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팔렝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렝케는 멕시코 치아파스주에 위치한 고대 마야 도시 유적이다. 십자가 잎사귀 사원의 텍스트에서 'Toktan Ajaw'로 불리는 Kʼukʼ Bahlam I을 팔렝케 왕조의 창시자로 추정하며, 599년과 611년 칼라크물과의 전쟁 이후 도시 재건 노력이 이루어졌다. 615년부터 683년까지 통치한 Kʼinich Janaabʼ Pakal(파칼 대왕)은 비문의 사원에 묻혔으며, 그의 무덤은 고대 아메리카에서 과학적으로 발굴된 가장 부유하고 보존이 잘 된 무덤으로 평가받는다. 팔렝케는 광범위한 상형 문자 유물과 마야 신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1987년에는 '고대 도시 팔렝케와 국립 공원'으로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우주비행사설 - 에리히 폰 데니켄
    에리히 폰 데니켄은 스위스 작가이자 고대 우주 비행사 설의 주창자로, 《신의 전차》를 통해 고대 문명과 종교의 기원이 외계인의 영향이라고 주장하여 대중적 인기를 얻었으나, 학계에서는 비판받고 있다.
  • 고대 우주비행사설 - 헬리콥터 상형문자
    헬리콥터 상형문자는 고대 이집트 비문에서 겹쳐진 상형 문자의 팔림프세스트 효과로 헬리콥터 모습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형태이며, 석고 침식으로 발생하여 고대 이집트의 정치적, 종교적 상황을 보여주는 사료이다.
  • 멕시코의 유적 - 치첸이트사
    치첸이트사는 멕시코 유카탄주에 있는 마야 문명 유적지로, 쿠쿨칸 신전을 포함한 마야-톨텍 문화 융합을 보여주는 건축물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멕시코의 유적 - 테오티우아칸
    테오티우아칸은 메소아메리카에서 기원전 600년부터 서기 8세기까지 번성한 고대 도시 유적으로, 웅장한 피라미드와 계획적인 도시 구조를 가지며 전성기에는 10만 명이 넘는 인구가 거주했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현재 멕시코의 주요 고고학 유적지이다.
팔렝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팔렝케
다른 이름바악', 라캄하
위치치아파스주, 멕시코
지역치아파스주
팔렝케 콜라주
팔렝케 콜라주
역사
시대후기 선고전기 ~ 초기 후고전기
문화마야 문명
건설알 수 없음
폐기알 수 없음
유적 정보
발굴알 수 없음
고고학자알 수 없음
상태알 수 없음
건축 양식알 수 없음
건축 세부 사항알 수 없음
비고팔렝케 시에는 비문의 신전도 있으며, 내부에는 파칼 대왕의 석관이 있음.
유네스코 세계유산
공식 명칭히스패닉 이전 도시와 팔렝케 국립공원
ID411
등재 연도1987년
기준문화: i, ii, iii, iv
면적1,772 헥타르
기타 정보
기후연평균 기온: , 연간 강수량:
위치 (도시)치아파스주 산토도밍고 델 팔렝케
방문객 통계알 수 없음

2. 역사

바아칼은 칼라크물과의 패배로 인해 혼란에 빠진 채 후기 고전기를 시작했다. 비문의 신전의 상형 문자 패널에는 613년에 몇몇 중요한 연례 종교 의식이 수행되지 않았으며, "신성한 여인이 사라지고, 왕이 사라졌다"고 기록되어 있다.[13] 당시 정부에 대한 언급은 발견되지 않았다.

아지 네' 욜 마트가 죽은 후, 자나브' 파칼(파칼 1세)이 정치적 합의를 통해 권력을 잡았지만, ''아하우''(왕)로 즉위하지는 않았다. 612년, 그의 딸 삭 쿡 여왕이 뒤를 이었으며, 아들이 통치할 나이가 될 때까지 3년 동안 통치했다. 이후 왕조가 재건되었고, 바아칼은 다시 번영하기 시작했다.

팔렝케 궁전 전망대


키니치 자나브 파칼(파칼 대왕)은 12세에 어머니 삭 쿡에게서 왕위를 물려받아 615년부터 683년까지 통치했다. 그의 어머니는 통치 초기에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공동 통치했을 가능성도 있다. 파칼 대왕은 옥탄의 공주 레이디 차크부 아하우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다.

궁전 안뜰에서 바라본 모습


파칼 대왕의 통치 기간 동안 팔렝케의 대부분의 궁전과 사원이 건설되었으며, 도시는 티칼을 능가할 정도로 번성했다. 중앙 단지(궁전)는 654년, 661년, 668년에 여러 차례 확장 및 개조되었다. 이 구조물에는 팔렝케가 티칼, 야슈칠란과 동맹을 맺고 여섯 명의 적 왕을 포로로 잡았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궁전 내부


683년 파칼 대왕이 사망한 후, 그의 장남 키니치 칸 발람이 왕위를 계승했고, 702년에는 그의 동생 키니치 칸 조이 치탐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키니치 칸 발람 1세는 아버지의 건축 작업을 계속하고 십자가 그룹을 포함한 야심 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그의 동생은 궁전 북쪽을 재건하고 확장했다. 이 세 왕의 통치 덕분에 바아칼은 한 세기 동안 성장과 번영을 누렸다. 파칼 대왕의 석관은 마야 무덤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풍부한 옥 장식을 담고 있었으며, 그의 얼굴에는 모자이크 가면이 씌워져 있었다.[3]

13번 신전에서 발견된 붉은 여왕의 가면

쇠퇴와 멸망711년, 토니나 왕국에 의해 팔렝케가 약탈당했고, 키니치 칸 조이 치탐 2세는 포로로 잡혀 처형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10년 동안 왕이 없었다. 722년, 키니치 아칼 모' 나브 3세가 즉위했지만, 그는 키니치 칸 조이 치탐 2세의 직계 상속자가 아니었기 때문에 왕조의 단절로 여겨진다. 이 왕과 그의 아들, 손자는 8세기 말까지 통치했다. 이 시기에는 토니나와의 전쟁이 계속되었고, 팔렝케가 다시 패배했다는 기록이 있다.

