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퍼블릭 라이브러리 오브 사이언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퍼블릭 라이브러리 오브 사이언스(PLOS)는 노벨상 수상자 해럴드 바머스를 비롯한 과학자들이 2000년에 시작한 오픈 액세스 운동으로 설립된 비영리 출판사이다. PLOS는 과학 및 의학 분야의 연구 논문을 무료로 공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2003년 첫 저널인 PLOS Biology를 시작으로 PLOS Medicine, PLOS ONE 등 다양한 학술지를 발행하고 있다. 저자, 고용주, 또는 연구비를 지원하는 기관에서 논문 처리 비용(APC)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CC BY) 라이선스를 통해 모든 콘텐츠를 제공한다. PLOS는 샌프란시스코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오픈 액세스 운동을 통해 과학 지식의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물학 학술지 - 셀 (잡지)
    셀은 1974년 창간되어 엘스비어에 인수된 생명과학 학술지로, 높은 영향력 지수를 가지며 다양한 콘텐츠와 특별 코너를 운영하고, 여러 분야의 자매지들을 발행한다.
  • 샌프란시스코의 단체 - 리눅스 재단
    리눅스 재단은 리눅스 운영체제 표준화 및 오픈 소스 프로젝트 지원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 단체이다.
  • 샌프란시스코의 단체 - 전자 프런티어 재단
    전자 프런티어 재단(EFF)은 인터넷 상의 시민 자유를 옹호하기 위해 1990년 설립된 미국의 비영리 단체로, 법적 지원, 정책 분석, 풀뿌리 운동 등을 통해 온라인 자유를 증진하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 미국의 출판사 -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는 2022년 워너미디어와 디스커버리의 합병으로 탄생한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회사로, 영화, 프리미엄 TV 및 스트리밍 서비스, 뉴스 및 케이블 네트워크 등 광범위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며 비용 절감과 스트리밍 확장, 콘텐츠 전략 재편을 추진하고 있다.
  • 미국의 출판사 - 뉴스 코프
    뉴스 코프는 2012년 루퍼트 머독이 뉴스 코퍼레이션 스캔들 이후 이미지 개선 및 투자자 이익 극대화를 위해 언론·출판 부문을 독립시켜 설립한 상장 회사로, 주요 언론 및 출판 자산을 보유하고 있지만 기후 변화 회의론적 보도와 그린워싱 논란, 경영진 변화 등으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퍼블릭 라이브러리 오브 사이언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퍼블릭 라이브러리 오브 사이언스
영어 이름Public Library of Science
약칭PLOS
2020년 3월 이후 PLOS 로고
개요
유형학제
상태운영 중
성격비영리
설립 및 운영
설립일2000년
공개 운영 시작일2003년
설립자패트릭 O. 브라운
마이클 아이젠
국가미국
본사 위치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리바이스 플라자
조직
주요 인물앨리슨 머딧 (CEO)
직원 수알 수 없음
출판물
종류학술지
주제과학
기타 정보
수익알 수 없음
웹사이트PLOS 공식 웹사이트
슬로건알 수 없음

2. 역사

221x221px




PLOS는 미래에서 현재의 연구자들에게 연구 결과를 공개적으로 공유해줘서 고맙다는 가상의 감사 편지를 만들었다


퍼블릭 라이브러리 오브 사이언스(Public Library of Science, PLOS)는 2000년 노벨상 수상자이자 전 국립보건원 원장이었던 해럴드 바머스, 스탠퍼드 대학교의 패트릭 O. 브라운,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와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의 마이클 아이젠이 시작한 온라인 청원 운동으로 시작되었다.[3][4] 이들은 과학자들이 자신의 연구 결과를 즉시 또는 늦어도 6개월 이내에 무료로 공개하지 않는 저널에는 논문을 제출하지 않겠다고 약속할 것을 촉구했다. 수만 명이 청원에 서명했지만, 대부분은 이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이에 2001년 8월, 브라운과 아이젠은 자체적인 비영리 출판 사업을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5]

PLOS는 바이오메드 센트럴과 같이 ''게놈 바이올로지''(Genome Biology) 등의 저널을 통해 오픈 액세스 과학 기사를 출판하는 모델에 착안하여 자체 저널을 발간하기 시작했다. PLOS 저널의 모든 콘텐츠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라이선스에 따라 게시되는 "오픈 액세스 콘텐츠"이다.

