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리 대왕 (1963년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리 대왕은 1963년에 개봉한 영화로, 정체불명의 전쟁으로 인해 섬에 고립된 소년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소년들은 랄프를 지도자로 선출하고, 잭이 이끄는 합창단 소년들은 사냥을 시작한다. 잭의 폭력성이 심화되면서 소년들은 랄프와 잭의 두 파로 갈라지고, 짐승에 대한 공포와 광기에 휩싸인다. 결국, 사이먼과 피기가 죽고, 랄프는 쫓기는 신세가 된다. 랄프는 해변에서 영국 해군 장교를 만나 구조되지만, 야만적으로 변해버린 소년들의 모습에 슬퍼한다. 이 영화는 인간 본성의 어두운 면, 무정부 상태, 문명의 얇은 허울을 주제로 다루며, 비평가들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윌리엄 골딩 원작의 영화 작품 - 파리 대왕 (1990년 영화)
    윌리엄 골딩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1990년 미국 영화 《파리 대왕》은 태평양 무인도에 불시착한 사관학교 생도 소년들이 생존을 위해 질서를 세우려 하지만 문명이 붕괴되고 야만적인 본성을 드러내는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발타자 게티, 크리스 퍼, 다니엘 피폴리 등이 출연하고 사라 쉬프가 각본을, 해리 훅이 연출을 맡았으며, 개봉 후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와 원작 소설과의 차이점, 인물 묘사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
  • 파리 대왕을 바탕으로 한 작품 - 파리 대왕 (1990년 영화)
    윌리엄 골딩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1990년 미국 영화 《파리 대왕》은 태평양 무인도에 불시착한 사관학교 생도 소년들이 생존을 위해 질서를 세우려 하지만 문명이 붕괴되고 야만적인 본성을 드러내는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발타자 게티, 크리스 퍼, 다니엘 피폴리 등이 출연하고 사라 쉬프가 각본을, 해리 훅이 연출을 맡았으며, 개봉 후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와 원작 소설과의 차이점, 인물 묘사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
  • 피터 브룩 감독 영화 - 모데라토 칸타빌레
    모데라토 칸타빌레는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소설을 원작으로 1960년에 개봉한 프랑스 영화로, 살인 사건을 목격한 부유한 여인이 쇼뱅과 대화하며 겪는 심리적 변화를 다루며 잔 모로와 장폴 벨몽도가 주연을 맡았고 피터 브룩이 감독했다.
  • 피터 브룩 감독 영화 - 거지의 오페라
    1700년대 런던을 배경으로 거지, 강도, 매춘부 등의 이야기를 통해 사회 부조리와 인간 군상을 풍자하는 오페라 거지의 오페라는 강도 캡틴 매키스의 결혼, 배신, 감옥 생활, 극적인 사면을 그리고, 로렌스 올리비에, 휴 그리피스 등이 출연하고 셰퍼턴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으며 윌리엄 C. 앤드루스와 조르주 와케비치가 미술과 의상을 담당했다.
파리 대왕 (1963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연극 개봉 포스터
연극 개봉 포스터
원작윌리엄 골딩의 《파리 대왕》
감독피터 브룩
제작루이스 M. 앨런
각본피터 브룩
출연제임스 오브리
톰 채핀
휴 에드워즈
톰 가먼
음악레이먼드 레퍼드
촬영톰 홀리먼
편집피터 브룩
제럴드 페일
장클로드 루브찬스키
배급사브리티시 라이온 필름 코퍼레이션
스튜디오로드 오브 더 플라이즈 컴퍼니
앨런-호지던 프로덕션
투 아츠
개봉일1963년 5월 12일 ()
1964년 7월 23일 (영국)
상영 시간92분
국가영국
언어영어
제작비25만 달러 (8만 파운드)

2. 줄거리

소년들은 우두머리를 임명하기로 결정하고 투표를 통해 잭 대신 랄프를 선출한다. 랄프는 소년들을 문명 사회로 이끌려고 노력하였으나, 잭은 점점 권위적이고 폭력적인 성향을 보이며 사냥에 몰두한다. 잭과 사냥꾼들이 불을 꺼뜨려 구조 기회를 놓치자, 랄프는 분노한다. 소년들 사이에서 "짐승"에 대한 공포가 커지고, 잭은 새로운 부족을 만들어 랄프에게서 떠난다.

