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라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 파라비는 9세기에 활동한 중앙아시아 출신의 철학자, 과학자, 그리고 음악 이론가였다. 튀르크계, 페르시아계, 또는 소그드인으로 추정되며, 바그다드에서 교육을 받았다.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바탕으로 신플라톤주의를 수용하여 '제2의 스승'으로 불렸으며, 이슬람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이상 도시론』, 『음악 대전서』 등이 있으며, 논리학, 형이상학, 정치학,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100편이 넘는 저술을 남겼다. 알 파라비는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을 기독교 서방에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마이모니데스, 아비케나 등에게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72년 출생 - 이인한
    이인한은 오대십국시대 후량, 후당, 후촉에서 활동한 군인으로, 주전충 휘하에서 군 경력을 시작하여 여러 요직을 거쳤으나, 후촉에서 반역 혐의로 처형되었다.
  • 872년 출생 - 요 태조
    요 태조 야율아보기는 거란족을 통합하여 요나라를 건국하고 황제를 칭하며 국가 체계를 확립하고 정복 활동을 펼쳤으며, 이중 통치 체제를 시행하고 한족 문화를 수용하여 요나라의 기틀을 다졌다.
  • 950년 사망 - 유승우 (후한)
    유승우는 오대십국시대 후한의 마지막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불안정한 통치를 하다가 곽위의 반란으로 살해당했다.
  • 950년 사망 - 로타리오 2세
    로타리오 2세는 프로방스의 위그와 프랑코니아 출신 알다의 아들로 947년부터 950년까지 이탈리아 왕국의 왕이었으나, 실권은 이브레아의 베렌가리오에게 있었고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베렌가리오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 연금술사 - 알레한드로 호도로프스키
    칠레 출신의 예술가 알레한드로 호도로프스키는 영화감독, 작가, 심리 치료사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초현실주의적 영화와 사이코매직으로 독자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했다.
  • 연금술사 - 가짜 게버
    가짜 게버 저작집은 16세기에 편집되었지만 그 이전부터 유통된 연금술 관련 저작 모음집으로, 당시 연금술 이론과 실험 지침을 명확히 제시하여 유럽 연금술사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저자와 이슬람 자료 의존도에 대한 논쟁이 있다.
파라비
기본 정보
알-파라비 초상화
알-파라비 초상화
존칭 접미사제2의 스승 (Magister Secundus)
다른 이름제2의 스승
출생기원후 870년 경
출생지파리야브, 호라산
또는 파라브, 트란스옥시아나
사망기원후 950년 경
사망지다마스쿠스
주요 관심사정치 철학
종교 철학
물리학
형이상학
논리학
심리학
인식론
윤리학
음악 이론
주요 사상이슬람 신플라톤주의의 아버지
이슬람 정치 철학의 창시자
지역이슬람 철학
학파아리스토텔레스주의
신플라톤주의
주요 저서키타브 알-무시키 알-카비르 ("음악 대전")
Ara Ahl al-Madina al-Fadila ("고귀한 도시의 견해")
키타브 이흐사 알-울룸 ("학문의 열거")
Risalah fi'l-Aql (지성에 관한 서한)
이름
아랍어أبو نصر محمد الفارابي (Abū Naṣr Muḥammad al-Fārābī)
페르시아어ابونصر محمد بن محمد فارابی
라틴어Alfarabius (알파라비우스)
추가 정보
영향이븐 시나
이븐 바즈
마이모니데스

2. 생애

알 파라비는 중앙아시아의 파라브 부근에서 출생하여 바그다드에서 배웠으며, 투르크족 혈통으로 알려져 있다.[9] 아랍어, 페르시아어, 튀르키예어를 비롯한 수십 개 국어에 능통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바탕으로 신플라톤주의를 접목한 철학 체계를 세워, 아리스토텔레스에 이어 '제2의 스승'으로 불렸다.[9]

알 파라비는 경건한 무슬림이자 신비주의자였다. 그는 이슬람에 철학 개념을 도입하여 이슬람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려 했으며, 진리 획득을 통해 진정한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논리학에도 뛰어났으며, 그의 철학은 후대 유럽에서 보편 논쟁 등 여러 문제를 제기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알 파라비는 바그다드에서 유한나 이븐 하일란을 포함한 시리아 기독교 학자들과 함께 오랜 시간을 보냈다.[9] 이후 다마스쿠스이집트에서 시간을 보낸 후 다마스쿠스로 돌아와 950-951년에 사망했다.[9]