2003년 10월 13일, PLOS는 ''PLOS Biology''라는 과학 저널을 발행하며 공식적인 운영을 시작했고, 이후 11개의 저널을 추가로 발행했다.[7] 이 중 ''PLOS Clinical Trials''는 ''PLOS ONE''으로 통합되었다.

2. 1. 설립 배경

퍼블릭 라이브러리 오브 사이언스(PLoS)는 2000년 노벨상 수상자인 해럴드 바머스, 스탠퍼드 대학교의 패트릭 O. 브라운,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마이클 아이젠 등 저명한 과학자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되었다.[3][4] 이들은 과학 및 의학 분야의 학술 논문을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과학자들은 학술 출판사들에게 연구 논문을 출판 후 6개월 이내에 PubMed Central과 같은 온라인 공공도서관을 통해 무료로 제공하도록 요구하는 공개 서한 운동을 전개했다.[50] 2001년 9월까지 수만 명의 과학자들이 서명에 동참하여 큰 호응을 얻었다.[5]

그러나 출판사들의 반응은 소극적이었다. 이에 PLoS는 자체적인 오픈 액세스 출판 모델을 구축하기로 결정하고, 2001년 8월에 비영리 출판 사업을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5]

2. 2. 초기 활동 및 발전

PLoS는 2001년 여름, 본래 취지를 발전시키기 위해 PLoS 저널 창간을 결정하고 오픈 액세스 출판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47][48] 2002년 12월, 고든 앤 베티 무어 재단으로부터 900만달러의 기금을 지원받아 비영리 과학기술 벤처를 출범시켰다.[6][56]

2003년 10월, 첫 오픈 액세스 저널인 ''PLOS Biology''를 출간하며 본격적인 출판 활동을 시작했으며,[7] 이후 ''PLOS Medicine'', ''PLOS Genetics'' 등 다양한 분야의 오픈 액세스 저널을 지속적으로 창간하였다. 2006년에는 ''PLOS Clinical Trials''를 창간했으나, 이는 ''PLOS ONE''에 통합되었다.

2. 3. 최근 동향

2011년, PLOS는 의료 정보의 무제한 접근을 옹호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인 2015년까지의 모두를 위한 의료 정보(HIFA2015)의 공식 재정 지원 단체가 되었으며, 2012년에는 첫 HIFA2015 웨비나를 후원했다.[12] 2012년, 기관 명칭을 "Public Library of Science" 대신 "PLOS"로 변경했다.[14]

2016년에는 CEO였던 엘리자베스 마린콜라가 개인적, 전문적인 이유로 퇴임한다고 발표했다.[15] 2017년 5월, PLOS는 6월부터 앨리슨 머디트가 새로운 CEO를 맡게 되었다고 발표했다.[16]

2021년, PLOS는 신식민주의 낙하산 연구 관행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 변경을 발표했다. 이 정책은 다른 국가에서 연구를 진행하는 연구자들에게 연구 보고와 관련된 변경 사항을 요구한다.[17]

2023년에는 SDG 출판사 협약에 서명하고,[8][9][10]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 달성을 지원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 이러한 조치의 일환으로, 2021년에 ''PLOS Climate'', ''PLOS Water'', ''PLOS Sustainability and Transformation'', ''PLOS Digital Health'', ''PLOS Global Public Health''와 같이 SDGs 관련 연구를 게재하는 5개의 새로운 오픈 액세스 저널을 도입했다.[11]

3. 운영 및 재정 모델

PLOS는 논문 게재 시 저자나 소속 기관에 투고료를 부과하여 운영 자금으로 사용한다. 2006년 고든 앤 베티 무어 재단과 Sandler Foundation|샌들러 재단영어에서 약 1300만달러를 지원받았으나, 2011년 7월부터는 외부 지원 없이 자체적으로 운영 비용을 충당하고 있다고 밝혔다.

3. 1. 운영 방식

PLOS는 6가지 유형의 회원 제도를 운영하는데, BMC 출판사의 경우처럼 반드시 출판에 소요된 비용을 회수하기 위한 것만은 아니다. 즉, PLOS는 대학, 연구지원기관 등이 PLOS의 오픈 액세스 확산 노력을 지지할 수 있는 하나의 채널을 마련하고, 이들 지지 기관 소속 연구원들에게 논문 처리 비용(APC) 할인 혜택을 주기 위하여 회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54]

저널 자금 조달을 위해, PLOS는 저자, 저자의 고용주 또는 자금 제공자가 지불하는 논문 처리 비용(APC)을 부과한다. 미국에서는 국립 보건원 및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와 같은 기관들이 해당 보조금 수혜자에게 저자 비용을 충당할 자금을 할당하겠다고 약속했다. 2012년에는 "그룹 1 국가"의 저자에게는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고 "그룹 2 국가"의 저자에게는 수수료를 감면해주는 글로벌 참여 이니셔티브(GPI)가 시행되었다.

