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틀레폴레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틀레폴레모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헤라클레스와 아스티오케의 아들이다. 그는 외삼촌 리킴니오스를 살해하고 로도스로 도망쳐 카메이로스, 이알리소스, 린도스의 세 도시 국가를 건설했다. 헬레네의 구혼자 중 한 명이었으며,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여 사르페돈과 싸우다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도스 신화 - 텔키네스
    텔키네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로도스 섬 출신의 아홉 정령으로, 물갈퀴 달린 손과 개의 머리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거나 야금술과 마법 능력이 뛰어나 신들의 무기를 만들고 날씨를 조종하기도 하지만, 신들과 갈등을 겪어 몰락했다는 설화도 존재한다.
  • 로도스 신화 - 헬리아다이
    헬리아다이는 그리스 신화에서 태양신 헬리오스와 님프 로도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들로, 로도스 섬을 다스렸으며 형제간 살인 사건 이후 일부는 섬을 떠나고 후손들은 로도스 섬의 주요 도시 건설에 기여했다.
  • 헤라클레스 가 - 아리스토데모스
    아리스토데모스는 헤라클레스의 후손으로 도리스인의 침입과 스파르타 건국에 관련된 그리스 신화 및 역사 속 인물이며, 스파르타의 왕가와 마케도니아 왕가, 헤라클레이다이 가문의 계보에 등장하여 아기아스 왕조와 에우리폰티드 왕조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 헤라클레스 가 - 헤라클레이다이
    헤라클레이다이는 그리스 신화 영웅 헤라클레스의 후손으로, 도리스인과 함께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침공하여 스파르타, 코린토스, 아르고스, 마케도니아 등지에 왕조를 세우고 세력을 확장했으며,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작품에도 등장한다.
  • 그리스 신화의 왕 - 킬릭스
    킬릭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아게노르의 아들이자 카드모스, 페닉스, 에우로파의 형제로, 소아시아 킬리키아 지역에 정착하여 그 지역 이름의 유래가 되었으며 에우로파 납치 사건과 킬리키아 형성에 관련된 인물이다.
  • 그리스 신화의 왕 - 케팔로스
    케팔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영웅으로, 프로크리스와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와 에오스와의 인연, 암피트리온 원정 참여 등 다양한 신화적 사건에 연루되었으며, 문학과 오페라에서 재해석되어 현대 사회의 문제들을 반영하는 상징으로도 해석된다.
틀레폴레모스
기본 정보
이름틀레폴레모스
로마자 표기Tllepolemoseu
그리스어Τληπόλεμος
로마자 음역Tlēpólemos
가계
아버지헤라클레스
어머니아스테ュ다메이아 (헤라클레스의 아내)
형제크테시포스
신화 속 역할
역할로도스의 왕, 트로이아 전쟁의 그리스 영웅
트로이아 전쟁 참여
참여 이유살인으로 인한 망명
죽음사르페돈에게 살해당함
추가 정보
기타로도스인들은 그를 영웅으로 숭배함

2. 가족 관계

헤라클레스와 아스티오케의 아들이었으며, 아스티오케는 에피라의 왕 필라스의 딸이었다.[1][2] 다른 자료에서는 텔레폴레모스의 어머니가 아민토르[3] 혹은 오르메노스의 딸인 아스티다메이아라고도 한다.[4]

3. 생애와 업적

틀레폴레모스는 헤라클레스의 외삼촌인 리킴니오스를 죽이고 로도스로 도망쳤다.[1] ''비블리오테카''에서는 이 사건을 사고로 묘사하지만,[5] 핀다로스는 의도적인 행동이었다고 주장한다.[3] 아르고스 출신 아내 폴릭소와 함께[6][7] 로도스로 간 틀레폴레모스는 섬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카메이로스, 이알리소스, 린도스의 세 도시 국가를 세웠다.[8][9]

이후 틀레폴레모스는 헬레네의 구혼자 중 한 명으로서[10] 틴다레오스의 맹세에 따라 트로이 원정에 9척의 함대를 이끌고 참여했다.[1] 그는 사르페돈과의 전투에서 용맹하게 싸웠으나 결국 죽임을 당했다.[12]

