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랙 스파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랙 스파이크는 육상 경기와 기타 스포츠에서 사용되는 신발로, 밑창에 부착된 스파이크(돌기)를 통해 접지력을 향상시킨다. 19세기 중반 영국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초기에는 J.W. 포스터 앤 선스가 개발한 러닝 펌프가 유명해졌다. 이후 아돌프 다슬러가 캔버스와 고무를 활용한 트랙 스파이크를 개발하고, 다양한 선수들이 사용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트랙 스파이크는 단거리, 장거리, 중거리, 크로스컨트리 등 육상 경기 종류에 따라 디자인이 다르며, 야구, 축구, 골프 등 다른 스포츠에서도 사용된다. 스파이크는 피라미드, 니들, 컴프레션 티어, 타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아디다스, 나이키 등 여러 회사에서 제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운동화 - 스니커즈
스니커즈는 고무 밑창 운동화로, 플림솔에서 시작되어 스포츠 인기와 브랜드 경쟁, 문화적 융합을 거치며 패션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고, 한정판, 리셀, 가상 스니커즈 등으로 문화적,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 운동화 - 에어 포스 (신발)
에어 포스 (신발)은 1982년 나이키에서 출시된 농구화로, 에어 기술을 통해 기능성을 높이고 스트리트 패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지만, 가격 및 유행에 대한 비판도 있으며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추구하고 있다. - 잉글랜드의 발명품 - 기관총
기관총은 자동 사격이 가능하며, 19세기 개틀링 건에서 시작되어 맥심 기관총을 거쳐 발전했고, 제1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참호전의 주요 무기가 되었으며, 냉각 방식, 사용 탄약, 작동 방식에 따라 종류가 나뉘어 제압 사격, 지역 거부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 잉글랜드의 발명품 - 진공관
진공관은 진공 상태 용기 내부에 전극을 갖춘 전자 장치로, 다이오드와 트라이오드 발명 후 20세기 중반까지 널리 쓰였으나 트랜지스터 등장으로 사용이 줄었지만, 고주파/고출력 분야나 오디오 앰프 등 특정 분야에서 다양한 종류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트랙 스파이크 | |
---|---|
개요 | |
종류 | 스포츠 신발 |
용도 | 육상 크로스 컨트리 |
특징 | 밑창에 돌출된 스파이크가 있음 |
구조 및 디자인 | |
스파이크 개수 | 단거리: 5-11개 장거리: 4-6개 |
스파이크 재료 | 세라믹 금속 플라스틱 |
갑피 재료 | 인조 가죽 섬유 플라스틱 |
밑창 재료 | 고무 플라스틱 |
무게 | 매우 가벼움 |
사용 | |
육상 | 트랙에서의 접지력 향상 및 성능 향상 |
크로스 컨트리 | 다양한 지형에서의 접지력 향상 |
장점 및 단점 | |
장점 | 접지력 향상 성능 향상 가벼운 무게 |
단점 | 일반적인 보행에는 부적합 특정 트랙에서만 사용 가능 가격이 비쌈 |
추가 정보 | |
다른 이름 | 스파이크화 육상화 |
2. 역사
트랙 스파이크는 1860년대 영국에서 인기를 얻었지만,[14] 달리기 견인력을 제공하는 신발에 스파이크를 부착하는 개념은 그보다 훨씬 이전부터 존재했다. 사도 바울로 시대(기원 5년경 – 기원 67년경)의 군사 무기에 관한 1852년 출판물 칼멧(Calmet)의 성경 사전에 관련 기록이 있다.