PLOS는 고든 앤 베티 무어 재단과 Sandler Foundation|샌들러 재단영어으로부터 총 1300만달러의 보조금을 받아 출범했다.[18] PLOS는 2011년 7월에 더 이상 재단으로부터의 보조금에 의존하지 않으며 모든 운영 비용을 충당하고 있다고 확인했다.[19][20]

3. 2. 재정 모델

PLOS는 저널 자금 조달을 위해 저자, 저자의 고용주, 또는 자금 제공자가 지불하는 논문 처리 비용(APC)을 부과한다.[55] 미국에서는 국립 보건원(NIH) 및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HHMI)와 같은 기관들이 해당 보조금 수혜자에게 저자 비용을 충당할 자금을 할당하겠다고 약속했다. 2012년에는 "그룹 1 국가"의 저자에게는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고 "그룹 2 국가"의 저자에게는 수수료를 감면해주는 글로벌 참여 이니셔티브(GPI)가 시행되었다. (모든 경우에, 게재 결정은 전적으로 편집 기준에 따라 이루어진다.)

PLOS는 고든 앤 베티 무어 재단과 Sandler Foundation|샌들러 재단영어으로부터 총 1300만달러의 보조금을 받아 출범했다.[18] 2011년 7월, PLOS는 더 이상 재단으로부터의 보조금에 의존하지 않으며 모든 운영 비용을 충당하고 있다고 확인했다.[19][20] 그 이후, PLOS의 대차대조표는 2012–2013년 순 자산 2051.1만달러에서 2014–2015년 3659.1만달러로 개선되었다.[21][22] PLOS 저널 투고 시 저자 또는 저자 소속 연구 기관은 투고료를 지불해야 하며, PLOS는 이를 저널 발행 자금으로 사용한다.

4. 출판물

(이후 PLOS ONE으로 통합)2006년 4월 1일1555-5887PLOS ONE2006년 12월 1일1932-6203PLOS 소외 열대 질병2007년 10월 1일1935-2735PLOS Hub for Clinical Trials2007년 9월 1일—PLOS Currents2009년 8월 1일2157-3999PLOS Climate2021년2767-3200PLOS Digital Health2021년2767-3170PLOS Global Public Health2021년2767-3375PLOS Sustainability and Transformation2021년2767-3197PLOS Water2021년2767-3219


4. 1. 주요 학술지

(이후 PLOS ONE으로 통합)2006년 4월 1일PLOS ONE2006년 12월 1일PLOS 소외 열대 질병2007년 10월 1일PLOS Hub for Clinical Trials2007년 9월 1일—PLOS Currents2009년 8월 1일PLOS Climate2021년PLOS Digital Health2021년PLOS Global Public Health2021년PLOS Sustainability and Transformation2021년PLOS Water2021년



PLOS는 2003년 10월 13일에 첫 번째 피어 리뷰 온라인 과학 잡지인 PLOS Biology를 발행했으며[48], 이후에도 의학과 계산 생물학, 유전학 등의 전문 잡지를 창간했다. 2006년에 창간한 PLOS Clinical Trials는 같은 해에 발행을 시작한 PLOS ONE에 흡수되는 형태로 발행을 중단했다.[39]

4. 2. 기타 파트너십

2017년 4월, PLOS는 오픈 인용구 이니셔티브의 창립 파트너 중 하나였다.[23]

5. 기술 및 라이선스

PLOS에서 사용하는 기술인 암브라(Ambra)는 오픈 액세스 연구 논문을 공개하는 오픈 소스 운영체제이며, 아파치 라이선스 버전 2.0으로 허가된다.[52] 암브라에 연계되는 오픈 소스 애플리케이션으로는 기사 수준의 메트릭스(Article-Level Metrics)가 있다. PLOS의 저널 및 컬렉션은 대부분 암브라 플랫폼에서 관리되지만, 생물다양성(Biodiversity)은 라이프레이 포탈 플랫폼에 연결되고, PLOS에 상반되는 경향은 구글 놀로 관리된다.