때때로 도시 국가의 영주는 여성이었다. 삭 쿡은 612년경부터 최소 3년 동안 팔렝케를 통치했으며, 아들에게 칭호를 물려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여왕은 남성적인 속성을 부여받았다.[14]
발굴18세기 중반 스페인인에 의해 발견되었고,[28] 본격적인 발굴 조사는 1948년에 시작되었다.[27]

1952년 6월 15일, 멕시코 고고학자 알베르토 루스가 "비문의 신전" 지하에서 파칼 왕의 석관과 유해를 발견했다. 이 발견은 중앙 아메리카 피라미드가 왕의 무덤이 아니라 신전의 토대라는 정설을 뒤엎고 고고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30]

1987년, "고대 도시 팔렌케와 국립 공원"은 세계 유산에 등록되었다.[31]

2. 1. 초기 역사

마야 문명의 도시 팔렝케의 초기 역사는 복잡한데, 이는 신화 속 존재들이 다양한 상형 문자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팔렝케 왕조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Kʼukʼ Bahlam I은 십자가 잎사귀 사원(Temple of the Foliated Cross)의 기록에서 ''Toktan Ajaw''로 불린다.[5]

오늘날 우리가 보는 유명한 건축물들은 599년과 611년에 칼라크물과 그 동맹국들의 공격에 대응하여 도시를 재건하려는 노력의 결과로 보인다.[5] 팔렝케의 재건과 도시의 예술 및 건축 부흥을 이끈 주요 인물 중 한 명은 Kʼinich Janaabʼ Pakal(파칼 대왕)로, 615년부터 683년까지 통치했다. 그는 비문의 신전으로 알려진 그의 장례 기념비를 통해 알려져 있는데, 이 신전의 상부 구조에 보존된 긴 기록에서 그의 이름을 따왔다. 알베르토 루즈 루일리에가 파칼의 무덤을 발굴했을 당시, 이 무덤은 고대 아메리카에서 과학적으로 발굴된 무덤 중 가장 보존 상태가 좋고 유물이 풍부했다. 이 기록은 페루 시판에서 부유한 모체 문화 무덤이 발견되고, 최근 코판칼라크물에서 새로운 발견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유지되었다.

Kʼinich Ahkal Moʼ Naab III의 아들 Upakal Kʼinich를 묘사한 팔렝케 박물관의 부조


Kʼinich Janaabʼ Pakal의 무덤 외에도, 팔렝케는 Janaabʼ Pakal, 그의 아들 Kʼinich Kan Bahlam II, 그의 손자 Kʼinich Akal Moʼ Naabʼ의 통치 기간 동안 만들어진 방대한 상형 문자 기록 유물과, 하인리히 베를린[6]과 이후 린다 셸레와 피터 매튜스가 마야 도시의 최초 왕조 목록을 작성한 장소로 역사적으로 중요하다.[7] 타티아나 프로스쿠리아코프의 연구뿐만 아니라 베를린, 셸레, 매튜스 등의 연구는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고대 마야에 대한 많은 연구를 특징짓는 강렬한 역사적 조사를 시작했다.[8] 광범위한 도상학 및 텍스트 기록은 또한 고전 시대 마야 신화[9] 및 의례적 관행[10]에 대한 연구를 가능하게 했다.

Bʼaakal의 첫 번째 아하우(왕)는 431년에 4년간 통치한 케찰(Quetzal) 재규어(Kʼuk Balam)였다. 그 후, 고고학자들에게 "카스퍼"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왕이 권력을 잡았다. 다음 두 왕은 아마도 ''카스퍼''의 아들이었을 것이다. 1994년, 왕을 위한 의식을 묘사하는 석판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이들 중 첫 번째 왕인 Bʼutz Aj Sak Chiik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다. 첫 번째 석판은 그의 후계자인 아칼 모ʼ 나브 1세를 십 대의 왕자로 언급하고 있으며, 따라서 그들 사이에 가족 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알 수 없는 이유로, 아칼 모ʼ 나브 1세는 큰 명성을 얻었고, 그를 계승한 왕들은 그의 후손임을 자랑스럽게 여겼다.

아칼 모ʼ 나브 1세가 524년에 사망했을 때, 4년간의 공위 기간이 있었고, 그 후 529년 Toktán에서 다음 왕인 칸 조이 치탐 1세가 즉위했다. 칸 조이 치탐 1세는 36년간 통치했다. 그의 아들 아칼 모ʼ 나브 2세와 칸 발람 1세는 "위대한 태양"을 의미하는 ''키니치''라는 칭호를 사용한 최초의 왕이었다. 이 단어는 후대 왕들도 사용했다. 발람은 583년에 그의 딸로 추정되는 욜 익날에게 계승되었다. 팔렝케에서 발견된 비문은 그녀의 통치하에 일어난 전투를 기록하고 있는데, 칼라크물의 군대가 팔렝케를 침략하여 약탈했으며, 이는 전례가 없는 군사적 위업이었다. 이 사건들은 599년에 일어났다.

칼라크물의 두 번째 승리는 약 12년 후인 611년에 욜 익날의 아들인 아지 네' 욜 마트의 통치하에 일어났다. 이때, 칼라크물의 왕이 직접 팔렝케에 입성하여 중대한 군사적 재앙을 확정했고, 이는 정치적 혼란의 시기로 이어졌다. 아지 네' 욜 마트는 612년에 사망했다.