2. 1. 초기 역사
사도 바울로 시대 (기원 5년 – 기원 67년경)의 군사용 무기에 관한 기록에서도 스파이크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14] 1852년 출판된 ''칼메 성경 사전''에는 군화에 스파이크를 박아 접지력을 높였다는 기록이 있다.[2] 19세기 중반, 영국에서 트랙 스파이크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2. 2. 발전 과정
J.W. 포스터 앤 선스는 스파이크 사용을 개척한 혁신적인 러닝 펌프를 개발하여 영국 선수들에게 널리 보급했다.[3] 1924년 파리 하계 올림픽 100m 챔피언 해럴드 에이브라함스가 이 신발을 착용하여 유명해졌다.[3][4]

글렌 스코비 워너(팝 워너)는 1934년 자신의 저서에서 러닝 경기에 트랙 스파이크를 추천했다.[5] 아돌프 다슬러(아디다스 창립자)는 캔버스와 고무를 활용한 트랙 스파이크를 개발하여 제시 오언스(1936년 올림픽)와 에밀 자토펙(1952년 올림픽) 등 유명 선수들이 사용했다.[6][7]
3. 디자인
트랙 스파이크는 매우 가볍고, 일부 신발은 약 141.75g로, 일반적인 운동화 무게의 절반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육상화는 발가락 부분이 위로 구부러져 있다. 일부 신발에는 제거할 수 없는 영구적인 스파이크가 달려 있기도 하다. 스파이크는 경기 중에 부러질 수 있다.
3. 1. 스파이크 플레이트

밑창 앞부분에는 스파이크 웰이라고 하는 나사산 구멍이 3개에서 9개 사이로 있는 딱딱하거나 반쯤 딱딱한 스파이크 플레이트가 있다. 스파이크는 스파이크 렌치를 사용하여 각 웰에 나사로 조일 수 있다.[8] 최근 일부 개인은 스파이크를 조이고, 제거하고, 설치하기 쉽도록 스파이크 바닥에 "관통 구멍"을 추가하려고 시도했다.[8]
3. 2. 테이퍼
대부분의 육상화는 발가락 부분이 위로 구부러진 형태를 하고 있는데, 이는 돌출된 스파이크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선수들이 발가락으로 달리도록 돕기 위해서이다. "테이퍼"라고 알려진 이 위쪽 각도는 신발의 용도에 따라 크게 다르며, 딱딱하거나 유연할 수 있다. 큰 테이퍼를 가진 신발은 "공격적"이라고 한다.[9]3. 3. 착용 시 주의사항
이 신발 디자인은 경기 외에 장기간 착용할 경우 선수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 천천히 걷는 경우에는 선수가 발가락으로 있지 않아 부상을 입을 수 있는데, 이는 신발을 착용하도록 설계된 방식이 아니기 때문이다.[9]4. 종류
육상 경기에서 사용 목적에 따라 트랙화의 종류는 다양하다.
단거리 달리기용 스파이크는 스파이크 홈이 가장 많고 매우 뻣뻣한 스파이크 판을 가진다. 테이퍼는 단거리 스파이크에서 가장 높고 견고하여 각 보폭에서 에너지 전달 효율을 극대화한다. 단거리 선수들은 발가락으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므로 발꿈치 지지대는 거의 필요하지 않다. 공기역학을 개선하기 위해 끈 외에 또는 끈 대신 지퍼 덮개를 사용하기도 한다. 단거리 스파이크는 꼭 맞아야 하지만, 주자의 발가락에 경련이 일어날 정도로 너무 꽉 끼거나, 힘과 속도를 잃을 정도로 너무 헐렁해서는 안 된다. 일반 운동화보다 더 꽉 맞으면서도 경기를 치르기에 충분히 편안해야 한다.
장거리 달리기용 신발은 테이퍼가 적고 스파이크가 적으며, 더 유연한 스파이크 플레이트를 가진다. 경주 거리가 길기 때문에 미드풋과 힐을 통한 지지력이 중요하다. 장거리 스파이크는 일반적으로 특히 힐 부위를 통해 더 부드럽고 내구성이 뛰어난 밑창을 가진다. 착용감은 "장갑처럼" 꼭 맞지만, 단거리 스파이크보다 약간 헐렁하다.
