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 잠수함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평양 잠수함군은 1914년 F급 잠수함 4척의 샌프란시스코-호놀룰루 출항으로 시작된 미국 해군 잠수함 부대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편되었으며, 현재는 제7 및 제9잠수함단, 5개의 잠수함 전대, 지원 사령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부대로는 요코스카 해군 시설의 제7잠수함단, 워싱턴주 뱅고어베이스의 제9잠수함단 등이 있으며, 로스앤젤레스급, 시울프급, 버지니아급 공격 잠수함과 오하이오급 탄도 미사일 잠수함 및 유도 미사일 잠수함을 운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잠수함사령부 - 잠수함대
해상자위대의 잠수함대는 1981년 창설되어 자위함대 직할부대로서 요코스카 해군 기지에 사령부를 두고 예하 부대를 지휘 및 관리하며, 동북아시아 지역의 안정을 유지하고 해상 방위 임무를 수행한다. - 잠수함사령부 - 해군잠수함사령부
해군잠수함사령부는 대한민국 해군의 잠수함 전력을 총괄하는 부대로, 2015년 창설되어 세계 6번째 잠수함사령부 창설 국가가 되었으며, 예하 전대들을 통해 장보고급, 손원일급,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등을 운용하며 임무 수행 및 교육 훈련을 담당한다. - 미국 해군의 사령부 - 미국 유럽-아프리카 해군
미국 유럽-아프리카 해군은 유럽 및 아프리카 해역에서 활동하는 미국 해군의 부대로,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 해역 작전부대로 처음 편성되어 냉전 시대를 거치며 변화를 겪다가 2016년 현재의 체제를 갖추었으며, 주요 구성 부대로는 미국 제6함대가 있다. - 미국 해군의 사령부 - 미국 함대전력사령부
미국 함대전력사령부는 1906년 창설된 대서양 함대를 기원으로 하며, 예하 부대 훈련 및 미국 본토 방위 역할을 수행하고, 대서양 함대 사령관이 사령관을 겸임한다. - 1914년 설립된 단체 - 연방거래위원회
연방거래위원회(FTC)는 미국의 독립 행정기관으로, 소비자 보호와 공정 경쟁 촉진을 주요 임무로 하며, 초기 독과점 금지에서 소비자 보호 영역으로 확장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권한 제한 논란과 존폐 논쟁에 직면하고 있다. - 1914년 설립된 단체 - 중화민국 해군육전대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류관웅 제독의 건의로 창설되어 국공내전 시기를 거쳐 재편되었으며 해군 기지 방어, 상륙 작전 수행, 대테러 작전 지원 등을 주요 임무로 하는 중화민국 해군의 상륙전 부대이다.
태평양 잠수함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명칭 | 태평양 잠수함군, 미국 태평양 함대 |
원어 명칭 | Submarine Force, U.S. Pacific Fleet |
약칭 | COMSUBPAC |
역할 | 미국 태평양 함대 소속 잠수함 관할 |
![]() | |
조직 | |
소속 | 미국 해군 |
종류 | 종류 사령부 |
현재 사령관 | 리처드 E. 시프 주니어 해군 소장 |
주둔지 | 진주만 |
역사 | |
창설 | 1914년 |
추가 정보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역할 | 미국 태평양 함대 사령관의 잠수함 관련 자문 |
2. 역사
태평양 잠수함부대의 역사는 태평양 함대 본부가 있는 호놀룰루를 향해 샌프란시스코에서 출항한 United States F-class submarine|F급 잠수함영어 4척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F급 잠수함은 United States K-class submarine|K급 잠수함영어 4척으로 교체되었고, 1915년부터 1917년까지 쿠아후아 제도에서 근무하다가 미국 원정군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에 따라 본토로 소환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1919년에 잠수함부대는 하와이로 United States R-class submarine|R급 잠수함영어 6척과 함께 귀환하였다.
