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헬레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헬레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제우스와 레다의 딸이자 스파르타의 왕비이다. 그녀는 빼어난 미모로 인해 그리스 전역에서 구혼자들이 몰려들었고, 메넬라오스와 결혼했다. 파리스에 의해 트로이로 납치(혹은 유혹)되면서 트로이 전쟁의 원인이 되었으며, 전쟁 후에는 메넬라오스와 함께 스파르타로 돌아갔다는 이야기와 다른 결말을 맞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헬레네는 숭배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며, 다양한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괴된 사람 - 김인욱
    김인욱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장교로 항일 무장 부대 탄압과 조선인 병력 동원에 협력한 인물로, 일본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일본군 중대장, 영친왕 부관 등을 지냈으며 친일 행적으로 친일인명사전과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 포함되었고 광복 후 소련군에 피랍되어 행적이 묘연하다.
  • 유괴된 사람 - 오타 주리아
    오타 주리아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으로 끌려가 고니시 유키나가의 양녀가 된 조선 여인으로, 기독교 신앙을 지키며 배교를 거부하여 유배지에서도 신앙을 전파한 굳건한 신념과 희생정신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라코니아 신화 - 히아킨토스
    히아킨토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미소년으로, 아폴론의 연인이었으나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후 히아신스 꽃으로 환생하여 자연의 죽음과 부활을 상징한다.
  • 라코니아 신화 - 헬레네 (비극)
    헬레네는 에우리피데스가 기원전 412년에 쓴 비극으로, 트로이 전쟁의 원인으로 알려진 헬레네가 실제로는 이집트에 머물렀고 파리스와 함께 간 것은 헬레네의 환영이었다는 설정을 통해 진실과 허상, 여성의 주체성, 전쟁의 무의미함 등을 다룬다.
  • 태양의 여신 - 하토르
    하토르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하늘, 태양, 사랑, 아름다움, 풍요, 음악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암소 또는 암소 머리를 가진 여성으로 묘사되며 이집트 전역과 해외에서도 숭배되었다.
  • 태양의 여신 - 파시파에
    파시파에는 그리스 신화에서 태양신 헬리오스와 페르세의 딸이자 미노스 왕의 아내로, 흰 소에 대한 욕망으로 미노타우로스를 낳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달 또는 태양 여신으로 숭배받기도 하고 현대 문화에서 다양한 영감을 주는 존재로 재해석된다.
헬레네
인물 정보
트로이로 가는 배에 타는 스파르타의 헬레네, 폼페이의 비극 시인의 집 프레스코
트로이로 가는 배에 타는 스파르타의 헬레네, 폼페이의 비극 시인의 집 프레스코
이름헬레네
로마자 표기Hellenē
다른 이름헬레네 데 트로이 (Helen of Troy), 헬레네, 헬레나, 아름다운 헬레네, 헬레네 데 아르고스, 헬레네 데 스파르타
출생지스파르타, 그리스
사망지스파르타, 그리스
거주지스파르타 (현대 스파르타, 그리스)
트로이 (현대 히사를리크, 튀르키예)
가족여왕 (스파르타), 공주 (트로이)
신화 정보
유형그리스
형제자매폴룩스 (친형제)
클리타임네스트라, 카스토르, 티만드라, 포에베, 필로노에와 제우스의 다른 자식 (이복 형제자매)
배우자메넬라오스
파리스
데이포보스
자녀메넬라오스와의 사이에서
헤르미오네
아이티올라스 (논쟁)
니코스트라토스 (논쟁)
메가펜테스 (논쟁)
플레이스테네스 (논쟁)
파리스와의 사이에서
부노모스
아가노스
이데우스
헬레네
부모제우스
레다 또는 네메시스
숭배 대상스파르타의 여왕, 트로이의 공주

2. 어원

헬레네(Ἑλένηgrc)라는 이름의 어원은 학자들에게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다.[8] 19세기에 게오르크 쿠르티우스는 헬레네를 달(셀레네; Σελήνηgrc)과 관련지었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의 라코니아 방언으로 헬레네에게 바치는 두 개의 초기 헌사에서 그녀의 이름은 처음 글자에 디감마(Ϝ, 아마도 w로 발음)를 사용했는데, 이는 단순한 *s-*로 시작하는 어원을 배제한다.[8]

20세기 초에 에밀 부아삭은 Ἑλένη가 "횃불"을 의미하는 ἑλένη(ἑλένηgrc)에서 유래했다고 보았다.[9] 또한 Ἑλένη의 λ이 원래 ν에서 유래했으며, 따라서 이 이름의 어원은 비너스의 어근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하지만 린다 리 클레이더는 위의 어떤 제안도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평가한다.[10]

이 이름이 인도유럽어족 어원을 가지고 있다면, 원시 인도유럽어 뿌리 ''*wel-'' ("돌다, 굴리다")[11] 또는 ''*sel-'' ("흐르다, 달리다")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sel-''의 경우 베다 산스크리트어의 사라뉴와 비교되는데, ''사라뉴''는 "민첩한"을 의미하며, 디감마가 없는 헬레네의 이름 형태인 Ἑλέναgrc와 소리가 일치한다.[12] 헬레네의 이름이 ἑλένη ("횃불")과 관련될 수 있다는 점은 베다어 ''스바라나'' ("빛나는 자")와의 관계를 뒷받침할 수 있다.[13][14]