2011년 여름에는 ALM과 API를 접목하는 방법과 레퍼런스 매니저 및 대학 소셜 네트워크로 활용되는 Mendeley에 합류하는 방식이 새롭게 개발되었다.[52]

PLOS에서 발행되는 모든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CC BY)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 가능하다.[56]

5. 1. 사용 기술

PLOS에서 사용하는 기술인 암브라(Ambra)는 오픈 액세스 연구 논문을 공개하는 혁신적인 오픈 소스 운영체제이다. 이것은 이용자가 콘텐츠와 상호 작용하여 자료가 "살아있는" 자료가 될 수 있도록 포스트 간행 주석과 면담을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암브라 플랫폼은 지금도 PLOS에서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아파치 라이선스 버전 2.0에서 허가 된다.[52]

암브라에 연계되는 오픈 소스 애플리케이션으로는 응용 프로그램 문서 자체에 게시된 기사의 사용과 범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개발된 기사 수준의 메트릭스(Article-Level Metrics)가 있다. 이는 온라인으로 사용, 견적, 소셜 북마크, 메모, 의견, 평가 및 블로그 커버리지를 포함한 연구 논문의 집계 관련 데이터와 통계를 표현하는 것에 사용되고 있다.

PLOS의 모든 저널 및 컬렉션은 암브라 플랫폼에 관리되지만 예외적으로 생물다양성(Biodiversity)은 라이프레이 포탈 플랫폼에 연결되고 PLOS에 상반되는 경향은 구글 놀에 의해 관리된다.

2011년 여름, 두 가지 새로운 전개 방법이 생겼는데, ALM과 API를 접목하여 콘텐츠와 상호작용 방식을 개선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생성을 촉진하는 방법과 유명한 레퍼런스 매니저로서 대학 소셜 네트워크에 활용되고 있는 Mendeley에 합류하여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촉진하는 것이 그것이다.[52]

5. 2. 라이선스

PLOS에서 발행되는 모든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CC BY)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 가능하다.[56] 이는 저작물의 복제 및 배포에 대한 유일한 제약 조건이며, 저작자에게 저작물 무결성 관리 및 적절한 인정과 인용을 받을 권리를 부여한다.

6. 개인 정보 보호 정책

PLOS는 사용자의 이름, 이메일 주소, 기관명, 전화번호 등 개인 정보를 요청할 수 있지만, 정보 제공은 자발적이다.[53] PLOS는 전자 자원과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맞게 제공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며, 일반적으로 개인 정보 제공 없이 사이트 이용이 가능하다.[53]

PLOS는 사이트 이용 분석을 위해 도메인 정보를 수집한다.[53] 이 데이터는 사용자의 방문 빈도,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 등을 분석하여 웹 기반 제품 개선에 사용된다.[53] 이 정보는 자동으로 수집되므로 사용자의 별도 작업은 필요하지 않다.[53]

PLOS는 법에 의해 요구되거나 사용자의 명시적인 허가가 없는 한 제3자에게 개인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다.[53]

사이트의 일부 페이지는 쿠키를 사용할 수 있다.[53] 쿠키는 사이트 식별을 위해 사용자의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되는 작은 파일이며, 사이트 등록 및 사용자 정의에 사용된다.[53] 사용자는 쿠키 허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지만, 쿠키를 허용하지 않을 경우 일부 페이지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특정 정보에 접근하지 못할 수 있다.[53]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은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정책 관련 문의는 PLOS에 직접 할 수 있다.[53]

