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액세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픈 액세스(Open Access, OA)는 학술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인터넷을 통해 학술 논문을 무료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인터넷 발전과 학술 정보의 상업화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으며, 1990년대부터 시리얼 위기에 대한 대안으로 부상했다. 부다페스트 오픈 액세스 선언을 통해 핵심 원칙이 제시되었으며, 골드, 그린,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다. 오픈 액세스는 연구의 영향력을 증대시키고, 동료 심사 및 학술 출판에 영향을 미치며, 약탈적 출판과 같은 문제도 발생한다. 많은 국가에서 오픈 액세스 정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불평등 해소에도 기여하지만, 고소득 국가 중심의 출판 구조와 성 불평등과 같은 문제도 존재한다.
오픈 액세스의 본격적인 시작은 1995년 6월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 도서관의 HighWire에서 찾을 수 있다. HighWire는 1995년 가장 많이 인용되면서 두 번째로 크게 상호심사가 이루어지는 주간 저널인 JBC(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를 온라인 형태로 출판하면서 시작되었다. HighWire는 학술 연구 결과를 보다 효율적으로 유통시키기 위하여 과학기술분야 학회와 출판사들이 과학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새로운 정보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설립되었고, 일반 이용자들도 웹상에서 무료로 이용이 가능했다.
오픈 액세스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오픈 액세스(Open Access, OA)는 인터넷과 월드 와이드 웹의 발전으로 연구자들이 전 세계적으로 추구하게 된 방식이며, 학술 저널 출판 개혁 운동과 함께 골드 및 리브레 OA도 발전했다.
2. 역사
오픈 액세스의 핵심 선언은 2002년 2월의 BOAI(Budapest Open Access Initiative)선언이다.[482] 이 선언은 전 학문분야 연구 논문을 일반인이 인터넷을 통하여 무료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원리, 전략 위임에 대한 성명이다. OSI(Open Society Institute)는 오픈 액세스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초기 도움과 자금을 제공하였고, 셀프 아카이빙(Self-archiving)의 확대와 새로운 오픈 액세스 저널(Open access journal)의 창립, 그리고 오픈 액세스 저널 시스템이 경제적으로 자생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BOAI 선언의 목표는 상호심사가 이루어진 연구논문의 자유로운 이용이며, 이를 위하여 셀프 아카이빙과 오픈 액세스 저널 두 가지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때, 오픈 액세스를 '재정적, 법률적, 기술적 장벽 없이 인터넷을 통해 학술논문의 원문을 누구나가 무료로 접근하여 읽고, 다운로드하고, 복제하고, 배포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저자들이 허용하는 것'이라 정의하였다. OA 의무제출을 연구비 지원의 조건으로 내거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결국 오픈 액세스는 학술정보 유통에 있어서 지나친 상업화와 가격 인상으로 부담 능력이 전무하거나 미약한 국가, 기관, 도서관, 개인 등의 접근이 크게 제한되고 있는 문제의 대안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483] 오픈 액세스의 목적은 이용자들에게 있어 학술정보,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을 개방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가격 및 접근에 대한 장벽을 제거하는 등의 원활한 학술소통을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연구 지원 및 고등 교육 지원은 연구자 수를 증가시키고 학술 논문과 학술 잡지를 증가시켰다. 학술 논문의 증가는 학술 잡지에서의 편집 프로세스 증가와 출판 비용 증가를 야기했다. 여기에 출판 업계의 인수 합병에 의한 시장 과점이 원인이 되어 학술 잡지 가격은 폭등했다. 1970년경부터 학술 잡지 가격은 매년 10% 정도 상승을 계속했고, 이는 대학 도서관의 구매 예산 증가보다 커서 1990년경에는 큰 문제가 되었다. 구독을 중지하는 도서관도 나타나 그것이 더욱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시리얼 위기라고 불리는 문제이다. 일본의 국립 대학에서도 이 시리얼 위기의 영향을 받아 해외 잡지 수용은 1990년부터 급감했다. 대학 도서관은 공동 구매 체제를 확립하여 이 난국을 헤쳐나가려 했다. 이 무렵, 인터넷 발전과 함께 전자 저널이 늘어나기 시작했고, 빅딜(포괄 계약 방식)이라는 계약이 활발하게 맺어졌다. 빅딜은, 어떤 출판사가 발행하고 있는 전자 저널 전부 또는 대부분에 액세스할 수 있다는 계약으로, 약간의 요금 추가로 다수의 전자 저널을 열람할 수 있게 된다. 논문 1편당 단가는 낮아지고, 또한 규모가 작은 도서관이라도 대규모 도서관과 동등한 자료에 액세스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시리얼 위기의 구세주로 환영받았다.