오토 스쿠치는 헬레네라는 이름이 ''*Sṷelenā''(산스크리트어 ''스바라나'' "빛나는 자"와 관련)와 ''*Selenā''라는 두 가지 별도 어원을 가질 수 있다고 제안했다.[15]

다른 학자들은 이 이름의 어원을 원시 인도유럽 종교의 태양신과 연결하여, 헬리오스를 포함한 다양한 인도유럽 문화권에서 "태양"을 의미하는 단어와의 연관성을 언급했다.[16][17][18][19][15] 마틴 리치필드 웨스트는 ''헬레나'' ("햇빛의 여주인")가 자연적 요소를 제어하는 여신을 의미하는 원시 인도유럽어 접미사 ''-nā'' ("~의 여주인")에 의해 구성되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21]

3. 가족 관계

헬레네는 제우스와 레다 사이에서 태어났다. 쌍둥이 형제로는 폴리데우케스(디오스쿠로이)가 있으며, 클리타임네스트라는 자매이다. 헬레네의 남편은 스파르타의 왕 메넬라오스이며, 둘 사이에서 딸 헤르미오네를 낳았다.[25]

일부 자료에 따르면 헬레네는 메넬라오스와의 사이에서 아이티올라스, 니코스트라토스, 메가펜테스, 플레이스테네스 등의 아들을 두었다고도 한다. 그러나 다른 자료에서는 이들이 메넬라오스와 다른 여인들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라고도 한다.[26][27]

헬레네는 파리스와의 사이에서는 세 아들 부노무스, 아가누스, 이다이오스와 딸 헬레네를 두었다.[28] 세 아들은 트로이 전쟁 중에 지진으로 잠을 자던 방의 지붕이 무너지면서 사망했다.[29]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제우스
어머니레다
쌍둥이 형제폴리데우케스디오스쿠로이
자매클리타임네스트라
남편메넬라오스스파르타의 왕
헤르미오네
아들 (일부 자료)아이티올라스, 니코스트라토스, 메가펜테스, 플레이스테네스다른 자료에서는 메넬라오스의 사생아로 기록
파리스와의 사이에서 낳은 세 아들부노무스, 아가누스, 이다이오스트로이 전쟁 중 지진으로 사망
파리스와의 사이에서 낳은 딸헬레네


4. 신화

헬레네는 호메로스의 시에서 처음 등장하며, 이후 그리스 문학에서 인기 있는 인물이 되었다. 호메로스의 시는 영웅 시대의 마지막 해를 배경으로 하며, 그리스 신화에서 중요한 신화 시대이다. 호메로스의 시가 기록되기 전 구전으로 전해졌다는 사실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이야기가 초기 미케네 그리스인의 전통에서 전해졌으며, 영웅 시대 자체가 그 시대의 신화화된 기억을 반영할 수 있다고 추측한다.[22]

최근 그리스에서 진행된 고고학 발굴은 현대 라코니아가 청동기 시대 후기에 독자적인 영토였음을 시사하며, 시인들은 이곳이 부유한 왕국이었다고 이야기한다. 고고학자들은 현재의 스파르타 아래에 묻혀 있는 미케네 시대의 궁궐 단지를 찾는 데 실패했다.[23] 현대의 발견에 따르면, 유로타스 계곡 남부에 있는 메넬라이온 주변 지역이 미케네 시대 라코니아의 중심지였던 것으로 보인다.[24]

헬레네와 메넬라오스는 딸 헤르미오네를 두었다. 헤시오도스는 그녀를 "예상치 못한 아이"라고 말했다.[25] 다른 자료에 따르면, 헬레네는 아이티올라스, 니코스트라토스, 메가펜테스, 플레이스테네스라는 아들을 두었다고도 한다. 그러나 다른 자료에서는 이들이 메넬라오스와 다른 연인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라고도 한다.[26][27]

헬레네와 파리스는 세 아들 부노무스, 아가누스, 이다이오스와 딸 헬레네를 두었다.[28] 세 아들은 트로이 전쟁 중에 지진으로 잠을 자던 방의 지붕이 무너지면서 사망했다.[29]

파일레우스를 착용한 트로이의 헬레네


헬레네가 메넬라오스와 결혼하면서 영웅 시대는 막을 내리게 된다. 헤시오도스제우스가 인간, 특히 영웅들의 종족을 파괴하려는 계획을 세웠다고 전한다. 헬레네가 파리스와 도망친 사건으로 촉발된 트로이 전쟁은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었다.[54]

파리스는 트로이의 왕자로, 외교 사절단인 척하며 헬레네를 데려오기 위해 스파르타로 왔다. 이 여정 전에 파리스는 제우스에 의해 가장 아름다운 여신을 심판하도록 지명받았다. 헤라, 아테나, 아프로디테 중 아프로디테는 파리스의 호의를 얻기 위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자를 약속했다. 아프로디테의 제안에 흔들린 파리스는 그녀를 가장 아름다운 여신으로 선택했고, 아테나와 헤라의 분노를 샀다.

