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텔레라디오 몰도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텔레라디오 몰도바는 몰도바의 국영 방송사로,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을 운영한다. 1928년 루마니아 라디오 방송 회사를 통해 라디오 방송이 시작되었고, 1930년 티라스폴에서 소련 라디오 방송이 시작되었다. 1939년 라디오 베사라비아가 설립되었고, 1958년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 현재 라디오 몰도바, 라디오 몰도바 티네레트, 라디오 몰도바 무지칼 등의 라디오 채널과 몰도바 1, 몰도바 2 등의 텔레비전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8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NHK 히로시마 방송국
    NHK 히로시마 방송국은 1928년 개국한 일본방송협회의 지역 방송국으로, 원폭 피해 속에서도 방송을 재개하여 원폭 투하 소식을 알리고, 현재는 히로시마현을 중심으로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며 평화 관련 프로그램으로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 1928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NHK 센다이 방송국
    NHK 센다이 방송국은 1928년 개국한 일본방송협회 지역 방송국으로, 미야기현을 중심으로 도호쿠 지방에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을 송출하며, 2023년 세 개 센터 체제로 개편되었고, 동일본 대지진 후 신청사를 건립하여 이전하였으며, 지역 프로그램 및 스포츠 중계 방송과 "얏페"라는 마스코트 캐릭터를 사용한다.
  • 1958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중국중앙텔레비전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은 1958년 베이징 텔레비전으로 시작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중화인민공화국의 국영 텔레비전 방송국이며, 중국 공산당의 지휘를 받고 다양한 채널을 운영하며 정치 선전 도구로 활용되면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1958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호쿠리쿠 방송
    호쿠리쿠 방송(MRO)은 호쿠리쿠 지방 최초의 민영 라디오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일본해 측 최초의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으로도 개국하는 등 지역 방송 역사를 이끌어왔으며, JNN, JRN, NRN에 가맹하여 이시카와현을 중심으로 지역 사회에 밀착한 보도 및 정보 제공에 힘쓰고 있지만, 과거 논란 속에서 시대적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텔레라디오 몰도바
개요
텔레라디오-몰도바 로고 (2019)
텔레라디오-몰도바 로고 (2019)
유형라디오 및 텔레비전
사용 가능 지역국제
본사키시나우
소유주몰도바 정부
설립일1939년 10월 8일 (라디오 바사라비아로 설립, 루마니아 라디오 방송 공사의 두 번째 라디오 방송국)
이전 명칭몰도바 국립 라디오 텔레비전
웹사이트trm.md
방송 채널
텔레비전 방송국몰도바 1
몰도바 2
라디오 방송국라디오 몰도바
라디오 몰도바 무지칼
라디오 몰도바 티네레트

2. 역사

몰도바의 라디오 방송은 1928년 11월 1일 루마니아 라디오 방송 회사가 부쿠레슈티에서 송출을 시작하며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1930년대에는 티라스폴을 중심으로 한 소련의 라디오 방송이 반루마니아 선전 목적으로 송출되면서,[7][1] 양측의 방송 경쟁이 벌어졌다. 이에 대응하여 루마니아는 1939년 10월 8일 키시너우에 Radio Basarabia|라디오 베사라비아ro를 설립하여 루마니아어러시아어 방송을 시작했다.[9][3]

그러나 1940년 6월 소련의 베사라비아·북부 부코비나 점령으로 라디오 베사라비아는 운영이 중단되고 방송 시설이 파괴되는 비운을 맞았다.[11][1] 이후 공백기를 거쳐 1958년, Nicolae Lupan|니콜라에 루판ro을 초대 편집장으로 하여 현재의 텔레라디오 몰도바가 설립되었다.[1] 같은 해 4월 30일에는 텔레비전 방송(현 TV 몰도바 1)을 시작하며 영상 시대를 열었다. 1992년에는 몰도바 국제방송이 개국하여 다양한 언어로 국제 사회에 몰도바의 소식을 전하고 있다.

2. 1. 설립 배경 (1928~1939)

1937년 키시너우의 라디오 방송국 건설 현장


몰도바 지역의 라디오 방송은 1928년 11월 1일 부쿠레슈티의 루마니아 라디오 방송 회사를 통해 처음 시작되었다. 이후 1930년 10월 30일, 소련티라스폴에서 4kW 출력의 라디오 방송을 개시했는데, 이는 프루트 강과 드네스트르 강 사이 몰도바 지역을 대상으로 한 반루마니아 선전 활동의 일환이었다.[1][7] 1936년에는 티라스폴에 새로운 송신탑 'M. 고리키'를 건설하여 베사라비아 영토 대부분을 방송 범위에 포함시키며 선전 공세를 강화했다.[1]

이러한 소련의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루마니아 측은 1937년 키시너우 시청으로부터 건물을 제공받아 키시너우에 첫 라디오 방송국 설립을 추진했다.[1][2] 마르코니 회사가 설치한 송신기는 당시 루마니아 최고 수준의 성능을 자랑했으며,[2][8] 1939년 6월 초 시험 방송을 성공적으로 시작했다.[8] 당시 신문 가제타 베사라비에이는 이 방송국이 "부쿠레슈티나 티라스폴의 방송국보다 두 배 더 강력했다"고 보도하며 기대감을 나타냈다.[1]

