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파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파인은 러시아 이르쿠츠크주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소수 민족이다. 기원전 3천년 말에서 2천년 초에 사얀 산맥에 정착한 수렵 채집인에서 기원했으며, 튀르크화 과정을 거쳐 튀르크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토파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며 투바인과 언어적, 문화적으로 유사하다. 과거에는 순록 유목과 수렵 채집을 했으며, 현재는 사냥과 낚시를 하며 정착 생활을 한다. 전통적인 샤머니즘 신앙은 쇠퇴했으며, 17세기 러시아 제국과의 관계를 통해 러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파인 - 토파어
토파어는 러시아 이르쿠츠크주 토파인들이 사용하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투바어와 관련이 깊으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소멸 위기에 처한 교착어이다. - 이르쿠츠크주 - 부랴트인
부랴트인은 러시아 부랴티야 공화국에 주로 거주하며 몽골 제국의 일원이었던 몽골계 민족으로, 바이칼호 주변에서 반유목 생활을 하며 샤머니즘과 티베트 불교를 믿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높은 사상자 비율로 논란이 되었다. - 이르쿠츠크주 - 비류사강
비류사강은 정확한 실체가 밝혀지지 않은 강으로, 그 존재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더불어민주당은 연구 필요성을 주장하고 국민의힘은 비판적인 입장을 보인다. - 아시아의 튀르크족 - 돌간인
돌간인은 러시아의 소수 민족으로, 에벤키, 야쿠트인 등의 영향으로 민족 정체성이 형성되었으며, 전통적으로 순록을 치는 유목 생활을 하다가 소련 시대에는 집단 농장에서 다양한 산업에 종사했다. - 아시아의 튀르크족 - 하카스인
하카스인은 예니세이강 상류 지역에 거주하며 고대 키르기스인의 후손으로 여겨지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여러 부족이 통합되어 형성되었고 소련 시대에 하카스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으며, 유목, 농업, 수렵, 어로를 하며 동아시아 및 서유라시아 유전적 특징을 가진다.
토파인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Topfalars Tofa people (영어) Тофалары, тофа (러시아어) |
인구 | 762명 (2010년) |
거주 지역 | 러시아, 시베리아, 이르쿠츠크 주 |
러시아 내 인구 (2021년) | 719명 |
우크라이나 내 인구 (2001년) | 18명 |
종교 | 샤머니즘 러시아 정교회 애니미즘 |
언어 | 토파어 러시아어 |
관련 민족 | 토주 투바인 두카인 소요트인 |
민족 명칭 | |
고유 명칭 | Тоъфа |
언어별 명칭 | Topfalars, Tofa people (영어) Тофалары, тофа (러시아어) |
문화 | |
관련 민족 | 토주 투바인 두카인 소요트인 |
2. 역사
토파인은 시베리아 튀르크어군에 속하는 토파어를 사용하며, 투바인과 언어 및 문화적으로 가깝다.[15] 과거 타이가에서 순록유목과 수렵 채집을 하며 생활했다. 몽골로이드 인종에 속하며, 2002년 기준 러시아 내 인구는 837명이었다. Y 염색체 하플로그룹 중 N 계통이 59.4%로 높게 나타난다.[15] 역사적으로 토파라리아영어라고 불리는 지역에 정착해 있었다.