헬레네가 파리스에게 강간당하는(즉, "납치") 것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고대 그리스 자료는 종종 얼버무리고 모순된다. 헤로도토스는 헬레네가 납치되었다고 언급했지만, 《키프리아》는 헬레네에게 선물을 준 후 "아프로디테가 스파르타 여왕을 트로이 왕자와 함께 데려왔다"고만 언급한다.[55] 아폴로도로스는 파리스가 헬레네를 설득해 그와 함께 떠났다고 말하며,[56] 사포는 헬레네가 메넬라오스와 아홉 살 된 딸 헤르미온을 기꺼이 버리고 파리스와 함께 떠났다고 주장한다.

디오 크리소스토무스는 호메로스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이 이야기에 대해 다른 설명을 한다. 아가멤논이 헬레네의 여동생 클리타임네스트라와 결혼한 후, 틴다레오스는 정치적인 이유로 메넬라오스에게 헬레네를 주려 했다. 그러나 헬레네는 많은 구혼자들의 구애를 받았고, 그중 파리스는 다른 모든 사람보다 뛰어나 틴다레우스와 그의 아들의 호의를 얻었다. 그래서 그는 그녀를 정당하게 얻어 그녀의 보호자의 동의를 받아 트로이로 데려갔다.[58] 《키프리아》는 파리스와 헬레네가 단 3일 만에 트로이에 도착했다고 전한다. 호메로스는 《일리아스》에 따르면, 두 연인은 크라나이라는 작은 섬에서 잠시 머무는 동안 그들의 열정을 완성했다고 말한다. 반면에 《키프리아》는 이것이 그들이 스파르타를 떠나기 전날 밤에 일어났다고 기록한다.[59]

그리스인들은 오디세우스메넬라오스를 트로이인들에게 보내 프리아모스에게 헬레네를 돌려줄 것을 설득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헬레네의 요청'(Helenes Apaitesis, Ἑλένης Ἀπαίτησις)은 유실된 소포클레스의 희곡 주제였다.[72][73]

호메로스는 트로이에서 헬레네의 고독하고 비통한 모습을 그린다. 그녀는 자신이 야기한 일에 대한 자기 혐오와 후회로 가득 차 있었다. 전쟁이 끝날 무렵, 트로이인들은 그녀를 증오하게 되었다. 헥토르가 죽었을 때, 그녀는 그의 장례식에서 조문했고, 헥토르와 프리아모스만이 그녀에게 항상 친절했다고 말했다.[74][75]

이 말들은 헬레네가 점차 파리스의 약점을 깨닫고 헥토르와 동맹하기로 결심했음을 보여준다. 헬레네는 두 형제를 비교하며 파리스에게 가혹한 말을 한다.[75][77] 파리스가 전투에서 죽은 후, 헬레네는 프리아모스의 살아남은 아들 중 헬레노스 또는 데이포보스와 재혼해야 했지만, 데이포보스에게 주어졌다.

헬레네와 메넬라오스: 메넬라오스가 헬레네를 치려 한다. 헬레네의 아름다움에 사로잡혀 칼을 떨어뜨린다. 날아다니는 에로스아프로디테 (왼쪽)가 이 장면을 지켜본다. 아테네 적색 그림 크라테르의 세부 묘사. 기원전 450–440년경 (파리, 루브르 박물관)


메넬라오스가 트로이에서 헬레네를 붙잡고, 아이아스(소)가 카산드라를 팔라디움에서 끌어낸다. 프리아모스가 이를 지켜본다. 폼페이의 카사 델 메난드로의 프레스코


트로이 함락 동안 헬레네의 역할은 모호하다.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서 데이포보스는 헬레네의 배신적인 입장에 대해 설명한다. 트로이의 목마가 도시에 들어갔을 때, 그녀는 바쿠스 의식을 흉내 내며 트로이 여성들의 합창단을 이끌었고, 횃불을 들고 도시의 중앙 탑에서 그리스인들에게 신호를 보냈다. 그러나 ''오디세이아''에서 호메로스는 다른 이야기를 전한다. 헬레네는 목마 주위를 세 번 돌았고, 집에 남겨진 그리스 여성들의 목소리를 흉내 내어 오디세우스메넬라오스를 포함한 안에 있던 남자들을 고문하여 파멸 직전까지 몰고 갔다.[79]

헥토르와 파리스가 죽은 후, 헬레네는 그들의 막내 동생 데이포보스의 연인이 되었다. 그러나 트로이 약탈이 시작되자 그녀는 새 남편의 칼을 숨기고 메넬라오스와 오디세우스에게 그를 맡겼다. ''아이네이스''에서 아이네아스는 하데스에서 훼손된 데이포보스를 만난다. 그의 상처는 헬레네의 마지막 배신 행위로 인해 초래된 그의 비참한 최후를 증언한다.[80]

트로이에서의 헬레네의 모습은 서로 모순되는 듯하다. 한편에서는 바쿠스 의식을 흉내 내고 트로이인들의 학살을 기뻐하는 배신자 헬레네, 다른 한편에는 외롭고 무력하며, 트로이가 불타고 있는 동안 피난처를 찾기 위해 필사적인 헬레네가 있다. 스테시코로스는 그리스인과 트로이인 모두 그녀를 돌로 쳐 죽이려고 모였다고 말한다.[81] 메넬라오스가 마침내 그녀를 찾았을 때, 그는 그녀를 죽이려고 칼을 들었지만, 그녀의 아름다움을 본 그는 손에서 칼을 떨어뜨렸다.[82]