그러나 빅딜 계약을 맺는 것은 큰 고정비를 떠안게 되어, 예산의 유연성을 잃는 결과를 낳는다. 대규모 기관이 되면 단 하나의 빅딜 계약만으로도 수백만 달러가 든다. 또한 빅딜은 도서관의 자료 구매비 전체를 압박하여, 저널 이외의 구매에 악영향을 미친다. 특히 저널이 아닌 단행본 출판이 일반적인 인문 계열 연구에 영향이 크다. 실제로 히토츠바시 대학 부속 도서관은, 전자 저널 구매 비용에 의해 단행본 예산이 압박받은 것을 하나의 이유로, 전자 저널 계약을 해제했다. 게다가 고액의 계약에도 불구하고, 예산 절약을 위해 몇 개의 타이틀을 계약 해제하는 것 등이 불가능하고, "전부 아니면 무"와 같은 형태가 되는 것도 마이너스 포인트이다. 오픈 액세스와 깊은 관련이 있는 저널리스트 리처드 포인터는 빅딜을 "뻐꾸기"라고 표현하며, "뻐꾸기는 일단 둥지에 자리를 잡으면 먹이를 다 먹어치우고 다른 둥지 새끼를 쫓아낸다"고 빅딜의 위험성을 지적하고 있다. 결국, 빅딜은 일시적인 미봉책에 지나지 않아, 시리얼 위기의 구세주가 되지 못했다.
이러한 학술 잡지의 과점과 가격 폭등이라는 연구 성과의 자유로운 유통을 방해하는 상황을 타개하고자, 1994년 스티븐 하르나드는 메일링 리스트에 "전복 제안"이라는 제목의 글을 게시했다. 출판사가 지배하는 체제를 "전복"시키고, 연구자가 셀프 아카이브를 사용하여 논문을 공개하는 것이 바람직한 모습이라고 설파했다. 하르나드가 셀프 아카이브의 모범으로 든 것이 E-print archive 였다. 1991년에 로스알라모스 연구소의 폴 긴스퍼그에 의해 시작된 E-print archive는 물리학 분야의 프리프린트 서버로, 게시된 논문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었다. 연구자에게 논문 출판이란, 자신의 연구를 세상에 알리고 연구자로서의 평가를 높이기 위한 것이며,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근저에 있었고, 하르나드의 제안도 이에 따른 것이었다. 하르나드의 제안은 반향을 불러 책으로 묶였다. 포인터는 하르나드의 이 제안을 오픈 액세스의 원점으로 꼽고 있다.
오픈 액세스 역사에서 SPARC(Scholarly Publishing and Academic Resources Coalition) 또한 중요한 원류로 알려져 있다. SPARC는 ARL(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가 가격 폭등과 시장 과점에 불만을 품고, 상업 출판사에 대항하기 위해 1998년에 설립한 것으로, 초기에는 경쟁지 발행이 주된 활동이었다. 그 목표는, 경쟁 원리에 의해 기존 학술지 가격을 낮추는 것이었다. 엘스비어의 Tetrahedron Letters의 대항지로, 미국 화학회와 손잡고 창간한 Organic Letters는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목표로 했던 가격 인하까지는 이르지 못했고, 기존의 대형 출판사를 흔들 정도는 아니었다.
해럴드 바머스를 중심으로, 2000년에 PLoS(Public Library of Science)가 발족했다. PLoS는 상업 출판사에 대해, 출판 후 6개월 이내에 공개 아카이브에 논문을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투고, 구독 등에 대해 보이콧을 실시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3만 명 이상의 연구자로부터 서명이 모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응한 출판사도 보이콧을 실시한 연구자도 존재하지 않았다.