7. 본부

PLOS의 주요 본사는 샌프란시스코 리바이스 플라자의 Koshland East 빌딩 225호에 있다.[24] 2010년 6월 21일부터 리바이스 플라자에서 본부 업무를 시작했다.[43][44] 영국 케임브리지에도 편집국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hoose Your Journal https://plos.org/you[...] 2022-11-23
[2] 논문 Mechanism for Multiple Ligand Recognition by the Human Transferrin Receptor
[3] 웹사이트 History https://web.archive.[...] PLOS 2014-08-24
[4] 웹사이트 Professor Michael Eisen: A Pioneer of Open Access Science https://web.archive.[...] The Tower 2015-10-26
[5] 논문 Public library of science shifts gears: As scientific publishing boycott deadline approached, advocates of free scientific publishing announce that they will create their own online, free-access archive
[6] 웹사이트 Public Library of Science to launch new free-access biomedical journals with $9 million grant from the Gordon and Betty Moore Foundation http://www.moore.org[...] 2002-12-17
[7] 웹사이트 Submit https://plos.org/pub[...] 2021-11-29
[8] 웹사이트 Building a more sustainable future through Open Access research https://theplosblog.[...] 2023-04-21
[9] 웹사이트 SDG Publishers Compact Members https://www.un.org/s[...] 2023-07-18
[10] 웹사이트 SDG Publishers Compact https://www.un.org/s[...] 2023-07-20
[11] 웹사이트 To boldly grow: five new journals shaped by Open Science https://theplosblog.[...] 2021-04-27
[12] 웹사이트 How organisations support HIFA2015 https://web.archive.[...] 2013-07-22
[13] 웹사이트 HIFA2015 Webinars http://webarchive.lo[...] 2013-07-22
[14] 웹사이트 New PLOS look http://blogs.plos.or[...] Public Library of Science 2012-07-23
[15] 뉴스 PLOS on Twitter https://twitter.com/[...] 2016-10-31
[16] 웹사이트 PLOS Appoints Alison Mudditt Chief Executive Officer STM Publishing News http://www.stm-publi[...] 2017-05-19
[17] 웹사이트 Announcing a new PLOS policy on inclusion in global research https://theplosblog.[...] 2021-10-11
[18] 논문 Open-access journal hits rocky times 2006-06-01
[19] 웹사이트 2010 PLOS Progress Update | The Official PLOS Blog http://blogs.plos.or[...] Blogs.plos.org 2011-07-20
[20] 웹사이트 How far has open access progressed? https://www.nii.ac.j[...] SPARC Japan
[21] 웹사이트 2012-2013 Progress Update http://www.plos.org/[...] PLOS 2013-09-19
[22] 웹사이트 2014-2015 Progress Update https://www.plos.org[...] PLOS 2015-09-15
[23] 웹사이트 Press https://i4oc.org/pre[...] Initiative for Open Citations 2017-04-06
[24] 웹사이트 Contact http://www.plos.org/[...] PLoS 2012-03-04
[25] 웹사이트 Contact http://www.plos.org/[...] PLoS 2008-03-10
[26] 웹사이트 PLoS San Francisco office is moving | The Official PLOS Blog http://blogs.plos.or[...] PLOS 2010-06-16
[27] 웹사이트 New PLOS look http://blogs.plos.or[...] Public Library of Science 2012-07-23
[28] 웹사이트 Journals http://www.plos.org/[...] plos.org
[29] 웹사이트 미국: 법안FRPAA2012、10機関が支持 http://johokanri.jp/[...] 과학기술진흥기구 2012-02-16
[30] 웹사이트 PLoS (Public Library of Science) http://www.jiten.com[...] デジタル・クリエイターズ連絡協議会
[31] 논문 Open-access journal hits rocky times https://www.nature.c[...]
[32] 웹사이트 2010 PLoS Progress Update The Official PLOS Blog http://blogs.plos.or[...] Blogs.plos.org 2011-07-20
[33] 간행물 PLoS biology
[34] 간행물 PLoS Medicine
[35] 간행물 PLoS computational biology
[36] 논문 PLOS genetics Public Library of Science
[37] 논문 PLOS pathogens Public Library of Science
[38] 논문 PLoS neglected tropical diseases
[39] 논문 PLoS hub for clinical trials
[40] 논문 PLoS hub for clinical trials
[41] 논문 PLoS currents
[42] 웹사이트 Contact http://www.plos.org/[...] PLoS 2008-03-10
[43] 웹사이트 Contact http://www.plos.org/[...] PLoS
[44] 웹사이트 PLoS San Francisco office is moving http://blogs.plos.or[...] PLOS 2010-06-16
[45] 간행물 의학 분야 오픈 액세스 현황 분석을 통한 국내 의학 정보 활성화 방안
[46] 간행물 의학 분야 오픈 액세스 현황 분석을 통한 국내 의학 정보 활성화 방안
[47] 간행물 오픈 액세스 운동의 동향과 학술적 이해관계자의 대응전략
[48] 웹사이트 http://www.plos.org/[...]
[49] 간행물 의학 분야 오픈 액세스 현황 분석을 통한 국내 의학 정보 활성화 방안
[50] 간행물 정보공유적 모델 기반의 학술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 저작권을 중심으로
[51] 간행물 의학 분야 오픈 액세스 현황 분석을 통한 국내 의학 정보 활성화 방안
[52] 웹인용 PLOS Homepage http://www.plos.org/[...]
[53] 웹인용 PLOS 홈페이지 http://www.plos.org/[...]
[54] 간행물 의학 분야 오픈 액세스 현황 분석을 통한 국내 의학 정보 활성화 방안
[55] 논문 오픈 액세스 환경에서의 저작권 문제에 대한 연구 : 생물정보학 연구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56] 간행물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동향 : 자유이용을 중심으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