2. 2. 전성기 (599년 ~ 711년)

Kʼinich Janaabʼ Pakal (위대한 파칼)은 615년부터 683년까지 팔렝케를 통치했으며, 비문의 사원으로 알려진 그의 장례 기념비를 통해 알려져 있다. Alberto Ruz Lhuillier가 발굴한 파칼의 무덤은 고대 아메리카에서 가장 부유하고 보존이 잘 된 무덤 중 하나였다.[5]

파칼 대왕 외에도, 그의 아들 Kʼinich Kan Bahlam II와 손자 Kʼinich Akal Moʼ Naabʼ의 통치 기간 동안 만들어진 광범위한 상형 문자 유물은 Heinrich Berlin[6], Linda Schele, Peter Mathews가 마야 도시의 최초 왕조 목록을 작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7] Tatiana Proskouriakoff의 연구와 함께 이들의 연구는 고대 마야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8] 또한, 광범위한 도상학 및 텍스트 유물은 고전 시대 마야 신화[9] 및 의례적 관행[10] 연구를 가능하게 했다.

583년, 욜 익날 여왕은 칼라크물의 공격으로 팔렝케가 약탈당하는 전례 없는 군사적 위업을 겪었다.[13] 611년, 욜 익날의 아들 아지 네' 욜 마트 통치 시기에 칼라크물의 왕이 직접 팔렝케에 입성하여 큰 군사적 재앙을 초래했고, 이는 정치적 혼란으로 이어졌다. 아지 네' 욜 마트는 612년에 사망했다.

비문의 신전 내부 기둥


바아칼은 칼라크물과의 패배로 혼란에 빠진 채 후기 고전기를 시작했다. 비문의 신전 기록에 따르면 613년에는 중요한 연례 종교 의식이 수행되지 않았고, "신성한 여인이 사라지고, 왕이 사라졌다"고 언급되었다.[13]

아흐 네' 요흘 마트가 죽은 후, 자나브 파칼(파칼 1세)이 정치적 합의로 권력을 잡았지만, ''아하우''(왕)로 즉위하지는 않았다. 612년, 그의 딸 삭 쿡 여왕이 즉위하여 3년 동안 통치한 후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파칼 대왕은 12세에 어머니 삭 쿡에게서 왕위를 물려받아 615년부터 683년까지 통치했다. 그의 어머니는 통치 초 25년 동안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공동 통치했을 가능성도 있다. 파칼은 옥탄의 공주 레이디 차크부 아하우(아포-헬)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다.

파칼 대왕의 통치 기간 동안 팔렝케의 대부분의 궁전과 사원이 건설되었으며, 도시는 티칼을 능가할 정도로 번성했다. 궁전은 654년, 661년, 668년에 여러 차례 확장 및 개조되었다. 궁전에는 팔렝케가 티칼, 야슈칠란과 동맹을 맺고 여섯 명의 적 왕을 포로로 잡았다는 내용이 묘사되어 있다.

683년 파칼이 사망한 후, 그의 장남 키니치 칸 발람이 왕위를 계승했고, 702년에는 그의 동생 키니치 칸 조이 치탐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키니치 칸 발람 1세는 아버지의 건축 작업을 계속하고 십자가 그룹을 포함한 야심 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그의 동생은 궁전 북쪽을 재건하고 확장했다. 이 세 왕의 통치 덕분에 바아칼은 한 세기 동안 성장과 번영을 누렸다.

711년, 팔렝케는 토니나 왕국에 의해 약탈당했고, 늙은 왕 키니치 칸 조이 치탐 2세는 포로로 잡혀 처형된 것으로 추정된다. 10년 동안 왕이 없었다가, 722년에 키니치 아칼 모' 나브 3세가 즉위했다. 그는 왕족 출신이지만 직계 상속자는 아니었기 때문에, 이 즉위는 왕조의 단절로 여겨진다.

2. 3. 통치자 목록

이름통치 기간
크ʼ크ʼ 바람 1세431년–435년경
카스퍼435년–487년경
부츠 아흐 사크 치익487년–501년경
아칼 모ʼ 나브 1세501년–524년
칸 조이 치탐 1세529년–565년
아칼 모ʼ 나브 2세565년–570년
칸 바람 1세572년–583년
욜 익ʼ날 (여성)583년–604년
아젠 욜 마트605년–612년
자나브 파칼 (지위 불확실)612년경
삭 크ʼ크ʼ (여성)612년–615년
키니치 자나브ʼ 파칼 1세 (파칼 대왕)615년–683년
키니치 칸 바람 2세684년–702년
키니치 칸 조이 치탐 2세702년–711년
키니치 아칼 모ʼ 나브 3세721년–736년경
키니치 자나브 파칼 2세742년경
키니치 칸 바람 3세751년경
키니치 크ʼ크ʼ 바람 2세764년–783년경
자나브 파칼 3세799년–?

[11][12]

키니치 칸 바람 2세, 팔렝케의 많은 통치자 중 한 명. 사원 XVII 석판 세부 사항.

2. 4. 쇠퇴와 멸망 (711년 이후)

711년, 토니나 왕국이 팔렝케를 약탈하면서 늙은 왕 키니치 칸 조이 치탐 2세가 포로로 잡혔다. 왕의 최후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토니나에서 처형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 이후 10년 동안 팔렝케에는 왕이 없었다. 722년, 키니치 아칼 모' 나브 3세가 왕위에 올랐다. 새로운 왕은 왕족 출신이었지만, 키니치 칸 조이 치탐 2세의 직계 후계자라는 증거는 없다. 따라서 이 즉위는 왕조의 단절로 여겨지며, 키니치 아칼 나브는 수년간의 책략과 정치적 동맹을 통해 권력을 잡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왕과 그의 아들, 손자는 8세기 말까지 통치했다. 이 시기에 대해서는 토니나와의 전쟁이 계속되었고, 팔렝케가 또다시 패배했다는 기록이 있는 상형 문자가 있다는 것 외에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8세기 동안 바아칼은 다른 대부분의 고전기 마야 도시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점차 큰 압박을 받았다. 800년 이후에는 의례 중심지에 엘리트 계층의 새로운 건축물이 세워지지 않았다. 이후 몇 세대 동안 농업 인구가 이곳에 계속 거주했지만, 결국 이 지역은 버려졌고 숲에 뒤덮였다. 1520년대 스페인 사람들이 처음 도착했을 때 이 지역에는 사람이 거의 살지 않았다.

