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라스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라스폴은 드네스트르강에 위치한 도시로, 1792년 러시아 제국의 알렉산드르 수보로프에 의해 설립되었다.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의 수도이며, 국제적으로는 몰도바의 일부로 간주된다. 역사를 통해 러시아 제국, 소련, 루마니아의 지배를 받았으며, 1991년 트란스니스트리아가 독립을 선언하면서 수도가 되었다. 현재는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축구 클럽 FC 셰리프 티라스폴의 본거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티라스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국기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Flag_of_Tiraspol.svg |
문장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oat_of_arms_of_Tiraspol_1847.svg |
이름 | 티라스폴 |
토착어 이름 | |
지위 | 기초자치단체 |
지리 | |
면적 | 55.56 제곱킬로미터 |
해발 고도 | 26 미터 |
위치 | 트란스니스트리아 내 티라스폴 위치 |
역사 | |
건설 | 1792년 |
시 승격 | 1795년 |
행정 | |
국가 | }} (사실상) (법률상) |
수장 직함 | 티라스폴 국가 행정 수반 |
수장 이름 | 올레그 도브고폴 |
인구 | |
총 인구 | 128600 (2018년) |
상징 | |
경제 및 교통 | |
지역 번호 | + 373 533 |
웹사이트 | https://tirasadmin.gospmr.org/ |
우편 번호 | MD-3300 |
차량 등록 번호 | T --- -- |
2. 역사
티라스폴은 1792년 러시아 제국의 장군 알렉산드르 수보로프가 오스만 제국과의 국경 방어를 위해 건설한 도시이다.[42][43][9] 도시 이름은 드네스트르강의 고대 그리스어 이름 '티라스'와 도시를 뜻하는 '폴리스'에서 유래했다. 도시 창립 기념일은 10월 14일이다.[44] 과거 이 지역에는 고대 그리스의 식민지 티라스(Tyras)와 중세 몰도바인 마을 스클레야 베케(Sucleia Veche)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러시아 제국 시대에는 국경 요새로 시작했으나, 1812년 베사라비아가 러시아 영토로 편입되면서 지역 중심지로 발전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에는 소련 영토가 되었으며, 1924년 우크라이나 SSR 내에 수립된 몰다비아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MASSR)에 속했다가 1929년부터 1940년까지 그 수도 역할을 했다.[10]
1940년 독소 불가침 조약에 따라 베사라비아가 소련에 할양되면서 신설된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MSSR)의 일부가 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부터 3년간은 추축국의 일원인 루마니아 왕국에 점령되기도 했다. 1944년 소련이 탈환하여 다시 MSSR에 속하게 되었다.
1990년 소련 붕괴를 전후하여 러시아어 사용 주민이 다수인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이 몰도바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면서, 티라스폴은 1991년부터 미승인 국가인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사실상 수도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 사회는 트란스니스트리아를 독립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에는 도시 내 국가 보안성 건물 주변에서 원인 불명의 폭발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39]
2. 1. 고대 및 중세 시대
티라스Τύραςgrc는 기원전 600년경 밀레투스인들이 세운 그리스 식민지로, 드네스트르강(티라스 강) 하구에서 약 10km 떨어진 곳에 위치했다. 초기에는 큰 중요성이 없었으나, 기원전 2세기 무렵에는 토착 왕들의 지배를 받았으며, 이 시기 왕들의 이름이 새겨진 동전이 발견된다. 기원전 50년경, 트라키아의 게타이족에 의해 파괴되었다.서기 56년, 로마 제국은 도시를 복원하고 하 모이시아 속주의 일부로 편입시켰다. 도미티아누스부터 세베루스 알렉산데르까지의 로마 황제 시대에 발행된 동전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시대 직후, 고트족의 침입으로 도시는 다시 파괴되었다. 당시 도시 행정은 다섯 명의 집정관, 원로원, 민회, 그리고 호적 담당관들이 맡았다. 이 시기의 동전과 금석학 자료들은 주로 밀, 포도주, 생선 등의 무역 활동이 활발했음을 시사한다.
고대 도시의 유적은 많이 남아있지 않은데, 이는 중세 시대에 그 자리에 거대한 요새인 모노카스트로 또는 아케르만이 건설되었기 때문이다.[8] 후기 중세 시대에 현대 티라스폴이 위치한 지역은 리투아니아 대공국 영토의 일부였다. 리투아니아는 광대한 영토를 스스로 정착시키기 어려워 이 지역에 몰도바인들의 정착을 허용했다.
