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링깃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틀링깃어는 알래스카 남동부와 캐나다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나-데네 어족의 언어이다. 1790년대 이전까지는 문자가 기록된 자료가 거의 없었으며, 현재는 여러 방언으로 나뉘지만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 틀링깃어는 복잡한 음운론과 합성적인 문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SOV 어순을 따른다. 20세기 후반부터 에약어 및 애서배스칸어족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알래스카에서 공식 언어로 인정받는 등 언어 부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데네어족 - 데네예니세이어족
데네-예니세이어족은 예니세이어족과 나-데네어족을 묶어 제안된 가설적인 어족으로,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 간 언어적 연속성을 시사하지만, 어휘 및 문법적 유사성에 대한 논쟁으로 가설의 타당성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 나데네어족 - 이야크어
알래스카 남부에서 쓰였던 사멸한 언어인 이야크어는 틀링깃어와 함께 나데네어족을 이루며, 언어 보존 및 부활 운동이 진행 중이고, 교착어적, 포합적 특징과 독특한 음운 체계 및 복잡한 형태론을 갖는다. - 캐나다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캐나다의 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켈트어의 일종으로 아일랜드 게일어, 맨섬 게일어와 관련이 깊으며, 스코틀랜드에 전파된 후 쇠퇴하여 현재는 소수만 사용하고 있고, 잉글랜드의 탄압과 영어 확산으로 사용 인구가 급감했으나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으로 소멸 위기를 극복하려 노력 중이지만 소멸 가능성 우려도 제기되는 언어이다. - 미국의 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미국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틀링깃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틀링깃어 |
자기 이름 | Lingít |
발음 (IPA) | /ɬɪ̀nkɪ́tʰ/ |
어족 | 나데네어족 |
사용 국가 | 미국 캐나다 |
사용 지역 | 알래스카주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유콘 준주 워싱턴주 |
사용자 수 (추정) | 약 50명 (미국, 모국어 화자, 2020년), 10명 (미국, 제2언어 화자), 120명 (캐나다, 2016년 인구 조사) |
민족 | 틀링깃족 |
문자 | 틀링깃 알파벳 (라틴 문자) |
공용어 지정 | 알래스카주 |
언어 상태 | UNESCO에 의해 심각한 위기 언어로 분류됨 |
언어 코드 | |
ISO 639-2 | tli |
ISO 639-3 | tli |
Glottolog | tlin1245 |
Glottolog 이름 | Tlingit |
지도 정보 | |
![]() | |
틀링깃족 | |
어원 | Lingít ("조수의 사람들" 의미) |
거주 지역 | 트링깃 아아니 (남동 알래스카) |
2. 역사
틀링깃족의 역사는 1790년대경 유럽인과 처음 접촉하기 이전까지는 문자로 기록된 자료가 거의 없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1] 20세기 초까지 문서 기록은 드물고 불규칙했다.[1] 이 언어는 보수적인 특징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케치칸–색스만 지역에서 칠캐트 지역으로 북쪽으로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1] 구리강 삼각주 주변에서 발견되는 에약어와 포틀랜드 운하 인근의 통가스 틀링깃어 사이의 공통점은 지리적, 언어적 거리가 멀다는 점에서 더욱 두드러진다.[1]
틀링깃어는 현재 북아메리카의 원주민 언어족인 나-데네 어족의 별개의 분파로 분류된다. 에드워드 사피어(1915)는 나-데네 어족에 틀링깃어를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이 주장은 이후 프란츠 보아스(1917), P.E. 고다드(1920) 등 당시의 다른 많은 저명한 언어학자들에 의해 논쟁이 벌어졌다.
틀링깃어는 알래스카만의 열린 해안을 따라 구리강 하구 근처에서부터 알래스카 남동부의 알렉산더 제도의 거의 모든 섬에 걸쳐 분포한다. 4~5개의 뚜렷한 방언으로 특징지어지지만, 대부분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 틀링깃어가 고유하게 존재하는 지역은 대부분 현대 알래스카 경계 내에 있다.
3. 분류
20세기 후반 (하인츠-)위르겐 피노우(1962, 1968, 1970 등)와 마이클 E. 크라우스(1964, 1965, 1969 등)의 연구는 에약어와, 따라서 애서배스칸어족과의 강한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사피어는 처음에는 틀링깃어와 하이더어 사이의 연관성을 제안했지만, 나-데네에 대한 논쟁은 점차 하이더어를 논의에서 제외시켰다. 하이더어는 현재 고립어로 간주되며, 틀링깃어와 오랫동안 인접해 있으면서 차용된 몇 가지 언어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2004년, 하이더어 언어학자 존 엔리코는 새로운 주장을 제시하며 논쟁을 다시 열었다. 빅터 골라는 2011년 저서 ''캘리포니아 원주민 언어''에서 "하이더어에 대한 가장 깊은 지식을 가진 현대 언어학자인 존 엔리코는 하이더어가 나-데네와 실제적이지만 먼 유전적 관계를 맺고 있다고 계속 믿고 있다."라고 적고 있다.