1940년 라디오 베사라비아


1939년 10월 8일, 루마니아 라디오 방송 회사의 두 번째 지역 방송국인 ''Radio Basarabia|라디오 베사라비아ron''가 공식 개국하여 루마니아어러시아어로 방송을 송출하기 시작했다.[3][9] 개국 당시 키시너우의 탄생 대성당에서 열린 종교 행사가 생중계되기도 했다.[4] 방송 출력은 기본 20kW였으나 최대 200kW까지 증폭 가능하여 모스크바나 레닌그라드에서도 청취할 수 있을 정도였다.[4][10] 방송국은 교향악단, 합창단, 오페라단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스튜디오, 실내악과 독주자를 위한 중형 스튜디오, 아나운서와 강연자를 위한 최신 설비의 소형 스튜디오 등 3개의 스튜디오를 갖추었다.[4] 조직은 사무국, 기술 서비스, 프로그램 서비스, 행정 서비스, 소송 부서, 상업 부서 등 6개 부서로 구성되어 체계적으로 운영되었다.[4][10]

2. 2. 라디오 베사라비아 (1939~1940)



몰도바 최초의 라디오 방송은 1928년 11월 1일 루마니아 라디오 방송 회사가 부쿠레슈티에서 송출한 것이 시초이다. 그러나 1930년 10월 30일, 티라스폴에서는 소련의 라디오 방송국이 4kW 출력으로 방송을 시작했는데, 이는 프루트 강과 드네스트르 강 사이의 베사라비아 지역을 대상으로 한 반루마니아 선전 활동의 일환이었다.[1] 1936년에는 티라스폴에 새로운 라디오 송신탑 'M. 고리키'가 건설되어 베사라비아 영토의 더 넓은 지역까지 방송을 송출할 수 있게 되었다.[1]

이러한 소련의 선전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 1937년 키시너우 시청은 루마니아 라디오 방송 회사에 건물을 제공하여 키시너우 최초의 라디오 방송국 개설을 지원했다.[2] 시험 방송은 1939년 6월 초에 시작되었으며, 마르코니가 키시너우에 설치한 송신기는 당시 루마니아에서 가장 성능이 뛰어난 것이었다.[2] 1939년 7월, 현지 신문인 가제타 베사라비에이는 키시너우 라디오 방송국의 출력이 "부쿠레슈티나 티라스폴의 방송국보다 두 배 더 강력하다"고 보도하기도 했다.[1]

1939년 10월 8일, 루마니아 라디오 방송 회사의 두 번째 지역 방송국인 Radio Basarabia|라디오 베사라비아ro가 공식적으로 개국했다. 키시너우에서 루마니아어러시아어로 자체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방송했으며,[3] 개국 기념 첫 방송으로 키시너우 탄생 성당의 종교 행사가 중계되었다. 방송 출력은 초기 20kW에서 최대 200kW까지 증강될 수 있었으며, 강력한 전파 덕분에 모스크바나 레닌그라드에서도 청취가 가능했다. 라디오 베사라비아는 교향악단, 합창단, 오페라단 공연이 가능한 대형 스튜디오, 실내악과 독주자를 위한 중간 크기 스튜디오, 그리고 최신 장비를 갖춘 아나운서 및 강연자용 스튜디오 등 3개의 스튜디오를 운영했다. 조직은 사무국, 기술 서비스, 프로그램 서비스, 행정 서비스, 소송 부서, 상업 부서 등 6개 부서로 구성되었다.[4]

그러나 라디오 베사라비아의 역사는 오래가지 못했다. 1940년 6월, 소련의 베사라비아·북부 부코비나 점령으로 베사라비아 지역이 소련에 합병되면서 방송국의 운영은 사실상 중단되었다. 대부분의 방송 자료와 인력, 기록물은 루마니아의 후시로 급히 옮겨졌으나, 송신 설비는 그대로 남겨졌다. 이후 진주한 붉은 군대는 방송국 건물을 파괴했으며, 미처 피난하지 못하고 남겨진 방송국 직원들의 시신이 우물에서 발견되는 비극적인 사건도 발생했다.[1]

2. 3. 텔레라디오 몰도바 (1958~현재)

1958년 Nicolae Lupan이 텔레라디오 몰도바의 초대 수석 편집자가 되었다.[1] 1958년 4월 30일에 텔레비전 방송(현 TV 몰도바 1)을 시작하였다. 초기에는 일주일에 2~3회, 하루 2~3시간 방송하였으나, 1996년에 하루 방송 시간을 13시간까지 확대하였고, 현재는 24시간 종일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1992년에는 몰도바 국제방송이 개국되어 루마니아어,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아어로 방송을 시작하였다.