사이먼은 짐승의 정체가 낙하산병의 시체임을 알게 되지만, 다른 소년들에게 진실을 알리려다 짐승으로 오인받아 죽임을 당한다. 랄프는 슬퍼하며 자책하지만, 피기는 사고였다고 그를 설득한다. 잭 무리는 피기의 안경을 훔치고, 랄프는 잭과 대화하려 하지만 실패한다. 로저가 바위를 떨어뜨려 피기를 죽이고 소라고둥을 부수면서, 랄프는 위험에 처한다. 잭과 사냥꾼들은 랄프를 쫓지만, 영국 해군 장교의 등장으로 랄프는 구조된다.

2. 1. 프롤로그

정체불명의 전쟁 발발로 인해 한 무리의 소년들이 영국에서 대피한다. 소년들이 탑승한 비행기는 전투기에 의해 격추되어 외딴 섬 근처에 불시착한다.[1]

2. 2. 소년들의 조난과 갈등

랄프는 뚱뚱하고 안경을 쓴 소년 피기와 만나 해변에서 소라고둥을 발견한다. 랄프는 소라고둥을 불어 다른 생존자들을 소집한다. 잭 메리듀가 이끄는 소년 합창단도 나타난다. 소년들은 리더를 선출하기로 하고, 투표 결과 랄프가 리더가 된다. 랄프는 소년들을 문명 사회로 이끌려고 노력하고, 합창단 소년들은 나무 창을 만들어 전사처럼 보이게 한다. 잭은 을 가지고 있었다. 랄프, 잭, 사이먼은 섬을 탐험하고 섬에 야생 멧돼지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랄프는 소년들에게 구조 신호를 보내기 위해 불을 피우라고 한다.

소년들은 피기의 안경을 사용하여 신호용 불을 피운다. 잭은 사냥을 통해 돼지를 잡지만, 그와 사냥꾼들이 관리하던 불이 꺼지면서 지나가던 비행기를 놓치게 된다. 피기는 잭을 꾸짖고, 잭은 보복으로 피기를 때려 안경 렌즈 하나를 부러뜨린다. 랄프는 잭에게 분노한다. 소년들 사이에서 "짐승"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쌍둥이 샘과 에릭은 산에서 무언가를 보고 짐승이라고 알린다. 랄프, 잭, 로저는 산에 올라가 움직이는 무언가를 보고 도망친다. 잭은 규칙 없는 새로운 부족을 시작하고, 소년들은 얼굴에 그림을 그리며 사냥을 한다. 피기, 샘, 에릭을 포함한 소수의 소년들만이 랄프와 함께 남는다.

2. 3. 야만성의 발현과 비극

잭을 따르는 소년들은 점차 야만적인 행동을 보이며, '짐승'에 대한 공포와 광기에 휩싸인다. 잭은 규칙이 없는 새로운 부족을 시작하기 위해 그룹을 떠나고, 소년들은 얼굴에 그림을 그리고, 놀고, 하루 종일 사냥한다.

사이먼은 잭이 짐승에게 바치는 제물로 남겨둔, 막대기에 꽂힌 암퇘지 머리를 발견하면서 이성에 대한 위기가 발생한다. 사이먼은 그 머리에 정신이 팔리고, 파리들이 주위에 떼를 지어 몰려든다. 사이먼은 산에 올라 다른 소년들이 짐승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실제로는 낙하산병의 시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사이먼은 다른 사람들에게 진실을 알리기 위해 달려 내려가지만, 어둠 속에서 흥분한 소년들은 그를 짐승으로 오인하여 때려 죽인다.