2. 1. 출생과 혈통

알 파라비의 출생과 혈통에 대한 기록은 서로 다르다. 그의 생전이나 직후에 구체적인 정보를 가진 사람에 의해 기록되지 않았고, 풍문이나 추측에 근거한 것으로 보인다. 그의 삶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초기 자료로는 알 파라비가 자신의 시대까지 논리학과 철학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는 자서전적 구절과, 알 마수디, 이븐 알 나딤, 이븐 하우칼의 간략한 언급이 있다. 사이드 알 안달루시는 알 파라비의 전기를 썼다. 12-13세기의 아랍어 전기 작가들은 몇 가지 사실만을 가지고 그의 삶에 대한 허구의 이야기를 사용했다.[9]

그의 이름은 아부 나스르 무함마드 이븐 무함마드 알 파라비였고,[9] 때로는 가족 성씨인 알 타르카니(al-Tarkhani)를 사용하기도 했는데, 즉 니스바에 타르칸 요소가 나타난다.[9]

학자들은 대체로 그의 민족적 배경을 알 수 없다는 데 동의하지만,[9][12] 알 파라비는 페르시아 또는 튀르크계 출신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 페르시아계: 알 파라비의 가장 오래된 전기 작가 중 한 명인 중세 아랍 역사가 이븐 아비 우사이비아(1270년 사망)는 자신의 저서 『우윤』에서 알 파라비의 아버지가 페르시아인 혈통이었다고 언급한다.[9][14] 알 샤흐라주리 또한 알 파라비가 페르시아 가문 출신이라고 주장한다.[15][16] 마지드 파크리에 따르면, 알 파라비의 아버지는 "페르시아 출신의 군대 대장이었다."[17] 디미트리 구타스는 파라비의 저서에 페르시아어, 소그드어, 심지어 그리스어로 된 참고 자료와 주석이 포함되어 있지만, 투르크어는 없다는 점을 지적한다.[9][18] 소그드어가 그의 모국어[19]이자 파라브 주민들의 언어였다는 주장도 있다.[20]
  • 튀르크계: 이븐 칼리칸(1282년 사망)은 자신의 저서 『와파야트』에서 알 파라비가 오늘날 카자흐스탄의 오트라르에 있는 파라브 근처의 작은 마을 와시즈에서 튀르크계 부모에게서 태어났다고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을 바탕으로 일부 학자들은 그가 튀르크계 출신이라고 말한다.[23][24][25][26][27][28] 디미트리 구타스는 이에 대해 비판적으로 언급하며, 이븐 칼리칸의 기록은 이븐 아비 우사이비아의 이전 역사적 기록을 겨냥한 것이며, 알 파라비가 결코 사용하지 않은 추가적인 니스바 ''"알 투르크"''(아랍어: "투르크인")를 언급함으로써 알 파라비의 튀르크계 기원을 "증명"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9]


그의 출생지는 당시 호라산으로 알려진 중앙아시아의 여러 곳 중 어느 곳이었을 수 있다. "파랍(farab)"은 페르시아어로 인근 강에서 흘러나오는 유출수로 관개되는 지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현대 카자흐스탄의 시르다리야 강변에 있는 파랍(오트라르), 투르크메니스탄의 아무다리야 강변에 있는 파랍 등이 있다.

2. 2. 학문 활동

젊은 시절 부하라에서 수학하였고, 901년 바그다드로 건너가 유한나 이븐 하일란 등 기독교 학자들에게서 논리학, 의학, 사회학 등을 배웠다.[9] 바그다드에서 뛰어난 학문적 능력을 인정받아 당대 최고의 석학으로 명성을 떨쳤다. 이븐 아비 우사이비아가 보존한 자서전의 한 구절에 따르면, 알-파라비는 유한나 빈 하이란 밑에서 포르피리오스의 『이스아고게』,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 『명제론』, 『전술리학』, 『후설리학』을 공부했다.[9] 그의 스승인 유한나 빈 하이란은 아시리아 교회의 성직자였다. 알-마수디는 알-무크타디르 통치 기간 동안 유한나가 사망할 때까지 알-파라비가 그에게 배웠을 것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알-파라비는 적어도 942년 9월 말까지 바그다드에 있었고, 『덕 있는 도시 주민들이 지닌 견해의 여러 원리』에서 이를 언급하고 있다.[9] 943년 9월까지 다마스쿠스에서 이 책을 완성했다. 그는 얼마 동안 알레포에 살았고, 나중에 이집트를 방문하여 『여러 원리』의 6개 부분을 요약하여 948년 7월부터 949년 6월까지 정리하고 시리아로 돌아와 하무단 왕조의 지배자 사이프 앗다울라의 지원을 받았다. 알-파라비는 339번째 라자브 달(950년 12월 14일부터 951년 1월 12일)에 다마스쿠스에서 사망했다고 알-마수디는 이 사건 5년 후에 기록했다.[9]

