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국립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평양국립대학교는 1958년 소련 고등교육부의 명령에 따라 하바롭스크 자동차 및 도로 대학교로 설립된 러시아의 종합대학교이다. 하바롭스크 공과대학교, 하바롭스크 국립 기술 종합 대학교를 거쳐 200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극동 지역에서 가장 큰 대학 중 하나로, 다양한 학부와 연구소를 운영하며, 20개 이상의 과학 학교를 통해 물리, 수학, 정보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한다. 또한, 21개국 120개 이상의 해외 파트너와 협력하며, 특히 대한민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들과 활발한 교류를 하고 있다.
태평양국립대학교는 1958년 3월 29일 소련 고등 교육부의 명령(№ 351)에 따라 하바롭스크 자동차 및 도로 대학교로 처음 설립되었다.[2] 초대 총장은 M. P. 다닐롭스키였으며, 초기에는 4개 전공 분야에서 약 150명의 학생으로 시작했다.
2. 역사
설립 이후 대학은 꾸준히 성장하여, 1962년 7월 12일에는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소련 각료회의의 결정(№ 737-311)에 따라 하바롭스크 공과대학으로 개편되었다.[2] 이 시기 학부와 전공 분야가 확장되었으며, 1967년에는 캠퍼스 건설이 완료되었다. 1975년에는 마가단 지역의 기술 인력 양성을 위해 분교를 설립하기도 했다.
1992년 12월, 대학은 국립 대학으로서의 지위를 인정받아 하바롭스크 국립 기술 대학으로 명칭을 변경했다.[2] 이후 2005년 3월 23일, 러시아 연방 교육 기관의 지침(№ 170)에 따라 현재의 이름인 태평양국립대학교로 다시 한번 개명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2]
2. 1. 설립 초기 (1958년 ~ 1962년)
소련 고등 교육부의 1958년 3월 29일 자 명령 제351호에 따라 하바롭스크 자동차 및 도로 대학교가 설립되었다.[2] 초대 총장으로는 M. P. 다닐롭스키가 임명되어 이후 30년간 대학을 이끌었다. 첫 입학생 수는 약 150명이었다. 초기 전문가 양성은 다음 4개 전공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설립 초기에는 전문 인력 양성과 더불어 교육 및 실험용 건물, 기숙사 등 캠퍼스 시설 건설이 동시에 진행되었다.
1962년까지 대학은 5개 학부(건설, 기계, 자동차, 도로, 임업공학)로 확장되었고, 10개 전공 분야에서 교육을 제공했다. 이 시기 등록 학생 수는 1,150명으로 증가했다. 1962년 7월 12일,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소련 각료 이사회의 결정(등록 번호 №737-311)에 따라 하바롭스크 자동차 및 도로 대학교는 하바롭스크 공과대학으로 개편되었다.[2] 첫 번째 공학 학위 졸업생은 1963년에 배출되었다.[2]
2. 2. 하바롭스크 공과대학 시기 (1962년 ~ 1992년)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소련 각료회의의 결정(№ 737-311)에 따라 1962년 7월 12일, 기존의 하바롭스크 자동차도로대학은 하바롭스크 공과대학으로 개편되었다. 이 시기 대학은 5개 학부(건설, 기계, 자동차, 도로, 산림공학)를 갖추고 10개 전공 분야의 교육을 제공했으며, 재학생 수는 1,150명으로 늘어났다.[2] 첫 공학 학위 졸업생은 1963년에 배출되었다.
학부명 |
---|
건설학부 |
기계학부 |
자동차학부 |
도로학부 |
산림공학부 |
1967년에는 캠퍼스 건설이 완료되었다. 이 무렵 하바롭스크 공과대학은 10개 학부로 규모가 확장되었으며, 18개 전공 분야에서 공학 인력을 양성했다.
학부명 | 비고 |
---|---|
기계학부 | - |
건설학부 | - |
화학공학부 | - |
자동차학부 | - |
도로학부 | - |
산림공학부 | - |
국민경제학부 | - |
야간학부 | - |
통신학부 | - |
일반기술학부 | 블라고베셴스크 소재 |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마가단 지역의 기술 인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1975년 마가단 시에 하바롭스크 공과대학 분교가 설립되었다. 하바롭스크 공과대학 체제는 1992년 12월 하바롭스크 국립 기술 종합 대학으로 개편되기 전까지 유지되었다.
2. 3. 하바롭스크 국립 기술 종합 대학 시기 (1992년 ~ 2005년)
1992년 12월, 하바롭스크 공과대학은 새로운 지위를 부여받고 하바롭스크 국립 기술 대학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이는 국립 대학으로서의 위상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것을 의미한다.[2] 이 명칭은 2005년 3월 23일까지 유지되었으며, 이날 연방 교육 기관 명령 제170호에 따라 태평양국립대학교로 다시 개명되었다.2. 4. 태평양국립종합대학 시기 (2005년 ~ 현재)
2005년 3월 23일, 러시아 연방 정부 교육 관계 기관의 지침(№ 170)에 따라 기존의 하바롭스크 국립 기술 대학에서 태평양 국립 대학교(Тихооке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티호케안스키 고수다르스트벤니 우니베르시테트ru)로 교명을 변경했다.[2]
2009년 3월 10일, 카자흐스탄 아스타나(현 누르술탄)에서 개최된 제11차 대회를 통해 유라시아 대학교 협회(Eurasian Association of Universities|유라시아 대학교 협회영어)의 정식 회원이 됐다.