3. 1. 로도스 섬 건국

미케네에우리스테우스가 죽은 후, 헤라클레이다이는 펠로폰네소스 반도로 귀환했지만 신의 뜻보다 이른 시기였기에 펠로폰네소스 전역에 역병이 돌았다. 그래서 헤라클레이다이는 마라톤으로 물러났지만, 그 퇴거 전에 텔레폴레모스는 올리브 지팡이로 노예를 때리고, 이를 막으려던 리킴니오스를 쳐 죽였다. 이 때문에 텔레폴레모스는 다른 헤라클레이다이에게 생명의 위협을 느껴, 신탁에 따라 많은 백성을 이끌고 로도스 섬으로 이주하여[16][24][25], 백성을 세 부족으로 나누어 살게 했다[16]. 그리고 린도스아크로폴리스에서 불을 사용하지 않고 제례를 지내 성역을 세웠을 때[26] 제우스는 그에게 하늘에서 부를 비처럼 내려 은총을 베풀었다[16][26].

3. 2. 트로이 전쟁 참전과 죽음

틀레폴레모스는 헤라클레스의 외삼촌인 리킴니오스를 살해하고 로도스로 도망쳤다.[1] ''비블리오테카''에 따르면, 이는 사고였다. 틀레폴레모스가 하인을 때리고 있었는데 리킴니오스가 둘 사이에 끼어들어 치명적인 일격을 당했다.[5] 하지만 핀다로스는 그 죽음이 의도적이었고 분노 때문에 일어났다고 말한다.[3] 그는 아르고스 출신 아내 폴릭소와 함께[6][7] 로도스로 건너가 섬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카메이로스, 이알리소스, 린도스의 세 로도스 도시 국가를 세웠다.[8][9]

히기누스는 틀레폴레모스를 헬레네의 구혼자 중 한 명으로 꼽았다.[10] 틴다레오스의 맹세에 따라, 그는 트로이 원정에 참여한 그리스 동맹군 중 한 명이었으며 9척의 함대를 이끌었다.[1]

''일리아스''에서 묘사된 전투 첫날, 그는 사르페돈과 마주쳤고, 사르페돈에게 용기가 부족하고 제우스의 아들이 아닐 것이라고 조롱받았다.[11] 틀레폴레모스는 사르페돈을 공격하여 부상을 입혔지만, 결국 사르페돈에게 죽임을 당했다.[12]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폴릭소는 남편의 죽음에 대한 복수로 헬레네를 살해했다.[6] 그러나 폴리에노스는 메넬라오스가 하인에게 헬레네의 옷을 입혔고, 로도스인들이 메넬라오스와 헬레네가 탈출하는 동안 그 하인을 죽였다고 말한다.[13]

미케네에우리스테우스가 죽은 후, 헤라클레이다이는 펠로폰네소스 반도로 돌아왔지만 신의 뜻보다 이른 시기였기에 펠로폰네소스 전역에 역병이 돌았다. 헤라클레이다이는 마라톤으로 물러났지만, 그 전에 텔레폴레모스는 올리브 지팡이로 노예를 때리다가 이를 막으려던 리킴니오스를 쳐서 죽였다. 이 때문에 텔레폴레모스는 다른 헤라클레이다이에게 생명의 위협을 느껴, 신탁에 따라 많은 백성을 이끌고 로도스 섬으로 이주하여[16][24][25] 백성을 세 부족으로 나누어 살게 했다.[16]

트로이 전쟁에서 틀레폴레모스는 로도스 섬 군세 9척을 이끌고 참전했다.[16] 그러나 리키아의 무장 사르페돈과 싸우다가 창을 주고받았는데, 틀레폴레모스의 창은 사르페돈의 허벅지에 꽂혀 깊은 상처를 입혔지만, 사르페돈의 창은 틀레폴레모스의 목에 꽂혀 그를 죽였다.[28]