4. 1. 탄생

제우스와 레다 사이에서 헬레네가 태어났다는 설이 가장 일반적이다.[30] 에우리피데스의 희곡 ''헬레네''에 따르면, 제우스는 백조로 변신하여 레다에게 접근했고, 레다는 알을 낳았는데 그 알에서 헬레네가 태어났다.[31]

체사레 다 세스토의 ''레다와 백조'' (–1510, 윌튼). 헬레네와 클리타임네스트라는 한 개의 알에서, 카스토르와 폴룩스는 다른 알에서 나왔다.


서사 주기의 일부인 ''키프리아''에서는 헬레네가 제우스와 여신 네메시스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한다.[35] 네메시스는 제우스를 피하려 여러 동물로 변신했지만, 결국 거위로 변신한 제우스에게 강간당하고 알을 낳았다.[36] 일부 전승에서는 헤르메스가 레다에게 알을 전달했다고 한다.[38] 트라길로스의 아스클레피아데스와 위작 에라토스테네스는 제우스와 네메시스가 백조로 변신했다는 이야기를 전한다.[39]

파우사니아스는 기원후 2세기에 스파르타 아크로폴리스의 사원에서 리본으로 묶인 알껍질의 잔해가 여전히 매달려 있었다고 기록했다.[41]

4. 2. 테세우스에 의한 납치

젊은 시절, 헬레네는 고대 아테네의 영웅 테세우스에게 납치된 적이 있다.[44] 테세우스는 친구 페이리토스와 함께 신의 딸과 결혼하기로 맹세하고, 제우스의 딸인 헬레네와 하데스의 아내 페르세포네를 각각 납치하기로 했다. 테세우스는 헬레네를 납치하여 자신의 어머니 아이트라에게 맡겼다.[44]

이 사건으로 인해 헬레네의 형제인 디오스쿠로이(카스토르와 폴룩스)가 아테네를 침공하여 헬레네를 되찾고 아이트라를 포로로 잡아갔다.[44] 괴테의 ''파우스트''에서는 켄타우로스 케이론이 디오스쿠리 형제가 헬레네를 집으로 돌려보내는 것을 도왔다고 한다.

헬레네의 납치 당시 나이에 대해서는 여러 기록이 있는데, 레스보스의 헬라니쿠스는 7세였다고 했고, 디오도로스는 10세였다고 묘사했다.[45] 스테시코루스는 이피게네이아가 테세우스와 헬레네의 딸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헬레네가 아이를 낳을 수 있는 나이였음을 시사한다.[46]

오비디우스의 ''헤로이데스''에 묘사된 헬레네는 팔레스트라에서 알몸으로 레슬링을 하는 어린 공주로, 고전 시대 스파르타 소녀들의 신체 교육을 암시한다. 섹스투스 프로페르티우스는 헬레네를 무기를 연습하고 형제들과 사냥하는 소녀로 묘사했다.[48]

테세우스가 여인을 쫓는 모습, 아마도 헬레네일 것이다. 기원전 440-430년경 아테네의 적색 그림 종형 크라테르의 A면 (루브르 박물관, 파리).


마르턴 판 헤임스케르크의 1535년 그림 『고대 세계의 경이 속의 헬레네의 약탈이 있는 풍경』. 월터스 미술관 소장.

4. 3. 구혼자들과 틴다레오스의 맹세

헬레네가 아름다운 처녀로 성장하자 그리스 전역에서 많은 구혼자가 몰려왔다. 이 중에는 오디세우스, 파트로클로스, 아가멤논의 동생 메넬라오스 등이 있었다. 헬레네의 아버지 틴다레오스는 구혼자들 간의 다툼을 우려하여 사위 선정을 주저했다.[49]

오디세우스는 틴다레오스에게 모든 구혼자가 선택된 남편을 보호하겠다는 맹세를 하도록 제안했다. 구혼자들의 맹세 이후, 틴다레오스메넬라오스를 헬레네의 남편으로 선택했다.[50] 메넬라오스는 가장 많은 재산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51]

4. 4. 파리스에 의한 납치 (혹은 유혹)

아프로디테는 파리스에게 황금사과를 받은 대가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자인 헬레네를 아내로 맞게 해 주겠다고 약속했다. 아프로디테의 도움으로 파리스는 헬레네를 데리고 트로이로 달아났다. 헬레네가 파리스와 사랑에 빠졌다는 설과, 파리스를 사랑하지 않았으나 억지로 납치되었다는 설이 있다.[121]

파리스와 헬레네의 만남. 폼페이의 황금 아모리니의 집에 있는 고대 프레스코화


파리스는 트로이의 왕자로, 외교 사절단인 척하며 헬레네를 데려오기 위해 스파르타로 왔다. 이 여정 전에 파리스는 제우스에 의해 가장 아름다운 여신을 심판하도록 지명받았다. 헤라, 아테나, 아프로디테 중 아프로디테는 파리스의 호의를 얻기 위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자를 약속했다. 아프로디테의 제안에 흔들린 파리스는 그녀를 가장 아름다운 여신으로 선택했고, 아테나와 헤라의 분노를 샀다.