2. 1. 시초
태평양 잠수함부대의 역사는 태평양 함대 본부가 있는 호놀룰루를 향해 샌프란시스코에서 출항한 United States F-class submarine|F급 잠수함영어 4척으로 시작되었다. F급 잠수함은 이후 United States K-class submarine|K급 잠수함영어 4척으로 교체되었고, 1915년부터 1917년까지 쿠아후아 제도에서 근무하고, 미국 원정군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에 따라 본토로 소환되었다. 잠수함부대는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1919년에 하와이로 United States R-class submarine|R급 잠수함영어 6척으로 귀환하였다.3. 부대 구성
태평양 잠수함군(COMSUBPAC)은 제7잠수함단, 제9잠수함단 등 여러 집단과 제5잠수함전대, 제7잠수함전대, 제11잠수함전대를 포함한 다수의 전대, 그리고 해저감시대, 진주만 해군잠수함지원센터 등의 지원사령부로 구성되어 있다.[3] 이 부대들은 태평양 함대의 잠수함 작전을 지원하며, 각각 특정 지역이나 임무를 담당한다.
태평양 잠수함군은 서태평양, 페르시아만, 홍해, 오만만, 아라비아해 및 인도양 일부 해역을 관할한다.[12]
3. 1. 주요 부대
태평양 잠수함군(COMSUBPAC)의 주요 부대는 다음과 같다.[3]- 집단
- 제7잠수함단 - 요코스카 해군 시설
- 제9잠수함단 - 워싱턴주 뱅고어베이스
- 전대
- 제5잠수함전대
- 제7잠수함전대 - 하와이주 진주만
- 제11잠수함전대 -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
- 제15잠수함전대 - 괌 해군기지
- 제17잠수함전대 - 워싱턴주 뱅고어베이스
- 제19잠수함전대 - 워싱턴주 뱅고어베이스
- 제21잠수함전대 - 바레인 해군지원처
- 제5잠수함개발전대 - 워싱턴주 뱅고어베이스
- 잠수함
3. 2. 지원 부대 및 시설
4. 보유 전력
태평양 잠수함군은 공격 원자력 잠수함(SSN), 탄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SSBN), 유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SSGN) 및 기타 지원 함정을 보유하고 있다.
- 공격 원자력 잠수함(SSN): 로스앤젤레스급, 시울프급, 버지니아급[20][4][5][6][7][13]
- 탄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SSBN): USS 헨리 M. 잭슨 외 다수[21]
- 유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SSGN): 오하이오, 미시간[22]
- 기타 함선: 에모리 S. 랜드급 잠수함모함 (USS 에모리 S. 랜드 (AS-39), USS 프랭크 케이블 (AS-40)), USS 아코 (ARDM-5), 해상 구조 사령부[11]
각 함급 및 함명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4. 1. 공격 원자력 잠수함 (SSN)
함급 | 함명 | 비고 |
---|---|---|
로스앤젤레스급 | 시카고 (SSN-721), 키웨스트 (SSN-722), 오클라호마시티 (SSN-723), 토페카 (SSN-754), 알렉산드리아 (SSN-757), 애쉬빌 (SSN-758), 제퍼슨시티 (SSN-759), 스프링필드 (SSN-761), 콜롬부스 (SSN-762), 샬럿 (SSN-766), 햄프턴 (SSN-767), 투손 (SSN-770), 콜롬비아 (SSN-771), 산타페 (SSN-763), 스크랜턴 (SSN-756), 애나폴리스 (SSN-760) | [20][4][5][6][7][13] |
시울프급 | 시울프 (SSN-21), 코네티컷 (SSN-22), 지미 카터 (SSN-23) | [20] |
버지니아급 | 하와이 (SSN-776), 노스캐롤라이나 (SSN-777), 미주리 (SSN-780), 미시시피 (SSN-782), 일리노이 (SSN-786) | [20][4][5] |
아코 (ARDM-5), 해상 구조 사령부 | [11] |
4. 2. 탄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SSBN)
함명 | 제식번호 |
---|---|
USS 헨리 M. 잭슨 | SSBN-730 |
USS 앨라배마 | SSBN-731 |
USS 네바다 | SSBN-733 |
USS 펜실베이니아 | SSBN-735 |
USS 켄터키 | SSBN-737 |
USS 네브래스카 | SSBN-739 |
USS 메인 | SSBN-741 |
USS 루이지애나 | SSBN-743 |
4. 3. 유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SSGN)
4. 4. 기타 함선
- 에모리 S. 랜드급 잠수함모함
- * USS 에모리 S. 랜드 (AS-39)
- * USS 프랭크 케이블 (AS-40)
- USS 아코 (ARDM-5) : 아이다호주 아코의 이름을 딴 중형 보조 수리 건선거.
