 중일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으나,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2005년에는 노다 타케시 전 자치 대신과의 회담에서 "중일 관계 개선은 고이즈미 총리에게 기대하지 않는다"라고 발언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2. 3. 1. 대만 문제

1999년 타이완 대지진 당시 "우리나라의 일부인 타이완성"이라고 발언하여, 중화민국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1]

2. 3. 2. 야스쿠니 신사 문제

2001년 야스쿠니 신사 문제와 관련하여 다나카 마키코 외무 대신과의 회담에서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하지 말라고 겐메이(ゲンメイ)했습니다"라고 말하여, 일부로부터 오만함과 내정 간섭이라는 비판을 받았다.[1] "겐메이(ゲンメイ)"에 해당하는 글자가 "언명(言明)"인지 "엄명(厳命)"인지는 판단이 갈리는 부분이다.

2. 3. 3. 북핵 문제

2005년 2월, 북한이 핵 보유국 선언을 하자, 같은 해 7월 후진타오 당시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의 특별대표 자격으로 북한을 방문하여 김정일 당시 총서기와 회담을 가졌다.[3] 2006년 10월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했을 때도 즉시 주석 특별대표 자격으로 북한을 방문하여[4] 김정일과 회담에서 핵 재실험 자제와 6자 회담 복귀를 강력히 촉구했다.[5]

2. 3. 4. 기타

탕자쉬안은 1999년 타이완 대지진 당시 "우리나라의 일부인 타이완성"이라고 발언하여 중화민국의 반발을 샀다.[1] 2001년에는 야스쿠니 신사 문제에 대한 대응과 관련하여 다나카 마키코 외무 대신과의 회담에서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하지 말라고 겐메이(ゲンメイ)했습니다"라고 말하여, 일부로부터 오만함과 내정 간섭이라는 비판을 받았다.[2] "겐메이(ゲンメイ)"에 해당하는 글자가 "언명(言明)"인지 "엄명(厳命)"인지에 대해서는 판단이 갈리는 부분이다.

2005년 노다 타케시 전 자치 대신(중일우호협회 회장)은 베이징에서 탕자쉬안과 회담하면서 "중일 관계 개선은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에게 기대하지 않는다"라고 탕자쉬안이 밝혔다고 지적했으며, 아베 신조 관방장관은 해당 발언에 대해 "지도자로서 부적절한 발언"이라고 항의했다.[3]

2005년 2월 북한이 핵 보유국 선언을 하자, 같은 해 7월 후진타오 총서기의 특별대표로 방북하여 김정일 총서기와 회담했다.[4] 2006년 10월 북한이 핵실험을 했을 때도 즉시 주석 특별대표 자격으로 방북하여[5], 김정일과 회담에서 핵 재실험 자제와 6자회담 재개를 강력히 촉구했다.[6]

2009년에 중일우호협회 명예고문을, 2010년에 제5기 신중일우호 21세기 위원회 수석 위원(의장)을 역임했다.

2012년 3월 15일 중일우호협회 회장에 취임했다.

3. 저술 활동

2009년 탕자쉬안은 1998년부터 2008년까지 중국 외교부에서 10년간의 경험을 담은 회고록인 《경우서풍》(勁雨煦風|Jìng Yǔ Xù Fēng중국어)을 출판했다. 이 책은 2011년 하퍼에서 《강풍과 부드러운 미풍: 중국 외교 회고록》(Heavy Storm & Gentle Breeze: A Memoir of China's Diplomacy)이라는 제목으로 영어 번역 출판되었다.

4. 일본과의 관계

탕자쉬안은 1970년대 초까지 외교부 번역대 및 대외 우호 협회에서 근무하면서 중국을 방문한 일본인 통역을 맡았다. 시바 료타로, 아리요시 사와코 등과 교류가 있었으며, 이들의 저서인 『가도를 가다』, 『아리요시 사와코의 중국 보고서』 등에도 등장한다.[6] 2011년에는 원자바오 국무원 총리의 요청으로 베이징에서 강연하기 위해 중국을 방문한 일본 아이돌 그룹 SMAP인민대회당에서 회견을 가졌으며, 메리 키타가와이이지마 미치도 배석했다.[6]

참조

[1] 웹사이트 十五屆中央委員會委員、候補委員名單 http://cpc.people.co[...]
[2] 웹사이트 十六大選出198名中央委員(附名單) http://cpc.people.co[...]
[3] 서적 核保有宣言の衝撃と6カ国協議の進展 : 2005年の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 https://ir.ide.go.jp[...] 日本貿易振興機構アジア経済研究所
[4] 서적 核実験の実施と6カ国協議の再開 : 2006年の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 https://ir.ide.go.jp[...] 日本貿易振興機構アジア経済研究所
[5] 서적 「調和のとれた社会」実現への模索 : 2006年の中国 https://ir.ide.go.jp[...] 日本貿易振興機構アジア経済研究所
[6] 뉴스 SMAP、唐家璇元国務委員と会見 人民大会堂 http://japanese.chin[...] 2011-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