3. 사상

알 파라비는 아리스토텔레스플라톤 철학을 이슬람 신학과 결합하여 독자적인 철학 체계를 구축했다. 아리스토텔레스를 기초로 하고 신플라톤주의를 수용하는 철학 체계를 세웠기 때문에 '제2의 스승'으로 불렸다.[9] 그는 경건한 무슬림이자 신비주의자이기도 했다.

알 파라비는 논리학, 수학, 음악, 철학, 심리학,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공헌했으며, 초기 이슬람 철학에서 '알파라비 학파'를 창시했으나, 후에 이븐 시나 학파에 의해 그 영향력이 감소했다.

3. 1. 철학

알파라비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바탕으로 신플라톤주의를 수용하여, 존재론, 인식론, 윤리학, 정치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창적인 사상을 전개했다. 그는 '파라비주의' 또는 '알파라비즘'으로 불리는 초기 이슬람 철학 학파를 창시했으나, 후에 이븐 시나(아비케나) 학파에 의해 그 영향력이 가려졌다.[37]

알파라비는 "파라비즘" 또는 "알파라비즘"으로 알려진 자신만의 초기 이슬람 철학 학교를 설립했지만, 나중에 아비케나 철학에 빛이 가려졌다. 알파라비의 철학 학교는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과 결별하고 [...] 형이상학에서 방법론으로 나아가는 움직임으로, 근대성을 예견하며", "철학의 차원에서 파라비는 이론과 실천을 통합하고 [...] 정치적 영역에서 그는 실천을 이론으로부터 해방시킨다"라고 평가받는다. 그의 신플라톤주의적 신학은 수사학으로서의 형이상학 그 이상이다. 최초 원인의 본성을 생각하려는 시도에서, 파라비는 인간 지식의 한계를 발견한다.[37]

알파라비는 수 세기 동안 과학과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38] 당시 그의 지식은 아리스토텔레스 다음으로 뛰어나다고 널리 여겨졌다(그의 "제2의 스승"이라는 칭호에서 암시됨). 그의 철학과 수피즘을 종합하려는 작업은 아비케나의 작업의 길을 열었다.[38]

알파라비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에 대한 주석을 저술했으며, 그의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 중 하나는 ''Ara Ahl al-Madina al-Fadila''인데, 여기서 그는 플라톤의 ''국가''를 모델로 한 이상적인 국가에 대해 이론화했다. 알파라비는 종교가 상징과 설득을 통해 진리를 제시한다고 주장했고, 플라톤처럼 철학자에게 국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의무라고 보았다. 알파라비는 이슬람적 맥락에서 플라톤의 견해를 통합하여, 플라톤이 구상한 철학자 왕 대신 예언자-이맘이 이상적인 국가를 통치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알파라비는 이상적인 국가는 무함마드국가원수로 통치했을 때의 메디나 도시 국가라고 주장했는데, 그는 알라와 직접 교류하여 그에게 계시된 법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예언자-이맘이 없는 경우, 알파라비는 초기 이슬람 역사에서의 수니파 라시둔 칼리파의 질서를 그러한 공화주의적 질서의 예로 보면서 민주주의를 이상적인 국가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그는 또한 불완전한 국가가 민주주의에서 나왔다고 주장하며, 그가 공화국으로 보았던 초기 이슬람 칼리파 국가의 질서인 라시둔 칼리파가 후에 우마이야 왕조와 압바스 왕조하에서 군주제와 유사한 정부 형태로 대체된 것을 지적했다.[39]

3. 2. 형이상학과 우주론

알파라비는 형이상학의 주요 주제를 신이 아닌 존재 자체로 보았는데, 이는 신이 절대적 존재의 원리일 뿐이라는 점에서 신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했다. 알킨디와 달리 알파라비는 존재 자체를 우선시하는 관점을 제시했다.[37]