4. 지리적 분포
"내륙 틀링깃"은 예외적인 지역으로, 타쿠강을 따라 북부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유콘의 애틀린 호수(Áa Tleen, "큰 호수") 및 테슬린 호수(Desleen < Tas Tleen "큰 실") 지역, 그리고 칠쿠트 트레일 끝에 있는 베넷 호수 주변에 집중되어 있다. 그 외에 틀링깃어는 캐나다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틀링깃 전설에 따르면, 한때 틀링깃족 집단이 내륙에서 이주하는 동안 스틱킨강, 나스강, 스키나강 계곡에 거주했다고 한다. 워싱턴주에도 소수의 화자(약 85명)가 있다.
4. 1. 사용 및 활성화 노력
Golla (2007)는 알래스카에서 틀링깃어 화자가 500명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퍼스트 피플스 문화 위원회(First Peoples' Cultural Council, 2014)는 캐나다 내 틀링깃족 400명 중 2명이 틀링깃어 화자라고 보고했다.
2013년부터 알래스카 동남 대학교에서 틀링깃어 강좌를 수강할 수 있다.[9] 2014년 4월 알래스카 HB 216은 틀링깃어를 알래스카의 공식 언어로 인정하여 언어 부활을 지원했다.[10]
5. 방언
틀링깃어는 대략 5개의 주요 방언으로 나뉘며, 이들은 모두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
- 북부 방언은 주요 마을의 이름을 따서 야쿠타트(''Yakhwdaat'') 방언이라고도 불리며, 리투야 만(''Litu.aa'') 남쪽에서 프레데릭 사운드까지 지역에서 사용된다.
- 과도기적 방언은 북부 방언과 같이 2음조 방언이지만 남부 방언의 음운론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페테르부르크(''Gántiyaakw Séedi'' "증기선 협곡"), 케이크(''Khéixh' '' "낮"), 랭겔(''Khaachxhana.áak'w'' "Khaachxhan의 작은 호수") 마을과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나 거의 사라졌다.
- 유사하게 쇠퇴해가는 남부 방언인 ''사냐''와 ''헤이냐''는 섬너 해협에서 남쪽으로 알래스카-캐나다 국경까지, 아네트 섬(침시안의 거주지)과 프린스 오브 웨일스 섬 남쪽 끝(카이가니 하이디(''K'aayk'aani'')의 땅)을 제외한 지역에서 사용된다.
- 내륙 틀링깃어 방언은 애틀린 호수와 테슬린 호수 주변 캐나다에서 사용된다.
- 통가스 틀링깃어 방언은 한때 케치칸 남쪽 케이프 폭스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나, 1990년대 마지막 화자가 사망하면서 최근에 사라졌다.
틀링깃어의 다양한 방언은 대략적으로 2음조와 3음조 시스템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통가스 틀링깃어는 음조가 없지만 단모음, 장모음, 성문화 모음, "흐려지는" 모음 사이의 4가지 음역 대조를 갖는다. (마지막 유형에서 모음의 시작은 정상적으로 발음되지만, 릴리스는 속삭임으로, 발음이 시작되면 성문이 빠르게 열리는 것이다.)
2음조 방언의 음조 값은 경우에 따라 3음조 값에서 예측할 수 있지만, 그 반대는 불가능하다. 제프 리어는 통가스 방언을 발견하여 통가스 모음 시스템이 2음조 및 3음조 방언의 음조 특징을 모두 예측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음조 방언 중 어느 것도 통가스 틀링깃어의 모음 특징 분포를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통가스 틀링깃어는 틀링깃어의 다양한 방언 중에서 가장 보수적이며, 다른 방언에서 사라진 대조를 보존하고 있다.
통가스 틀링깃어의 흐려지는 모음과 성문화 모음은 해안 침시안 방언의 유사한 시스템과도 비교되었다.
6. 음운론
틀링깃어는 영어 또는 스페인어와 같은 인도유럽어족 언어에 비해 복잡한 음운론 체계를 가지고 있다. 틀링깃어는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을 동반하는 거의 완전한 일련의 방출음 자음을 가지고 있다. 틀링깃어 방출음 계열에서 유일하게 없는 자음은 이다. 또한 이 언어는 여러 개의 설측음을 가지고 있지만 유성 은 없으며, 대부분의 방언에서는 최근 영어 차용어에 과 를 제외하고는 순음이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6. 1. 자음
다음은 틀링깃어의 자음 음소를 나타낸 표이다. 괄호 안의 음소는 지위가 약한 음소를 나타낸다.rowspan=2 colspan=2| | 양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중설음 | 설측음 | 기본 | 순음화 | 기본 | 순음화 | 기본 | 순음화 | ||||
파열음 | 무기음 | d | g | gw | gh | ghw | . | (.w ) | |||
유기음 | t | k | kw | kh | khw | ||||||
방출음 | ''t ''' | ''k ''' | ''kw''' | ''kh ''' | ''khw''' | ||||||
파찰음 | 무기음 | dz | dl | j | |||||||
유기음 | ts | tl | ch | ||||||||
방출음 | ''ts ''' | ''tl ''' | ''ch ''' | ||||||||
마찰음 | 무성음 | s | l | sh | x | xw | xh | xhw | h | (hw ) | |
방출음 | ''s ''' | ''l ''' | ''x ''' | ''xw''' | ''xh ''' | ''xhw''' | |||||
비음 | (m ) | n | |||||||||
접근음 | (ll ) | y | (ÿ ) | w |
비음이 과 연구개음 및 구개수음 파열음과 동화되는 현상은 모든 방언의 틀링깃어 화자들 사이에서 흔하다. 예를 들어, ''ng'' () 시퀀스는 종종 로, ''ngh'' ()는 로 들린다.