2001년 12월, 오픈 액세스에 관한 첫 국제 회의가 부다페스트에서 개최되었다. 이 회의를 바탕으로 2002년에 공표된 부다페스트 오픈 액세스 이니셔티브(BOAI)는, 오픈 액세스라는 용어를 널리 알리고, 오픈 액세스에 이론적 기반을 부여했다고 말해지는 큰 전환점이었다. BOAI에서는 오픈 액세스 실현 방법에 대해, BOAI-I(그린 로드)와 BOAI-II(골드 로드)를 제시하고 있다. BOAI-I은 자신의 웹사이트나 기관 리포지토리를 이용하여 셀프 아카이브를 실시하는 방법으로, 하르나드가 강력하게 제창하고 있는 방법이다. BOAI-II는 오픈 액세스 저널 출판에 의해 오픈 액세스를 달성하는 방법이다.
이와 전후하여 2000년에는, 최초의 오픈 액세스 전문 출판사, BioMed Central이 설립되었고, 2003년에는 PLoS도 오픈 액세스지 PLoS Biology를 발간했다. 최초의 오픈 액세스 저널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정설이 없지만, 오픈 액세스를 넓은 의미로 파악하면, 세계 최초의 전자 저널 "New Horizons in Adult Education"가 가장 오래된 오픈 액세스 저널이며, 좁은 의미로는 플로리다 곤충 학회의 "Florida Entomologist"에서, 저자가 비용을 부담하고 독자가 무료로 읽을 수 있다는, 그 후 오픈 액세스 저널로 이어지는 서비스를 1994년에 시작한 것이 원점이라고 생각된다.
그 후, 오픈 액세스 운동은 다양한 비판을 받으면서도, 착실히 점유율을 확대하고, 대형 상업 출판사도 참여하는 사태가 되었다. 또한, 메가 저널이라고 불리는 타입의 오픈 액세스 저널도 탄생하고 있다.
3. 형태
이 외에도 무료 OA(gratis OA)와 자유 OA(libre OA)로 구분할 수 있다. 무료 OA는 이용만 가능하며, 자유 OA는 재사용까지 가능하다.[490] 자유 OA의 저작권은 CC를 활용하며, 대부분 저작자 표시(by) 조건을 포함한다.[491][492]
현재 오픈 액세스의 실천 방안으로는 셀프 아카이빙, 학술기관 리포지터리, 오픈 액세스 저널 등이 있다.[493]
오픈 액세스의 유형은 "녹색", "금색", "혼합형" 등으로 표현되지만, 다른 모델과 용어도 사용된다.[8]
골드 OA 모델에서는 출판사가 저널 웹사이트에서 모든 논문과 관련 콘텐츠를 즉시 무료로 제공하며, 논문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등을 통해 공유 및 재사용이 허용된다.[1]
많은 골드 OA 출판사는 기관이나 보조금으로 지불되는 논문 처리 비용(APC)을 부과한다. "저자 지불" 모델이 일반적이지만,[13] 골드 OA의 본질적인 속성은 아니다.[14]
그린 OA는 저자의 자기 보관을 허용한다. 출판과 별개로, 저자는 연구 기관 웹사이트나 독립적인 중앙 공개 저장소에 연구를 게시하여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한다.[15]
그린 OA는 저자에게 무료이다. 일부 출판사는 추가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를 부과할 수 있다.[16]
하이브리드 오픈 액세스 저널은 오픈 액세스 기사와 비공개 액세스 기사를 혼합하여 게재한다.[18][19] 구독료로 자금을 조달하며, 저자가 게재료를 지불한 기사만 오픈 액세스를 제공한다.[20] 일반적으로 골드 OA보다 비용이 더 들고 서비스 품질이 낮을 수 있다.[21]
브론즈 오픈 액세스 논문은 출판사 페이지에서만 무료로 읽을 수 있지만, 명확한 라이선스가 없어 재사용이 불가능하다.[25]
논문 처리 비용을 청구하지 않는 오픈 액세스 저널은 다이아몬드[162][74][32] 또는 플래티넘[26][27] OA라고 불린다.
오픈 액세스 이전의 학술 잡지는 독자가 요금을 지불했지만, 오픈 액세스 저널은 논문 게재료(APC)를 저자가 지불하여 출판 비용을 충당하고 독자는 무료로 열람한다. 연구 기관이나 학회가 출판 경비를 부담하기도 한다.[315]
골드 OA 모델은 출판사가 모든 기사와 콘텐츠를 저널 웹사이트에서 무료로 제공하며,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등으로 공유 및 재사용을 허용한다.[320] APC를 부과하는 골드 OA 저널은 "저자 지불" 모델을 따르지만,[321] 골드 OA의 고유한 특성은 아니다.[322]
일정 기간 후 논문을 무료 공개하는 방식은 '''엠바고'''라고 불린다.