사이먼의 죽음에 슬퍼하며, 랄프는 사이먼을 죽인 사냥꾼들을 막지 못한 것에 대해 자신을 탓하지만, 피기는 그에게 맞서 사고였다고 설득한다. 피기는 또한 일련의 합리화와 부인을 통해 그룹의 행동을 옹호한다. 나중에, 사냥꾼들은 옛 그룹의 캠프를 급습하여 피기의 안경을 훔친다. 랄프는 여전히 존재하는 소라고둥의 힘을 사용하여 잭의 새로운 그룹이 있는 요새인 캐슬 락에서 그들과 대화하기 위해 간다. 그러나 잭은 들으려고 하지 않는다. 피기가 소라고둥을 집어 들자, 그들은 침묵하지 않고 (규칙에 따르면) 조롱한다. 로저는 절벽에서 바위를 떨어뜨려 피기를 덮치고 죽이고 소라고둥을 부순다. 피기의 시신은 바다로 떨어져 떠내려간다.

랄프는 정글에서 달려 숨어, 나중에 잭의 부족에 의해 로저에 의해 합류하도록 강요된 샘과 에릭을 방문한다. 그들은 잭이 그를 찾아 죽일 계획이라고 경고한다. 다음 날 아침, 잭과 그의 사냥꾼들은 그를 쫓아내기 위해 불을 지른다.

2. 4. 구조와 결말

영국 해군 장교가 섬 전체가 불길에 휩싸이는 가운데 소년들을 구조한다.[1] 랄프는 순수함을 잃어버린 슬픔에 오열하며, 문명의 허망함을 깨닫는다.[1] 가장 어린 소년 중 한 명인 퍼시벌은 장교에게 자신의 이름을 말하려고 하지만 기억을 못한다.[1]

3. 등장인물

영화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 및 배역은 다음과 같다.


  • 제임스 오브리 - 랄프 역
  • 톰 채핀 - 잭 역
  • 휴 에드워즈 - 돼지 역
  • 로저 엘윈 - 로저 역
  • 톰 게이먼 - 사이먼 역
  • 데이비드 서티스, 사이먼 서티스 - 샘과 에릭 역
  • 니콜라스 해먼드 - 로버트 역
  • 로저 앨런 - 피어스 역
  • 켄트 플레처 - 퍼시벌 역
  • 리처드 혼, 티모시 혼, 앤드루 혼 - 랜스, 레슬리, 매튜 역
  • 피터 데이비 - 피터 역
  • 데이비드 브룬제스 - 도널드 역
  • 크리스토퍼 해리스 - 빌 역
  • 앨런 힙스, 조나단 힙스 - 네빌, 하워드 역
  • 번스 홀리먼 - 더글라스 역
  • 피터 크시조폴스키 - 프란시스 역
  • 앤서니 맥콜-저드슨 - 모리스 역
  • 맬컴 로드커 - 해롤드 역
  • 데이비드 세인트 클레어 - 조지 역
  • 르네 산피오렌조 주니어 - 찰스 역
  • 제레미 스큐스 - 롤랜드 역
  • 존 스테이블포드 - 딕비 역
  • 니콜라스 발켄버그, 패트릭 발켄버그 - 루퍼트, 로빈 역
  • 에드워드 발렌시아 - 프레데릭 역
  • 데이비드 월시, 존 월시 - 퍼시, 마이클 역
  • 제레미 윌리스 - 헨리 역