3. 교육 활동
러시아 극동 지역의 주요 고등 교육 기관 중 하나로, 수십 년간 극동 지역 및 동시베리아를 위한 8만 5천 명 이상의 고등 교육 전문가를 양성했다. 2011년 초 기준으로 약 960명의 교수 및 교사가 재직했으며, 이 중 약 120명이 박사 학위 소지자, 420명 이상이 준박사(칸디다트) 학위 소지자였다.
대학은 시대의 요구에 맞춰 교육 구조를 발전시켜 왔으며, 여러 단과대학(연구소)과 학부를 중심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의 교육을 제공한다. 학사, 석사, 박사 과정(대학원) 등 다양한 수준의 학위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구체적인 단과대학 및 학부 구성, 교육 과정 현황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3. 1. 단과대학 및 학부
태평양국립대학교는 극동 지역의 주요 고등 교육 기관 중 하나로, 다양한 학문 분야를 포괄하는 단과대학과 학부 체계를 갖추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주요 단과대학 및 학부는 다음과 같다.구분 | 명칭 |
---|---|
단과대학 | 극동 고속도로 대학 |
극동 산림 기술 대학 | |
극동 법학 대학 | |
건축 및 토목 공학 대학 | |
정보 기술 대학 | |
자동차 및 전력 공학 대학 | |
경영 경제 대학 | |
학부 | 국제 학부 |
수학 모델과 제어 프로세스 학부 | |
통신 학부 |
이 외에도 집중 학습, 병행 학습, 통신 과정 및 추가 전문 교육 등을 담당하는 극동 기술·경영·비즈니스·법률 연구소(극동 산업, 정치, 상업, 법률 전문 대학)가 있다.
3. 2. 교육 과정
2009년 11월 기준으로 태평양국립대학교에는 21,000명 이상의 학생이 재학 중이었으며, 약 900명의 교직원이 교육을 담당했다. 이 중 정교수는 102명, 부교수는 426명 이상이었다.대학은 다양한 수준의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2009년 11월 기준으로 운영된 주요 학위 과정 및 전공 수는 다음과 같다.
2021년을 기준으로 태평양국립대학교는 다음과 같은 8개의 연구소와 3개의 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구분 | 명칭 |
---|---|
연구소 | 극동 도로 연구소 |
극동 산림 산업 연구소 | |
극동 법학 연구소 | |
건축 및 토목 공학 연구소 | |
정보 기술 연구소 | |
자동차 및 동력 공학 연구소 | |
경제 및 경영 연구소 | |
극동 지점 기술, 경영, 비즈니스 및 법률 연구소 (연장 및 병행 교육부, 연장 교육 통신부, 추가 전문 교육부 포함) | |
학부 | 국제학부 |
수학적 모델링 및 제어 프로세스 학부 | |
통신 학부 |
이 외에도 통신 교육, 재교육 및 훈련, 원격 교육 등을 위한 과정을 운영한다. 특히 '극동 지점 기술, 경영, 비즈니스 및 법률 연구소'는 연장 교육, 병행 학습, 통신 과정, 추가 전문 교육 등을 담당하며, 과거 자료에서 언급된 '재교육 및 훈련 자격학과', '원격 교육 기술센터'와 같은 조직들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4. 연구 활동
태평양국립대학교는 20개 이상의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과학 학교를 기반으로 활발한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1][2] 대학의 연구는 물리학, 수학, 정보 기술, 나노기술, 재료 과학, 기계공학, 건축 및 도시 계획, 사회학, 경제학, 법학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이루어지며,[1][2] 일부 기초 연구 분야에서는 세계적인 수준의 성과를 거두었다.[1]
매년 수백 편의 연구 논문이 러시아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되고 있으며, 연구자들은 중국, 미국, 일본, 포르투갈 등 여러 국가에서 열리는 국제 학술회의와 심포지엄에 활발히 참여하여 연구 결과를 교류한다.[2] 대학은 현대적인 연구 시설과 장비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으며, 20개 이상의 연구소와 과학 교육 센터, 학생 설계부 등을 운영하며 연구 활동을 지원한다.[1][2]
또한, 태평양국립대학교는 연구 성과의 실용화 및 산업 연계에도 힘쓰고 있으며, 이를 위해 혁신 기술 부서를 운영하고 기술 이전 센터 등을 설립했다.[1][2] 이러한 노력을 통해 많은 연구 성과가 극동 지역의 주요 산업 기업에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1][2] 대학 연구팀은 국내외 연구 프로그램 및 보조금 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주요 국제 과학 기술 전시회에 참가하여 다수의 수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1][2] 매년 다수의 특허를 출원 및 등록하며 지적 재산권 확보에도 힘쓰고 있다.[2]
우수한 연구 인력 양성을 위해 다양한 전공 분야에서 박사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연구 활동 참여를 적극적으로 장려하여 미래의 연구자들을 키워내고 있다.[1][2]
4. 1. 주요 연구 분야
태평양국립대학교(PNU)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20개 이상의 과학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1] PNU는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주요 분야는 다음과 같다.[1][2]- 물리학 및 수학: 이론 핵물리학, 열전도 모델링, 동력 연소 과정 연구, 확률 이론, 자기 광학 현상 연구 등 기초 연구를 수행한다.[1][2] 수학 모델 제조, 알고리즘 개발, 수중 영상 처리 소프트웨어 개발 등의 연구도 진행한다.[1]