오픈 액세스 저널에 게재하지 않고 자기 보존으로 오픈 액세스를 달성하는 방법은 '''그린 오픈 액세스'''이다.[304]
하이브리드 오픈 액세스 저널은 오픈 액세스 기사와 클로즈드 액세스 기사가 혼재된 방식이다.[330][331] 구독으로 자금을 회수하고, 저자가 게재료를 지불한 기사만 오픈 액세스를 제공한다.[332]
브론즈 오픈 액세스는 출판사 페이지만 무료로 읽을 수 있고, 명확한 라이선스가 없어 재사용할 수 없다.[335]
저자에게 논문 게재료를 청구하지 않는 오픈 액세스 저널은 다이아몬드[336][337] 또는 플래티넘[338][339] OA라고 불린다.
4. 특징
오픈 액세스 출판은 전통적인 동료 심사 품질 기준을 유지하면서 다음과 같은 변화를 추구한다.
오픈 액세스 저널은 구독 여부와 관계없이 누구나 과학 논문에 무료로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개발 도상국에서 이러한 장점이 두드러진다. 부다페스트 오픈 액세스 이니셔티브는 학계 및 산업계의 연구 비용 절감을 주장했지만,[123] 일각에서는 OA가 출판 비용을 증가시키고,[124] 학술 출판에서 착취를 조장할 수 있다고 비판한다.[125] 오픈 액세스 운동은 학술 연구 접근 제한으로 인한 사회적 불평등, 학술 출판의 경제적 어려움과 지속 불가능성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되었다.[122][126]
연구 논문의 주 독자는 다른 연구자들이다. 오픈 액세스는 도서관에서 구독하지 않는 논문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준다. 모든 연구자는 오픈 액세스의 혜택을 받는데, 이는 어떤 도서관도 모든 학술 저널을 구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것이 "계속 간행물 위기"로 알려진 현상이다.[127]
오픈 액세스는 연구의 범위를 학계를 넘어 확장한다. 오픈 액세스 논문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 다른 분야의 연구자, 언론인, 정치인, 공무원, 일반인 등 누구나 읽을 수 있다. 2008년 연구에 따르면, 정신 건강 전문가는 관련 논문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을 때 읽을 가능성이 약 2배 더 높았다.[128]
일반 대중도 여러 이유로 학술 연구에 대한 오픈 액세스를 통해 혜택을 받는다. SPARC의 미국 납세자 접근 동맹과 같은 단체는 대부분의 과학 연구가 정부 보조금을 통해 납세자가 자금을 조달하므로 그들이 자금을 지원한 결과에 접근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한다.[152] 학술 문헌을 읽고 싶어하는 사람들에는 의료 상태가 있는 개인과 그 가족, 아마추어 학자(예: 아마추어 천문학자), 고등학생 및 전문대학 학생 등이 있다. 또한 민간 기업, 스타트업, 병원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사람들과 같은 많은 분야의 전문가들은 유료화된 간행물에 접근할 수 없으며, 오픈 액세스(OA) 간행물이 실제로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유형이다.
학술 논문을 읽지 않는 사람들도 오픈 액세스로부터 간접적인 혜택을 받는다.[153] 예를 들어, 환자는 의사 및 기타 의료 전문가가 최신 연구에 접근할 수 있을 때 혜택을 받는다. 옹호자들은 오픈 액세스가 연구 진행, 생산성 및 지식 번역을 가속화한다고 주장한다.[154]
개발도상국에서 오픈 액세스 아카이빙과 출판은 특히 중요하다.[155] 개발도상국의 과학자, 의료 전문가 및 기관은 종종 학술 문헌에 접근하는 데 필요한 자본이 부족하다.