중거리 달리기용 스파이크는 단거리용과 장거리용의 중간 형태로, 중간 수준의 테이퍼, 스파이크 플레이트 강성, 쿠션 및 지지력을 특징으로 한다. 허들 선수들에게도 인기가 있는데, 스프린트를 위한 비교적 가파른 테이퍼와 착지를 위한 쿠션 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크로스컨트리 달리기용 스파이크는 보통 6개 이하의 스파이크 포인트를 가지며, 장거리 스파이크와 비슷하다. 트랙 밖의 다양한 지형을 고려하여, 트랙에서 필요하지 않은 수준의 쿠션과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더 튼튼한 고무 밑창과 지지력 있는 미드풋을 갖추고 있다. 경주 길이, 표면 유형, 개인 선호도에 따라 레이싱 플랫으로 대체할 수 있다.
멀리뛰기 신발은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도록 단거리 스파이크와 비슷하다. 높이뛰기 신발은 발 전체로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평평한 바닥과 뒤꿈치에 스파이크가 달려 있다. 장애물 경주 신발은 물이 잘 빠지고 통풍이 잘 되도록 주로 방수 메시 소재로 만들어진다. 포환던지기, 원반던지기, 해머던지기 신발은 스파이크가 없는 평평한 고무 밑창을 가지고 있지만, "트랙 스파이크"라고 불리기도 하는 등 필드 경기 및 특수 이벤트용 신발은 각 종목의 특성에 따라 디자인이 매우 다르다.
대표적인 스파이크 제조사로는 아디다스(Adidas), 아식스(ASICS), 브룩스(Brooks Sports, Inc.), 미즈노(Mizuno Corporation), 뉴발란스(New Balance), 나이키(Nike, Inc.), 푸마(Puma AG), 리복(Reebok) 및 서코니(Saucony)가 있다.
4. 1. 육상 경기용

육상 경기에서는 로드 레이스나 해머 던지기 등 일부 종목을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트랙 스파이크를 사용하며, 교체 가능한 금속제 부품(핀)을 종목, 경기장의 특성, 날씨 등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한다.[1]
경기장 특성에 따라 사용되는 핀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경기장 종류 | 핀 종류 | 특징 |
---|---|---|
전천후 트랙 | 평행 핀 | 폴리우레탄이나 합성 고무와 같은 트랙 재질에 적합하며, 끝이 뾰족하지 않다. |
앙투카 경기장, 흙 운동장 | 압정형 핀 | 흙 트랙에 적합하며, 끝이 뾰족하다. |
많은 경기장에서 핀에 대한 규제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 또한, 금속 핀은 제조사마다 기준이 달라 호환성이 거의 없다. 즉, A사 신발에 B사 핀을 장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1]
트랙화는 사용 목적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
- 단거리 달리기용 스파이크는 스파이크 홀이 가장 많고 매우 뻣뻣한 스파이크 플레이트를 가지며, 발꿈치 지지대는 거의 필요하지 않다.
- 장거리 달리기용 스파이크는 테이퍼가 적고 스파이크가 적으며, 더 유연한 스파이크 플레이트를 가진다. 미드풋과 힐을 통한 지지력이 중요하다.
- 중거리 달리기용 스파이크는 단거리와 장거리의 중간 형태로, 중간 수준의 테이퍼, 스파이크 플레이트 강성, 쿠션 및 지지력을 특징으로 한다. 허들 선수에게도 적합하다.
- 크로스컨트리 달리기용 스파이크는 보통 6개 이하의 스파이크 포인트를 가지며, 트랙 밖의 다양한 지형을 고려하여 쿠션과 안정성이 강화되었다.
- 필드 경기 및 특수 이벤트용 신발은 각 종목의 특성에 따라 디자인이 매우 다르다.
주목할 만한 스파이크 제조업체로는 아디다스(Adidas), 아식스(ASICS), 브룩스(Brooks Sports, Inc.), 미즈노(Mizuno Corporation), 뉴발란스(New Balance), 나이키(Nike, Inc.), 푸마(Puma AG), 리복(Reebok) 및 서코니(Saucony)가 있다.