3. 유적

팔렝케 유적은 고대 마야 문명의 뛰어난 건축 기술과 예술적 감각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특히, 파칼 대왕 시기에 건설된 다양한 건축물들은 팔렝케의 전성기를 상징하며,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있다.

신화 속 존재들이 다양한 문장 상형 문자를 사용한 것은 복잡한 초기 역사를 암시한다. 예를 들어, 팔렝케 왕조의 창시자로 추정되는 Kʼukʼ Bahlam I은 십자가 잎사귀 사원(Temple of the Foliated Cross)의 텍스트에서 ''Toktan Ajaw''로 불린다.[5]

Kʼinich Janaabʼ Pakal의 무덤이 팔렝케에 가져온 관심 외에도, 이 도시는 그의 아들 Kʼinich Kan Bahlam II, 그리고 그의 손자 Kʼinich Akal Moʼ Naabʼ의 통치 기간 동안 구성된 광범위한 상형 문자 유물과 Heinrich Berlin[6]과 이후 Linda Schele와 Peter Mathews가 마야 도시의 최초 왕조 목록을 작성한 장소로 역사적으로 중요하다.[7] Tatiana Proskouriakoff의 연구뿐만 아니라 Berlin, Schele, Mathews 등의 연구는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고대 마야에 대한 많은 연구를 특징짓는 강렬한 역사적 조사를 시작했다.[8] 광범위한 도상학 및 텍스트 유물은 또한 고전 시대 마야 신화[9] 및 의례적 관행[10]에 대한 연구를 가능하게 했다.

3. 1. 주요 건축물

팔렝케는 오토름 강가 대지에 자리잡고 있으며, 중앙에는 광장이 있고 강을 따라 동쪽으로 가면 신전이 여럿 나온다. 북쪽에는 중앙 아메리카 공놀이를 하는 코트가 있다.

팔렝케 건축자들은 세공된 석회암을 사용한 마야인들의 건축과는 달리 매끄러운 끝마무리를 위해 회반죽을 사용했으며 내부벽에는 조각을 사용했다. 가장 훌륭한 보기는 벽에 부착된 평판들 위에 회반죽으로 새겨진 것들이다. 장식용 회반죽세공과 테라코타상(像)들도 발굴되었다. 대궁전으로 불리는 곳에는 2개의 회랑을 만드는 3개의 벽이 나란히 끝이 뾰족한 둥근 천장으로 덮여 있다.

가장 크고 가장 잘 보존된 건축물에 속하는 비문 신전은 그 상형문자 비문들로 유명하다. 1952년에 그 신전 밑에서 한 지하실이 발견되었는데 그 속에는 8세기 초 승려 통치자의 것으로 여겨지는 비취로 장식된 유골이 있었다. 작은 보 릴리프('아름다운 부조'라는 뜻) 신전은 왕위에 앉은 아름다운 모형의 인물을 얕은 양각으로 새긴 회반죽세공으로 유명하다.

비문 사원


십자가 신전


궁전과 수로


궁전 복도에서 볼 수 있는 내닫이 아치


백작의 신전


궁전


비문의 신전


파칼 왕의 옥 가면


'''궁전'''은 여러 세대에 걸쳐 4세기 동안 넓은 인공 테라스 위에 지어진 여러 개의 연결되고 인접한 건물과 안뜰로 이루어진 복합 단지이다. 궁전은 마야 귀족들이 관료적인 기능, 오락, 의례적인 의식을 위해 사용했다. 궁전은 고대 도시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궁전 내부에는 수많은 조각품과 부조 조각이 보존되어 있다. 궁전의 가장 특이하고 알아보기 쉬운 특징은 관측탑으로 알려진 4층 타워이다. 관측탑은 부지 내의 다른 많은 건물과 마찬가지로 만사드와 유사한 지붕을 전시하고 있다. A자형 내닫이 아치는 단지 전체에서 관찰되는 건축 모티프이다. 궁전에는 정교한 급수 시스템으로 신선한 물을 공급하는 대형 목욕탕과 사우나가 많이 갖춰져 있었다. 3미터 높이의 아치형 볼트로 거대한 돌 블록으로 건설된 수로는 오툴룸 강을 우회하여 주요 광장 아래로 흐르게 한다. 궁전은 팔렝케에서 가장 큰 건물 복합 단지로 기저부에서 97미터 x 73미터 크기이다. 왕족의 거주지로 여겨지는 건물로, 천체 관측용으로 생각되는 마야 건축으로는 드문 4층짜리 탑을 중앙에 갖추고 있다.[32]

