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특이점 (대수기하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특이점은 대수기하학에서 스킴의 국소환이 정칙 국소환이 아닌 점을 의미한다. 대수적으로 닫힌 체 K 위의 대수다양체가 정칙 스킴이면 비특이 대수다양체라고 부른다. 일반적인 초곡면의 특이점은 모든 편미분이 동시에 소멸되는 점이며, 야코비 행렬을 이용하여 특이점을 판별할 수 있다. 아핀 공간과 사영 공간은 비특이 대수다양체의 예시이다. 특이점은 국소적인 성질이므로 매끄러운 사상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사상의 제트를 고려하여 대수적 다양체의 경우로 축소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특이점 이론 - 임계점 (수학)
    임계점은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미분 가능한 실수 함수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점으로, 실변수 함수의 경우 미분 불가능하거나 도함수가 0인 정의역 내의 값이며, 함수의 극값 위치를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특이점 이론 - 파국 이론
    파국 이론은 포텐셜 함수의 퇴화 임계점을 분석하여 시스템의 급격한 변화를 설명하며, 톰은 특정 조건 하에 일곱 가지 기본 파국 구조를 제시했고, 빛의 굴절, 중력 렌즈 효과, 과학 및 사회 현상 모델링, 특히 커스틱 패턴 설명에 응용된다.
  • 대수기하학 - 타원곡선
    타원곡선은 체 위에서 정의되고 특이점이 없으며 종수가 1인 사영 대수 곡선으로, 유리점을 가지며, 특정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실수체 위에서는 연결 성분 개수가 판별식에 따라 달라지며, 복소수체 위에서는 원환면과 위상적으로 동형이고, 점들 간에 군 연산이 정의되어 암호학 및 정수론에 활용된다.
  • 대수기하학 - 매끄러운 함수
    매끄러운 함수는 함수의 미분 가능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k번 미분 가능하고 그 미분 함수가 연속일 경우 Ck로 표기하며, 무한히 미분 가능한 함수를 의미하고, 곡선의 부드러움을 측정하는 데 활용된다.
특이점 (대수기하학)
정의
설명대수다양체 V 위의 점 P가 특이점이라는 것은 그 점에서의 국소환이 정칙환이 아니라는 것이다.
다른 정의대수다양체 V가 아핀 공간의 부분집합이고 P가 V 위의 점일 때, V를 정의하는 다항식의 야코비 행렬의 계수가 P에서 다양체의 차원보다 작으면 P는 V의 특이점이다.
예시방정식 으로 정의되는 평면 대수 곡선은 원점 에서 특이점을 가진다.
상세 정보
평활성특이점을 갖지 않는 대수다양체는 국소 평탄성을 갖는다.
해석적 다양체와의 관계대수다양체의 특이점은 그 다양체가 해석적 다양체가 아닌 점이다.
특이점 해소특이점을 제거하는 과정은 대수기하학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특이점 해소는 주어진 대수다양체와 쌍유리 동치인 비특이 대수다양체를 찾는 것이다.
멱급수의 위수특이점에서 위수는 특이점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가 될 수 있다.
관련 개념
용어미분기하학에서의 특이점, 역학계에서의 특이점
일본어 (ja)
용어代数多様体の特異点 (다이스우타요우타이 노 토쿠이텐)
영어 (en)
용어Singular point of an algebraic variety (싱귤러 포인트 오브 언 알제브레이크 버라이어티)
한국어 (ko)
용어특이점 (대수기하학)

2. 정의

스킴 $(X,\mathcal O_X)$가 임의의 점 $x\in X$에 대하여, 줄기 국소환 $\mathcal O_{X,x}$가 정칙 국소환이면, '''정칙 스킴'''(regular scheme영어)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스킴 $X$의 '''특이점'''은 $\mathcal O_{X,x}$가 정칙 국소환이 아니게 되는 점 $x\in X$이다.

대수적으로 닫힌 체 $K$ 위의 대수다양체 $X\to\operatorname{Spec}K$에 대하여, 만약 $X$가 정칙 스킴이라면, $X$를 '''비특이 대수다양체'''(nonsingular variety영어)라고 한다.[5]

3. 성질

스킴 $(X,\mathcal O_X)$가 임의의 점 $x\in X$에 대하여 줄기 국소환 $\mathcal O_{X,x}$가 정칙 국소환이면, '''정칙 스킴'''(regular scheme영어)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스킴 $X$의 '''특이점'''은 $\mathcal O_{X,x}$가 정칙 국소환이 아닌 점 $x\in X$이다.

대수적으로 닫힌 체 $K$ 위의 대수다양체 $X\to\operatorname{Spec}K$에 대하여, $X$가 정칙 스킴이라면, $X$를 '''비특이 대수다양체'''(nonsingular variety영어)라고 한다.[5]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축소 스킴 ⊋ 정규 스킴 ⊋ 정칙 스킴 ⊋ 위의 매끄러운 스킴

즉, 모든 정칙 스킴은 정규 스킴이며, 임의의 체 $K$에 대하여 모든 매끄러운 $K$-스킴은 정칙 스킴이다. 특히, 완전체 $K$ 위의 $K$-스킴 $X$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X\to\operatorname{Spec}K$는 매끄러운 사상이다.
  • 정칙 스킴이며, $X\to\operatorname{Spec}K$는 국소 유한형 사상이다.