많은 오픈 액세스 프로젝트는 국제 협력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SciELO(Scientific Electronic Library Online)[156]는 여러 라틴 아메리카 국가가 참여하는 오픈 액세스 저널 출판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 방식이다. 개발도상국의 출판사를 돕는 비영리 단체인 Bioline International은 영국, 캐나다, 브라질의 사람들이 협력하여 설립되었으며, Bioline International 소프트웨어는 전 세계에서 사용된다. 경제학 연구 논문(RePEc)은 45개국 100명 이상의 자원 봉사자가 참여하는 협력적 노력이다. 캐나다의 공공 지식 프로젝트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출판 소프트웨어인 오픈 저널 시스템(OJS)을 개발했으며, 이는 현재 아프리카 저널 온라인 그룹 등 전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활발한 개발 그룹 중 하나는 포르투갈 그룹이다. 이러한 국제적인 관점은 오픈 소스 적정 기술 개발과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관련 정보에 대한 필수적인 오픈 액세스를 옹호하는 결과를 낳았다.[157][158]
오픈 사이언스 또는 오픈 리서치가 등장하면서 많은 논쟁이 발생했다. 이전에는 학술 성과 발표를 위해 논문 저자들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아야 했고, 동료 심사 결과를 기다리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특히 북미와 유럽에서 오픈 액세스와 오픈 사이언스, 오픈 리서치의 개념이 확산되었으며, 그 사회적 및 기술적 전환에 관해 많은 논의가 이루어졌다(라틴 아메리카는 2000년 이전부터 이미 독자적인 오픈 액세스 형식으로 "Acceso Abierto"를 널리 채택하고 있다[360]).
(오픈) 학술 실천 분야에서 정책 입안자와 연구 자금 제공자의 역할이 점점 더 커지고 있으며, 공적 자금으로 이루어지는 연구의 커리어 인센티브나 연구 평가, 비즈니스 모델 등과 같은 문제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361][362][363] 2019년 전후에는 Plan S나 AmeliCA[364](Open Knowledge for Latin America(라틴 아메리카를 위한 오픈 지식)) 등이 학술 커뮤니케이션에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365]
4. 1. 라이선스
오픈 액세스(OA) 출판물은 일반적으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CC)를 통해 배포되며, 저작권은 저자에게 귀속된다.[62] 저자가 저작권을 보유하면 작품을 더 잘 제어하거나 라이선스 계약을 할 수 있어 학문적 자유를 지원할 수 있다.[63]
가장 널리 사용되는 라이선스 중 하나는 CC BY 라이선스이며, 저작자 표시만 지키면 상업적 이용 및 2차적 저작물 작성을 허용한다.[65] 더 제한적인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도 사용된다. 드물게 일부 소규모 학술 저널에서는 맞춤형 오픈 액세스 라이선스를 사용하기도 한다.[64][66]
일부 출판사(예: 엘스비어)는 OA 기사에 대해 "저자 명목 저작권"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저자는 이름에만 저작권을 보유하고 모든 권리는 출판사로 이전된다.[67][68][69]
4. 2. 자금 조달
오픈 액세스 출판은 독자에게 비용을 청구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재정 모델을 통해 운영된다.[70]
구분 | 논문 처리 비용 (APC) |
---|---|
일반적인 경우 | 1,000달러에서 3,000달러 사이 |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 5,380달러 |
매우 낮은 경우 | 10달러 미만 |
매우 높은 경우 | 5,000달러 초과 (10,000달러를 넘는 경우도 존재) |
4. 3. 프리프린트(Preprint)
프리프린트(Preprint)는 동료 심사(Peer Review)를 거치기 전의 논문 초고를 의미하며, 오픈 액세스 저장소(Repository)나 프리프린트 서버(Preprint Server)에 공개된다.프리프린트는 연구 결과를 신속하게 공개하고, 연구 우선권을 확보하며, 동료 연구자들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101][102][103] 프리프린트 플랫폼은 오픈 액세스 출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인기를 얻었으며, 출판사 주도 또는 커뮤니티 주도로 운영될 수 있다. 현재 다양한 분야별 또는 교차 도메인 플랫폼이 존재한다.[104]
프리프린트 공개는 연구 결과를 빠르게 공유하고 우선권을 주장할 수 있게 돕는다. 대부분의 프리프린트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DOI) 형태의 영구 식별자를 제공받아 인용과 추적이 용이하다.[108]
프리프린트는 연구 아이디어, 데이터, 코드, 모델 및 결과에 대한 출처 증거 역할을 할 수 있다.[108]
물리학 분야에서는 arXiv를 통해 프리프린트를 공유하고 동료 연구자로부터 피드백을 얻는 문화가 정착되어 있으며,[452] arXiv는 오픈 액세스의 성공적인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421]