토파인의 조상은 기원전 3천년 말과 기원전 2천년 초 동사얀 산맥에 도착한 사모예드어족 계통의 수렵 채집인이었으나, 고대 튀르크 시대에 튀르크화되면서 튀르크어를 사용하게 되었다.[6][9][7]
1648년, 러시아인들이 부랴티야 우딘스크에 요새를 건설하면서 러시아의 영향권 아래 놓이게 되었고,[9] 야사크라는 세금을 내며 러시아 문화, 종교 등을 받아들였다.[9][10]
소련 시대에는 야사크가 폐지되고 새로운 사냥 규정이 제정되면서 전통적인 생활 방식에 큰 변화가 생겼다. 소련 정부는 토파인들을 강제로 정착시키고, 순록과 사냥터를 집단화했으며,[9][8] 러시아어 학교를 설립하여 토파어가 쇠퇴하게 되었다.[11]
소련 붕괴 이후, 토파인들은 전통적인 사냥터인 삼나무 숲을 베어내는 외부 사업가들에 맞서 조상의 땅에 대한 권리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5]
2. 1. 기원
토파인(그리고 밀접하게 관련된 소요트족, 투바인, 두카족)의 조상은 기원전 3천년 말과 기원전 2천년 초에 동사얀 산맥에 도착한 원시 사모예드어족 수렵 채집인이었다.[6] 고대 튀르크 시대 동안, 토파인의 조상은 튀르크화를 겪으면서 튀르크어를 채택[9]하고 마토르어를 버렸다.[7]P. S. 팔라스와 J. G. 게오르기는 처음에 토파인을 사모예드 민족으로 여겼으며, 19세기에 투바인으로부터 튀르크어를 채택했을 뿐이라고 생각했다.[9] 그러나 러시아 언어학자 발렌틴 라사딘은 토파인이 6-8세기에 튀르크어를 채택하고 그들의 음운 체계에 적응한 케트(예니세이어)어를 사용하는 부족이라고 주장했다. 그들은 이후 사모예드족을 포함한 다른 영향들을 받아들였다.[9] 토파 문화는 일반적으로 케트족 (예니세이 민족), 사모예드족, 튀르크족, 몽골족의 영향을 조합한 것으로 여겨진다.[3]
중세 시대에 그들은 몽골 칸의 지배를 받았고 그들에게 조공을 바쳤다. 이후 서부 부랴트족 공작에게 정복되었다.[8] 토파인은 결국 17세기에 사얀 산맥의 경사면에서 북쪽으로 이동하여 현재 위치에 정착했다.[3] 역사적으로 그들은 토주 투바인과 광범위한 접촉을 해왔으며 문화와 언어에서 많은 유사점을 공유한다.
2. 2. 러시아 제국과의 관계
1648년, 러시아인들은 부랴티야의 우딘스크에 요새를 건설하여 토파라르족을 러시아의 영향력 아래 두었다.[9] 토파라르족은 야사크를 지불해야 했으며, 총을 소지한 자는 정해진 수의 검은담비 털을 바쳐야 했는데, 이 양은 종종 임의로 증가되었다.[9] 이러한 밀접한 접촉의 결과로, 토파라르족은 러시아 문화, 종교, 언어의 많은 측면을 받아들였다.[10] 이들은 초기에 기독교로 개종했지만 샤머니즘을 계속 고수했다.[11]2. 3. 소련 시대
소련은 1926년 야사크를 폐지했고, 1927년 새로운 사냥 규정을 제정하여 이전 사냥터의 일부를 보호구역으로 선포했다. 이에 따라 토파르족이 고유의 숲에서 사냥하려면 허가를 받아야 했다.[9] 새로운 규정에 따라 토파르족이 먹던 무스는 국가 소유가 되었고 식용으로 살해하는 것이 금지되었다.[9] 이후 소련은 토파르족을 강제로 정착시키기 위한 캠페인을 벌여 알리그제르, 웃쿰, 네르하, 구타라에 재정착시켰다.[9] 1932년까지 모든 토파르족이 재정착되었고 그들의 순록과 사냥터는 집단화되었다.[9][8]1929년 최초의 협동 농장이 결성되었고, 1930년부터 1931년까지 토파르족은 크라스니 오호트니크, 키로프, 키질-토파의 세 콜호스로 집단화되었다. 1930년에는 이르쿠츠크 지역에 알리그제르를 중심으로 하는 토파르족 민족 지구가 형성되었다.[9] 1930년대에는 여러 러시아어 학교가 설립되어 토파르족 어린이들에게 러시아어를 가르치면서 토파어를 대체했다.[11]
1948년에는 토팔라리아에서 산업적 금 채굴이 개발되었고, 종료 후 이 지역은 완전히 국가의 보조를 받게 되었다.[5]
2. 4. 소련 붕괴 이후