3. 1. 주연


  • 제임스 오브리 - 랄프 역
  • 톰 채핀 - 잭 역
  • 휴 에드워즈 - 돼지 역
  • 로저 엘윈 - 로저 역
  • 톰 게이먼 - 사이먼 역
  • 데이비드 서티스 - 샘 역
  • 사이먼 서티스 - 에릭 역
  • 니콜라스 해먼드 - 로버트 역
  • 로저 앨런 - 피어스 역
  • 켄트 플레처 - 퍼시벌 역
  • 리처드 혼 - 랜스 역
  • 티모시 혼 - 레슬리 역
  • 앤드루 혼 - 매튜 역
  • 피터 데이비 - 피터 역
  • 데이비드 브룬제스 - 도널드 역
  • 크리스토퍼 해리스 - 빌 역
  • 앨런 힙스 - 네빌 역
  • 조나단 힙스 - 하워드 역
  • 번스 홀리먼 - 더글라스 역
  • 피터 크시조폴스키 - 프란시스 역
  • 앤서니 맥콜-저드슨 - 모리스 역
  • 맬컴 로드커 - 해롤드 역
  • 데이비드 세인트 클레어 - 조지 역
  • 르네 산피오렌조 주니어 - 찰스 역
  • 제레미 스큐스 - 롤랜드 역
  • 존 스테이블포드 - 딕비 역
  • 니콜라스 발켄버그 - 루퍼트 역
  • 패트릭 발켄버그 - 로빈 역
  • 에드워드 발렌시아 - 프레데릭 역
  • 데이비드 월시 - 퍼시 역
  • 존 월시 - 마이클 역
  • 제레미 윌리스 - 헨리 역

3. 2. 조연

배우역할
Roger Elwin영어로저 역
David Brunjes영어도널드 역
Peter Davy영어피터 역
Nicholas Hammond영어로버트 역
Christopher Harris영어빌 역
Andrew Horne영어매튜 역
Simon Surtees영어에릭 역
Roger Allen영어피어스 역
Kent Fletcher영어퍼시벌 역
Richard Horne영어랜스 역
Timothy Horne영어레슬리 역
Alan Heaps영어네빌 역
Jonathan Heaps영어하워드 역
Burns Hollyman영어더글라스 역
Peter Krzyszkowski영어프란시스 역
Anthony McCall-Judson영어모리스 역
Malcolm Rodker영어해롤드 역
David St. Clair영어조지 역
Rene Sanfiorenzo Jr.영어찰스 역
Jeremy Scuse영어롤랜드 역
John Stableford영어딕비 역
Nicholas Valkenberg영어루퍼트 역
Patrick Valkenberg영어로빈 역
Edward Valencia영어프레데릭 역
David Walsh영어퍼시 역
John Walsh영어마이클 역
Jeremy Willis영어헨리 역


4. 주제

윌리엄 골딩의 소설과 마찬가지로, 영화는 공포, 증오, 폭력이 인간 본성에 내재되어 있다는 비관적인 주제를 다룬다. 순수한 아이들이 겉보기에 이상적인 고립 상태에 놓이더라도 이러한 본성은 사라지지 않는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랄프가 고통스러워하는 원인은 바로 이러한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3]

MoMA 영화부 큐레이터인 찰스 실버는 이 영화가 "무정부 상태에 관한 것이며, 우리가 '문명'이라고 부르는 얇은 허울이 야만성과 그에 수반되는 증오의 매력적인 외침에 의해 위협받는 방식"에 관한 것이라고 썼다.[4]

4. 1. 인간 본성

골딩의 소설과 마찬가지로, 이 영화는 공포, 증오, 폭력과 같은 인간 본성에 내재된 어두운 면을 비관적인 시각으로 다룬다. 순수한 아이들이 겉보기에는 이상적인 고립 상태에 놓이더라도 이러한 본성은 사라지지 않는다. 영화 마지막 장면에서 랠프가 고통스러워하는 이유는 바로 이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3]

현대 미술관(MoMA) 영화부 큐레이터 찰스 실버는 이 영화가 "무정부 상태, 그리고 '문명'이라는 얇은 껍질이 야만성과 증오에 의해 어떻게 위협받는가"를 다룬다고 설명했다.[4]