ASAPbio는 프리프린트를 사용하는 것의 전체적인 이점이 스쿠핑(가로채기)에 대한 잠재적 문제를 크게 상회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427]
4. 4. 엠바고(Embargo)
엠바고는 학술 논문이 출판된 후 일정 기간 동안 오픈 액세스를 제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학술지는 엠바고 기간을 설정하여 구독 수익을 확보하고, 엠바고 기간이 종료되면 논문을 오픈 액세스로 전환한다. 엠바고는 저널의 20~40%에서 부과되며,[113][114] 이 기간 동안에는 논문이 셀프 아카이빙(녹색 OA)을 허용하거나 무료 공개 버전(청동 OA)을 출시하기 전에 유료화된다.[115][116]엠바고 기간은 일반적으로 STEM 분야에서는 6~12개월, 인문학, 예술, 사회 과학 분야에서는 12개월 이상이다.[88] 엠바고 없는 셀프 아카이빙은 구독 수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117] 독자 수와 인용 횟수를 늘리는 경향이 있다.[118][119]

엠바고는 특정 주제에 대해 제한된 기간 동안 또는 지속적으로 해제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지카 바이러스 발생[120] 또는 원주민 건강[121]과 같은 경우가 있었다. 플랜 S는 자체 아카이빙에 대한 엠바고 기간을 두지 않는 것을 핵심 원칙으로 포함한다.[88]
5. 학술 출판에 미치는 영향
오픈 액세스는 학술 출판 생태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1995년 6월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 도서관의 HighWire에서 시작된 오픈 액세스는, 2002년 2월 BOAI(Budapest Open Access Initiative) 선언을 통해 학술 논문을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핵심 원칙이 확립되었다.[482] 이 선언은 연구 논문의 자유로운 이용을 위해 셀프 아카이빙과 오픈 액세스 저널이라는 두 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오픈 액세스는 학술 정보의 상업화와 가격 인상으로 인한 접근 제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등장했다.[483] 학술 정보, 학위 논문, 학술지 논문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가격 장벽을 제거하여 학술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픈 사이언스와 오픈 리서치의 등장은 학술 출판 분야에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북미와 유럽에서 오픈 액세스로의 전환은 많은 논쟁을 야기했다.[50] 플랜 S와 AmeliCA[54]는 2019년과 2020년에 학술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대표적인 사례이다.[55][56]
5. 1. 논문 영향력
오픈 액세스(OA) 논문은 일반적으로 더 많은 독자에게 도달하고, 더 자주 인용되며, 더 넓은 범위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향이 있다.[187] 오픈 액세스는 연구 성과의 가시성을 높이고, 학문적 교류를 촉진하며, 지식의 확산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한다.[154]연구 논문의 주된 독자는 보통 다른 연구자들이다. 오픈 액세스는 도서관에서 구독하지 않는 논문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준다. 모든 연구자는 오픈 액세스의 혜택을 받는데, 이는 어떤 도서관도 모든 학술 저널을 구독할 여유가 없고, 대부분은 그중 극히 일부만 구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계속 간행물 위기"로 알려진 현상이다.[127]
오픈 액세스는 연구의 범위를 학계를 넘어 확장한다. 오픈 액세스 논문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 다른 분야의 연구자, 언론인, 정치인 또는 공무원, 관심 있는 일반인 등 누구나 읽을 수 있다. 2008년 연구에 따르면, 정신 건강 전문가는 관련 논문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을 때 읽을 가능성이 약 2배 더 높았다.[128]
일반 대중도 여러 이유로 학술 연구에 대한 오픈 액세스를 통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SPARC의 미국 납세자 접근 동맹과 같은 옹호 단체는 대부분의 과학 연구가 정부 보조금을 통해 납세자가 자금을 조달하므로 그들이 자금을 지원한 결과에 접근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한다.[152] 학술 문헌을 읽고 싶어하는 사람들로는 의료 상태가 있는 개인과 그 가족, "아마추어" 학자(예: 아마추어 천문학자), 고등학생 및 전문대학 학생들이 있다. 또한 민간 기업, 스타트업 및 병원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사람들과 같은 많은 분야의 전문가들은 유료화된 간행물에 접근할 수 없으며, 오픈 액세스(OA) 간행물은 실제로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유형이다.