2. 2. 러시아 제국 통치 시기 (1792년-1917년)
1792년, 제2차 러시아-튀르크 전쟁 이후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영토를 획득한 러시아 제국은 드네스트르강 서부 국경을 방어하기 위해 요새를 건설했다.[9] 이 요새는 러시아 제국의 장군 알렉산드르 수보로프에 의해 몰도바인 마을이었던 수클레아(Sucleia) 근처에 세워졌으며, 이것이 티라스폴의 시작이다.[42][43] 수보로프는 오늘날 티라스폴의 설립자로 여겨지며, 도시의 주요 랜드마크 중 하나로 그의 동상이 있다.[9] 도시의 이름은 드네스트르강의 고대 그리스어 명칭인 '티라스'(Tiras)와 도시를 의미하는 '폴리스'(polis)를 결합하여 만들어졌다. 티라스폴은 1795년에 도시로서의 지위를 부여받았다.[8]1812년, 드네스트르강 서쪽의 베사라비아 지역(몰다비아 공국 동부) 역시 러시아 제국의 영토가 되면서 티라스폴은 국경 도시로서의 중요성이 감소하는 대신, 지역 중심지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들이 티라스폴 주변으로 이주해왔다.
1828년, 러시아 정부는 밀수를 막기 위해 티라스폴에 세관을 설치했다. 이 세관은 오데사 세관 당국에 소속되었으며, 초기에는 14명의 직원이 근무하며 빵, 종이, 기름, 와인, 설탕, 과일 등 다양한 물품의 통관 업무를 담당했다.

러시아 제국 말기인 1917년 12월, 티라스폴에서는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의 몰도바인들이 회의를 열어 베사라비아와의 통합을 요구하기도 했다.[8]
2. 3. 소비에트 시대 (1917년-1991년)
러시아 혁명 이후 1917년 12월, 티라스폴에서는 트란스니스트리아 몰도바인 회의가 열려 베사라비아와의 통합을 논의하기도 했다. 이후 1924년 우크라이나 SSR 내에 몰다비아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MASSR)이 설립되었고, 티라스폴은 이 공화국에 속하게 되었다. 당시 수도는 발타였으며, 공용어는 루마니아어, 우크라이나어, 러시아어였다. 1929년에는 수도가 티라스폴로 이전되어 1940년까지 MASSR의 수도 역할을 했다.[10]1940년, 소련은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의 비밀 조항을 근거로 루마니아로부터 베사라비아 지역을 할양받았다. 소련은 티라스폴을 포함한 MASSR의 일부와 베사라비아를 합병하여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MSSR)을 새로 만들었고, 티라스폴은 이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 바르바로사 작전 개시 이후, 8월 7일 나치 독일의 동맹국인 루마니아군이 티라스폴을 점령했다.
같은 해 8월 19일에는 티라스폴 협정이 체결되어 트란스니스트리아 총독부가 설치되었고, 티라스폴은 루마니아의 행정 통제 하에 놓였다. 이 점령 기간 동안 티라스폴의 거의 모든 유대인 인구가 나치와 루마니아 파시스트 정권에 의해 학살당했다. 이들은 현장에서 살해되거나 독일 나치 강제 수용소로 보내져 목숨을 잃었다. 점령 이전인 1941년에 창간된 지역 신문 ''드네스트로프스카야 프라브다''는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정기간행물이다.
1944년 4월 12일, 소련의 붉은 군대가 티라스폴을 탈환하면서 도시는 다시 몰도바 SSR의 일부가 되었다.
전후 티라스폴에는 소련 시대를 기념하는 여러 상징물들이 세워졌다. 정부 청사 앞에는 레닌 동상이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의 승리를 상징하는 T-34 전차가 기념물로 전시되어 있다.
또한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1992년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 관련 기념비도 찾아볼 수 있다. 이 시기 티라스폴에서는 가구 및 전기 제품 생산과 같은 경공업이 발달했다.
1990년, 소련 붕괴를 앞두고 몰도바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한 트란스니스트리아(드네스트르 공화국)가 티라스폴을 사실상의 수도로 삼았으며, 1991년에는 공식적으로 수도로 선포되었다.
2. 4. 트란스니스트리아 독립 선언 이후 (1990년-현재)
1990년 1월 27일, 티라스폴 시민들은 주민투표를 통해 도시를 독립 영토로 선언했다. 인근 도시 벤데르 역시 몰도바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했다.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독립 운동이 힘을 얻으면서, 일부 지방 정부는 국유화에 대한 몰도바 정부의 압력에 저항하기 위해 연합했다.1990년 9월 2일, 티라스폴은 새롭게 선포된 프리드네스트로비아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가 되었다. 이 신생 공화국은 소련 당국으로부터 공식적인 인정을 받지는 못했지만, 아나톨리 루키야노프와 같은 일부 소련 고위 관리들의 지지를 받았다. 소련이 해체된 후, 드네스트르강 동쪽 지역은 티라스폴을 수도로 하는 트란스니스트리아로 독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이 지역은 국제 사회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했다.