4. 2. 권력과 질서

골딩의 소설과 마찬가지로, 영화의 비관적인 주제는 공포, 증오, 폭력이 인간 본성에 내재되어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순수한 아이들이 겉보기에 이상적인 고립 상태에 놓여 있더라도 말이다. 이러한 사실을 깨닫는 것이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랄프의 고통의 원인으로 묘사된다.[3]

MoMA 영화부 큐레이터인 찰스 실버는 이 영화가 "무정부 상태에 관한 것이며, 우리가 '문명'이라고 부르는 얇은 허울이 야만성과 그에 수반되는 증오의 매력적인 외침에 의해 위협받는 방식"에 관한 것이라고 썼다.[4]

4. 3. 공포와 광기

골딩의 소설과 마찬가지로, 이 영화는 공포, 증오, 폭력이 인간 본성에 내재되어 있다는 비관적인 주제를 다룬다. 심지어 순수한 아이들이 겉보기에 이상적인 고립 상태에 놓이더라도 말이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랄프가 고통스러워하는 원인은 바로 이러한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으로 묘사된다.[3]

MoMA 영화부 큐레이터인 찰스 실버는 이 영화가 "무정부 상태에 관한 것이며, 우리가 '문명'이라고 부르는 얇은 허울이 야만성과 그에 수반되는 증오의 매력적인 외침에 의해 위협받는 방식"에 관한 것이라고 썼다.[4]

5. 제작 과정

윌리엄 골딩의 소설 파리 대왕을 원작으로 하는 이 영화는 제작 과정에서 여러 가지 독특한 특징을 보였다. 배우로 선정된 소년들의 부모에게는 소설 사본이 제공되었는데, 여기에는 멧돼지 사냥의 절정을 "오이디푸스 결혼 첫날밤"으로 묘사하는 내용이 포함된 해설 부분이 제거되어 있었다.[5] 피터 브룩 감독은 시간이 촉박했고, 부모들이 여름 방학 동안만 아이들을 빌려주었다고 회고했다.[5]

1996년, 피터 브룩은 다큐멘터리 영화 ''시간은 흐른다''를 위해 출연진을 다시 모았다. 브룩은 세월이 출연진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고립된 촬영 기간이 그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고 싶었다고 말했다.[8] 샘과 에릭 역을 맡았던 쌍둥이 형제 중 한 명인 사이먼 서티스는 대부분 훈련된 예술가가 아니었기 때문에, 피터가 1961년에 자신들을 섬에 던져놓고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살아가도록 내버려둔 것처럼, 자신들을 운명에 내던질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8]

사이먼 역을 맡았던 톰 게먼은 자신의 죽음 장면에 대해 회상하며, 밤이었고 창은 정말 진짜였으며, 진짜 폭풍 속에서 해변의 모닥불 주위에서 불타는 막대기를 휘두르며 흥분했었다고 말했다. 그는 덤불에서 솟아 나와 격렬한 군중의 한가운데로 들어가 공포에 질려 비명을 지르고, 날카롭게 깎은 막대기에 찔려 물가로 비틀거렸다고 덧붙였다.[9]

5. 1. 촬영

영화는 푸에르토리코아과디야, 엘 윤케, 비에케스 섬에서 전적으로 촬영되었다.[6] 출연 소년들은 모두 비전문 배우였고, 대부분 책을 읽지 않았으며, 실제 대본은 최소화되었다. 소년들에게 장면을 설명하고 그들이 연기하도록 한 다음, 일부 대사를 즉흥적으로 만들면서 장면을 촬영했다.[4][7]