4. 신화 속 이야기

미케네에우리스테우스가 죽은 후, 헤라클레이다이는 펠로폰네소스 반도로 돌아왔지만 신의 뜻보다 이른 시기였기에 펠로폰네소스 전역에 역병이 돌았다. 그래서 헤라클레이다이는 마라톤으로 물러났지만, 틀레폴레모스는 리킴니오스 살해 사건으로 인해 신탁에 따라 많은 백성을 이끌고 로도스 섬으로 이주했다.[16][24][25] 그는 백성을 세 부족으로 나누어 살게 했으며,[16] 린도스아크로폴리스에서 불을 사용하지 않고 제례를 지내는 성역을 세웠다.[26] 이때 제우스는 그에게 하늘에서 부를 비처럼 내려 은총을 베풀었다.[16][26]

트로이 전쟁에서 틀레폴레모스는 로도스 섬 군세 9척을 이끌고 참전했으나,[16] 리키아의 무장 사르페돈과 싸우다 창에 목을 찔려 죽었다.[28] 틀레폴레모스의 창은 사르페돈의 허벅지에 깊은 상처를 입혔지만, 사르페돈의 창이 틀레폴레모스의 목숨을 앗아갔다.

4. 1. 리킴니오스 살해 사건

틀레폴레모스는 헤라클레스의 외삼촌인 리킴니오스를 살해하고 로도스로 도망쳤다.[1] ''비블리오테카''에 따르면, 이는 사고였다. 틀레폴레모스가 하인을 때리고 있었는데 리킴니오스가 둘 사이에 끼어들어 치명적인 일격을 당했다.[5] 하지만 핀다로스는 그 죽음이 의도적이었고 분노 때문에 일어난 일이라고 말한다.[3]

미케네에우리스테우스가 죽은 후, 헤라클레이다이는 펠로폰네소스 반도로 돌아왔지만 신의 뜻보다 이른 시기여서 펠로폰네소스 전역에 역병이 돌았다. 그래서 헤라클레이다이는 마라톤으로 물러났지만, 그 전에 틀레폴레모스는 올리브 지팡이로 노예를 때리고, 이를 막으려던 리킴니오스를 쳐서 죽였다. 이 때문에 틀레폴레모스는 다른 헤라클레이다이에게 생명의 위협을 느꼈다.[16][24][25]

4. 2. 폴릭소의 복수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폴릭소는 남편 틀레폴레모스의 죽음에 대한 복수로 헬레네를 살해했다.[6] 그러나 폴리에노스는 메넬라오스가 하인에게 헬레네의 옷을 입혔고, 로도스인들이 메넬라오스와 헬레네가 탈출하는 동안 그 대신 하인을 죽였다고 말한다.[13]

참조

[1] 서적 Iliad https://www.perseus.[...]
[2] 웹사이트 Apollodorus, Library, book 2, chapter 7, section 6 https://www.perseus.[...] 2024-03-09
[3] 웹사이트 Pindar, Olympian, Olympian 7 For Diagoras of Rhodes Boxing-Match 464 B. C. https://www.perseus.[...] 2024-03-09
[4] 서적 Catalogue of Women
[5] 웹사이트 Apollodorus, Library, book 2, chapter 8, section 2 https://www.perseus.[...] 2024-03-09
[6]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Laconia, chapter 19, section 10 https://www.perseus.[...] 2024-03-09
[7] 서적 Alexandra
[8] 웹사이트 LacusCurtius • Diodorus Siculus — Book IV Chapters 40‑58 https://penelope.uch[...] 2024-03-09
[9] 서적 Iliad
[10]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11] 서적 Iliad
[12] 웹사이트 Homer, The Iliad, Scroll 5, line 572 https://www.perseus.[...] 2024-03-09
[13] 웹사이트 Polyaenus: Stratagems - Book 1 (a) http://www.attalus.o[...] 2024-03-09
[14] 서적 2巻7・6
[15] 서적 2巻7・8
[16] 서적 『イーリアス』
[17] 서적 『イーリアス』
[18] 서적 『オリンピア祝勝歌』
[19] 서적 4巻37・4
[20] 서적 ヘーシオドス断片175
[21] 서적 3巻19・9
[22] 서적 3巻19・10
[23] 서적 81話
[24] 서적 『オリンピア祝勝歌』
[25] 서적 2巻8・2
[26] 서적 『オリンピア祝勝歌』
[27] 서적 内田訳注
[28] 서적 『イーリア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