소련 붕괴와 함께 독립한 몰도바 중앙 정부와 대립하고 있는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의 수도이기 때문에, 시내에는 소련 시대를 기념하는 기념비와 동상이 그대로 남아 있다. 정부 청사 앞에는 레닌 동상이 서 있으며, "대조국 전쟁"에서 소련의 대독 승리를 기념하는 T-34 전차가 광장의 기념물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아프가니스탄 침공과 몰도바와 트란스니스트리아 간의 1992년 충돌(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을 기리는 기념비도 세워져 있다. 이 전쟁의 결과로 러시아 연방군이 주둔하게 되었다.[38]

2000년대 들어 트란스니스트리아의 루마니아어 학교 문제가 불거졌다. 2004년 여름, 트란스니스트리아 당국이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루마니아어를 가르치는 학교들을 강제로 폐쇄하려 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트란스니스트리아 당국은 키릴 문자로 표기된 "몰도바어"만을 공식 언어로 인정하고 루마니아어(라틴 문자 표기)는 인정하지 않는 입장이었다. 이 문제로 드네스트르강 양측 간에 경제적 제재와 보복 조치가 일부 오갔다. 2005년 7월 1일, 루마니아어를 교육 언어로 사용하는 루치안 블라가 고등학교가 트란스니스트리아 당국에 비정부 기구로 등록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긴장을 유발하는 사건들도 발생했다. 2006년 7월 6일, 미니버스에서 폭탄 테러로 추정되는 폭발이 일어나 최소 8명이 사망했다.[11] 같은 해 8월 13일에는 트롤리 버스에서 수류탄 테러로 추정되는 폭발로 2명이 사망하고 10명이 부상을 입었다.[12][13][14]
2022년 4월 25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에 2022년 트란스니스트리아 공격의 일환으로 티라스폴의 트란스니스트리아 국가안보부 건물 근처에서 여러 차례 폭발이 보고되었다. 사상자는 없었으나, 전쟁 중 발생한 사건으로 여러 추측이 제기되었다.[15][39]
2024년 3월 17일, 트란스니스트리아 공식 매체는 티라스폴의 한 군부대에서 밀 Mi-8 헬리콥터가 자폭 드론의 공격을 받아 파괴되었다고 주장하며 관련 영상을 공개했다. 이 헬리콥터는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16] 트란스니스트리아 측은 드론이 우크라이나 방향에서 발사되었다고 주장했으나, 우크라이나는 즉시 관련성을 부인했다.[16] 몰도바 공화국 재통합국은 이 사건을 "지역에 공황과 공포를 유발하려는 시도"라고 규정했고,[17] 이후 영상 분석을 통해 '명백한 몽타주 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폭발 원인이 드론 공격이 아닐 수 있다는 분석 결과를 내놓았다.[16]
3. 정치
1990년 1월 27일, 티라스폴 시민들은 주민투표를 통해 도시를 독립 영토로 선언했으며, 인근 도시 벤데르 역시 몰도바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했다.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독립 운동이 확산되면서 일부 지방 정부는 몰도바 정부의 국유화 압력에 저항하며 연대했다.
1990년 9월 2일, 티라스폴은 새롭게 선포된 프리드네스트로비아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가 되었다. 이 공화국은 소련 당국으로부터 공식적인 인정을 받지는 못했지만, 아나톨리 루키야노프와 같은 일부 소련 지도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소련 해체 이후, 드네스트르강 동쪽 지역은 티라스폴을 수도로 하는 트란스니스트리아로 독립을 선언했으나, 국제 사회로부터는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2000년대 들어서는 교육 언어를 둘러싼 갈등이 있었다. 2005년 7월 1일, 루마니아어를 교육 언어로 사용하는 루치안 블라가 리세움이 트란스니스트리아 비정부 기구로 등록되었다. 이는 2000년부터 정부와 협상이 진행되어 온 트란스니스트리아 내 6개 루마니아어 학교 등록 문제의 일부였다. 2004년 여름, 트란스니스트리아 당국이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가르치는 학교들을 강제로 폐쇄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트란스니스트리아 공식 입장은 라틴 문자로 표기된 언어를 루마니아어로 간주하며, 키릴 문자로 표기하는 '몰도바어'만이 트란스니스트리아의 3개 공식 언어 중 하나라는 것이다. 이 문제로 드네스트르 강 양측에서 일부 경제적 조치와 대응 조치가 이루어졌다.