알파라비의 우주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과론적 형이상학, 플로티누스의 유출(emanatio) 우주론,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문학을 종합한 것이다.[38] 그는 우주를 여러 개의 동심원으로 파악했는데, 가장 바깥쪽 구체는 항성천구이며, 그 안쪽으로 토성, 목성, 화성, 태양, 금성, 수성, 그리고 달이 차례로 위치한다. 이 동심원의 중심에는 물질 세계를 포함하는 지구권이 있다.[39]

이러한 각 구체는 이차 지성(천체로 상징됨)의 영역을 나타내며, 이들은 첫 번째 원인(신)과 물질 세계 사이의 인과적 중개자 역할을 한다. 이들은 신으로부터 나왔으며, 신은 그들의 형식적 원인이자 효율적 원인이다.

유출 과정은 첫 번째 원인에서 시작되며, 주요 활동은 자기 성찰이다. 첫 번째 원인이 자신을 생각함으로써 "넘쳐 흐르고", 두 번째 지성의 비물질적 실체가 그로부터 "나온다". 두 번째 지성은 자신과 첫 번째 원인을 숙고하여 다음 지성을 유출시킨다. 이러한 유출은 열 번째 지성까지 계속되며, 그 아래에 물질 세계가 존재한다. 각 지성은 자신과 더 많은 선행자들을 숙고해야 하므로, 존재의 각 수준은 점점 더 복잡해진다. 이 과정은 의지가 아닌 필연성에 기반하며, 신은 우주 창조를 선택할 수 없고, 자신의 존재로 인해 우주를 존재하게 한다. 이는 우주가 영원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알가잘리는 이러한 점을 비판했다.[40]

알파라비는 첫 번째 원인(신)을 부정 신학에 의존하여 설명한다. 그는 변증법이나 정의와 같은 지적 수단으로는 신을 알 수 없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체를 구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첫 번째 원인을 정의하려는 시도는 각 용어가 그 실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존재에 대한 "원인"으로 작용하게 만들지만, 첫 번째 원인은 원인이 없으므로 불가능하다. 그는 또한 실체와 존재가 다른 모든 것과 다르기 때문에 속과 차이에 따라 알 수 없다고 말한다. 이는 형이상학적으로 더 단순한 것이 더 완벽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러한 관찰을 바탕으로 알파라비 우주론의 전체 계층을 속과 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구조의 각 수준은 다양성과 결핍을 주요 특징으로 가지며, 이는 물질 세계의 특징인 복잡성을 나타낸다.[41]

3. 3. 인식론과 종말론

알파라비는 인간의 지성을 잠재적 지성, 현실적 지성, 획득된 지성, 능동 지성으로 구분했다.[37] 잠재적 지성은 모든 인간이 공유하는 사고 능력이고, 현실적 지성은 사고 행위를 하는 지성이다. 능동 지성이 감각 형태에 작용하여 인간이 생각할 수 있게 한다.[37] 인간의 지성은 사고를 통해 잠재성에서 현실성으로 넘어가고, 지성체들을 이해하면서 그것들과 동일시된다. 인간의 지성이 능동 지성의 모든 지성체를 알게 되면, 능동 지성과 결합하여 획득된 지성이 된다.[37]

인간은 획득된 지식을 바탕으로 덕 있는 활동을 할지, 덕 없는 활동을 할지 선택하고, 진정한 행복을 추구할지 결정한다. 윤리적인 것을 선택하고 사색함으로써 현실적 지성은 능동 지성과 같아지고, 완전성에 도달한다. 이 과정을 통해서만 인간의 영혼은 죽음 이후에도 살아남는다.[37]

알파라비에 따르면, 사후 세계는 개인적인 경험이 아니다. 몸이 죽은 후에는 영혼의 개인적인 특징은 모두 소멸된다. 오직 이성적인 능력만이 살아남고, 완전성에 도달한 경우에만 능동 지성과 하나가 되어 순수한 지성의 영역으로 들어간다.[37]