학술 논문을 읽지 않는 사람들도 오픈 액세스에서 간접적으로 혜택을 받는다.[153] 예를 들어, 환자는 의사 및 기타 의료 전문가가 최신 연구에 접근할 수 있을 때 혜택을 받는다.
저자가 자신의 논문을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하게 만드는 주요 이유는 피인용 횟수를 극대화하기 위해서이다.[187] 오픈 액세스 논문은 일반적으로 구독이 필요한 논문보다 더 자주 인용된다.[2][188][189][190][191] 이러한 '피인용 횟수 이점'은 2001년에 처음 보고되었다.[192] 여러 연구의 합의는 그 효과를 뒷받침하며,[176][195] 측정된 OA 피인용 횟수 이점은 학문 분야에 따라 1.3배에서 6배까지 다양하다.[190][196][197]
피인용 횟수 이점은 하이브리드 저널의 OA 논문(해당 저널의 비 OA 논문과 비교)과[198] 녹색 OA 저장소에 예치된 논문에서 가장 두드러진다.[160] 특히, 녹색 OA 논문은 금색 OA 논문과 유사한 피인용 횟수 이점을 보인다.[197][191] 금색 OA 저널의 논문은 일반적으로 페이월이 있는 논문과 비슷한 빈도로 인용된다.[199] 피인용 횟수 이점은 논문이 출판된 기간이 길수록 증가한다.[177]
인용 외에도, 다른 형태의 연구 영향력(알트메트릭스) 또한 OA 출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184][191] 이러한 플랫폼에서 출판된 과학에 대한 중요한 "증폭기" 효과를 나타낸다.[200] 초기 연구에 따르면 OA 논문은 블로그,[201] 트위터,[185] 및 영어 위키백과에서 더 많이 인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00]
저널 임팩트 팩터(JIF)는 저널의 논문에 대한 2년간의 평균 피인용 횟수를 측정하며, 이는 저널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203][204] 구독 저널의 경우, 임팩트 팩터는 전체 피인용 횟수와 상관관계가 있지만, 이는 골드 OA 저널에서는 관찰되지 않는다.[205]
5. 2. 동료 심사
오픈 액세스는 동료 심사 과정의 투명성과 개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212] 일부 오픈 액세스 저널은 공개 동료 심사를 도입하여 심사 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심사자의 책임을 강화하고 있다.[215]OA 출판의 증가는 동료 심사를 위한 기술 및 프로세스에 대한 실험을 낳았다.[212] 동료 심사 및 품질 관리의 투명성 증가는 미리 공개 서버에 결과 게시,[213] 연구의 사전 등록,[214] 동료 심사 공개 출판,[215] 전체 데이터 세트 및 분석 코드의 공개 출판,[216][217] 그리고 다른 공개 과학 관행을 포함한다.[218][219][220] 학술 품질 관리 프로세스의 투명성을 높이면 학술 기록을 더 쉽게 감사할 수 있다고 제안된다.[215][221]
OA 메가 저널의 증가는 동료 심사가 참신함은 무시하고 방법론과 결과 해석에만 집중할 수 있게 했다.[222][223] OA가 동료 심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요 비판으로는 OA 저널이 가능한 한 많은 논문을 출판하려는 인센티브를 가지고 있다면 동료 심사 기준이 떨어질 수 있으며( 포식성 출판의 측면), 프리프린트의 사용 증가는 검토되지 않은 쓰레기 및 선전으로 학술적 자료를 채울 수 있으며, 심사자가 신원이 공개될 경우 자체 검열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일부 옹호자들은 독자들이 사전 인쇄 연구에 대한 회의론을 높일 것이라고 제안한다. 이는 과학적 탐구의 전통적인 특징이다.[88]
5. 3. 약탈적 출판 (Predatory Publishing)