- 정보 기술 및 통신 기술: 정보 처리 및 측정 시스템 개발,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통신 연구, 다양한 목적의 자동화 정보 체계 구축 등을 연구한다.[1][2]
- 나노기술 및 재료 과학: 응용 재료 연구, 합금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나노초 전자기 펄스 영향 연구 등의 연구를 수행한다.[1][2]
- 기계공학: 기계 및 장비 조립 기술 개선, 기술 과정 개량, 교통 수단의 효율성 향상 및 기술 특성 연구 등을 연구한다.[1][2] 로봇 시스템 개발, 특히 수중 로봇 개발도 주요 연구 분야 중 하나이다.[1]
- 건축 및 도시 계획: 공업 및 시민 건설물 설계, 현대 건축 기술 개발, 수송물 사용 및 교통 시설 운영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1][2]
- 사회학, 경제학, 법학: 사회, 경제, 법률 관련 다양한 연구가 진행된다.[1][2]
- 환경 및 자원: 깊은 목재 가공 기술 개발, 환경 보호 및 합리적인 자원 이용 방안 연구, 산림 보유 및 복원, 대체 에너지 개발 등의 연구를 수행한다.[1]
태평양국립대학교의 연구자들은 매년 600편 이상의 논문을 러시아 및 해외 학술지에 게재하고, 중국, 미국, 일본, 포르투갈 등에서 열리는 국제 학술회의와 심포지엄에 활발히 참여하며 연구 성과를 공유한다.[2]
연구 활동 지원을 위해 20개 이상의 연구소, 20개 이상의 과학 교육 및 기술 교육 센터, 학생 설계부 등을 운영한다.[1][2] 또한, 혁신 기술 부서를 통해 연구 결과의 산업화를 촉진하며, 하바롭스크 주 기술 이전 센터, 임펄스 센터, 비영리 파트너십 "극동 기술 이전 센터" 등을 설립했다. 학생들의 창업 활동을 지원하는 비즈니스 인큐베이팅 프로그램도 운영한다.[1][2]
이러한 연구 성과는 수호이사의 콤소몰스크나아무레 공장, 하바롭스크 및 콤소몰스크나아무레 정유소, 극동 발전 회사(JSC “Far Eastern Generating Company”), 사할린-1 및 사할린-2 해양 석유·가스 탐사 프로젝트 참여 기업 등 극동 지역의 주요 산업 기업에 기술 이전을 통해 적용된다.[1][2]
연구진은 러시아 연방 프로그램, 과학 기술 프로그램, 다양한 분야의 연구 보조금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2] 또한 모스크바 국제 혁신 및 투자 살롱, 상트페테르부르크 고기술·혁신·투자 국제 전시회, 모스크바 국제 산업 재산 살롱 "아르히메드" 등 주요 국제 과학 기술 전시회에 꾸준히 참가해 다수의 금메달과 은메달을 포함한 상을 받았다.[1][2] 매년 50건 이상의 특허 및 컴퓨터 프로그램 등록 증명을 획득하고,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총 259건의 특허를 취득했다.[2] 지적 재산권 보호를 위해 "산업 및 지적 재산 보호 담당 부서"와 지역 특허 및 레퍼런스 정보 센터를 운영하며 관련 컨설팅 및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1][2]
우수한 연구 인력 양성에도 힘쓰며, 40개 전공의 박사(Candidate of Sciences, 준박사 해당) 과정과 7개 전공의 박사(Doctor of Sciences, 최고 박사 학위 해당) 과정을 운영한다.[1][2] 자체적으로 11개 전공 분야에 걸쳐 6개의 학술 논문 심의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다른 고등 교육 기관과 공동으로 7개 전공 분야의 4개 심의회를 설립하여 운영한다.[2]
학생들의 연구 활동 참여를 적극적으로 장려한다. 많은 학생들이 저학년 때부터 연구 활동을 시작해 고학년이 되면 학과 연구에 참여한다. 매년 3,000명 이상의 학생들이 다양한 연구 활동에 참여하고, 전국 규모의 대회 및 공모전, 대학 간 학술 발표회, 국제 대회 등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둔다. 지난 5년간 학생들이 제출한 1,000편 이상의 연구 결과물로 600개 이상의 상장, 상금, 상품 등을 받았다.[1][2]
4. 2. 과학 학교 및 연구 성과
태평양국립대학교에는 러시아를 비롯한 해외에도 알려진 20개 이상의 과학 학교가 설립되어 있다. 대학의 연구는 물리학, 수학, 이론 핵물리학, 정보 기술 및 통신 기술, 나노기술, 재료 과학, 기계 공학, 건축, 도시 계획, 사회학, 경제학, 법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진다. 수학, 핵 이론, 열전도 모델링, 연소 과정 동역학,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통신, 확률 이론, 자기 광학 현상 등 기초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 성과를 달성했다. 더불어 수리 모델,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도구를 이용한 수중 이미지 생성 및 처리 방법, 합금에 대한 나노초 전자기 펄스의 영향 연구 등 응용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주요 응용 과학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정보 처리 및 측정 시스템, 자동화 정보 시스템 및 로봇 시스템(수중 로봇 포함) 개발
- 응용 재료 연구, 기계 및 장비 조립 기술 개선, 교통 수단 효율성 향상
- 목재 심층 가공 기술 개발, 환경 보호 및 합리적인 자원 이용, 산림 복원
- 대체 에너지원 개발, 산업 및 민간 건설 설계, 현대 건축 기술 개발
매년 600편 이상의 과학 논문이 태평양국립대학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학술지 및 학회에 발표된다. 대학 소속 학자들은 중국, 미국, 일본, 이탈리아, 포르투갈 등에서 열리는 국제 학술 회의와 심포지엄에 정기적으로 참여한다.