4. 1. 1. 단거리 달리기용
단거리 달리기용 스파이크는 보통 스파이크 홈이 가장 많은 매우 뻣뻣한 스파이크 판을 가지고 있다. 테이퍼는 단거리 스파이크에서 가장 높고 견고하여 각 보폭에서 에너지 전달 효율을 극대화한다. 단거리 선수들은 발가락으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므로 발꿈치 지지대는 거의 필요하지 않다. 공기역학을 개선하기 위해 끈 외에 또는 끈 대신 지퍼 덮개를 사용하기도 한다. 단거리 스파이크는 꼭 맞아야 하지만, 주자의 발가락에 경련이 일어날 정도로 너무 꽉 끼어서는 안 되며, 주자가 힘과 속도를 잃을 정도로 너무 헐렁해서도 안 된다. 일반 운동화보다 더 꽉 맞으면서도 경기를 치르기에 충분히 편안해야 한다.
4. 1. 2. 장거리 달리기용
장거리 달리기용 신발은 테이퍼가 적고 스파이크가 적은 더 유연한 스파이크 플레이트를 가지고 있다. 경주 거리가 길기 때문에 미드풋과 힐을 통한 지지력은 장거리 스파이크의 효율성만큼 중요하다. 이는 장거리 스파이크가 일반적으로 특히 힐 부위를 통해 더 부드럽고 내구성이 뛰어난 밑창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장거리 스파이크의 착용감은 "장갑처럼" 꼭 맞지만, 일반적으로 단거리 스파이크보다 약간 헐렁하다.4. 1. 3. 중거리 달리기용
중거리 스파이크는 단거리용 스파이크와 장거리용 스파이크의 중간 형태로, 중간 수준의 테이퍼, 스파이크 플레이트 강성, 쿠션 및 지지력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 중거리 스파이크는 허들 선수들에게도 인기가 있는데, 이는 스프린트를 위한 비교적 가파른 테이퍼와 착지를 위한 쿠션 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4. 1. 4. 크로스컨트리 달리기용
크로스컨트리 달리기용 스파이크는 보통 6개 이하의 스파이크 포인트를 가지며, 여러 면에서 장거리 스파이크와 비슷하다. 하지만 트랙 밖의 다양한 지형을 고려하여, 크로스컨트리 스파이크는 트랙에서 필요하지 않은 수준의 쿠션과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더 튼튼한 고무 밑창과 지지력 있는 미드풋을 갖추고 있다. 경주 길이, 표면 유형, 개인 선호도에 따라 크로스컨트리 스파이크는 레이싱 플랫으로 대체할 수 있다.4. 1. 5. 필드 경기 및 특수 이벤트용
필드 경기 및 특수 이벤트용 신발은 각 종목의 특성에 따라 디자인이 매우 다르다. 예를 들어, 멀리뛰기 신발은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도록 단거리 스파이크와 비슷하다. 높이뛰기 신발은 발 전체로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평평한 바닥과 뒤꿈치에 스파이크가 달려 있다. 장애물 경주 신발은 물이 잘 빠지고 통풍이 잘 되도록 주로 방수 메시 소재로 만들어진다. 포환던지기, 원반던지기, 해머던지기 신발은 스파이크가 없는 평평한 고무 밑창을 가지고 있지만, "트랙 스파이크"라고 불리기도 한다.
4. 2. 기타 스포츠용
스포츠에서는 지면과의 접지력을 높여 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파이크 슈즈를 사용한다. 주로 야구, 축구, 육상 경기 등에서 사용되며, 배구나 핸드볼과 같이 체육관처럼 단단한 바닥에서 하는 경기에는 고무 등으로 접지력을 높인 신발을 사용한다. 스파이크 신발을 사용하는 경기 중 신체 접촉이 심한 스포츠에서는 접촉 플레이 시 위험이 따르기도 한다.'스파이크'라는 용어는 일본에서만 통용되는 일본식 영어 표현이며, 영어로는 징이나 돌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신발 자체를 지칭할 때는 클리트라고 부르는 것이 올바른 표현이다.
4. 2. 1. 야구

야구 경기에서는 프로, 아마추어, 경식, 연식 야구를 불문하고 스터드(징)가 있는 스파이크를 착용한다. 스터드의 모양은 이, 발톱, 사마귀 등 다양하다.