오늘날 토파르족은 조상의 땅에 대한 권리를 위해 계속 투쟁하고 있으며, 특히 토파르족의 전통적인 사냥터인 지역 삼나무 숲을 베어내는 비토착 사업가들이 문제가 되고 있다.[5]2017년, 니즈네우딘스크 구(Nizhneudinsky District) 행정부는 니즈네우딘스크와 토팔라리아 정착지 간의 항공 운송에 대한 모든 혜택을 취소했다. 이전에는 니즈네우딘스크행 헬리콥터 티켓이 750RUB이었지만, 수혜자는 무료로 비행했다. 이후 정부는 새로운 고정 비용을 설정하여 알리그제르와 우페르 구타라까지 비행하는 데 1500RUB, 네르하까지 1300RUB이 들게 되었다.[5] 이 결정은 소수 민족이 자신들의 영토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토파르족 사이에서 널리 인기가 없었다.[5]
3. 언어
토파어는 튀르크어족의 한 갈래에 속하며, 토지 투바인과 소요트족의 언어와 매우 가깝다.[9] 토파어에는 알리제르 방언과 구타르 방언의 두 가지 방언이 있다.[9] 중세 몽골어와 러시아어에서 수백 개의 차용어가 있으며, 부랴트어에서 수십 개의 차용어가 있다.[9] 1989년까지 토파어는 문자가 없었으며, 언어학자 발렌틴 라사딘이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 체계를 만들었다. 1990년대에 토파르 활동가들은 지역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토파어로 가르치도록 성공적으로 캠페인을 벌였다.[9][8][12] 시베리아 튀르크어군에 속하는 토파어를 사용하며, 언어와 문화는 투바인과 가깝다.
4. 문화
토파르족은 과거 타이가에서 순록유목과 수렵 채집을 하며 생활했으나, 현대에는 러시아어를 사용하며 전통적인 생활 방식과 샤머니즘 신앙이 쇠퇴하고 있다.
소비에트 집단화 이전 토파라르족은 5개의 부계 씨족(''nyon'')으로 구성되었으며, 과거에는 7개였다.[9] 각 씨족은 한 조상(''aal'')의 후손으로 이루어진 밀접하게 관련된 가족 집단으로, ''ulug-bash''라고 불리는 장로가 이끌었고, 자체 영토(''aimak'')와 이동 경로를 가지고 있었다.[8]
토파라르족의 영토는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8]
구분 | 위치 | 씨족 |
---|---|---|
부룬구 알라르 | 이다, 카라-번, 이트쿰, 이야 강 | 초그두, 아크추그두, 카라-초그두 |
오르타 알라르 | 리틀 비리우스, 네르하, 에르마, 이아가 강 | 쳅타이 |
송기 알라르 | 아굴, 타굴, 구타라, 빅 비리우스, 이우글림 강 | 카라-카쉬, 사리트-하쉬 |
결혼은 족외혼이었으며, 예비 구애, 부모 간의 합의, 신부 아버지에게 지참금 지불 후에 이루어졌다.[8] 결혼식은 일반적으로 3일 동안 지속되었으며, 특별한 의식, 노래, 춤이 공연되는 잔치가 함께 진행되었다.[8] 결혼 후, 신랑은 아내를 가족과 분리된 자신의 유목 캠프로 데려가 그곳에서 그들만의 텐트를 치고 독립적인 가족 단위로 살기 시작했다.[8] 신부에게 혼전 자녀가 있는 경우, 그들은 그녀의 아버지와 함께 머물렀고 그의 자녀로 여겨졌다.[8] 오늘날에는 러시아인과 토파라르족의 혼혈 결혼이 흔하다.[8]
남성은 사냥, 낚시, 순록 방목, 나무로 다양한 도구와 물건을 만드는 일을 담당했다.[8] 여성은 가정을 운영하고, 아이들을 돌보고, 음식을 준비하고, 음식을 보존하고 저장했다. 또한 여성은 가구의 유목 경로를 계획하고, 순록을 모으고, 이동 전에 텐트를 걷어 재조립하는 역할을 했다.[8]
관습적으로 막내아들이 부계 텐트에 남아 가족의 집을 상속받았다.[8] 남편이 사망하면 미망인은 사망한 남편의 모든 재산을 상속받았다.[8]
토파르의 기독교 개종은 이름뿐인 경우가 많았다. 샤머니즘을 믿는 토파르족 무당들은 1930년 소련 정부에 의해 탄압받기 전까지 존재했다.[8]
4. 1. 생계