- 해상 구조 사령부[11]
5. 역대 지휘관
† 전시 잠수함 선장
참조
[1]
웹사이트
COMSUBPAC About Us
http://www.csp.navy.[...]
U.S. Navy
2010-08-22
[2]
웹사이트
COMSUBPAC About Us
http://www.csp.navy.[...]
U.S. Navy
2010-08-22
[3]
웹사이트
COMSUBPAC Submarines
http://www.csp.navy.[...]
U.S. Navy
2015-09-11
[4]
웹사이트
USS Missouri arrives at new home port at Pearl Harbor
https://www.stltoday[...]
2018-01-30
[5]
웹사이트
USS Illinois Arrives in Pearl Harbor in Time for Thanksgiving
https://www.csp.navy[...]
[6]
웹사이트
Pearl Harbor welcomes USS Chicago to new homeport
https://www.cpf.navy[...]
[7]
웹사이트
Submarines {{!}} Commander, Submarine Squadron 7 {{!}} CSS-7 {{!}} COMSUBPAC
https://www.csp.navy[...]
2021-11-01
[8]
웹사이트
USS Bremerton Departs Pearl Harbor for Final Time
https://www.csp.navy[...]
[9]
웹사이트
USS Jacksonville (SSN 699) Arrives in Bremerton for Decommissioning
https://www.navy.mil[...]
[10]
웹사이트
USS Louisiana, last of the ballistic missile submarine fleet, to begin refueling at Puget Sound Naval Shipyard
https://www.kitsapsu[...]
[11]
웹사이트
Deep Submergence Unit Shifts ISIC, Changes Name
http://www.navy.mil/[...]
U.S. Navy
2015-09-11
[12]
웹사이트
Submarine Group 7
http://www.csp.navy.[...]
COMSUPPAC
2016-04-14
[13]
웹사이트
Los Angeles-class submarine USS Asheville completes homeport change to Guam
https://navaltoday.c[...]
2017-12-14
[14]
웹사이트
Naval Ocean Processing Facility Whidbey Island WA
http://www.public.na[...]
U.S. Navy
2012-06-29
[15]
서적
Silent Victory
Bantam
1976
[16]
웹사이트
Faculty - Naval Postgraduate School
http://faculty.nps.e[...]
[17]
웹사이트
Pacific Submarine Force Holds Change of Command
http://www.csp.navy.[...]
U.S. Navy
2015-09-09
[18]
웹사이트
Pacific Submarine Force welcomes new commander
https://www.cpf.navy[...]
[19]
웹사이트
Rear Admiral Jeffrey T. Jablon, Commander, Submarine Force, U.S. Pacific Fleet
https://www.csp.navy[...]
2021-05-02
[20]
웹인용
Attack Submarines
https://www.csp.navy[...]
2023-06-01
[21]
웹인용
Ballistic Missile Submarines (SSBNs)
https://www.csp.navy[...]
2023-06-01
[22]
웹인용
Guided Missile Submarines (SSGNs)
https://www.csp.navy[...]
2023-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