고대 그리스 자료는 헬레네가 파리스에게 강간("납치") 당했는지에 대해 모순된다. 헤로도토스는 헬레네가 납치되었다고 언급했지만, 《키프리아》는 헬레네에게 선물을 준 후 "아프로디테가 스파르타 여왕을 트로이 왕자와 함께 데려왔다"고만 언급한다.[55] 아폴로도로스는 파리스가 헬레네를 설득해 그와 함께 떠났다고 말하며,[56] 사포는 헬레네가 메넬라오스와 아홉 살 된 딸 헤르미온을 기꺼이 버리고 파리스와 함께 떠났다고 주장한다.[57]

디오 크리소스토무스는 호메로스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아가멤논이 헬레네의 여동생 클리타임네스트라와 결혼한 후, 틴다레오스는 정치적인 이유로 메넬라오스에게 헬레네를 주려 했다고 한다. 헬레네는 많은 구혼자들의 구애를 받았고, 그중 파리스는 다른 모든 사람보다 뛰어나 틴다레우스와 그의 아들의 호의를 얻었다. 그래서 그는 그녀를 공정하게 얻어 그녀의 자연적인 보호자의 완전한 동의를 받아 트로이로 데려갔다고 한다.[58]

《키프리아》는 파리스와 헬레네가 단 3일 만에 트로이에 도착했다고 전한다. 호메로스는 《일리아스》에 따르면, 두 연인은 크라나이라는 작은 섬에서 잠시 머무는 동안 그들의 열정을 완성했다고 말한다. 반면에 《키프리아》는 이것이 그들이 스파르타를 떠나기 전날 밤에 일어났다고 기록한다.[59]

4. 5. 이집트 체류설

헤로도토스를 비롯한 일부 고대 그리스 작가들은 헬레네가 트로이 전쟁 동안 트로이에 가지 않고 이집트에 머물렀다고 주장했다.[66][67] 에우리피데스의 희곡 《헬레네》에서는 헤라제우스의 요청에 따라 헬레네의 에이돌론(εἴδωλον, 환영)을 만들었고, 헤르메스가 진짜 헬레네를 이집트로 데려갔다고 한다. 헬레네는 전쟁 내내 이집트에 머물렀다. 스테시코루스도 에이돌론에 대해 언급했지만, 헤로도토스는 신화를 합리적으로 해석하여 에이돌론을 등장시키지 않았다.[68] 리코프론은 헤시오도스가 헬레네의 에이돌론을 처음 언급했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헤시오도스가 작품에서 언급했거나, 그 시대에 이 개념이 널리 퍼져있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68]

헤로도토스는 자신이 이집트를 여행하며 멤피스의 '외국 아프로디테'(ξείνη Ἀφροδίτη) 사원 사제들에게 들은 이야기를 덧붙였다. 사제들에 따르면, 헬레네는 파리스의 배가 강풍으로 항로를 이탈한 직후 이집트에 도착했다. 이집트의 프로테우스 왕은 파리스가 손님의 아내를 유혹하고 스파르타에서 재물을 약탈한 것에 분노하여 헬레네를 트로이로 데려가는 것을 막았다. 파리스는 헬레네 없이 트로이로 돌아갔지만, 그리스인들은 헬레네가 이집트에 있다는 것을 믿지 않았다. 헬레네는 10년 동안 멤피스에서 기다렸고, 전쟁이 끝난 후 메넬라오스가 멤피스로 와 프로테우스에게서 헬레네를 돌려받았다.[69] 헤로도토스는 만약 헬레네가 실제로 트로이에 있었다면, 파리스의 의사와 상관없이 프리아모스가 전사자가 많이 발생한 상황에서 그녀를 돌려줬을 것이라고 생각했다.[120]

4. 6. 트로이 전쟁

메넬라오스는 헬레네를 되찾기 위해 헬레네의 구혼자들에게 과거의 맹세를 지켜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아가멤논을 중심으로 그리스 연합군이 결성되었고, 트로이 전쟁이 발발했다.[119]

트로이 내부에서는 헬레네를 돌려주자는 제안이 있었으나, 파리스가 반대하여 무산되었다.[120] 파리스가 죽은 후, 헬레네는 파리스의 동생인 데이포보스와 결혼했다.

트로이 함락 당시, 메넬라오스는 데이포보스를 죽이고 헬레네를 죽이려 했으나, 그녀의 아름다움에 다시 마음이 흔들려 죽이지 못했다.[82] 헬레네는 메넬라오스와 함께 스파르타로 돌아갔다.[119]

호메로스는 '일리아스'에서 헬레네가 트로이에서 고독하고 비통한 삶을 살았다고 묘사한다. 헬레네는 자신이 야기한 전쟁에 대해 후회와 자기 혐오를 느꼈으며, 전쟁이 끝날 무렵에는 트로이인들에게 증오의 대상이 되었다. 헥토르가 죽었을 때, 헬레네는 그의 장례식에서 조문하며 헥토르와 프리아모스만이 자신에게 항상 친절했다고 말했다.[74][75]