음함수 방정식에 의해 정의된 평면 곡선 $F(x,y)=0$에서 $F$가 매끄러운 함수이고, $F$의 테일러 급수가 이 점에서 차수가 최소 2일 때 해당 점에서 특이점이라고 한다. 그 이유는, 미분 적분학에서 이러한 곡선의 점 $(x_0, y_0)$에서의 접선은 $(x-x_0)F'_x(x_0,y_0) + (y-y_0)F'_y(x_0,y_0)=0$으로 정의되는데, 좌변은 테일러 전개의 1차 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항이 0이면, 접선이 표준적인 방식으로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특이점이 아닌 $V$의 점을 '''비특이점''' 또는 '''정칙점'''이라고 한다. 비특이점이 열린 집합이자 다양체에서 조밀 집합을 형성한다는 의미에서 거의 모든 점은 비특이점이라는 것은 항상 사실이다(자리스키 위상뿐만 아니라, 복소수에서 정의된 다양체의 경우, 일반적인 위상에서도 그렇다).[1]

실수 다양체의 경우, 다양체는 모든 정칙점 근처에서 다양체이다. 그러나 실수 다양체가 다양체일 수 있고 특이점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정식 $y^3 + 2x^2y - x^4 = 0$은 실수 해석적 다양체를 정의하지만 원점에서 특이점을 갖는다.[2]

특이점의 개념은 국소적인 성질이므로, 위의 정의는 매끄러운 사상(''M''에서 '''R'''n으로의 함수로, 모든 미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구성된 더 넓은 클래스로 확장할 수 있다. 이러한 특이점의 해석은 사상의 제트를 고려함으로써 대수다양체의 경우로 귀착시킬 수 있다. ''k''-번째 제트는 ''k''차까지 절단하고 상수항을 제거한, 사상의 테일러 급수이다.

3. 1. 야코비 행렬을 이용한 판별

아핀 대수다양체 X=\operatorname{Spec}K[x_1,\dots,x_n]/\mathfrak a 및 점 x\in X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xX의 특이점이 아니다.
  • \mathfrak a(f_1,\dots,f_k)으로 생성된다면, k\times n 행렬 (\partial f_i/\partial x_j)(x)계수n-\dim X이다.[5]


일반적으로 초곡면의 경우

:F(x,y,z,\ldots) = 0

'''특이점'''은 모든 편미분이 동시에 소멸되는 점이다. 일반적인 대수적 다양체 V가 여러 다항식의 공통 근으로 정의될 때, V의 점 P가 특이점일 조건은 다항식의 1차 편미분의 야코비 행렬P에서 다양체의 다른 점에서의 계수보다 낮은 계수를 갖는 것이다.

4. 예시

대수적으로 닫힌 체 $K$ 위의 아핀 공간 $\mathbb{A}^n_K$와 사영 공간 $\mathbb{P}^n_K$는 비특이 대수다양체이다.

복소 평면 대수 곡선 $\{(x, y) : y^2 - x^2(x+1) = 0\} \subset \mathbb{A}^2$를 살펴보자. 이 곡선의 1×2 야코비 행렬은 $(-(3x+2)x,2y)$이며, $(x,y)=(0,0)$일 때 계수가 0이다. $(0,0)$은 곡선 위에 있으므로, 이 점이 특이점이다.[1]

일반적으로 초곡면 $F(x,y,z,\ldots) = 0$의 특이점은 모든 편미분이 동시에 0이 되는 점이다. 여러 다항식의 공통 근으로 정의되는 일반적인 대수적 다양체 $V$의 점 $P$가 특이점일 조건은 다항식의 1차 편미분의 야코비 행렬이 $P$에서 다양체의 다른 점에서의 계수보다 낮은 계수를 갖는 것이다.

4. 1. 특이점의 종류

고전 대수기하학에서, 특정 특이점은 '노드'라고도 불렸다. 노드는 헤세 행렬이 비특이점인 특이점이다. 이는 특이점이 중복도 2를 가지며 접원뿔이 꼭짓점 밖에서 특이하지 않음을 의미한다.[1]

5. 매끄러운 사상의 특이점

특이점의 개념은 순전히 국소적인 성질이므로, 위의 정의는 더 넓은 부류의 매끄러운 사상(''M''에서 '''R'''n으로의 함수로, 모든 도함수가 존재하는 경우)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특이점에 대한 분석은 사상의 제트를 고려하여 대수적 다양체 경우로 축소될 수 있다. ''k''차 제트는 차수 ''k''에서 잘리고 상수항이 삭제된 사상의 테일러 급수이다.

참조

[1] 서적 Algebraic Geometry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 서적 Singular Points of Complex Hypersurfac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서적 Algebraic Geometry
[4] 서적
[5] 서적 Algebraic Geomet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