3. 4. 심리학과 예언

알파라비는 인간의 정신을 욕구적 능력, 감각적 능력, 상상적 능력, 이성적 능력의 네 가지로 구분했다. 욕구적 능력은 감각 대상에 대한 욕망이나 혐오를, 감각적 능력은 육체적 실체에 대한 감각을 통한 인지를 담당한다. 상상적 능력은 감각 대상의 이미지를 유지하고 조작하며, 여러 목적을 위해 분리하고 결합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성적 능력은 지성의 능력으로, 인간에게만 고유하며 식물 및 동물과 구분되는 특징이다. 또한, 이성적 능력은 신체의 죽음 이후에도 생존하는 정신의 유일한 부분이다.[39]

알파라비는 상상력이 대상의 감각적 이미지를 유지하고 조작하는 능력 외에도 모방의 기능을 갖는다고 보았다. 즉, 자신의 모습이 아닌 다른 이미지로 대상을 표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악"을 "어둠"과 연관시키는 것처럼, 상상력은 감각 형태를 넘어 기질, 감정, 욕망, 심지어 비물질적 지성이나 추상적 보편성까지 확장할 수 있다.[39]

알파라비에 따르면, 예언자는 지적 능력 외에도 매우 강력한 상상력을 가지고 있어 작용 지성(발생적 우주론에서 10번째 지성)으로부터 지식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지식은 상징과 이미지와 결합하여 일반 대중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추상적 진리를 전달한다. 따라서 예언적 지식을 독특하게 만드는 것은 그 내용이 아니라, 예언자의 상상력이 부여하는 형태에 있다. 철학자들도 증명과 지성을 통해 예언적 지식의 내용에 접근할 수 있지만, 일반 대중에게 전달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39]

알파라비는 『유덕도시』에서 사회심리학의 원리를 서술하였고, 「꿈의 원인에 관하여(夢の原因について)」라는 논문에서는 꿈 해석과 꿈의 성질 및 원인을 구별하였다.

3. 5. 윤리학과 정치 철학

알 파라비는 플라톤의 『국가』를 본보기로 삼아 이상적인 국가를 제시했으며, 플라톤처럼 철학자가 국가를 이끌어야 한다고 보았다.[39] 그는 종교가 상징과 설득을 통해 진리를 보여준다고 생각했다.[39] 알 파라비는 플라톤의 생각을 이슬람 사상에 맞게 적용하여, 철학자 왕 대신 예언자-이맘이 이상적인 국가를 다스려야 한다고 생각했다.[39] 그는 무함마드국가원수로서 알라와 직접 소통하며 통치했던 메디나를 이상적인 국가로 여겼다.[39] 예언자-이맘이 없을 경우에는, 초기 이슬람의 라시둔 칼리파 시대를 이상적인 공화정으로 보면서 민주주의를 차선책으로 생각했다.[39] 하지만 그는 불완전한 국가가 민주주의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하며, 라시둔 칼리파 시대가 이후 우마이야 왕조와 압바스 왕조 시대에 군주제와 비슷한 형태로 바뀐 것을 지적했다.[39]

알 파라비는 철학이 이론적이면서도 실용적인 학문이라고 강조하며, 지식을 실제에 적용하지 않는 철학자를 "쓸모없는 철학자"라고 불렀다.[46] 그는 이상적인 사회는 "진정한 행복"(철학적 깨달음)을 향해 나아가는 사회이며, 철학자는 대중에게 진리를 전달하기 위해 수사학과 시학의 기술을 연마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 깨달음을 얻어야 한다고 주장했다.[46] 그는 철학자의 역할을 의사에 비유하며, 도시의 건강은 사람들의 도덕적 습관에 달려있다고 보았다. 철학자의 의무는 사람들의 영혼을 치유하고, 정의를 확립하며, 그들을 "진정한 행복"으로 이끄는 "덕 있는" 사회를 건설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46]

알 파라비는 그러한 이상적인 사회가 드물다는 것을 알고, "덕 있는" 사회에 미치지 못하는 사회를 무지한 사회, 악한 사회, 잘못된 사회로 나누었다. "무지한" 사회는 인간 존재의 목적을 이해하지 못하고, 부, 감각적 만족, 권력 등 다른 목표를 위해 행복 추구를 대신한다. 알 파라비는 덕 있는 사회의 "잡초"를 언급하며, 이는 진정한 인간의 목표를 향한 발전을 방해하는 사람들이라고 설명했다.[46]

3. 6. 논리학

알 파라비는 주로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을 연구했지만, 그의 저술에는 비아리스토텔레스적 요소도 많이 포함되어 있다. 그는 미래 가능성, 범주들의 와 관계, 논리학문법의 관계, 비아리스토텔레스적인 추론 형태 등의 주제를 다루었다.[34] 그는 논리학을 "관념(idea)"과 "증명(proof)"의 두 가지 그룹으로 분류하기도 했다.