4. 7. 귀환과 후일담

메넬라오스와 헬레네는 화해하여 행복한 결혼 생활을 했다. 메넬라오스는 헬레네가 다른 남자와 도망간 것에 대해 원한을 품지 않았고, 헬레네는 트로이 전쟁 당시의 이야기를 자유롭게 할 수 있었다.[84] 에우리피데스의 희곡 ''오레스테스''에서는 헬레네가 아폴론에 의해 구원받아 올림포스 산으로 올라갔다고 한다.[85]

파우사니아스는 헬레네가 아킬레우스와 함께 사후 세계를 공유한다는 이야기를 전한다.[86] 또한, 로도스섬에서는 헬레네가 텔레폴레모스의 아내 폴릭소에 의해 나무에 매달려 죽임을 당했다는 전설이 있다. 폴릭소는 헬레네를 손에 넣자 텔레폴레모스의 죽음을 복수하기 위해 하녀들을 푸리에스로 분장시켜 헬레네를 붙잡아 나무에 매달아 죽였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로도스섬에는 '나무의 헬레네'(덴드리티스, Dendritis) 신전이 있다고 한다.[87]

다른 전승에서는 헬레네가 이피게네이아에 의해 타우리스에서 신들에게 희생되었다고도 하고, 아킬레우스가 죽은 후 분노한 테티스가 귀향길에서 헬레네를 죽였다고도 한다.

5. 숭배

헬레네 숭배의 주요 중심지는 라코니아였다. 스파르타에서 헬레네는 플라타니스탄(Platanistas) 근처의 성소에서 숭배되었는데, 그곳은 플라타너스 나무가 심어져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고대 자료에 따르면 헬레네는 에우로타스 강 근처에서 소녀들의 체조 운동이나 합창 춤과 관련이 있었다. 테오크리토스는 플라타니스탄에서 스파르타 여성들이 헬레네와 메넬라오스의 결혼을 기념하며 부른 결혼 찬가를 언급한다.

헬레네 숭배는 에우로타스 강 반대편 테라프네에도 존재했는데, 그곳에서 헬레네는 메넬라오스, 디오스쿠로이와 신전을 공유했다. 이 신전은 메넬라이온(메넬라오스의 신전)으로 알려졌으며, 헬레네가 메넬라오스와 함께 묻힌 장소로 여겨졌다. 신전과 숭배는 원래 헬레네에게 속했고, 메넬라오스는 나중에 그녀의 남편으로 추가되었다. 또한 메넬라오스와 헬레네를 기리는 축제인 메넬레아이아(Μενελάεια)가 열렸다. 이소크라테스는 테라프네에서 헬레네와 메넬라오스가 영웅이 아닌 신으로 숭배받았다고 기록했다.[100] 헬레네의 숭배가 헬레니즘 시대 스파르타에도 있었다는 증거가 남아있다.[102]

헬레네는 로도스 섬에서 헬레네 ''덴드리티스''(Έλένα Δενδρῖτις, 나무의 헬레네)로 숭배받았는데, 그녀는 식물 또는 다산의 여신이었다.[103] 마틴 P. 닐슨은 로도스 섬의 숭배가 미노아 시대(그리스 이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주장했다.[104]

6. 예술 및 대중문화

헬레네는 고대부터 예술 작품의 주요 소재였다. 고전 시대 화병에는 메넬라오스에게 위협받는 헬레네의 모습이 자주 묘사되었다.[92] 르네상스 시대 회화에서는 파리스에 의한 납치 장면이 자주 그려졌다.[95]

크리스토퍼 말로의 희곡 《파우스트 박사》(1604)에서 파우스트는 헬레네의 망령을 소환한다. 헬레네를 본 파우스트는 "이것이 천 척의 배를 띄우고, /일리움의 튼튼한 탑을 불태운 얼굴인가."라는 유명한 대사를 남겼다.[107]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트로일루스와 크레시다에서 헬레네는 트로일루스를 숭배하는 조연으로 등장한다.

자크 오펜바흐오페레타 《라 벨 헬렌》(1864)은 헬레네 신화를 풍자적으로 다룬다.[109]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는 오페라 《이집트의 헬레네(Die ägyptische Helena)》(1928)를 작곡했는데, 이 작품은 헬레네와 메넬라오스가 신화 속 섬에 갇히면서 겪는 고난에 대한 이야기이다.[111]

20세기 이후 영화, 드라마, 소설 등 다양한 매체에서 헬레네 이야기가 재해석되었다. 1956년 영화 《헬렌 오브 트로이》에서는 로사나 포데스타가 헬레네 역을 맡았다. 2004년 영화 《트로이》에서는 다이앤 크루거가 헬레네를 연기했다. 2003년 텔레비전 미니시리즈 《트로이의 헬렌》에서는 시에나 길로리가 헬레네 역을 맡았다. 2018년 TV 미니시리즈 《트로이: 도시의 몰락》에서는 벨라 데인이 헬레네를 연기했다.[117]

아이작 아시모프는 한 척의 배를 띄울 수 있는 아름다움의 양을 의미하는 단위인 "밀리헬렌"을 만들었다.[113]