5. 2. 편집

푸에르토리코에서 촬영된 60시간 분량의 필름은 편집자 제럴드 페일에 의해 4시간으로 줄여졌다.[5] 이는 다시 1963년 칸 영화제에서 상영된 100분짜리 장편 영화로 편집되었지만, 촬영 후 1년 이상 지나 새로운 오디오 전환과 일부 대사 변경을 더빙해야 했다. 랄프 역을 맡은 제임스 오브리의 목소리는 3옥타브나 낮아져서 전자적으로 조작해야 했고, 잭 역을 맡은 톰 채핀은 영국식 억양을 잃어 다른 소년의 목소리로 더빙해야 했다.[5] 미국 배급사의 요구로 영화는 90분으로 추가 편집되었고, 불 장면과 랄프의 성격을 보여주는 장면들이 삭제되었다.[5]

6. 반응 및 평가

피터 브룩은 1963년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 후보에 올랐고[14], 1963년 전미 비평 위원회가 선정한 그 해의 10대 영화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15]

6. 1. 비평

로튼 토마토에서는 22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평론가 91%가 이 영화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며, 평균 평점은 8.19/10이라고 보고했다.[10] 메타크리틱에서는 9개의 평론가 리뷰를 기반으로 100점 만점에 가중 평균 점수 67점을 기록하여 "대체로 호의적인 평가"를 받았다.[11]

''PopMatters''의 저널리스트 J.C. Maçek III는 "''파리 대왕''에서 진정한 놀라움은 이 아역 배우들이 실제로 '아역 배우'처럼 느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 연기는 거의 억지스럽거나 평면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숙련되고 잘 다듬어진 솜씨는 피터 브룩의 비전을 돕고, 관객을 각 장면에 몰입시키는 관찰자적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라고 썼다.[12]

보즐리 크라우더는 ''뉴욕 타임스''에 "작가이자 감독인 피터 브룩이 만든 이 영화는 원작을 기묘하게 평면적이고 단편적으로 시각화한 것이다. 적어도 처음과 중간 단계에서는 느슨하고 어색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장면에 이상하게 형식적이고 거의 무기력한 서사 흐름이 있다"라고 썼다.[13]

6. 2. 수상

1963년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 후보에 올랐다.[14] 1963년 전미 비평 위원회가 선정한 그 해의 10대 영화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15]

7. 홈 미디어

크라이테리온 컬렉션은 미국과 캐나다에서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로 출시했다.[1] 2000년에는 자누스 필름스가 영국에서 DVD를 출시했다.[1]

8. 노래

영화에서 소년들이 부르는 노래는 키리에 엘레이손으로, 그리스어를 번역하면 "주여, 자비를 베푸소서"라는 뜻이다. 이는 기독교 전례에서 사용되는 기도문이다.

참조

[1] 뉴스 Peter Brook film director 1962-11-29
[2] 간행물 Legit-Type Film Financing https://archive.org/[...] 1961-06-28
[3] 간행물 Robert Wallace Life Magazine 1963-10-25
[4] 웹사이트 Peter Brook's Lord of the Flies http://www.moma.org/[...] 2013-11-12
[5] 서적 Threads of time : a memoir Methuen Drama 1998
[6] 웹사이트 When Lord of the Flies Came to Vieques https://viequesinsid[...] 2016
[7] 웹사이트 Lord of the Flies (1963) http://www.screenonl[...] 2015-07-20
[8] 웹사이트 A History of Savages https://www.tes.co.u[...] 2015-07-20
[9] 웹사이트 Flies http://www.forestdat[...] 2015-07-20
[10] 웹사이트 Lord of the Flies (1963) https://www.rottento[...] 2020-03-10
[11] 웹사이트 Lord of the Flies (1963) Reviews https://www.metacrit[...] 2020-03-10
[12] 웹사이트 Have Mercy: 'Lord of the Flies' http://www.popmatter[...] 2013-09-06
[13] 뉴스 Screen: Agitating Fable of Wild Boys: Savagery Is Depicted in 'Lord of the Flies' https://www.nytimes.[...] 1963-08-20
[14]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Lord of the Flies http://www.festival-[...] 2009-02-27
[15] 웹사이트 1963 Award Winners http://www.nationalb[...] 2015-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