'''비문의 신전'''은 파칼 대왕의 장례 기념물로 기원전 675년경에 건설되기 시작했을 가능성이 있다.[15] 이 사원의 상부 구조에는 마야 세계에서 두 번째로 긴 상형 문자 텍스트가 있다(가장 긴 것은 코판의 상형 문자 계단). 비문 사원은 4번째 카툰부터 12번째 카툰까지 약 180년 동안 도시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기록의 초점은 키니치 자나브 파칼의 카툰 기간을 기념하는 의식으로, 팔렌케 삼위일체 또는 GI, GII, GIII로 알려진 도시의 수호신 상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6] 피라미드의 너비는 60미터, 깊이는 42.5미터, 높이는 27.2미터이다. 꼭대기 사원의 너비는 25.5미터, 깊이는 10.5미터, 높이는 11.4미터이다. 가장 큰 돌의 무게는 12~15톤에 달한다. 이 돌들은 피라미드 꼭대기에 있었다. 피라미드와 사원의 총 부피는 32,500 입방 미터이다.[17] 1952년 알베르토 루즈 류일리에르는 사원 상부 구조 뒷방 바닥의 석판을 제거하여 파칼의 무덤으로 이어지는 통로를 발견했다(도시는 버려지기 직전에 채워졌고 고고학자들에 의해 다시 열렸다). 무덤 자체는 거대한 조각된 석관, 파칼을 동반한 풍부한 장식, 무덤 벽을 장식한 스투코 조각상으로 유명하다. 파칼의 무덤에만 있는 것은 심령 통로인데, 이는 무덤 자체에서 계단을 따라 올라가 매장 입구를 덮고 있는 돌의 구멍을 통과한다. 이 심령 통로는 마야 종말론에서 죽을 때 영혼의 떠남에 대한 개념을 물리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이 비문에서 "ochb'ihaj sak ikʼil"(하얀 숨길 진입)이라는 구절은 영혼의 떠남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파칼 왕의 석관 부조는 옆에서 보면 로켓을 타고 조종간을 잡은 우주 비행사처럼 보이기 때문에 마야 문명이 외계인에 의해 만들어진 문명이라고 주장하는 UFO 연구가 사이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34] 그러나 오늘날에는 이 도안은 인물이 옆으로 누워 있으며, 그 위에 옥수수를 양식화한 십자가가 그려져 있다는 해석이 일반적이다.[35] 팔렌케의 피라미드 중 가장 높은 피라미드로, 파칼 왕의 사망 전후에 건조되었다. 파칼 왕의 유해가 그 기저의 묘실에서 발견되었다. 파칼 왕의 아들인 칸 발람 왕에게 봉헌된 것으로, 벽의 한 면에 마야 문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다.[27]

'''십자가 신전 단지'''는 '''십자가 신전''', '''태양 신전''', 그리고 '''잎이 무성한 십자가 신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신전들은 우아한 신전들로, 각각 계단식 피라미드 꼭대기에 있으며, 내부 방에는 정교하게 조각된 부조가 있어 두 인물이 의식용 물건과 조각상을 중앙 아이콘에 제시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초기 해석에서는 작은 인물이 키니치 하나브 파칼이고, 큰 인물은 키니치 칸 바람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현재는 도상학과 금석문의 더 나은 이해를 바탕으로, 중앙 판에는 칸 바람의 두 이미지가 묘사되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작은 인물은 6세 때(9.10.8.9.3 9 아크발 6 슐) 통과의례를 치르는 키니치 칸 바람을 보여주는 반면, 더 큰 인물은 48세에 왕위에 오른 그의 모습을 보여준다.[19] 이 신전들은 초기 탐험가들에 의해 이름이 붙여졌으며, 두 부조에 있는 십자가 모양의 이미지는 실제로 마야 신화에서 세계의 중심에 있는 창조의 나무를 묘사한다. 칸 발람 왕에게 봉헌된 것으로, 칸 발람 왕에 대해 묘사된 석판이 안치되어 있다.[33][27][28]

'''기타 신전'''

  • '''해골 신전'''에는 기둥 중 하나에 해골이 조각되어 있다.
  • '''13호 신전'''에는 1994년에 발견된 미지의 귀족 여성, 아마도 파칼 대왕의 아내로 추정되는 붉은 여왕의 무덤이 있다. 석관 안의 유해는 주사로 만든 밝은 붉은색 가루로 완전히 덮여 있었다.
  • '''재규어 신전(일명 아름다운 부조 신전)'''은 사찰의 주요 단지에서 남쪽으로 약 200미터 떨어진 곳에 있으며, 그 이름은 재규어 형상의 왕좌에 앉아 있는 왕의 정교한 부조 조각에서 유래되었다.
  • '''12호 구조물'''에는 죽음의 신의 부조 조각이 있다.
  • '''백작의 신전'''은 또 다른 우아한 고전적인 팔렝케 신전으로, 초기 탐험가 장프레데리크 발데크가 한동안 이 건물에 살았고 발데크가 백작이라고 주장한 사실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이 유적지에는 또한 많은 다른 신전, 무덤, 엘리트 거주지가 있으며, 이 중 일부는 유적지 중심에서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고, 중앙 아메리카 공놀이를 하는 코트, 그리고 수로 아래로 약간 떨어진 오툴룸 강 위에 있는 흥미로운 돌다리가 있다.

3. 2. 건축 특징

팔렝케 건축자들은 세공된 석회암을 사용한 다른 마야인들의 건축과는 달리, 매끄러운 마감을 위해 회반죽을 사용했으며 내부 벽에는 조각을 사용했다. 벽에 부착된 평판 위에 회반죽으로 새겨진 것들이 훌륭한 예시이다. 장식용 회반죽 세공과 테라코타 상(像)들도 발굴되었다. 대궁전에는 2개의 회랑을 만드는 3개의 벽이 나란히 끝이 뾰족한 둥근 천장으로 덮여 있다.[3]

가장 크고 잘 보존된 건축물 중 하나인 비문의 신전은 상형문자 비문들로 유명하다. 1952년 신전 밑에서 지하실이 발견되었는데, 그 안에는 8세기 초 승려 통치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비취 장식 유골이 있었다. 작은 부조 신전은 왕위에 앉은 아름다운 모형의 인물을 얕은 양각으로 새긴 회반죽 세공으로 유명하다.[13]

'''궁전'''은 여러 세대에 걸쳐 4세기 동안 넓은 인공 테라스 위에 지어진 여러 개의 연결되고 인접한 건물과 안뜰로 이루어진 복합 단지이다. 마야 귀족들이 관료적인 기능, 오락, 의례적인 의식을 위해 사용했다. 궁전은 고대 도시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27]