이후에도 지역 내 긴장은 계속되었다. 2006년 7월 6일, 미니버스에서 폭탄으로 추정되는 폭발이 발생해 최소 8명이 사망했다.[11] 같은 해 8월 13일에는 트롤리 버스에서 수류탄이 폭발하여 2명이 사망하고 10명이 부상을 입었다.[12][13][14]
2022년 4월 25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2022년 트란스니스트리아 공격의 일환으로 티라스폴의 트란스니스트리아 국가안보부 건물 근처에서 여러 차례 폭발이 보고되었다. 사상자는 없었다.[15]
2024년 3월 17일, 트란스니스트리아 공식 언론은 티라스폴의 한 군부대에서 밀 Mi-8 헬리콥터가 자폭 드론의 공격을 받아 파괴되었다고 주장하며 관련 영상을 공개했다. 해당 헬리콥터는 13년 이상 사용되지 않은 상태였다.[16] 트란스니스트리아 측은 드론이 우크라이나 오데사 방향, 국경 검문소에서 약 5km~6km 떨어진 다리에서 발사되었다고 주장했지만, 우크라이나는 즉시 관련성을 부인했다.[16] 몰도바 공화국 재통합국은 이 사건을 "지역에 공황과 공포를 유발하려는 시도"라고 규정했다.[17] 이후 3월 25일, 재통합국은 헬리콥터 폭발 원인이 드론 공격이 아닌 '다른 요인'이며, 공개된 영상에는 '분명한 비디오 몽타주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고 발표했다. 영상에서 드론이 폭발 직전 사라지는 점 등을 근거로, 헬리콥터 아래에 설치된 폭탄이 원격으로 기폭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16]
행정적으로 티라스폴은 특정 구역에 속하지 않고, '''티라스폴 시 및 드네스트로프스크 시 정부'''(Госадминистрация города Тирасполь и города Днестровскru)가 직접 통치한다. 현 시장은 Олег Довгопол|오레그 도브고폴ru이다.[36] 이 행정 단위에는 티라스폴 시 외에도 슬로보제야구에 위치한 드네스트로프스크 시, Кременчуг|크레멘추크ru 촌, Новотираспольский|노보티라스폴리ru 촌이 포함된다.[40] 몰도바의 행정 구역 체계에서는 현에 속하지 않는 특별시로 간주된다.[41]
'''주요 관련 인물'''
이름 | 출생 연도 | 주요 정보 |
---|---|---|
세르히 키발로프 | 1954년 | 우크라이나 정치인, 법학자, 국회의원,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
블라디미르 미하일로비치 벨랴예프 | 1965년 | 정보통신부 장관 |
마야 파르나스 | 1974년 | 정치인, 트란스니스트리아 전 총리 대행 |
니나 슈탄스키 | 1977년 | 전 트란스니스트리아 정치인, 외무부 장관 (2012년 ~ 2015년) |
로만 후디야코프 | 1977년 | 러시아 정치인, 트란스니스트리아 자유민주당 의장 |
블라디미르 야스트레브차크 | 1979년 | 트란스니스트리아 외무부 장관 (2008년 ~ 2012년) |
올가 파테로바 | 1984년 | 정치인, 정치 청년 단체 돌파 대변인 |
유리 체반 | - | 트란스니스트리아 천연자원 및 생태 통제부 장관 |
4. 인구 구성
1989년 당시 티라스폴의 인구는 181,862명이었으며[45] (다른 자료에서는 약 19만 명으로 추산하기도 한다), 주요 민족 구성은 러시아인 41%, 우크라이나인 32%, 몰도바인 18%였다. 그러나 트란스니스트리아의 분리 독립 선언과 이후의 정치적, 경제적 상황 변화, 특히 1990년대 초반 대규모 유대인 이주 등으로 인해 인구는 감소 추세를 보였다. 2004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티라스폴의 인구는 158,069명으로 줄었으며,[20] 민족 구성은 러시아인 41.71%, 우크라이나인 33.07%, 몰도바인 15.05%로 변화했다.[23] 그 외 불가리아인, 가가우즈인, 벨라루스인, 독일인, 유대인 등도 소수 거주한다. 참고로 1919년에는 인구의 42%가 루마니아인(몰도바인)이었다.