알 파라비는 가정 삼단 논법과 유추적 추론 이론을 고려했는데, 이는 아리스토텔레스 전통이 아니라 스토아 학파의 전통이었다.[35] 또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주석에서 "시적 삼단 논법" 개념을 도입했다.[36]

알 파라비의 주요 저서 중 하나는 『명제론 주해』이다.

3. 7. 음악 이론

알 파라비는 음악 관련 책인 『음악 대전서』(Kitab al-Musiqi al-Kabir)를 저술했다.[1] 이 책에서 그는 음악의 철학적 원리, 우주적 속성 및 영향에 대해 제시하고, 영혼에 대한 음악치료적 효과를 논한다.[2] 또한 음악이 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하며, 텍스트의 의미를 향상시키기 위해 음악을 말, 즉 시에 어떻게 맞추는지 설명한다.[3]

알파라비의 『음악 대전서(Kitab al-Musiqi al-Kabir)』에 나오는 현악기, ‘샤흐루드(shahrud)’ 그림

3. 8. 연금술

알 파라비는 《엘릭서 기술의 필요성》을 저술했다.[33]

4. 저서

알 파라비는 철학, 논리학, 윤리학, 정치학,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100편이 넘는 저술을 남겼다.[41][42][43] 그는 플라톤(Plato)과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의 사상을 통합하려고 시도한 《두 현자의 견해의 조화》(Harmonization of the Opinion of the Two Sage)를 저술하였다.[44]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이지론(理智論)》
  • 《이상도시론(理想都市論)》

5. 유산 및 영향

알 파라비의 사상은 이슬람 세계뿐만 아니라 서양 철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이슬람 사상에 접목하여 '제2의 스승'으로 불렸으며,[45] 중세 이슬람 철학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첫 번째 스승이었다.)[45] 그의 철학은 이븐 시나, 이븐 루시드(아베로에스) 등 후대 이슬람 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토마스 아퀴나스 등 중세 스콜라 철학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알 파라비는 주행학파(Peripatetics) 또는 합리론(Rationalism)자(Estedlaliun)로 인정받았다.[41][42][43] 그는 자신의 저서 『두 현자의 견해의 조화』에서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을 통합하려고 시도했다.[44]

알 파라비는 중세 시대 가장 중요한 유대교 사상가인 마이모니데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마이모니데스는 아랍어로 저술한 논문 『논리학에 관한 논고』에서 페르시아 철학자들, 특히 아비케나와 알 파라비의 논평을 바탕으로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의 핵심 내용을 다루었다.

알 파라비의 이름은 여러 교육 기관과 거리에 명명되었다.


  • 알-파라비 카자흐 국립대학교(KazNU)라는 대규모 카자흐스탄 대학교가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대학교 부지에는 알-파라비 도서관도 있다.
  • 알-파라비 이름을 딴 쉬프켄트 문화 교육대학(Shymkent Pedagogical Institute of Culture) (1967년–1996년)이 있었다.
  • 카자흐스탄의 많은 도시에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
  • 알마티, 쉬프켄트, 투르키스탄 도시에 그의 기념비가 세워졌다.
  • 1975년, 알-파라비 탄생 1100주년을 기념하여 모스크바, 알마티, 바그다드에서 대규모 국제 행사가 개최되었다.[49]
  • 소행성 7057 알-파라비(7057 Al-Fārābī)가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50]
  • 2021년 11월, 카자흐스탄 누르술탄에 알-파라비 기념비가 공개되었다.[51]