궁전 내부에는 수많은 조각품과 부조 조각이 보존되어 있다. 궁전의 가장 특이하고 알아보기 쉬운 특징은 관측탑으로 알려진 4층 타워이다. 관측탑은 부지 내의 다른 많은 건물과 마찬가지로 만사드와 유사한 지붕을 가지고 있다. A자형 내닫이 아치는 단지 전체에서 관찰되는 건축 모티프이다. 내닫이 아치는 많은 양의 벽돌 질량을 필요로 하며 너비 대 높이의 작은 치수 비율로 제한되어 특징적인 높은 천장과 좁은 통로를 제공한다. 궁전에는 정교한 급수 시스템으로 신선한 물을 공급하는 대형 목욕탕과 사우나가 많이 갖춰져 있었다. 3m 높이의 아치형 볼트로 거대한 돌 블록으로 건설된 수로는 오툴룸 강을 우회하여 주요 광장 아래로 흐르게 한다. 궁전은 팔렝케에서 가장 큰 건물 복합 단지로 기저부에서 97m x 73m 크기이다.[32]

  • '''해골 신전'''에는 기둥 중 하나에 해골이 조각되어 있다.
  • '''13호 신전'''에는 1994년에 발견된 미지의 귀족 여성, 아마도 파칼 대왕의 아내로 추정되는 붉은 여왕의 무덤이 있다. 석관 안의 유해는 주사로 만든 밝은 붉은색 가루로 완전히 덮여 있었다.
  • '''재규어 신전(일명 아름다운 부조 신전)'''은 사찰의 주요 단지에서 남쪽으로 약 200m 떨어진 곳에 있으며, 그 이름은 재규어 형상의 왕좌에 앉아 있는 왕의 정교한 부조 조각에서 유래되었다.
  • '''12호 구조물'''에는 죽음의 신의 부조 조각이 있다.
  • '''백작의 신전'''은 또 다른 우아한 고전적인 팔렝케 신전으로, 초기 탐험가 장프레데리크 발데크가 한동안 이 건물에 살았고 발데크가 백작이라고 주장한 사실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이 유적지에는 또한 많은 다른 신전, 무덤, 엘리트 거주지가 있으며, 이 중 일부는 유적지 중심에서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고, 중앙 아메리카 공놀이를 하는 코트, 그리고 수로 아래로 약간 떨어진 오툴룸 강 위에 있는 흥미로운 돌다리가 있다.

; 비문의 신전

: 팔렝케의 피라미드 중 가장 높은 피라미드로, 파칼 대왕의 사망 전후에 건조되었다. 파칼 왕의 유해가 그 기저의 묘실에서 발견되었다. 파칼 왕의 아들인 칸 발람 왕에게 봉헌된 것으로, 벽의 한 면에 마야 문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다.[27]

; 그 외의 신전

: 「비문의 신전」 외에도 「십자가 신전」, 「잎 십자가 신전」, 「태양 신전」 등으로 불리는 다수의 신전군이 존재한다. 모두 「비문의 신전」과 마찬가지로 칸 발람 왕에게 봉헌된 것으로, 칸 발람 왕에 대해 묘사된 석판이 안치되어 있다.[33],[27],[28]

4. 발굴

1949년, 멕시코 고고학자 루이리엘이 팔렝케 조사에 착수하여 피라미드 내부에서 해골, 무덤, 석관 등을 발견했다. 팔렝케 발굴 이전에는 “아프리카 피라미드는 무덤이고 아메리카 피라미드는 신전”이라는 선입관이 있었지만, 팔렝케 발굴 이후로 그런 주장은 힘을 잃었다.[27]

18세기 중반 경에 스페인인에 의해 발견되었고, 1948년부터 본격적인 발굴 조사가 시작되었다.[27] 초기에는 후안 갈린도와 같이 팔렝케의 고대 예술에 묘사된 인물들이 현지 원주민과 비슷하다는 것을 언급한 이들도 있었으나, 몇 년 후에도 일부 초기 탐험가들은 이 유적지를 이집트인, 폴리네시아인 또는 이스라엘의 잃어버린 열 지파와 같은 멀리 떨어진 민족의 작품으로 여기기도 했다.

1787년 델 리오 원정 중 리카르도 알멘다리스가 그린 궁전의 부조 세부 묘사


1773년 돈 라몬 데 오르도녜스 이 아길라르가 팔렌케를 조사하고 과테말라 안티구아의 카피탄 제너럴에게 보고서를 보낸 것을 시작으로, 1784년에 추가 조사가 이루어졌다. 2년 후 측량사이자 건축가인 안토니오 베르나스코니가 안토니오 델 리오 대령 휘하의 소규모 군대와 함께 현장을 더 자세히 조사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델 리오의 군대는 벽을 부수어 궁전에 상당한 피해를 입혔고, 베르나스코니는 현장의 첫 번째 지도를 제작하고 몇몇 부조상과 조각의 사본을 그렸다. 1807년에는 화가 루치아노 카스타녜다가 더 많은 그림을 그렸고, 1822년 런던에서 팔렝케에 대한 책인 "팔렌케 근처에서 발견된 고대 도시의 유적 설명"이 출판되었다.

1832년부터 장-프레데릭 발데크는 팔렝케에서 2년을 보내며 수많은 그림을 그렸지만, 그의 작품 대부분은 1866년까지 출판되지 않았다. 1840년에는 존 로이드 스티븐스와 프레데릭 캐더우드가 방문하여 이전의 유적 보고서보다 훨씬 뛰어난 삽화와 함께 계정을 출판했다.

데지레 샤르네는 1858년에 팔렝케의 첫 번째 사진을 찍었고, 1881~1882년에 다시 방문했다. 앨프레드 모즐리는 1890~1891년에 유적지에 야영하여 그가 찾을 수 있는 모든 예술품과 비문에 대한 광범위한 사진을 찍고, 많은 비문의 종이 및 석고 틀, 상세한 지도 및 그림을 제작하여 미래의 모든 조사자들이 따라야 할 높은 기준을 세웠다.

1923년 프란스 블롬은 주요 유적지와 이전에 소홀히 여겨졌던 다양한 외곽 유적지에 대한 우수한 지도를 제작하고, 유적 보존을 위해 할 수 있는 작업에 대한 권고 사항을 담은 보고서를 멕시코 정부에 제출했다.