스파이크 윗부분(어퍼)은 천연 가죽, 합성 피혁, 합성 수지 등으로 만들어지며, 경기 중 슬라이딩, 투구, 타격 등으로 지면과의 마찰이 많기 때문에 내구성을 높인 구조로 되어 있다. 끈이나 벨크로(찍찍이)로 조이는 방식이 있으며, 대회 규정에 따라 팀 전원이 같은 색상과 디자인의 스파이크를 착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유니폼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고교 야구에서는 2019년까지 검은색 스파이크만 허용되었으나, 열사병 대책으로 흰색도 허용되었다.[11][12] 검은색 스파이크를 사용했던 이유는 기술 부족, 미국에서 전해진 스파이크가 검은색이었다는 등 여러 설이 있다.[12] 하지만 현재도 광택이 있는 에나멜 소재는 사용할 수 없다.[13]
스파이크 밑창(솔)은 금속 스터드, 합성 수지 스터드, 합성 수지 멀티 퍼포스 스터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라운드 상황, 규정, 대회 규정, 소속 단체 등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한다.
- 금속 스터드 스파이크: 강재나 티타늄으로 된 징이 박혀 있어 흙이나 천연 잔디에서 강한 그립력을 발휘한다. 인조 잔디에서는 미끄러지기 쉽다. (우노 헤딩 사건의 원인으로 우노 마사루는 이를 주장한다.) 스터드를 교체할 수 있는 제품이 많으며, 수지 재질의 교체용 스터드가 옵션으로 제공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스터드 배치 형상을 다양화하여 선수들의 플레이 스타일에 맞는 스파이크가 판매되고 있다. 밑창은 합성 수지나 천연 가죽을 사용하며, 고교 야구에서는 천연 가죽, 프로 야구에서는 가벼운 합성 수지 소재가 많이 사용된다. 북미에서는 대부분 합성 수지 소재를 사용한다. 스터드 접합 방식에 따라 마모된 스터드의 교체 방법이 다르다.
- 합성 수지 멀티 퍼포스 스터드 스파이크: 경질 고무 소재의 사마귀 모양 스터드가 밑창 전체를 덮고 있어 인조 잔디에서 강한 그립력을 발휘한다. 천연 잔디에서는 어느 정도 그립력을 가지지만, 흙에서는 미끄러지기 쉽다. 트레이닝 슈즈나 업 슈즈라고도 불리며, 가벼운 연습용으로도 사용된다. 프로나 고교 야구에서는 금속 스터드와 번갈아 사용하기도 한다. 인조 잔디 야구장에서도 타석, 마운드, 베이스 주변은 흙과 비슷한 앤츠커(더트 서클)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 합성 수지 스터드 스파이크: 경질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지며 흙, 천연 잔디, 인조 잔디 모두 사용 가능하다. 금속 스터드보다 가볍고 쿠션성이 좋아 몸에 부담이 덜하지만, 흙이나 천연 잔디에서는 그립력이 떨어진다.
4. 2. 2. 축구
축구에서 스파이크는 스터드의 고정 방법과 어퍼(갑피)의 종류에 따라 분류된다.스터드는 밑창에 고정된 '스터드 고정형'과 나중에 장착하는 '스터드 교체형'이 있다. 스터드 고정형은 수지로 만들어져 마모 내구성이 뛰어나며, 13~15개의 스터드가 일반적이다. 원통형, 칼날형 등 다양한 모양이 있으며, 교체형보다 지면 반발력을 줄이고 가볍게 만들 수 있다. 스터드 교체형은 밑창에 암나사가 박혀 있고, 숫나사가 새겨진 스터드를 돌려서 사용한다. 스터드는 수지, 알루미늄, 철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미끄러운 그라운드에서 그립력이 좋아 골키퍼나 수비수들이 주로 사용한다.
어퍼는 공이 직접 닿는 부분으로, 천연 가죽과 인조 가죽으로 나뉜다. 캥거루 가죽은 얇고 유연하며 튼튼하고 가벼워 축구화에 최적의 소재로 꼽힌다. 소가죽은 캥거루 가죽보다 두껍고 튼튼하며 저렴하다. 인조 가죽은 가볍고 튼튼하며 내수성이 좋고 관리가 쉽지만, 천연 가죽에 비해 유연성과 통기성이 떨어진다.