3. 서비스

2009년 12월 31일, 텔레라디오 몰도바의 감독 위원회는 회장 발렌틴 토데르칸과 몰도바 1 국장 아델라 러일레아누, 라디오 몰도바 국장 비아체슬라브 게오르기셰첸코를 해임했다. 위원회는 지난 몇 년간 회사가 정치적 도구로 변질되었고, 표현의 자유와 공정성 및 의견 다원주의 원칙을 위반했다는 점을 해임 사유로 밝혔다. 이후 감독 위원회는 공석이 된 자리에 대한 공모를 발표했다.[5]

이후 콘스탄틴 마린이 새로운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2004년부터 몰도바 국립 대학교 저널리즘 및 커뮤니케이션 과학 학부의 학장을 맡아왔으며, 이전에는 라디오 몰도바 인터내셔널의 편집장과 저널리즘 역사과 상급 강사로 활동한 경력이 있다. 그는 "정치적 신화와 사회적 호소 사이의 시민 사회", "제도적 커뮤니케이션", "지역 사회 개발 및 참여" 등의 저서를 집필했다.[6]

3. 1. 라디오


  • 라디오 몰도바: 1939년 10월 8일 '라디오 베사라비아'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공영 라디오 방송국이다. 주로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 라디오 몰도바 티네레트: 젊은 청취자를 대상으로 음악 및 잡지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방송국이다.
  • 라디오 몰도바 무지칼: 클래식 음악과 학술 음악을 전문으로 다루는 라디오 방송국이다.


1992년부터 2013년까지는 국제 방송인 라디오 몰도바 인터나치오날이 운영되었다. 이 방송은 러시아어, 루마니아어,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로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3. 2. 텔레비전


  • 몰도바 1: 1958년 4월 30일에 개국했으며, 일반적인 프로그램을 편성한다.
  • 몰도바 2: 2016년에 개국했으며, 첫 번째 채널의 대안으로 운영된다.


TRM은 또한 2007년 1월에 개국했으나 재정적인 이유로 2013년 1월에 폐쇄된 자체 국제 채널인 TV 몰도바 인터내셔널을 운영했었다.

4. 경영진

(내용 없음)

4. 1. 역대 사장

2009년 12월 30일, 텔레라디오 몰도바의 감독 위원회는 회장 발렌틴 토데르칸과 몰도바 1 국장 아델라 러일레아누, 라디오 몰도바 국장 비아체슬라브 게오르기셰첸코를 해임했다. 위원회는 회사가 지난 몇 년간 정치적 도구로 변질되었고, 표현의 자유와 공정성, 의견 다원주의 원칙을 위반했다는 점을 해임 사유로 밝혔다. 이후 감독 위원회는 공석이 된 직위에 대한 공모를 진행했다.[5]

공모 결과, 콘스탄틴 마린이 새로운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2004년부터 몰도바 국립 대학교 저널리즘 및 커뮤니케이션 과학 학부 학장을 맡고 있었으며, 이전에는 라디오 몰도바 인터내셔널 편집장 및 저널리즘 역사과 상급 강사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정치적 신화와 사회적 호소 사이의 시민 사회", "제도적 커뮤니케이션", "지역 사회 개발 및 참여" 등이 있다.[6]

이름재임 기간
페오도시 비드라슈쿠1957년–1961년
블라디미르 크로이토루1961년–1965년
레오니드 쿨리욱1965년–1967년
슈테판 로잔1967년–1989년
아드리안 우사티이1989년–1997년
튜더 올라루1997년–2000년
율리안 마갈레아스2000년–2003년
이온 곤차2002년–2003년
아르투르 에프레모프2003년 6월 – 2004년 3월
일리에 텔레스쿠2004년 3월 – 2007년 4월
발렌틴 토데르칸2007년 4월 10일 – 2009년 12월 30일
콘스탄틴 마린2010년 2월 5일 – 2014년 11월
올가 보르데이아누2015년 6월 4일 – 2021년 11월
블라드 츠르카누2021년 12월 3일 – 현재


4. 2. 역대 편집장


  • 니콜라에 루판
  • 발레리우 사르하네아누 (1991–1994)

참조

[1] 웹사이트 Radio Moldova se revendica de la Radio Tiraspol http://www.ziarulrin[...] 2013-05-21
[2] 간행물 Revista Radio Universul 1939
[3] 웹사이트 IPNA Compania Teleradio Moldova http://www.ianiro.co[...] 2012-01-18
[4] 뉴스 Radiofonie românească: Radio Basarabia http://www.romania-a[...]
[5] 뉴스 Managers of Moldovan public broadcasting companies dismissed http://www.moldpres.[...]
[6] 웹사이트 "`Teleradio-Moldova` new director`s CV summary" http://www.jurnal.md[...] 2010-06-22
[7] 웹인용 Radio Moldova se revendica de la Radio Tiraspol http://www.ziarulrin[...] 2016-08-29
[8] 간행물 Revista Radio Universul 1939
[9] 웹인용 IPNA Compania Teleradio Moldova http://www.ianiro.co[...] 2016-08-29
[10] 뉴스 Radiofonie românească: Radio Basarabia http://www.romania-a[...]
[11] 웹인용 Radio Moldova se revendica de la Radio Tiraspol http://www.ziarulrin[...] 2016-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