4. 1. 알베르토 루즈 류일리에의 발굴 (1949년 ~ 1952년)

1949년, 멕시코 고고학자 루이리엘이 팔렝케 조사에 착수했다.[27] 그는 피라미드를 조사하다가 피라미드 내부에서 해골, 무덤, 석관 등을 발견했다. 팔렝케 발굴 이전에는 “아프리카 피라미드는 무덤이고 아메리카 피라미드는 신전”이라는 선입관이 있었지만, 팔렝케 발굴 이후로 그런 주장은 힘을 잃었다.

1952년, 루즈 류일리에르는 비문 사원 상부 구조 뒷방 바닥의 석판을 제거하여 파칼의 무덤으로 이어지는 통로를 발견했다.[15] 이 통로는 도시가 버려지기 직전에 채워졌다가 고고학자들에 의해 다시 열렸다. 무덤은 거대한 조각된 석관, 파칼을 동반한 풍부한 장식, 무덤 벽을 장식한 스투코 조각상으로 유명하다. 파칼의 무덤에는 무덤에서 계단을 따라 올라가 매장 입구를 덮는 돌의 구멍을 통과하는 심령 통로가 있는데, 이는 마야 종말론에서 죽을 때 영혼이 떠나는 개념("ochb'ihaj sak ikʼil", 하얀 숨길 진입)을 물리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발견은 사원이 다면적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처음으로 보여주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이 피라미드는 처음으로 사원이자 장례 구조물로 확인되었다.

많이 논의된 석관 뚜껑의 도상학은 파칼이 마야 옥수수 신의 여러 화신 중 하나인 지하 세계의 아가리에서 나오는 모습을 묘사한다.[18]

1952년 6월 15일, 알베르토 루즈는 "비문의 신전" 지하 실에 도달하여 벽면에 끼워져 있던 거대한 석판을 제거했다. 그 너머에는 종유석이 늘어선 넓은 동굴과 같은 방이 있었고, 순교자로 보이는 여러 구의 유해 외에도 초상화나 마야 문자, 생명 나무 도안의 부조가 새겨진 돌 뚜껑과 그 아래 석관이 묻혀 있었다. 많은 장식품을 옆에 둔 유해는 비취 가면을 썼으며, 7세기에 재위한 파칼 왕(재위 615년 - 683년)의 것이었다.[29] 이 발견은 중앙 아메리카의 피라미드가 이집트의 피라미드와 다르다는 정설, 즉 왕의 무덤이 아니라 신전의 토대에 불과하다는 정설을 뒤엎고 당시 고고학계에 큰 선풍을 일으켰다.[30]

4. 2. 현대의 발굴 및 연구

1948년부터 본격적인 발굴 조사가 시작되었다.[27] 1949년부터 1952년까지 알베르토 루즈 류일리에는 멕시코 국립 인류학 역사 연구소(INAH)를 위해 현장의 발굴 및 통합을 감독했으며, 파칼 대왕의 무덤을 1,000년 이상 만에 처음으로 발견한 사람이었다. 루즈는 비문의 사원에서 4년 동안 작업한 후 비문을 발굴했다.[5] INAH의 발굴 작업은 호르헤 아코스타가 1970년대까지 이끌었다.

1952년6월 15일, 멕시코의 고고학자 알베르토 루스는 "비문의 신전" 지하에서 종유석이 늘어선 넓은 동굴과 같은 방을 발견했다. 방 안에는 순교자로 보이는 여러 구의 유해와 함께 초상화, 마야 문자, 생명 나무 도안의 부조가 새겨진 돌 뚜껑 아래 석관이 있었고, 석관 내부에서는 많은 장식품과 함께 비취 가면을 쓴 유해가 발견되었다. 이 유해는 7세기에 재위한 파칼 왕(위대한 태양 방패, 8 아하우의 위대한 파칼, 파칼 2세, 파칼 대왕, 재위 615년 - 683년)[29]의 것으로 밝혀졌다. 이 발견은 중앙 아메리카의 피라미드가 왕의 무덤이 아니라 신전의 토대일 뿐이라는 기존의 정설을 뒤엎고 고고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30]

1973년, 메르르 그린 로버트슨의 주도로 팔렌케 "메사 레돈다" (원탁 회의)가 처음으로 열렸다. 이후 몇 년마다 주요 마야 학자들이 팔렌케에 모여 새로운 발견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했다. 로버트슨은 팔렌케의 모든 예술품에 대한 상세한 조사를 수행하며 조각의 모든 색상 흔적을 기록했다.

1970년대에는 현장에 작은 박물관이 건설되었다.

킨니치 칸 발람 2세 ("찬 발람 2세").


지난 15~20년 동안 현장의 더 많은 부분이 발굴되었지만, 고고학자들은 현재까지 도시 전체의 5%만이 발굴된 것으로 추정한다.

2010년,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 연구원 크리스토퍼 더피와 커크 프렌치는 피에드라스 볼라스 수로를 압력 수로로 확인했는데, 이는 신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수로는 가파른 지형에 위치한 샘물 공급 수로로, 제한된 출구를 통해 물이 압력을 받아 6m 높이로 강하게 배출된다. 그러나 이 인공물의 용도는 밝혀지지 않았다.[20]

2022년 6월, 멕시코 국립 인류학 역사 연구소 (INAH)의 고고학자들은 마야 신화의 옥수수 신인 어린 훈 후나푸를 나타내는 9인치 높이의 석고 머리 조각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익은 옥수수와 닮은 이 조각상의 부분 삭발된 머리 모양은 어린 옥수수 신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구자들은 팔렌케의 마야인들이 지하 세계로의 입구를 표현하기 위해 연못 위에 이 조각상을 놓았을 것으로 추정한다. 고고학자 아르놀도 곤잘레스 크루즈에 따르면, 마야인들은 석고 일부를 부수고 뼈 조각, 조개, 흑요석 화살촉, 구슬, 채소 등 동물 유해로 채워 연못을 상징적으로 막았다.[21][22]

5. 팔렝케 국립공원

1981년 멕시코 정부에 의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이 공원은 17.72km2의 면적을 차지하며, 고대 도시와 남쪽의 언덕을 포함한다. 이 공원에는 가족 캠프장이 포함되어 있다.

