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트리글리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리글리프는 도리스식 프리즈에서 사용되는 건축 요소로, 메토프 사이를 장식하는 세 개의 수직 홈이 있는 석판이다. 트리글리프는 메토프와 함께 하나의 블록으로 조각되거나, 트리글리프 블록에 홈을 내어 메토프를 끼워 넣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도리스 양식에서는 모서리 부분의 트리글리프 배치에 변화가 있었으며, 르네상스 이후 건축에서는 장식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건축 - 프리즈 (건축)
    프리즈는 건축에서 건물의 외관을 장식하는 띠 형태를 지칭하며, 고대 그리스 건축의 에레크테이온 신전, 아케메네스 왕조, 고대 인도 예술 등에서 다양한 모티브로 활용되었다.
  • 고전주의 건축 - 프리즈 (건축)
    프리즈는 건축에서 건물의 외관을 장식하는 띠 형태를 지칭하며, 고대 그리스 건축의 에레크테이온 신전, 아케메네스 왕조, 고대 인도 예술 등에서 다양한 모티브로 활용되었다.
  • 고전주의 건축 - 주범 양식
    주범 양식은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부터 르네상스 시대를 거쳐 체계화된 건축 양식으로, 기둥과 엔타블레이쳐로 구성되며, 도리아식, 이오니아식, 코린트식 등 다섯 가지 주요 양식이 존재한다.
  • 기둥 - 모나스
    모나스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독립 기념탑으로, 수카르노 대통령의 제안으로 건설되었으며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의 의지를 상징하는 금박 불꽃 조형물과 인도네시아 역사를 보여주는 국립역사박물관이 있다.
  • 기둥 - 카리아티드
    카리아티드는 건축에서 기둥 역할을 하는 여성 조각상으로, 고대 그리스 카리아이 여인들을 묘사한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에레크테이온 등에서 사용되고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상징적으로 활용된다.
트리글리프

2. 구조 및 배치

트리글리프는 메토프와 함께 하나의 블록으로 조각하거나, 아파이아 신전처럼 트리글리프 블록에 홈을 만들어 메토프를 끼워 넣기도 한다. 포체 델 셀레에서 발견된 6세기 메토프는 두 가지 제작 방식이 모두 사용되었다. 건축 디자인의 조화를 위해 트리글리프 배치는 약간씩 달라질 수 있으며, 도리스 양식 기둥이 발전하면서 특히 모서리 부분의 배치가 변화했다.[1]

2. 1. 도리스 양식에서의 변화

아파이아 신전의 도리스식 프리즈에 있는 트리글리프에는 메토프를 삽입하기 위한 홈이 있다.


구조적으로 보면, 트리글리프는 메토프가 있는 하나의 단일 블록에서 조각될 수도 있고, 아파이아 신전의 경우와 같이 트리글리프 블록에 홈(슬롯)을 낸 후 그 자리에 돌이나 나무로 만들어 자른 메토프를 별도로 밀어 넣어 끼울 수도 있다. 현재 파에스툼 국립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이탈리아의 포체 델 셀레에서 발견된 6세기 메토프 두 그룹 중 한 그룹은 첫 번째 방법이 사용되었고, 나머지 다른 그룹은 두 번째 방법이 사용됐다. 단일 구조물 내에서도 모서리의 축소, 신전의 기둥 간의 간격 조정과 도리스식 프리즈의 배열 등을 허용하여 디자인에 약간의 변형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디자인이 보다 조화롭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도리스식 기둥이 발전하면서 트리글리프의 배치도 다소 변화했는데, 특히 모서리 부분에 트리글리프가 배치되었다.

3. 도리스 양식 외의 활용

르네상스 이후 건축에서는 엄격한 관습이 버려지는 경우가 있었으며, 구타에와 트리글리프는 단독으로 또는 함께 장식으로 다소 무작위적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프라하의 체르닌 궁전에는 트리글리프와 구타에 장식이 있다.[2]

3. 1. 르네상스 이후의 변용

프라하의 체르닌 궁전(1660년대)에는 아치 상단에 트리글리프와 구타에 장식이 있다.


르네상스 이후 건축에서는 엄격한 관습이 버려지는 경우가 있었으며, 구타에와 트리글리프는 단독으로 또는 함께 장식으로 다소 무작위적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프라하의 1660년대 바로크 양식으로 지어진 체르닌 궁전은 아치 상단에 트리글리프와 구타에 장식이 있고, 외관에는 이오니아 양식이 다방면으로 사용됐다.

4. 갤러리

스트라토스에 있는 제우스 신전의 한 블록에서 잘려진 메토프(왼쪽)와 트리글리프(오른쪽)


델포이의 마르마리아에 있는 메토프를 삽입하기 위한 홈이 있는 트리글리프 블록


세게스타의 한 사원의 엔타블러처 세부 모습, 트리글리프(그 아래 6개의 구타에)와 메토프, 그리고 테니아가 보인다

참조

[1] 문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 기반 문서
[2] 서적 The Dancing Column: On Order in Architecture MIT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