연구 활동 지원을 위해 20개 이상의 연구소, 과학 교육 및 기술 센터, 학생 설계국 등 현대적인 연구 시설을 운영한다. 대학 연구팀은 연방 정부의 목표 프로그램, 과학 기술 프로그램, 러시아 기초 연구 재단 및 연방 교육청 등의 다양한 연구 보조금 공모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대학의 연구 성과는 매년 모스크바 국제 혁신 및 투자 살롱, 상트페테르부르크 '하이 테크놀로지. 혁신. 투자' 국제 전시회, 모스크바 국제 산업 재산 살롱 '아르키메데스' 등 주요 국제 과학 기술 전시회에 출품되어 여러 차례 금메달과 은메달을 포함한 상을 수상했다. 매년 50건 이상의 발명 특허 및 컴퓨터 프로그램 등록 증서를 취득하며,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총 298건의 발명 및 실용 신안을 출원하여 259건의 특허를 획득했다.
혁신 기술의 산업 연계를 위해 혁신기술센터, 하바롭스크 지방 기술 이전 센터, '임풀스' 센터, '극동 기술 이전 센터' 비영리 파트너십 등을 설립했으며, 학생 비즈니스 인큐베이터도 운영한다. 연구 성과는 수호이의 콤소몰스크나아무레 공장, 하바롭스크 및 콤소몰스크 정유 공장, 극동 발전 회사, 사할린-1 및 사할린-2 해양 석유/가스 탐사 프로젝트 참여 기업 등 극동 지역 산업체에 성공적으로 도입되었다.
지적 재산권 보호 강화를 위해 2008년 '나노기술 인프라 발전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지역 특허 정보 센터를 대학 내에 설립하여 관련 컨설팅 및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연구 인력 양성을 위해 40개 전공의 박사 과정(Candidate of Sciences, 준박사 해당)과 7개 전공의 상위 박사 학위 프로그램(Doctor of Science)을 운영한다. 자체적으로 11개 전공 분야의 논문 심의회 6개를 운영하고, 다른 대학과 공동으로 7개 전공 분야의 논문 심의회 4개를 운영한다. 대학 심의회에서는 박사 학위(Doctor of Science) 논문과 박사(Candidate of Sciences) 논문이 꾸준히 통과되고 있다.
학생들의 연구 활동 참여도 적극 장려된다. 매년 3,000명 이상의 학생들이 연구 활동에 참여하여, 학부 저학년부터 시작해 고학년에는 학과 연구에 기여한다. 학생들은 국내외 각종 학술 대회 및 공모전에 참가하여 우수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지난 5년간 1,000건 이상의 발표를 통해 600개 이상의 상을 수상했다.
4. 3. 응용 연구
태평양국립대학교의 주요 응용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5. 정보화
태평양국립대학교는 교육 및 연구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고 현대적인 교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정보화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대학은 강력한 정보 교육 복합체를 구축하여 운영 중이며, 이는 대학 네트워크, 교육 및 행정 시스템 자동화, 전자 문서 시스템, 정보-도서관 시설 등을 포함한다.[1][2]
대학의 정보 인프라는 교육, 과학 연구, 행정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상당한 규모의 컴퓨터 자원과 네트워크 환경을 기반으로 정보 기술 관련 교육과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원격 학습 시스템 개발과 전자 교육 자료 제작에도 힘쓰고 있다.[2]
또한, 하바롭스크 지방의 교육 정보화 발전에 기여하며 지역 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2] 이러한 노력 덕분에 태평양국립대학교는 러시아 내에서도 정보화 수준이 높은 대학으로 평가받고 있다.[2]
5. 1. 정보 교육 복합체
태평양국립대학교는 현대적이고 강력한 정보 교육 복합체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이 복합체는 교육 및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대학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구분 | 내용 |
---|---|
네트워크 | 대학 내부 네트워크 (로컬 정보망) 외부 분산 네트워크 (분산 외부 정보망) |
시스템 | 교육 과정 자동 제어 시스템 대학 자동 제어 시스템 전자 문서 시스템 |
시설 | 정보-도서관 복합 시설 |
대학의 정보 인프라는 교육 및 연구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약 2,200대의 컴퓨터와 40개의 전산화된 강의실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강의실에서는 정보 기술 관련 실습 교육이 이루어진다. 1,750대 이상의 컴퓨터가 광섬유 케이블 기반의 로컬 네트워크(LAN)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네트워크는 데이터, 음성, 비디오 등 다양한 유형의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통합 네트워크는 40개의 서버와 110대의 네트워크 장비로 구성되어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자체적인 서비스 유지 및 수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교육 및 관리 시스템의 자동화도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교육 과정과 대학 운영 전반에 걸쳐 자동 제어 시스템(ACS)을 도입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원격 학습을 위한 인터넷 시스템 개발에도 힘쓰고 있으며, CHM, DjVu, PDF 형식의 전자 교과서 및 강의 자료 제작 기술을 개발하여 성공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현재 통신 학부 및 연수 과정 학생 3,500명 이상이 데이터 포털과 AST-3 시스템을 활용하여 학습하고 있다.