6. 고생물학적 중요성

팔렝케 사원 내부 연구에서는 사원을 짓는 데 사용된 석회암 판과 이 석회암을 채석했던 이전 채석장에서 잘 보존된 화석 해양 어류와 무척추동물의 존재가 밝혀졌다. 이러한 화석의 존재는 19세기부터 알려졌지만, 2000년대 이후에야 중요한 과학적 및 고고학적 관심을 받았다.[23][24]

이 화석들은 백악기-고생대 대멸종 직후인 초기 팔레오세의 테네자파-라칸돈 지층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멸종 이후 해양 생태계의 회복과 현대 산호초의 발달을 기록하고 있다. 화석에는 농어과(''Paleoserranus''), 자리돔(''Chaychanus''), 실고기목(''Eekaulostomus'')과 같은 현대 산호초 어류의 초기 대표 종과 피크노돈과와 같은 멸종된 그룹의 마지막 구성원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다양한 생태계는 멸종을 일으킨 칙술루브 충돌구의 충돌 지점과 비교적 가까운 지역에도 존재했다.[23]

이 지역의 마야 주민들은 이러한 화석을 잘 알고 있었고, 인근 미오세의 툴리하 지층에서 발견된 화석 상어 이빨과 가오리 가시를 절단 도구로 사용하고, 일부 물고기 뼈대를 페인트칠하고, 화석을 더 잘 보여주기 위해 석판을 잘라내면서 가장 초기의 고생물학자 중 하나가 되었다.[24]

7. 세계유산 등재

1987년 "고대 도시 팔렌케와 국립 공원"으로 세계 유산에 등록되었다.[31] 등록 조건은 다음과 같다.[31]


  • 인류의 창조적 재능을 표현하는 걸작.
  • 일정 기간을 통하여, 또는 특정 문화권에서 건축, 기술, 기념비적 예술, 도시 계획, 경관 디자인의 발전에 관해, 인류의 가치 있는 중요한 교류를 보여주는 것.
  • 현존하는, 혹은 소멸된 문화적 전통 또는 문명의 유일하거나 희귀한 증거.
  • 인류 역사상 중요한 시대를 예증하는, 건축 양식, 건축물군, 기술의 집적 또는 경관의 뛰어난 예.

참조

[1] 서적 Classic Maya Place Names https://books.google[...] Dumbarton Oaks
[2] 서적 The Maya World Routledge
[3] 웹사이트 Palenque http://www.mnsu.edu/[...] 2011-03-03
[4] 웹사이트 Estadística de Visitantes http://www.estadisti[...] INAH 2018-03-25
[5] 문서 Martin and Grube 2000
[6] 문서 Berlin 1959, 1965, 1968
[7] 문서 Mathews and Schele 1974
[8] 문서 Schele and Freidel 1990; Martin and Grube 2000
[9] 문서 Berlin 1963; Wald [Schele] 1999; Freidel et al. 1993; Freidel and Macleod 2000; Stuart 2005: Chapter 6
[10] 문서 Stuart 1998
[11] 문서 Martin & Grube 2008, pp. 155–176.
[12] 문서 Skidmore 2010, pp. 2–91.
[13] 웹사이트 Mesoweb
[14] 서적 Archaeology in North America Prentice Hall
[15] 문서 Schele and Mathews 1998:97–99
[16] 문서 Berlin 1963; Schele and Mathews 1998: 106; Carrasco 2005: 433.
[17] 문서 Scarre 1999
[18] 문서 The direction of the Kʼinich Janaabʼ Pakal's movement between realms has been the subject of debate in recent years. Initially, Linda Schele, David Freidel, and others saw Pakal as descending into the underworld (Schele and Mathews 1998: 115). More recently, David Stuart and Freidel have suggested the opposite based on glyphic texts accompanying similar scenes. In these images the birth glyph (often spelled SIH-ya-ja) describes the depicted event.
[19] 문서 Bassie 1991
[20] 웹사이트 Maya plumbing, first pressurized water feature found in New World http://live.psu.edu/[...]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013-02-08
[21] 웹사이트 1,300-Year-Old Corn God Statue Shows How the Maya Worshipped Maize https://www.smithson[...] 2022-08-09
[22] 웹사이트 Sculpted head of Mayan maize god uncovered in Mexico https://www.jpost.co[...] 2022-08-09
[23] 학술지 Rising from the Ashes: The Biogeographic Origins of Modern Coral Reef Fishes http://dx.doi.org/10[...] 2022-07-20
[24] 학술지 The fossil fishes of the archaeological site of Palenque, Chiapas, southeastern Mexico https://www.scienced[...] 2018-02-01
[25] 웹사이트 Protected Area Profile for Palenque from the World Database of Protected Areas https://www.protecte[...] UNEP-WCMC 2021-09-26
[26] 웹사이트 パレンケ  文化遺産 http://www.cbr.mlit.[...] 国土交通省中部地方整備局
[27] 웹사이트 パレンケ http://www.hum.u-tok[...] 東海大学文学部アメリカ文明学科
[28] 웹사이트 NHK 世界遺産の旅 【古代都市パレンケと国立公園】 http://www.nhk.or.jp[...] NHK
[29] 서적 古代マヤ王歴代誌 創元社
[30] 서적 世界遺産極める55 世界遺産を旅する会
[31] 웹사이트 Pre-Hispanic City and National Park of Palenque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whc.unesco.or[...] ユネスコ
[32] 서적 世界遺産極める55 世界遺産を旅する会
[33] 서적 世界遺産極める55 世界遺産を旅する会
[34] 서적 トンデモ超常現象99の真相 洋泉社
[35] 서적 Ancient astronauts, cosmic collisions and other popular theories about man's past. Skeptic libr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