=== 역사적 인구 구성 ===
==== 1897년 ====
1897년 제국 러시아 인구 조사 당시 티라스폴의 인구는 31,616명이었으며, 모국어 기준 구성은 다음과 같다.[21]
모국어 | 인구 | 인구 비율 |
---|---|---|
러시아어 | 14,013 | 44.32% |
이디시어 | 8,568 | 27.1% |
우크라이나어 | 3,708 | 11.73% |
루마니아어 | 3,611 | 11.42% |
폴란드어 | 1,003 | 3.17% |
벨라루스어 | 119 | 0.38% |
불가리아어 | 56 | 0.18% |
리투아니아어 | 7 | 0.02% |
라트비아어 | 7 | 0.02% |
체코어 | 1 | 0.003% |
==== 1926년 ====
1926년 인구 조사 당시 티라스폴의 인구는 29,700명이었으며, 민족별 구성은 다음과 같다.[19]
==== 1939년 ====
1939년 소련 인구 조사에 따르면, 도시의 인구는 43,676명이었으며, 민족별 구성은 다음과 같다.[22]
==== 2004년 ====
2004년 트란스니스트리아 인구 조사에 따른 티라스폴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23]
민족 | 인구 | 총 비율 % |
---|---|---|
러시아인 | 65,298 | 41.71% |
우크라이나인 | 52,278 | 33.07% |
몰도바인 (루마니아인) | 23,790 | 15.05% |
불가리아인 | 2,450 | 1.55% |
가가우즈인 | 1,988 | 1.26% |
벨라루스인 | 1,712 | 1.08% |
독일인 | 701 | 0.44% |
유대인 | 573 | 0.36% |
아르메니아인 | 360 | 0.23% |
폴란드인 | 324 | 0.2% |
집시/로마/로마니 | 116 | 0.07% |
기타 | 7,849 | 4.98% |
=== 유대인 인구 ===
19세기 말 티라스폴의 유대인 인구는 크게 증가하여 1897년에는 8,668명으로 전체 인구의 27%를 차지했다.[21] 제2차 세계 대전 직전인 1939년에도 유대인 인구는 11,764명으로 약 27%에 달했으나,[22] 나치 독일의 침공과 홀로코스트로 인해 급격히 감소했다. 전쟁 후 유대인 인구는 약 1만 명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1990년대 이후 이스라엘 등 해외로의 이주가 늘어나면서 다시 감소했다. 2004년 인구 조사에서는 573명(0.36%)으로 집계되었으며,[23] 다른 자료에 따르면 2007년 기준 유대인 인구는 약 2,200명으로 추산된다. 시내에서는 회당이나 유대인 묘지에 대한 공격 등 반유대주의적 박해 사건이 보고되기도 했다.
5. 기후
티라스폴은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Dfb'')를 나타내며, 해양성 기후(Cfb)와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고, 따뜻한 여름으로 인해 습윤 아열대 기후(Cfa)의 과도기적 특징도 지닌다.[46][18] 여름은 따뜻하며, 가장 더운 달인 7월의 평균 기온은 23.2°C이다. 겨울은 추우며, 가장 추운 달인 1월의 평균 기온은 -1.8°C이다. 강수량은 연중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지만, 6월과 7월에 월별 강수량이 눈에 띄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티라스폴의 연평균 강수량은 약 500mm이다.[18]
6. 문화
1941년 창간된 신문 드네스트롭스카야프라브다가 이 도시에서 발행된다. 축구 클럽 FC 셰리프 티라스폴과 FC 티라스폴이 티라스폴을 연고지로 하며, 홈 경기장은 수용인원 14,300명의 스타디오눌 셰리프이다.
티라스폴에는 드라마 극장이 위치해 있다. 과거에는 라틴 가톨릭 소수 민족을 위한 티라스폴 로마 가톨릭 교구가 있었으나, 2002년에 폐지되어 러시아의 사라토프의 성 클레멘스 로마 가톨릭 교구에 통합되었다.
도시 곳곳에는 여러 기념물이 세워져 있다. 알렉산드르 수보로프의 탄생 250주년을 기념하는 동상이 1979년 중앙 광장에 건립되었으며, 트란스니스트리아 정부 건물 앞에는 블라디미르 레닌의 동상이 있다. 중앙 광장 맞은편 기념비 광장에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소련의 승리를 기념하는 T-34 전차, 1941년 도시 방어 및 1944년 해방 과정에서 희생된 이들을 기리는 영원의 불꽃, 그리고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및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과 같은 분쟁을 기리는 기념비들이 자리 잡고 있다. 매년 전승 기념일 행사가 열린다.
7. 스포츠
축구는 티라스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 중 하나이다. 도시의 주요 축구 클럽으로는 FC 셰리프 티라스폴과 FC 티라스폴이 있으며, 이들은 14,3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지역 최대 규모의 경기장인 셰리프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특히 FC 셰리프 티라스폴은 2000년-2001년 시즌 이후 몰도바 리그에서 14번의 우승과 6번의 몰도바 컵 우승을 차지하며 몰도바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클럽으로 평가받는다. 이 클럽은 2021-22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본선 조별 리그에 진출하여 FC 샤흐타르 도네츠크와 당시 대회 우승팀인 레알 마드리드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과거에는 CS 틸리굴-티라스 티라스폴이라는 클럽도 있었으나, 2009-2010 시즌 전에 해체되었다.