태평양국립대학교는 지역 사회의 정보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대학의 통신 센터는 하바롭스크 지방의 과학 및 고등 교육 기관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관리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하며, 하바롭스크 지역 교육 정보 네트워크(KREIN)의 운영을 담당한다. 지역 교육 콘텐츠 개발과 교육 프로젝트 지원을 위해 Paydeyya 포털을 구축하여 운영 중이다.
학술 활동 지원의 일환으로, 대학 소속 과학자들의 지원을 받아 ''정보 과학 및 제어 시스템'' 저널이 발간되고 있다. 2009년 10월, 정보 기술 및 통신 국가 연구소 "Informika"가 러시아 673개 고등 교육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동 제어 시스템(ACS) 적용 현황 분석 조사에서 태평양국립대학교는 모든 평가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러시아 상위 55개 대학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5. 2. 원격 교육 기술 센터
원격 교육 기술 센터는 인터넷을 통한 원격 교육 기술 시스템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센터는 지식 보급 및 평가 기능을 갖춘 정보 포털을 구축하여 운영 중이며, 현재 600개 이상의 과목 콘텐츠가 포털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1] 정보 포털은 음성 및 화상 회의 기능을 통해 학생과 교사 간의 원활한 소통과 피드백을 지원하며, 시험 및 평가 진행을 위한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도 갖추고 있다.[1]센터는 chm, DjVu, PDF 등 다양한 형식의 전자 교재 및 강의 자료를 신속하게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교육 과정에 성공적으로 적용하고 있다.[1][2] 현재 통신 학부 및 연수 과정에 참여하는 3,500명 이상의 학생들이 정보 포털과 적응형 테스트 시스템(AST-3)을 교육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2]
또한, 태평양 국립 대학교는 원격 교육 기술 센터를 통해 지역 교육 시스템의 정보화 과정에도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다.[1][2] 센터는 하바롭스크 지방의 과학 및 고등 교육 기관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관리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하며, 하바롭스크 지역 교육 정보 네트워크(KREIN)의 운영을 지원한다.[2] 지역 교육 콘텐츠 개발과 정보 공유 활성화를 위해 "바데이야"(Paydeyya)라는 교육 포털(웹사이트)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 포털은 중고등학교 학생, 교사, 학부모 및 교육계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학습 자료, 교재, 교육 프로그램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업데이트한다.[1]
6. 과학 도서관
태평양국립대학교 과학 도서관은 하바롭스크 지역에서 가장 큰 도서관으로, 지역 내 고등 교육 기관 및 전문 중등 교육 기관 도서관들의 방법론 센터 역할을 한다.[1][2] 도서관은 약 160만 권의 장서와 전자 자료를 포함한 약 100만 건의 문서를 보유하고 있으며[2], 매년 많은 이용자들이 방문하고 웹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2] 내부에는 여러 정보 센터와 자동화된 도서 정보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어 이용자들에게 편리한 정보 접근 환경을 제공한다.[1][2]
6. 1. 도서관 현황
태평양국립대학교 과학 도서관은 하바롭스크 지역에서 가장 규모가 큰 도서관이다.[1] 이 도서관은 하바롭스크 지역과 아무르주에 있는 94개 고등 교육 기관 및 전문 중등 교육 기관의 국립 및 상업 도서관을 위한 지역 방법론 센터 역할을 수행한다.[1][2] 또한, 지역 도서관 콘서시엄 협회(ARBIKON), 태평양 지역 정보 도서관 콘서시엄(TRIKON), 러시아 도서관 협회(RBA)의 고등 교육 기관 분과에 소속되어 있으며, 하바롭스크 지역 도서관 네트워크의 창립 기관이기도 하다.[1]도서관은 약 160만 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자 자료를 포함하여 약 100만 건의 문서를 소장하고 있다.[2] 매년 3만 5천 권 이상의 도서(문헌 명칭 9천 권 이상)와 600여 종의 정기 간행물을 새로 확보한다.[1] 연간 22,000명 이상의 이용자가 도서관을 찾으며, 웹사이트 방문을 포함한 연간 총 방문자 수는 700,000명에 달한다.[2]
도서관 내에는 4개의 정보 센터가 운영되고 있다.[1][2] 도서관의 로컬 네트워크는 컴퓨터 단말기 113대, Sun 컴퓨터 단말기 56대, 터치스크린 키오스크 10대, 서버 PC 5대를 포함하며, 전체 대학교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2] 도서 정보 자동화 시스템(AIBS)인 "RUSLAN"과 "MARS SQL"을 통해 문서 관리 및 장서 구축과 관련된 모든 과정이 전산화되어 있다.[1] 이용자 서비스는 단일 열람증과 바코드 통합 기술을 활용한 자동화 시스템을 기반으로 운영된다.[1] 전자 카탈로그는 40만 건 이상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도서관 이용자뿐만 아니라 원격 사용자도 컴퓨터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1]