참조

[1] SEP Farabi's Philosophy of Society and Religion 2021-03-01
[2] SEP Farabi's Philosophy of Logic and Language 2020-12-01
[3] SEP Farabi's Metaphysics 2021-12-01
[4] 학술지 Farabi's Treatise on Certain Obscurities in Books I and V of Euclid's Elements https://findit.libra[...] 1984-01-01
[5] 서적 Method, Structure, and Development in Fārābī's Cosmology Brill 2012-01-01
[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Islam The Scarecrow Press, Inc. 2009-01-01
[7] SEP The Influence of Islamic Thought on Maimonides 2007-03-01
[8] 학술지 Athens, Jerusalem, Mecca: Leo Strauss's "Muslim" Understanding of Greek Philosophy
[9] 백과사전 Farabi i. Biography http://www.iranicaon[...] 2010-04-04
[10] 백과사전 Fāryāb https://iranicaonlin[...]
[11] 웹사이트 Dehkhoda Dictionary under "Parab" http://www.loghatnaa[...] 2011-10-03
[12] 웹사이트 D. Gutas, "AlFarabi" in Barthaolomew's World accessed Feb 18, 2010 http://bartholomew.s[...] Bartholomew.stanford.edu 2012-09-19
[13] 서적 Farabi
[14] 서적 Oyun al-anba fi tabaqat at-atebba 1882-01-01
[15] 서적 An Anthology of Philosophy in Persia, Vol. 1: From Zoroaster to Umar Khayyam I.B. Tauris in association with The Institute of Ismaili Studies 2007-01-01
[16] 서적 Farab and Farabi 1972-01-01
[17] 서적 One Hundred Philosophers: the life and work of the world's greatest thinkers Zebra 2006-01-01
[18] 서적 Essays on Islamic Philosophy and Science Suny press 1975-01-01
[19] 서적 An Islamic philosophy of virtuous religions : introducing Alfarabi State Univ. of New York Press 2006-01-01
[20] 서적 Al-Fārābī and Aristotelian syllogistics: Greek theory and Islamic practice E.J. Brill 1994-01-01
[21] 웹사이트 فاراب و فارابي https://web.archive.[...] 1972-01-01
[22] 서적 The History of Central Asia The Age of Islam and the Mongol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3] 서적 Central Asia:Pre-Historic to Pre-Modern Times Shipra Publications 2005-01-01
[24] 서적 The Age of Faith Simon and Schuster 1950-01-01
[25] 서적 Al-Farabi's Short Commentary on Aristotle's Prior Analytic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 1963-01-01
[26] 서적 The History of Islamic Political Thought: From the Prophet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7]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Ethics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28]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1995-01-01
[29] 서적 The Turks in the Early Islamic World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05-15
[30] 서적 Amen https://books.google[...] CUA Press 2018-10-10
[31] 학술지 Fārābī's Political Philosophy and Shī'ism https://www.jstor.or[...] 1961-01-01
[32] 학술지 وجوه شیعی فلسفه فارابی http://andishe.maare[...] 2018-10-31
[33] 백과사전 Encyclopaedia of Islam Brill 1936-01-01
[34] 백과사전 History of logic: Arabic logic https://www.britanni[...]
[35] 학술지 Rescher on Arabic Logic Journal of Philosophy, Inc. 1964-11-26
[36] 학술지 The Islamic roots of the poetic syllogism http://findarticles.[...] 2008-02-29
[37] 학술지 Breaking with Athens: Al-Farabi as Founder, Applications of Political Theory By Christopher A. Colmo Oxford University Press
[38] 백과사전 Avicenna/Ibn Sina (CA. 980–1137) http://www.iep.utm.e[...]
[39] 서적 Justice and Democracy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7
[40] 서적 Becoming familiar with Islamic knowledge, V1
[41] 서적 Becoming familiar with Islamic knowledge, V1
[42] 웹사이트 Dictionary of Islamic Philosophical Terms http://www.muslimphi[...] Muslimphilosophy.com 2012-09-19
[43] 웹사이트 Aristotelianism in Islamic philosophy http://www.muslimphi[...] Muslimphilosophy.com 2012-09-19
[44] 서적 Becoming familiar with Islamic knowledge, V1
[45] 서적 Alfarabi: Philosophy of Plato and Aristotle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5-08-17
[46] 서적 Joseph A. Schumpeter, Historian of Economics: Prespectives on the history of economic thought. Selected papers from the History of Economics Society Conference, 1994 Routledge 1996
[47] 서적 An Islamic Philosophy of Virtuous Religions: Introducing Alfarabi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6
[48] 간행물 Al-Farabi's Book of Religion. Ukrainian translation, introduction and comments
[49] 웹사이트 Аль-Фараби гордость не только нашего народа, но и всего исламского мира – Абсаттар Дербисали https://www.inform.k[...] 2022-11-01
[50] 웹사이트 7057 Al-Farabi (1990 QL2) http://www.minorplan[...] 2016-11-21
[51] 웹사이트 Monument to Al-Farabi unveiled in Nur-Sultan https://www.inform.k[...] 2021-1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