티라스폴 출신의 유명 스포츠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출생 | 종목 | 주요 이력 |
---|---|---|---|
콘스탄틴 누르 | 1906 또는 1907 | 권투 (미들급) | 루마니아 챔피언, 국가대표팀 코치 |
라리사 포포바 | 1957 | 조정 | 1976년 하계 올림픽 출전 (소련 대표) |
이고르 사모일렌코 | 1977 | 권투 | |
안드레이 미하일로프 | 1980 | 수영 (배영) | 2000년 하계 올림픽, 2004년 하계 올림픽 출전 |
안드레이 코르네엔코프 | 1982 | 축구 | 몰도바 국가대표 |
스타니슬라우 치본치크 | 1985 | 육상 (장대높이뛰기) | 2012년 하계 올림픽 출전 (벨라루스 대표) |
비탈리 불라트 | 1987 | 축구 | |
올렉산드르 콜첸코 | 1988 | 농구 | 우크라이나 국가대표 |
다닐라 아르티오모프 | 1994 | 수영 (평영) | |
아르투르 달라로얀 | 1996 | 기계 체조 | 러시아 국가대표 (아르메니아계) |
8. 교통
티라스폴은 키시너우와 오데사로 이어지는 철도 노선이 통과하는 교통의 요지이다. 시내에서는 트롤리버스가 주요 대중교통 수단으로 이용되며, 이 노선은 인근 도시인 벤데르까지 운행된다. 벤데르로는 철도 역시 연결되어 있어 두 도시 간 이동이 편리하다.
항공 교통을 위해서는 티라스폴 공항이 있으며, 철도 교통은 드네스트르 강 연안 철도가 운영하는 티라스폴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9. 국제 관계
1990년 1월 27일, 티라스폴 시민들은 주민투표를 통해 도시를 독립 영토로 선언했으며, 인근 도시 벤데르 역시 몰도바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했다.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독립 운동이 확산되면서 일부 지방 정부는 국유화에 대한 몰도바 정부의 압력에 공동으로 저항했다.
1990년 9월 2일, 티라스폴은 새롭게 수립된 프리드네스트로비아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로 선포되었다. 이 신생 공화국은 소련 당국으로부터 공식적인 인정을 받지는 못했지만, 아나톨리 루키야노프와 같은 일부 소련 고위 지도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소련 해체 이후, 드네스트르강 동쪽 지역은 티라스폴을 수도로 하는 트란스니스트리아로 독립을 선언했으나, 국제 사회로부터는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2000년대 들어 트란스니스트리아 내 루마니아어 사용 학교 문제가 불거졌다. 2005년 7월 1일, 루마니아어를 교육 언어로 사용하는 고등학교인 루치안 블라가 리세움이 트란스니스트리아 비정부 기구로 등록되었다. 트란스니스트리아의 루마니아어 학교 6곳의 등록 문제는 2000년부터 정부와의 협상 대상이었다. 2004년 여름, 트란스니스트리아 당국이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가르치는 학교들을 강제로 폐쇄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트란스니스트리아의 공식적인 관점에서 이는 '루마니아어'로 간주되며, 키릴 문자로 표기되는 '몰도바어'만이 세 가지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인정된다. 이 문제로 인해 드네스트르강 양측 간에 일부 경제적 제재와 대응 조치가 오갔다.
2006년에는 테러로 의심되는 사건들이 발생하며 긴장이 감돌았다. 7월 6일, 미니버스에서 폭탄으로 추정되는 폭발이 일어나 최소 8명이 사망했다.[11] 이어 8월 13일에는 트롤리 버스에서 수류탄이 폭발하여 2명이 사망하고 10명이 부상을 입었다.[12][13][14]
2022년 4월 25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2022년 트란스니스트리아 공격의 일환으로 티라스폴에 위치한 트란스니스트리아 국가안보부 건물 근처에서 여러 차례 폭발이 보고되었다. 소방관들이 현장에 출동했으나 사상자는 발생하지 않았다.[15]
2024년 3월 17일, 트란스니스트리아 공식 언론은 티라스폴의 한 군부대에서 밀 Mi-8 헬리콥터가 자폭 드론의 공격을 받아 파괴되었다고 주장하며 관련 영상을 공개했다. 해당 헬리콥터는 상태가 좋지 않아 13년 이상 운용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16] 사상자는 보고되지 않았다.[17] 트란스니스트리아 측은 드론이 우크라이나의 오데사 방향, 구체적으로 트란스니스트리아와 우크라이나 국경 검문소에서 약 5km~6km 떨어진 다리에서 발사되었다고 주장했으나, 우크라이나는 즉시 관련성을 부인했다.[16] 같은 날, 몰도바 공화국 재통합국은 이 사건을 "지역에 공황과 공포를 유발하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17] 이후 3월 25일, 몰도바 재통합국은 헬리콥터 폭발이 드론 공격이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해 발생했으며, 공개된 영상에 "분명한 비디오 몽타주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고 밝혔다. 영상에서 드론은 헬리콥터 아래에서 폭발하기 직전에 사라지는 모습이 포착되었으며, 헬리콥터 아래에 설치된 폭탄이 원격으로 기폭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6]
=== 자매 도시 ===
10. 출신 인물
- 유리 아브바쿠모프 (1957년 출생): 러시아의 건축가, 예술가, 큐레이터.
- 니콜라이 젤린스키 (1861–1953): 러시아 및 소련의 화학자. 최초로 필터 기능을 갖춘 활성탄 방독면을 발명했다.