어린 화자와 제2 언어 학습자는 전통적인 무기음/유기음 구별보다는 자음 간의 유성음/무성음 구별을 점점 더 많이 하고 있다. 이는 유사한 구별을 하는 영어의 영향 때문이다.
매디슨, 스미스, 베셀(2001)은 모든 단어 끝의 비방출 파열음이 음소적으로 무기음이라고 언급한다. 일반적인 발화에서는 무방출 에서 매우 지연된 기음 까지 광범위한 변동이 있다.
매디슨과 동료들은 또한 틀링깃어의 방출음 마찰음이 실제로 진정한 방출음이라는 것을 확인한다.
6. 2. 모음
틀링깃어는 8개의 모음을 가지며, 이들은 모음 길이에 따라 4가지로 구분된다. 그러나 모음 길이 구분은 빠른 발음에서 길이보다는 긴장도로 나타나기도 한다. 주요 구어체 방언이자 표준어인 북부 방언에서 모든 모음은 높은 음조나 낮은 음조를 가질 수 있다. 높은 음조는 급성 악센트('áa')로, 낮은 음조는 표시하지 않는다('aa'). 남부 및 과도기 방언은 표시되지 않는 중간 음조와 그레이브 악센트('àa')로 표시되는 추가적인 낮은 음조를 갖는다.내륙 틀링깃어 정서법은 모음 이중 문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짧은 고음 모음은 급성 악센트로, 긴 고음 모음은 곡절 부호로, 긴 저음 모음은 그레이브 악센트로 표시한다. 짧은 저음 모음은 표시하지 않는다. 해안 틀링깃어 <áa>와
틀링깃어에서 단어는 항상 자음으로 시작하며, 모음으로 시작하지 않는다. 이론적으로 모음이 나타날 수 있는 접두사나 복합어 형성에서는 항상 모음 다음에 또는 가 온다.
7. 문자 체계
1960년대 후반까지 틀링깃어는 언어학자들과 인류학자들의 저작물에서 음성 표기 방식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러시아 정교회에서 출판물에 사용한 잘 알려지지 않은 키릴 문자를 제외하면 그러했다. 틀링깃어에 대한 광범위한 작업을 수행한 많은 아마추어 인류학자들은 언어학 훈련을 받지 못했고, 그래서 조지 T. 에먼스와 같이 부정확하고 일관성이 없는 많은 표본들을 남겼다. 그러나 프란츠 보아스, 존 R. 스윈턴, 프레데리카 데 라구나와 같은 저명한 인류학자들은 정확성과 일관성을 특징으로 하지만 가독성을 희생하는 다양한 관련 시스템으로 틀링깃어를 표기했다.
틀링깃어에 사용된 다양한 표기 시스템으로 인해 두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하나는 표기 시스템이 많아, 어떤 자료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각 시스템을 배워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보아스의 틀링깃어 연구 이전의 대부분의 표기에서, 특히 단모음과 방출 자음의 오해로 인해 수많은 오류가 있다는 것이다. 다른 시스템의 유사한 단어 또는 1960년대 나이쉬와 스토리의 연구 이후의 현대 연구와 대조하여 표기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8. 문법
틀링깃어 문법은 처음 보기에는 융합어처럼 보이지만, 이는 잘못된 가정이다. 개별 형태소의 기본적인 음성 형태가 다양한 음운론적 요구에 맞게 수정되는 예측 가능한 과정이 있기 때문이다. 틀링깃어는 교착어로서 매우 합성어이며, 어느 정도는 포합어이기도 하다. 동사는 모든 나데네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특징적으로 통합적이다. 명사는 상대적으로 단순하며, 많은 명사가 동사에서 파생된다.
8. 1. 어순
틀링깃어의 단어 순서는 비-대명사 행위자와 목적어 구가 모두 문장에 존재할 때 SOV 순서를 따른다. 그러나 동사구의 인수를 단일 비대명사 명사구로 제한하려는 경향이 강하며, 다른 구들은 동사구에서 밖으로 끄집어내어진다. 명사구가 동사구 밖에 나타나는 경우, 일반적으로 적절한 대명사로 동사구 내에서 표현된다.8. 2. 명사
틀링깃어 명사에 대한 주요 내용은 틀링깃어 명사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8. 3. 대명사
인간비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