2011년 2월에는 러시아의 전 대통령 보리스 옐친을 기념하는 전자 열람실 조성이 시작되었다.[1]
6. 2. 정보 시스템
태평양 국립종합대학교의 정보 시스템은 주로 과학 도서관을 중심으로 구축되어 있다. 도서관 내에는 4개의 정보 센터가 운영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로컬 네트워크 정보망이 갖추어져 있다. 이 네트워크는 113대의 컴퓨터 단말기, 56대의 Sun 컴퓨터 단말기, 10개의 터치 스크린 키오스크 및 5대의 서버 PC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대학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도서 정보 자동화 시스템(AIBS)으로는 "RUSLAN"과 "MARS SQL" 시스템이 도입되어 문서 관리 및 자료 처리 과정이 전산화되었다. 이용자 서비스는 단일 열람증과 바코드 통합 기술을 활용하여 자동화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전자 카탈로그는 교내 이용자뿐만 아니라 외부 원격 이용자도 컴퓨터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40만 명 이상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011년 2월에는 러시아의 전 대통령인 보리스 옐친의 이름을 딴 도서관 전자 열람실 구축이 시작되어 정보 시스템 인프라를 강화하고 있다.
7. 출판 사업
태평양국립대학교는 자체 출판사를 통해 학술 및 교육 관련 출판 활동을 수행한다.[1][2]
7. 1. 출판사 현황
1993년에 설립된 태평양국립대학교 출판사는 대학의 출판 활동을 담당하고 있다. 현대적인 제본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편집, 컴퓨터 생성, 운영 인쇄 품질의 세 부서로 구성되어 운영된다. 출판사의 주요 목표는 경쟁력 있는 고품질의 출판 및 인쇄물을 통해 대학의 과학 및 교육 과정을 지원하는 것이다.출판 사업을 조절하기 위해 과학 도서관, 강좌, 대학 부서 등과 협력하여 매년 학년도 출판 계획을 수립한다. 2006년부터는 러시아 대학 출판-인쇄 협회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매년 상당한 양의 학술 및 교육 자료를 발행하고 있으며, 주요 출판 현황은 다음과 같다.
구분 | 연간 발행량 |
---|---|
단행본 (연구 논문) | 10 ~ 12권 |
과학 논문집 | 20 ~ 30권 |
학습 보조 자료 및 교과서 | 35 ~ 45권 |
강사용 매뉴얼 (교수법 참고서) | 120 ~ 150권 |
학위 논문 초록 | 20 ~ 40권 |
재발행 출판물 | 30 ~ 40권 |
태평양국립대학교 출판사는 다양한 전람회 및 콩클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었다.
- 2009년: 제13회 극동지역전람회시장 '인쇄마당-2009'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다수의 간행물이 표창장을 받았다. 특히 대학 창립 50주년 기념 3권 출판물은 사진 앨범 부문 금메달을 수상했으며, "폴리로그: 현대건축술-예술 형상 (한국, 중국, 일본의 예에서)"과 "원천충전분산 구명 배치"는 전문 논문 콩클 증서를 받았다. 또한 제2차 지역대학 출판물 콩클에서 7개 출판물이 '종합대학책' 상을 수상했고, 잡지 "웨스트니크 또구"는 '제1 질 높은 출판물' 상을 받았다.
- 2010년: 제14회 극동 시장-전람회 '인쇄마당-2010' (블라디보스토크)에서 2권으로 출판된 "새 세기 새로운 사상-2010"이 은메달을 수상했다.
7. 2. 출판 분야 및 성과
1993년에 설립된 태평양국립대학교 출판사에서 출판 활동이 이루어진다. 출판사는 현대적인 제본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편집부, 컴퓨터부, 작전인쇄부의 3개 부서로 구성되어 있다.[1] 출판사의 주요 목적은 경쟁력 있는 고품질 출판 및 인쇄물을 통해 대학의 과학 및 교육 과정을 지원하는 것이다.[1][2] 대학 출판물은 전체 학술 자산의 약 10%에 달한다.[1] 출판 사업 조정을 위해 과학 도서관, 각 학과 및 대학 본부가 참여하는 도서출판위원회가 있으며, 이 위원회에서 매년 출판 계획을 수립한다.[1] 2006년부터는 러시아 대학 출판-인쇄 협회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1][2]매년 발행하는 주요 출판물의 규모는 다음과 같다.[1][2]
종류 | 연간 발행 규모 |
---|---|
연구 논문 (단행본) | 10~20권[1][2] |
과학 논문집 | 20~30권[1][2] |
교과서 및 학습 보조 자료 | 35~50권[1][2] |
교수법 참고서 (강사용 매뉴얼) | 120~150권[1][2] |
학위 논문 초록 | 20~40권[1][2] |
재발행 | 30~40권[1][2] |
이 외에도 다양한 수업 행정 및 자립 학습 자료들을 출판한다.[1]
태평양국립대학교 출판사는 여러 도서전 및 콩쿠르에서 다음과 같은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1]
- '''2009년'''
- * 제13회 극동 지역 전람회-박람회 ('인쇄마당-2009', 블라디보스토크): 다수의 간행물이 표창장을 받았다.