- 게오르기 스타마토프 (1869–1942): 불가리아의 작가.
- 미하일 라리오노프 (1881–1964): 러시아 아방가르드 화가. 러시아 태생으로 프랑스에서 활동한 화가이자 무대미술가이다.
- 아브라함 라비노비치 (1889–1964): 호주계 러시아인 부동산 개발업자. 시드니의 현대 정통 유대교 공동체 형성에 기여했다.
- 게오르게 핀틸리에 (1902–1985): 소련의 정보 요원. 러시아 시민이자 우크라이나 출신으로 루마니아 공산주의 활동가가 되었으며, 루마니아의 비밀경찰인 세쿠리타테의 초대 국장을 지냈다.
- 이자일 슈무룬 (1912–1985): 몰도바 소비에트 연방 시절의 건축가.
- 라리사 에료미나 (1950년 출생): 무대 및 스크린 배우.
- 옥사나 이오노바 (1966년 출생): 트란스니스트리아의 국세청장을 지냈으며, 2008년부터 2011년까지 트란스니스트리아 중앙은행 총재였다. 이후 러시아의 인도주의적 지원금 횡령, 불법 사업 관행, 권력 남용 및 위조 혐의로 기소되었다.
- 블라드 스타셰프스키 (1974년 출생): 러시아의 팝 가수.
- 베레니카 글릭스만 (1984년 출생): 이스라엘의 클래식 피아니스트.
- 세르게이 스테파노프 (1984년 출생): 몰도바의 음악가이자 작곡가. 그룹 선스트로크 프로젝트의 멤버로 활동하며 'Epic Sax Guy'로 알려져 있다.
- 발레리아 루키야노바 (1985년 출생): 우크라이나 출신 모델. 바비 인형과 닮은 외모로 유명하며, 현재 모스크바에 거주하고 있다.
- 세르히 키발로프 (1954년 출생): 우크라이나의 정치인이자 법학자. 국회의원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 블라디미르 미하일로비치 벨랴예프 (1965년 출생):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정보통신부 장관.
- 마야 파르나스 (1974년 출생):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정치인. 총리 대행을 지냈다.
- 니나 슈탄스키 (1977년 출생):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전직 정치인.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로만 후디야코프 (1977년 출생): 러시아의 정치인. 트란스니스트리아 자유민주당 의장을 맡고 있다.
- 블라디미르 야스트레브차크 (1979년 출생):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외교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외무부 장관을 지냈다.
- 올가 파테로바 (1984년 출생):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정치인. 정치 청년 단체 돌파(Proriv!)의 대변인으로 활동했다.
- 유리 체반: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천연자원 및 생태 통제부 장관.
- 콘스탄틴 누르 (1906 또는 1907년 ~ 1986년): 루마니아의 미들급 권투 챔피언이자 국가대표팀 코치.
- 라리사 포포바 (1957년 출생): 소련의 조정 선수. 1976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했다.
- 이고르 사모일렌코 (1977년 출생): 몰도바의 권투 선수.
- 안드레이 미하일로프 (1980년 출생): 몰도바의 배영 수영 선수. 2000년 하계 올림픽과 2004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 안드레이 코르네엔코프 (1982년 출생): 몰도바의 축구 선수. 국가대표로 활동했다.
- 스타니슬라우 치본치크 (1985년 출생): 벨라루스의 장대높이뛰기 선수. 2012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했다.
- 비탈리 불라트 (1987년 출생): 몰도바의 축구 선수.
- 올렉산드르 콜첸코 (1988년 출생): 우크라이나의 농구 선수.
- 다닐라 아르티오모프 (1994년 출생): 몰도바의 평영 수영 선수.
- 아르투르 달라로얀 (1996년 출생): 아르메니아계 러시아 기계 체조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Министерство иностранных дел ПМР
http://mfa-pmr.org/r[...]
[2]
웹사이트
Citypopulation.de_Tiraspol
https://citypopulati[...]
[3]
간행물
Românitatea Transnistriană
https://bp-soroca.md[...]
[4]
간행물
România Mare
https://bcub.ro/lib2[...]
[5]
웹사이트
About Transdniestra (Russian)
http://www.worldwind[...]
2006-12-27
[6]
뉴스
Street Fairs, Celebrations Mark Tiraspol's 214th Birthday
http://www.tiraspolt[...]
2007-02-20
[7]
웹사이트
How Transnistria's Tiraspol Got Its Ancient Greek Name
https://greekreporte[...]
2023-04-15
[8]
문서
See E. H. Minns, ''Scythians and Greeks'' (Cambridge, 1909); V. V. Latyshev, ''Inscriptiones Orae Septentrionalis Ponti Euxini,'' vol. I.
[9]
웹사이트
ТИРАСПОЛЬ
https://old.bigenc.r[...]