4. 2. 3. 골프
최근, 그린 위 잔디를 보호하기 위해 수지제 소프트 스파이크 또는 스파이크리스 신발만 사용할 수 있는 코스가 늘고 있다.[1]5. 스파이크의 종류
스파이크는 대부분 약 7.62cm에서 약 2.54cm 사이의 길이를 가지지만, 가장 흔한 길이는 약 2.54cm이다. 다양한 특수 길이의 스파이크와 스파이크 홀을 덮는 데 사용되는 "블랭크" 스파이크(스터드라고도 함)도 있다. 스파이크는 주로 금속 또는 세라믹으로 만들어지며, 피라미드, 니들(핀), 컴프레션 티어(크리스마스 트리)의 세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5. 1. 피라미드 스파이크
피라미드는 뾰족한 점으로 가늘어지는 원뿔형 스파이크이다. 일반적으로 스파이크 나사산의 직경과 거의 같은 최대 직경을 갖는다.[10]5. 2. 니들 스파이크 (핀)
니들(핀)은 뾰족한 점을 가지고 있지만 더 얇은 원뿔 직경을 갖는 스파이크이다. 트랙 스파이크는 트랙 표면을 관통하여 견인력을 생성한다. 일부 트랙에서는 핀 스파이크를 허용하지 않으며, 트랙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피라미드 스파이크의 길이를 제한하기도 한다.[10]
5. 3. 컴프레션 티어 스파이크 (크리스마스 트리)
컴프레션 티어 스파이크는 크리스마스 트리 스파이크라고도 불린다. 계단식 원뿔 모양으로, 평평한 끝부분이 트랙을 관통하기보다는 압축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압축 스파이크가 트랙 관통력이 적다는 개념은 과학적 연구로 뒷받침되지 않는다.[10]5. 4. 타탄 스파이크
타탄 스파이크는 고무 트랙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무딘 형태이다.[10]
6. 주요 스파이크 제조업체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American amateur athletics and aquatics: with the records
https://www.google.c[...]
Outing company
2011-03-08
[2]
서적
Calmet's Dictionary of the Holy Bible, as published by the late Mr. Charles Taylor, with the fragments incorporated
https://books.google[...]
Crocker & Brewster
2011-03-08
[3]
서적
Golden Kicks: The Shoes that Changed Sport
Bloomsbury Publishing
2016
[4]
뉴스
Market Place; The Surging Reebok Stock
https://www.nytimes.[...]
2015-02-24
[5]
서적
"Pop" Warner's book for boys
https://www.google.c[...]
R.M. McBride & company
2011-03-08
[6]
뉴스
History of athletics spikes
https://spikes.insid[...]
2020-05-19
[7]
뉴스
The History of Track Spikes
https://www.freelapu[...]
2017-06-02
[8]
웹사이트
University of Nebraska Newsroom
http://newsroom.unl.[...]
[9]
간행물
BIOMECHANICAL EVALUATION OF MODIFIED TRACK SHOES
http://etd.lsu.edu/d[...]
2010
[10]
뉴스
Christmas Tree Spikes
https://spikes.insid[...]
2020-05-19
[11]
웹사이트
甲子園で球児たちに聞いた「白スパイク」の効果。32校中14校が導入|高校野球他|集英社 スポルティーバ 公式サイト web Sportiva
https://sportiva.shu[...]
2023-01-31
[12]
웹사이트
甲子園に「白スパイク」ブーム これまではアウト、そもそもなぜ黒?
https://mainichi.jp/[...]
2023-01-31
[13]
웹사이트
2020年度高校野球用具の使用制限
https://www.jhbf.or.[...]
公益財団法人日本高等学校野球連盟
2023-01-31
[14]
서적
A history of American amateur athletics and aquatics: with the records
https://www.google.c[...]
Outing company
2011-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