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니장어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톱니장어과는 뱀장어목에 속하는 물고기 과로, 2속 11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톱니장어속(Serrivomer)과 스테모니디움속(Stemonidium)을 포함하며, 2013년 계통 분류에 따르면 스파게티장어과의 자매군으로 도요새장어과, 케마과와 함께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서양의 물고기 - 바다칠성장어
바다칠성장어는 턱이 없는 원구류 어류로 흡반 모양의 입으로 다른 어류의 혈액을 섭취하며, 북대서양과 서대서양, 유럽과 북미 해안에 분포하고, 강에서 유생 시기를 거쳐 바다에서 기생 생활을 한 뒤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강해성 어류이지만, 북미 오대호에서는 침입종으로 분류되어 방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대서양의 물고기 - 청어과
청어과는 대서양과 태평양 연안에 주로 서식하는 해양 어류 분류군으로, 머리에 비늘이 없고 긴 아가미 갈퀴를 이용해 플랑크톤을 걸러 먹으며, 청어, 정어리, 멸치 등이 대표적이다. - 인도양의 물고기 - 숭어
숭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 연안과 기수역에 서식하는 잡식성 어류로, 가로줄이 있는 몸과 얇은 입술, 지방눈꺼풀이 특징이며, 해조류 등을 섭취하고 무리 생활을 하며,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알은 가공식품으로도 쓰인다. - 인도양의 물고기 - 스톤피쉬
스톤피쉬는 인도양과 태평양에 서식하며 위장술과 독성을 가진 물고기로, 식용 및 관상어로 이용되나 독성으로 인해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되어 보호 노력이 요구되고, 문화적으로 은밀함 등을 상징한다. - 태평양의 물고기 - 송어
송어는 연어과에 속하며 흑색 반점을 가진 어류로, 강해형과 육봉형이 있으며 동해안에서 어업 대상이며, 개체 수 감소로 보전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태평양의 물고기 - 연어
연어는 태평양과 북극해에 분포하며 강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성장 후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어류로, 몸 색깔이 변하고 기름지느러미가 있으며 물렁뼈 비중이 높은 골격 구조를 가진 중요한 수산 자원이지만, 개체 수 감소가 심각한 문제이다.
톱니장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과 | 톱니장어과 (Serrivomeridae) |
학명 | Serrivomeridae |
명명자 | Trewavas, 1932 |
하위 분류 | |
속 | Stomias Serrivomer |
2. 하위 종
- 톱니장어속 (''Serrivomer'')
- 스테모니디움속 (''Stemonidium'')
2. 1. 톱니장어속 (''Serrivomer'')
Serrivomer (T. N. 길 & 라이더, 1883)2. 2. 스테모니디움속 (''Stemonidium'')
스테모니디움속(Stemonidium)은 C. H. 길버트가 1905년에 처음 기술하였다.[3][5]3. 계통 분류
2013년 현재, 톱니장어과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6]
{| class="wikitable"
|-
! 뱀장어목
|-
|
|-
|
{| class="wikitable"
|-
| 스파게티장어과
|-
|
{| class="wikitable"
|-
| 도요새장어과
|-
|
케마과 |
톱니장어과 |
|}
|-
|
{| class="wikitable"
|-
| 모노그나투스과
|-
|
|-
| 뱀장어과
|}
|}
|}
하위 섹션에서 뱀장어목 내 톱니장어과의 위치와 뱀장어목 전체 계통 분류를 더 자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이 섹션에서는 톱니장어과가 뱀장어목의 하위 분류군 중 하나라는 점만 간략하게 표로 나타내었다.
3. 1. 뱀장어목 내 톱니장어과의 위치
2013년 현재, 뱀장어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6]{| class="wikitable"
|-
! 뱀장어목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스파게티장어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도요새장어과
|-
|
케마과 |
톱니장어과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모노그나투스과
|-
|
|}
|-
| 뱀장어과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긴목장어과 + 클롭시스과 + 붕장어과 + 먹붕장어과
|-
|
{| class="wikitable"
|-
| 붕장어과 + 오리주둥이장어과
|-
|
{| class="wikitable"
|-
| 붕장어과
|-
|
|}
|}
|}
|-
|
{| class="wikitable"
|-
| 클롭시스과
|-
| 곰치아목
{| class="wikitable"
|-
| 진흙장어과
|-
|
|}
|}
|}
|}
|}
3. 2. 뱀장어목 전체 계통 분류
2013년 현재, 뱀장어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6]{| class="wikitable"
|-
! 뱀장어목
|-
|
|-
|
{| class="wikitable"
|-
| 스파게티장어과
|-
|
{| class="wikitable"
|-
| 도요새장어과
|-
|
케마과 |
톱니장어과 |
|}
|-
|
{| class="wikitable"
|-
| 모노그나투스과
|-
|
|-
| 뱀장어과
|}
|}
|-
|
{| class="wikitable"
|-
| 긴목장어과 + 클롭시스과 + 붕장어과 + 먹붕장어과
|-
|
{| class="wikitable"
|-
| 붕장어과 + 오리주둥이장어과
|-
|
{| class="wikitable"
|-
| 붕장어과
|-
|
|}
|}
|}
|-
|
{| class="wikitable"
|-
| 클롭시스과
|-
| 곰치아목
|-
|
{| class="wikitable"
|-
| 진흙장어과
|-
|
|}
|}
|}
참조
[1]
저널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2014-11-11
[2]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3]
FishBase
[4]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5]
FishBase
[6]
저널
A multi-locus molecular timescale for the origin and diversification of eel-like fishes (Order: Anguilliform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http://www.scienced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