- * 대학 창립 50주년 기념 3권 출판물: 사진 앨범 부문 금메달 수상.
- * 전문 논문 부문 콩쿠르: "폴리로그: 현대 건축술-예술 형상 (한국, 중국, 일본의 예에서)" 및 "원천충전분산 구명 배치" 관련 출판물이 콩쿠르 증서를 받았다.
- * 제2차 지역 대학 출판물 콩쿠르 ('종합대학책'): 7개 출판물이 수상했으며, 특히 잡지 "웨스트니크 또구"는 최고 품질 출판물 상을 받았다.
- '''2010년'''
- * 제14회 극동 시장-전람회 ('인쇄 마당-2010', 블라디보스토크): 2권으로 구성된 "새 세기 새로운 사상-2010" 출판물이 은메달을 수상했다.
8. 국제 협력
태평양국립대학교는 국제 교류 및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세계 여러 나라의 대학, 연구기관, 기업과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지리적으로 가까운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들과의 협력이 활발하며,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과의 교류에 중점을 두고 있다.
국제 협력은 학생 및 연구 인력 교류, 공동 연구 수행, 교육 프로그램 공동 운영, 문화 교류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학문 발전과 인재 양성에 기여하고 있으며, 러시아 극동 및 시베리아 지역과 중화인민공화국 동북 지역 대학 간 협력 포럼에 참여하는 등 동북아 지역의 고등 교육 협력 증진에도 역할을 하고 있다.
8. 1. 국제 협력 현황
태평양국립대학교는 러시아 국내외 여러 대학 및 기관과 활발한 국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세계 21개국 120개 이상의 해외 파트너와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 중 68개는 대학이다. 특히 국경을 맞댄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들과의 교류가 활발하여, 이 지역에만 80개의 파트너(53개 대학 포함)를 두고 있다. 2010년에는 9개의 새로운 해외 파트너와 계약을 체결하고 기존 9개 파트너와 계약을 연장하는 등 지속적으로 협력 관계를 확장하고 있다.국제 협력은 장기적인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학생 및 연구 인력 교류, 공동 과학 연구, 혁신 기술 개발, 교육 및 문화 교류, 공동 프로젝트 수행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외국인 유학생과 연구원을 적극적으로 유치하여 교육하며, 러시아 학생들의 해외 유학도 지원한다. 일부 교육 프로그램은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졸업 시 러시아 학위와 함께 파트너 국가의 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도 있다.
태평양국립대학교는 중화인민공화국 동북 지역과 러시아 극동 및 시베리아 지역 대학 총장들이 참여하는 국제 포럼의 주요 구성원이다. 2010년 10월에는 하바롭스크의 태평양국립대학교에서 이 포럼을 직접 개최했으며, 러시아와 중화인민공화국의 25개 대학이 참가했다. 2011년 3월에는 30개 이상의 대학이 참여하는 러시아-중화인민공화국 국제기술협회 회원으로 가입했다.
주요 국제 교육 및 연구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 아시아 대도시 문제에 관한 연례 국제 세미나(IUSAM) 조직 참여
- 러시아-중화인민공화국 "신 재료와 기술 가공" 심포지엄 매년 개최 (러시아 측 주관)
- 자르란트 대학교(독일)와 협력하여 정보 및 컴퓨터 과학 연구소 설립
- 일본 기업 東京精密|도쿄 세이미츠일본어 (Tokyo Seimitsu Co. Ltd)와 협력하여 명예 박사 大坪 秀夫|오쓰보 히데오일본어 기념 정밀 계측 장비 연구소 설립
- 러시아-중화인민공화국 건축 및 도시 건설 프로그램 참여 (만주 지역 러시아 문화 유산 복구 포함)
- 핵물리학 분야 국제 이론 연구 포럼 참가
- "신 세기의 신사상"이라는 주제로 건축 및 건설 분야 교원, 연구원, 대학생 대상 국제 포럼 매년 개최
매년 400명 이상의 외국인 유학생이 태평양국립대학교에서 수학하고 있다. 1989년부터 2010년까지 약 2,500명의 외국인 학생, 석사 과정생, 연구원, 연수생이 이곳에서 교육을 받았다. 유학생 중에는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자가 가장 많으며,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국적의 학생들도 교육받고 있다.
태평양국립대학교는 국제 표준 ISO 9001:2008에 따른 교육 서비스 제공 인증을 획득하여 교육의 질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2009년 4월에는 비영리 법인 NQA-러시아의 감사를 통해 품질 관리 시스템(QMS)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인증을 유지했다.