토파르족은 전통적으로 유목 생활을 했으며, 순록 사육, 덫 사냥, 사냥을 통해 생계를 유지했다.[3] 한 가구당 평균 20~30마리의 순록을 길렀으며, 순록은 운송, 의류, 거주, 식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8] 순록의 젖은 음료, 치즈, 응유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13]토파르족은 겨울에는 동물의 가죽으로, 여름에는 자작나무 껍질(''polotnishch'')로 만든 전통적인 원뿔형 텐트(''chum'')에서 생활했다.[11] 이들은 사슴, 곰, 물새, 산란기 가을 연못의 물고기를 사냥했고, 총기를 이용해 개와 함께 족제비, 담비, 유라시아 오소리, 다람쥐를 사냥해 모피를 얻기도 했다.[11] 겨울 식량을 위해 고기를 절이거나 순록 젖을 말렸으며, 건조된 덩이줄기(''saran''), 야생 양파, 소나무와 삼나무 열매를 곁들여 먹었다.[8][11] 밀가루, 거친 곡물, 소금, 설탕, 차, 담배, 술 등은 상인과의 모피 교환을 통해 얻었다.[8]
소련 시대에 대부분의 토파르족은 국영 농장에서 일했으며, 소련 붕괴 이후에도 이러한 생활 방식은 이어졌다.[8] 오늘날 토파르족은 정착 생활을 하며 주로 현대식 목조 주택에 거주하지만, 전통 텐트는 여전히 저장 시설로 사용된다.[3] 사냥과 낚시는 여전히 주요 경제 활동이며, 순록은 운송 수단으로 활용된다.[5] 남성들은 겨울 동안 삼나무 숲에서 사냥을 하기 위해 마을을 떠나기도 한다.[5]
4. 2. 오락
토팔라르족은 레슬링, 양궁, 경마를 즐긴다.[14] 전통적인 토팔라르족의 악기에는 구슬리와 유사한 현악기인 '차디간'과 발랄라이카와 비슷한 '차르티-호부스'가 있는데, 축제에서 노래와 춤을 곁들일 때 연주되었다.[8]4. 3. 전통 의학
토파인은 주로 민간 요법을 사용했지만, 때로는 부랴트족 치료사에게 치료를 받기도 했다.[8]4. 4. 죽음과 장례
토파는 죽은 자들이 죽음 이후 에를리크 왕국에서 살게 된다고 믿었다. 망자들은 다음 생에서 필요할 것이라고 믿어 개인 소지품과 함께 매장되었다.[8] 특히, 그들은 에를리크에서는 모든 것이 '거꾸로' 되어 있다고 믿었기에, 망자를 따라가는 물건들은 손상되어야 했다.[8] 토파의 장례 의식은 기독교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토파인들은 러시아 기독교인들처럼 친족의 사망 후 아홉째 날, 마흔째 날, 여섯 달째, 그리고 첫 해를 기념한다.[8]5. 사회
소비에트 집단화 이전 토파라르족은 5개의 부계 씨족(nyon)으로 구성되었으며, 과거에는 7개였다.[9] 각 씨족은 한 조상(aal)의 후손으로 이루어진 밀접하게 관련된 가족 집단으로 구성되었으며, ulug-bash라고 불리는 장로가 이끌었고, 자체 영토(aimak)와 이동 경로를 가지고 있었다.[8]
토파라르족의 영토는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8]
이름 | 설명 |
---|---|
부룬구 알라르 | 이다, 카라-번, 이트쿰, 그리고 이야 강에 위치한 초그두, 아크추그두, 카라-초그두 씨족의 영토를 포함하는 동쪽 유목 캠프(알라르) 그룹. |
오르타 알라르 | 리틀 비리우스, 네르하, 에르마, 이아가 강에 위치한 쳅타이 씨족의 영토를 포함하는 중간 유목 캠프 그룹. |
송기 알라르 | 아굴, 타굴, 구타라, 빅 비리우스, 그리고 이우글림 강에 위치한 카라-카쉬와 사리트-하쉬 씨족의 영토를 포함하는 서쪽 유목 캠프 그룹. |
결혼은 족외혼이었으며, 예비 구애, 부모 간의 합의, 신부 아버지에게 지참금 지불 후에 이루어졌다.[8] 결혼식은 일반적으로 3일 동안 지속되었으며, 특별한 의식, 노래, 춤이 공연되는 잔치가 함께 진행되었다.[8] 결혼 후, 새로운 신랑은 아내를 가족과 분리된 자신의 유목 캠프로 데려가 그곳에서 그들만의 텐트를 치고 독립적인 가족 단위로 살기 시작했다.[8] 신부에게 혼전 자녀가 있는 경우, 그들은 그녀의 아버지와 함께 머물렀고 그의 자녀로 여겨졌다.[8] 오늘날에는 러시아인과 토파라르족의 혼혈 결혼이 흔하다.[8]