참조

[1]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Lord Byron https://play.google.[...] Baudry's European Library
[2] 서적 Helen of Troy Library of Alexandria
[3] 서적 Troy: Its Legend, History and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 Scribner's sons
[4]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Little, Brown, and Company
[5] 서적 Euripides William Heinemann, G. P. Putnam's Sons
[6] 문서 Interchangeable usage of the terms ''rape'' and ''elope'' often lends ambiguity to the legend. 2018-12
[7] 문서 However, the meeting with Helen in Marlowe's play and the ensuing temptation are not unambiguously positive, since they are closely followed by Faust's death and descent to Hell.
[8] 서적 Indo-European Poetry and Myth https://books.google[...] OUP Oxford
[9] 문서 LSJ|e(le/nh|ἑλένη|ref
[10] 문서 Clader, ''Helen'', 63 f.; Skutsch, ''Helen'', 191.
[11] 문서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Indo-European roots: wel".
[12] 문서 The name of Helen as worshipped at Sparta and Therapne began with a digamma. On the other hand, at Corinth, there is evidence of Helen without a digamma. Skutsch (''Helen'', 189 f. and ''passim'') suggests that we have to make do "with two different names, two different mythological Helens".
[13] 문서 Compare Proto-Indo-European *sa(e)wol, whence Greek helios, Latin sol, Sanskrit suryah, ultimately from *sawel "to shine". The relation with Selene is quite possible.
[14] 문서 Scutsch, ''Helen'', 190 ff.
[15] 논문 Helen, her Name and Nature https://www.cambridg[...]
[16] 서적 The Meaning of Helen: In Search of an Ancient Icon https://archive.org/[...] Bolchazy-Carducci Publishers 2002
[17]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https://books.google[...] Fitzroy Dearborn Publishers
[18] 서적 Helen Univ of Massachusetts Press
[19] 논문 Dioscuric Elements in Celtic and Germanic Mythology
[20] 논문 Light from Distant Asterisks. Towards a Description of the Indo-European Religious Heritage
[21] 서적 Indo-European Poetry and Myth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2] 문서 Meagher, ''The Meaning of Helen'', 11–18; Thompson, ''The Trojan War'', 20
[23] 문서 Hughes, ''Helen of Troy'', 29
[24] 논문 The Mycenaean Presence in the Southeastern Eurotas Valley: Vouno Panagias and Ayios Georgios https://www.jstor.or[...] British School at Athens 2023-01-16
[25] 문서 Hesiod. Catalogue of Women.
[26] 문서 Apollodorus. Library, 3.11.1 https://topostext.or[...]
[27] 문서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2.18.6 https://topostext.or[...]
[28] 서적 The Greek Myths - The Complete and Definitive Edition Penguin Books Limited
[29] 문서 Dictys Cretensis. Trojan War Chronicle, 5.5 https://topostext.or[...]
[30] 문서 Homer, Iliad, III, 199, 381, 418, 421, 426; Odyssey, IV, 183, 184, 219, 219; XXIII, 218. Gantz, Early Greek Myth, 318–9 https://www.perseus.[...]
[31] 문서 Euripides, Helen 16–21, 257–59 http://perseus.mpiwg[...] 2016-04-10
[32] 문서 First Vatican Mythographer, VM I 204. Gantz, Early Greek Myth, 320–321; Hughes, Helen of Troy, 350; Moser, A Cosmos of Desire, 443–444
[33] 서적 Fulgentius the Mythographer https://books.google[...] Ohio State University Press
[34] 문서 Pseudo-Apollodorus, Bibliotheca, III, 10.7 http://perseus.mpiwg[...] 2016-04-10
[35] 문서 Cypria, fr. 9 PEG
[36] 서적 Athenaeus 8.334b-d, quoting the Cypria PEG
[37] 연극 Nemesis PCG
[38] 서적 Bibliotheca http://perseus.mpiwg[...] Hard & Rose 2016-04-10
[39] 서적 Asclepiades 12F11, Pseudo-Eratosthenes Catast. 25
[40] 서적 Early Greek Myth
[41] 서적 Pausanias 3.16.1 http://data.perseus.[...] Hughes
[42] 서적 Pausanias 3.26.2 https://www.perseus.[...]
[43] 서적 Hornblower, p. 142; Lycophron 87
[44] 서적 Apollodorus, Diodorus 4.63.1–3, and Plutarch, Theseus 31–34 Hughes
[45] 서적 Hellanicus 4F134; Diodorus Siculus 4.63.1–3
[46] 서적 Stesichorus fr. 191 PMG
[47] 서적 Gantz, pp. 289, 291
[48] 서적 Ovid, Heroides 16.149–152; Propertius 3.14 http://www.thelatinl[...] Cairns
[49] 웹사이트 Panorama with the Abduction of Helen Amidst the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http://art.thewalter[...]
[50] 서적 Hesiodic Catalogue of Women fr. 198.7–8, and 199.0–1 A Catalog within a Catalog
[51] 서적 Catalogue of Women, Bk 5 https://archive.org/[...]