이 외에도 매년 "새로운 세기, 새로운 아이디어" 국제 연구 회의(2009년 6개국 32개 대학 참가, 2010년 5개국 28개 대학 참가)와 "첨단 재료와 기술" 국제 러시아-중화인민공화국 심포지엄(2009년 개최) 등을 통해 활발한 국제 학술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8. 2. 국제 협력 프로그램
태평양국립대학교는 세계 21개국 120개 이상의 해외 파트너(68개 대학 포함)와 국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여러 국가의 기업 및 대학과 74건의 공동 사업 및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특히 러시아 극동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들과의 교류가 활발하며,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 인접 국가들과는 80개의 파트너(53개 대학, 행정기관, 기업, 과학센터 포함)와 관계를 맺고 있다. 2010년에는 9개의 새로운 해외 파트너와 계약을 맺고, 기존 9개 파트너와의 계약을 연장했다.대학은 장기적인 국제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 및 교수진 교류, 공동 과학 연구, 혁신 기술 개발, 교육 및 문화 교류, 비즈니스 프로젝트 등을 추진한다. 외국인 유학생과 연구원을 유치하고 러시아 학생들을 해외 대학으로 파견하며, 졸업 시 러시아와 협력 국가의 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이중 학위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태평양국립대학교는 러시아 극동 및 시베리아 지역 대학과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 지역 대학 간의 총장 포럼 발족에 참여했으며, 2010년 10월에는 하바롭스크의 태평양국립대학교에서 해당 포럼을 개최하여 25개 러시아 및 중국 대학이 참가했다. 2011년 3월에는 30개 대학이 참여하는 러시아-중국 기술대학 협회의 회원이 되었다.
주요 국제 교육 및 연구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분야 | 내용 |
---|---|
도시 문제 | 아시아 대도시 문제 관련 국제 세미나(IUSAM) 조직 참여 |
신소재/기술 | 러시아-중국 신소재 및 기술 가공 심포지엄 매년 개최 |
정보/컴퓨터 과학 | 자르란트 대학교와 협력하여 러시아-독일 정보 및 컴퓨터 과학 연구소 설립 |
정밀 측정 | 도쿄 정밀과 협력하여 명예 박사 오쓰보 히데오 기념 정밀 측정 장비 연구소 설립 |
건축/도시건설 | 러-중 공동 프로그램 참여 (만주 내 러시아 문화유산 복구 포함) |
핵물리학 | 국제 이론 연구 포럼 참가 |
건축/건설 | "신세기의 신사상" 슬로건 하에 교사, 연구원, 학생 대상 국제 포럼 매년 개최 |
매년 400명 이상의 외국인 유학생이 태평양국립대학교에서 수학하고 있다. 1989년부터 2010년까지 약 2,500명의 외국인 학생, 대학원생, 연구원, 연수생이 교육을 받았다. 참고로 1989년부터 2009년까지는 1,600명 이상이었으며, 이 중 80%가 중국 국적이었다. 주요 출신 국가는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등이다. 대학은 국제 표준 ISO 9001:2008에 따른 교육 서비스 품질 인증을 획득했다. 2009년 4월에는 비영리 법인 NQA-러시아로부터 해당 표준 준수 감사를 받고 인증의 유효성을 확인받았다.
'''주요 국제 협력 행사'''
- '''2009년'''
- * 제9회 국제 연구 회의 "새로운 세기, 새로운 아이디어 - 2009" 개최 (2월, 6개국 32개 대학 참가)
- * 도쿄 정밀 오쓰보 히데오 명예 박사 방문 및 강연 (5월)
- * "태평양국립대학교의 국제 협력" 전시 발표회 개최 (6월)
- * 일본 방재 대표단 방문 및 "긴급 시 보호" 교육 참관 (7월)
- * 세르게이 N. 이바셴코 총장, 제8회 극동/시베리아/러시아/중국 동북부 대학 총장 포럼 참가 (다롄)
- * 국제 러시아-중국 심포지엄 "첨단 재료와 기술 - 2009" 개최 (10월)
- '''2010년'''
- * 제10회 국제 연구 회의 "새로운 세기, 새로운 아이디어 - 2010" 개최 (2월, 5개국 28개 대학 참가)
- * PNU 팀, 하얼빈 국제 눈 조각 콩쿠르 우승 (1월, 국제 문화 교류)
8. 3. 한국과의 관계
태평양국립대학교는 한국의 대학 및 연구 기관과 교류를 진행하고 있다.2009년 2월에는 제9회 국제 연구 회의 "새로운 세기, 새로운 아이디어 - 2009"를 개최하였다. 이 회의에는 러시아, 중국, 일본, 한국, 북한, 우즈베키스탄 등 6개국 32개 대학이 참가하여 학술 교류를 진행했다. 특히 남북한 대학이 함께 참여한 것은 학문적 교류를 통해 상호 이해를 넓히고 나아가 한반도 평화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기회가 되었다.
2010년 2월에는 제10회 국제 연구 회의 "새로운 세기, 새로운 아이디어 - 2010"을 개최했으며, 이때는 러시아, 중국, 일본, 한국, 우즈베키스탄 등 5개국 28개 대학이 참가했다.
참조
[1]
웹사이트
PNU - Pacific National University. Official website.
https://pnu.edu.ru/e[...]
Pacific National University
2014-12-15
[2]
웹사이트
University history
https://pnu.edu.ru/e[...]
2021-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