2024-01-22
[10]
웹사이트
Tiraspol
https://www.britanni[...]
2023-04-15
[11]
뉴스
Trans-Dniester Blast Kills Eight
http://news.bbc.co.u[...]
2006-07-06
[12]
뉴스
Trolley Bus Blasted in Tiraspol Possibly in a Terror Attack
http://www.regnum.ru[...]
[13]
뉴스
New Bus Explosion in Tiraspol Leaves One Dead, Eleven Injured
http://www.tiraspolt[...]
2006-08-14
[14]
뉴스
Another Blast in Public Transport in Tiraspol
http://www.moldpres.[...]
2006-08-17
[15]
뉴스
Moldovan president holds security meeting after blasts in Transnistria
https://www.jpost.co[...]
[16]
뉴스
Tiraspolul înscenează explozii ca să înfricoșeze populația
https://www.stiripes[...]
2024-03-26
[17]
뉴스
VIDEO Momentul atacului reclamat de Transnistria: O dronă lovește un elicopter scos din uz și care era parcat pe platformă
https://www.hotnews.[...]
2024-03-17
[18]
웹사이트
Tiraspol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8-21
[19]
서적
Słownik geograficzny Królestwa Polskiego i innych krajów słowiańskich, Tom XII
[20]
웹사이트
2004 Census: PMR Urban, Multilingual, Multicultural
http://pridnestrovie[...]
[21]
웹사이트
1897 Counties and Cities
http://pop-stat.mash[...]
[22]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39 года
https://www.demoscop[...]
[23]
문서
The Transnistrian census of 2004 data by nationality at http://pop-stat.mashke.org/pmr-ethnic-loc2004.htm
[24]
웹사이트
Молдова
http://tirasadmin.or[...]
2021-08-06
[25]
웹사이트
Trondheims vennskapsbyer
http://www.trondheim[...]
[26]
웹사이트
Норвегия
http://tirasadmin.or[...]
2021-08-06
[27]
웹사이트
Города-побратимы – РФ
http://tirasadmin.or[...]
2021-08-06
[28]
웹사이트
Города-побратимы – Украина
http://tirasadmin.or[...]
2021-08-06
[29]
웹사이트
Израиль
http://tirasadmin.or[...]
2021-08-06
[30]
웹사이트
Города-побратимы-Республика Беларусь
http://tirasadmin.or[...]
2021-08-06
[31]
웹사이트
Абхазия – Сухум
http://www.tirasadmi[...]
2021-08-06
[32]
웹사이트
Южная Осетия
http://tirasadmin.or[...]
2021-08-06
[33]
웹사이트
Португалия – Сантарен
http://tirasadmin.or[...]
2021-08-06
[34]
웹사이트
У Тирасполя будет два герба
https://novostipmr.c[...]
Новости Приднестровья
2024-08-04
[35]
웹사이트
Городская символика
https://web.archive.[...]
ティラスポリ市政府
2024-08-04
[36]
웹사이트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Тирасполя составляет почти 129 тысяч человек
https://novostipmr.c[...]
Новости Приднестровья
2024-08-04
[37]
웹사이트
История и статус Приднестровья
https://tass.ru/info[...]
タス通信
2024-08-04
[38]
간행물
on the scene 現場を旅する(66)ティラスポリ、観光の目玉「ほらふきの要塞」
朝日新聞グローブ
2014
[39]
웹사이트
モルドバ分離派地域で爆発、ロシアの「計画的な挑発」 ウクライナ国防省
https://www.cnn.co.j[...]
CNN
2022-04-26
[40]
웹사이트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ые единицы подчиненные городу Тирасполь
https://tirasadmin.g[...]
ティラスポリ市およびドネストロフスク市政府
2024-08-04
[41]
웹사이트
Organizarea administrativ-teritorială
https://moldova.md/r[...]
モルドバ政府
2024-08-04
[42]
웹사이트
Russia's Stance on Disputed Territories: Just How "Hypocritical" is it?
http://www.rusjourna[...]
2006-12-27
[43]
웹사이트
About Transdniestra (Russian)
http://www.worldwind[...]
World Window NGO
2006-12-27
[44]
뉴스
Street fairs, celebrations mark Tiraspol's 214th birthday
http://www.tiraspolt[...]
Tiraspol Times
2006-02-20
[45]
서적
Słownik geograficzny Królestwa Polskiego i innych krajów słowiańskich, Tom XII
[46]
웹인용
Weather Information for Tiraspol
http://www.worldweat[...]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2008-01-06
[47]
웹인용
О ГЛАВ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АДМИНИСТРАЦИИ ГОРОДА ТИРАСПОЛЬ
http://zakon-pmr.com[...]
2013-09-15
[48]
뉴스
Евгений Шевчук убрал всех назначенцев Игоря Смирнова
http://nr2.ru/policy[...]
2013-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