[52] 웹사이트 Catalogue of Women, frag. 68 https://www.theoi.co[...]
[53] 서적 Hesiod, Catalogs of Women and Eoiae, fr. 204; Hyginus, Fables 78; Pausanias 3.20.9; Apollodorus 3.10.9 Cingano
[54] 서적 Cypria fr. 1; Hesiod, Catalogs of Women and Eoiae fr. 204.96–101 Edmunds
[55] 서적 Cypria fr. 1; Herodotus 2.113–119 https://www.perseus.[...]
[56] 서적 Apollodorus. Library e.3.3 https://topostext.or[...]
[57] 서적 Sappho fr. 16 Gumpert
[58] 서적 Dio Chrysostom, Discourses 1.37–53 https://penelope.uch[...] Hughes
[59] 서적 Cypria fr. 1; Homer, Iliad III.443–445 https://www.perseus.[...] Cyrino
[60] 뉴스 Lights! Darks! Action! Cut! Maestro of Mise-en-Scèn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7-03-01
[61] 서적 Helen of Troy: Beauty, Myth, Devastation https://archive.org/[...] 2013
[62] 서적 Iliad
[63] 서적 Odyssey
[64] 서적 Histories
[65] 서적 Histories
[66] 서적 Introduction
[67] 웹사이트 HELEN https://public.wsu.e[...]
[68] 논문 Did the Helen of the Homeric Odyssey ever go to Troy? https://web.archive.[...] 2012
[69] 서적 Herodotus 2.113–120; Kim, Homer, poet and historian, 30–35; Allan, Introduction, 22–24; Lindsay, Helen in the Fifth Century, 135–138 https://www.perseus.[...]
[70] 서적 Iphigenia in Aulis https://www.perseus.[...]
[71] 서적 Helen of Troy
[72] 문서
[72] 서적 Cypria
[72] 서적 Histories https://www.perseus.[...]
[72] 서적 Iliad https://www.perseus.[...]
[72] 서적 Epitome https://www.perseus.[...]
[73] 서적 Helen of Troy
[74] 서적 Helen of Troy
[75] 서적 The Tragedy of Hector
[76] 서적 Iliad https://www.perseus.[...]
[77] 서적 Metamorphoses of Helen
[78] 서적 Iliad https://www.perseus.[...]
[79] 문서
[79] 서적 Helen of Troy
[79] 서적 Metamorphoses of Helen
[80] 서적 Aeneid https://www.perseus.[...]
[80] 서적 Metamorphoses of Helen
[81] 서적 fr. 201 PMG
[82] 문서
[82] 서적 Helen of Troy
[83] 서적 Orestes https://www.perseus.[...]
[84] 서적 Euripides and the Gods
[85] 서적 Helen of Troy https://books.google[...]
[86]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Perseus.tufts.edu 2014-03-13
[87] 서적 The Dictionary of Classical Mythology
[88] 서적 National History https://penelope.uch[...]
[88] 서적 De Inventione http://www.thelatinl[...]
[89] 서적 Too Beautiful to Picture
[90] 서적 Helen of Troy
[91] 서적 History of the Fall of Troy
[92] 서적 Spartan Women
[93] 서적 The Fall of Troy
[93] 서적 Polygnotos and Vase Painting
[94] 서적 Etruscan Italy
[95] 서적 Narrative in Context
[95] 서적 Helen of Troy
[96] 서적 Helen of Troy
[97] 서적 The Epithalamium of Helen http://www.theoi.com[...]
[97] 서적 Helen's Divine Origins
[98] 서적 Histories https://www.perseus.[...]
[98] 서적 Helen of Troy
[98] 서적 The Ancient Greeks
[99]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1890), MACELLUM, MATRA´LIA, MENELAEIA https://www.perseus.[...]
[100] 문서
[101] 서적 Hele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86
[102]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102] 서적 https://books.google[...]
[102] 서적 Introduction
[102] 서적 Choruses of Young Women
[102] 서적 Spartan Women
[103] 문서
[104] 문서
[105] 문서
[106] 서적 Helen of Troy: Beauty, Myth, Devast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07] 서적 Helen of Troy: From Homer to Hollywood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Ltd. 2009
[108] 서적 Selected Satires of Lucian, Edited and Translated by Lionel Casson W. W. Norton and Company 1962
[109]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
[110] 웹사이트 36. No Second Troy. Yeats, W. B. 1916. Responsibilities and Other Poems http://www.bartleby.[...] Bartleby.com 2014-03-13
[111] 학술지 Die ägyptische Helena. Richard Strauss (recording review)
[112] 뉴스 The Washington Post 2008-12-16
[113] 웹사이트 The Humanism of Isaac Asimov https://web.archive.[...]
[114] 웹사이트 Helen of Troy Does Countertop Dancing by Margaret Atwood http://www.poemhunte[...] Poemhunter.com 2014-03-13
[115] 뉴스 Legends of Tomorrow Spoilers: "Helen Hunt" http://dclegendstv.c[...] DCLegendsTV 2017-10-26
[116] 웹사이트 'Legends of Tomorrow' Season Finale Will Feature Helen of Troy As An Amazon https://comicbook.co[...] 2018-04-03
[117] 잡지 'Troy: Fall Of A City': Bella Dayne, Louis Hunter & More Join BBC/Netflix Epic https://deadline.com[...] 2017-03-30
[118] 서적 マンガ ギリシア神話7 トロイの木馬 中央公論新社
[119] 서적 ヘレネー 岩波書店
[120] 서적 歴史
[121] 서적 헤로도토스 역사-하 범우사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