남성은 사냥, 낚시, 순록 방목, 나무로 다양한 도구와 물건을 만드는 일을 담당했다.[8] 여성은 가정을 운영하고, 아이들을 돌보고, 음식을 준비하고, 음식을 보존하고 저장했다. 또한 여성은 가구의 유목 경로를 계획하고, 순록을 모으고, 이동 전에 텐트를 걷어 재조립하는 역할을 했다.[8]
관습적으로 막내아들이 부계 텐트에 남아 가족의 집을 상속받았다.[8] 남편이 사망하면 미망인은 사망한 남편의 모든 재산을 상속받았다.[8]
6. 종교
토파인의 기독교 개종은 이름뿐인 경우가 많았다. 샤머니즘을 믿는 토파인 무당들은 1930년 소련 정부에 의해 탄압받기 전까지 존재했다.[8] 젊은이들은 러시아어도 사용하며, 전통적인 수렵 채집 생활과 샤머니즘 신앙은 쇠퇴를 면치 못했다.
참조
[1]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4-08-31
[2]
웹사이트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 National composition of population, 2001 census
http://2001.ukrcensu[...]
[3]
서적
Islamic Peoples of the Soviet Union (with an appendix on the non-Muslim Turkic peoples of the Soviet Union)
Routledge
[4]
논문
Современные тофалары (опыт интервальн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https://nit.tuva.asi[...]
2016-09-03
[5]
논문
People of the Deer Living near Lake Baikal: Dynamics of Ethno-Cultural Identity of Modern Tofalars
https://elib.sfu-kra[...]
2018-08-16
[6]
웹사이트
Reindeer Herding in the Eastern Sayan- A Story of the Soyot
https://www.cultural[...]
2023-09-17
[7]
웹사이트
Endangered languages in Northeast Asia: report
http://www.helsinki.[...]
2024-07-22
[8]
웹사이트
Tofalar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3-09-17
[9]
웹사이트
The Tofalars
https://www.eki.ee/b[...]
The Red Book of the Peoples of the Russian Empire
2020-09-05
[10]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and Soviet Empir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1]
웹사이트
Tofalars and Soyots - the Peoples Lost around Baikal
https://1baikal.ru/e[...]
2023-09-17
[12]
웹사이트
Valentin Rassadin
https://therussianre[...]
2023-09-17
[13]
웹사이트
Tofalar - International Centre for Reindeer Husbandry - ICR
https://reindeerherd[...]
2023-09-17
[14]
웹사이트
Tofalaria: How people and deer coexist in the Siberian taiga
https://www.rbth.com[...]
2023-09-17
[15]
문서
Miroslava Derenko et al. 2005, Contrasting patterns of Y-chromosome variation in South Siberian populations from Baikal and Altai-Sayan reg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