약탈적 출판사는 학술 저널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엄격하지 않거나 아예 없는 동료 심사(피어 리뷰) 과정과 공격적인 광고를 통해 논문 투고료를 받아 이익을 얻는다.[224] '약탈적', '사기성', 또는 '의심스러운' 출판사/저널의 정의는 모호하고 불투명하며 혼란스러울 수 있는데, 심지어 PubMed Central에 등재된 완전히 정당한 저널도 포함될 수 있다.[224] Grudniewicz 외.[225]는 "약탈적 저널과 출판사는 학문보다 자사의 이익을 우선시하며, 허위 또는 오해의 소지가 있는 정보, 최상의 편집 및 출판 관행에서 벗어남, 투명성 부족, 그리고/또는 공격적이고 무차별적인 권유 관행을 특징으로 한다"는 합의된 정의를 제안했다.이러한 방식으로 약탈적 저널은 저널의 주요 부가 가치(동료 심사)를 제거하고 OA 운동에 기생함으로써 OA 모델을 악용하며, 때로는 다른 저널을 하이재킹하거나 사칭하기도 한다.[226][227] 2010년 이후 이러한 저널의 증가는[228][229] OA 출판 모델 전체의 명성을 훼손시켰으며, 특히 가짜 논문이 이러한 저널에 성공적으로 게재되는 스팅 작전을 통해 더욱 그러했다.[230] 일반적으로 OA 출판 모델과 연관되어 있지만, 구독 저널 또한 유사한 느슨한 품질 관리 표준과 열악한 편집 정책의 위험에 처해 있다.[231][232][233] 따라서 OA 출판사는 DOAJ, OASPA 및 SciELO와 같은 등록기관의 감사를 통해 품질을 보장하고 표준화된 조건 세트를 준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약탈적 출판사의 블랙리스트는 Cabell's 블랙리스트(Beall's 목록의 후속)에 의해 관리된다.[234][235] 동료 심사 및 출판 과정의 투명성 증가는 약탈적 저널 관행에 대처하는 방법으로 제안되었다.[88][215][236]
5. 4. 오픈 아이러니 (Open Irony)
오픈 아이러니는 학술 저널 논문이 오픈 액세스를 옹호하지만, 정작 해당 논문 자체는 저널 출판사에 비용을 지불해야만 읽을 수 있는 상황을 말한다.[237][238][239] 이는 여러 분야에서 관찰되었으며, 2010년경부터 ''랜싯'', ''사이언스'', ''네이처''와 같이 널리 읽히는 저널을 포함하여 20개 이상의 사례가 나타났다. 2012년 던컨 헐(Duncan Hull)은 이러한 종류의 논문을 게재하는 저널을 공개적으로 비난하기 위해 오픈 액세스 아이러니 상을 제안했다.[240] 이러한 사례들은 해시태그 #openirony를 사용하여 소셜 미디어에서 공유되고 논의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논의는 오픈 액세스를 옹호하지만, 유료화(페이월) 장벽 뒤에 숨겨진 논문/사설을 유머러스하게 폭로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촉진하는 주요 관심사는 대중에게 공개되어야 할 과학적 지식에 대한 접근 제한이 과학 발전을 늦춘다는 것이다.[239] 이러한 관행은 오픈 액세스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중요하다고 정당화되어 왔다.[241]6. 인프라
오픈 액세스 확산을 위해 다양한 인프라가 구축되고 있다.
셀프 아카이빙이나 골드 OA는 대부분 웹을 통해 배포되는데, 이는 저비용, 편의성, 속도 등에서 기존 매체와 비교할 수 없이 유용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가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496][497]
OA 논문을 모아서 보여주는 다양한 서비스가 존재한다.
- ROAD[498](the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OA 학술지와 ISSN을 수집하여 검색
- OA라이브러리(OALibrary): 이공계 학술지의 대부분 주제를 포괄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499]
- SHERPA/RoMEO: 학술기관 리포지터리를 이용중인 출판사 목록 제공
- DOAJ: 8000개 이상의 학술지 검색 및 열람 가능[500]
1998년에는 공공 지식 프로젝트(Public Knowledge Project)를 통해 오픈소스 논문 출간 시스템인 오픈 저널 시스템(Open Journal Systems)이 만들어졌다. 2010년까지 5000개 이상의 학술지가 이 시스템을 이용했다.[501]
영어가 아닌 언어로 OA 학술지를 배포하려는 시도도 있다.
- 코페르니쿠스 인덱스 (폴란드어)
- SciELO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 Redalyc (스페인어)
OA 논문은 일반적인 검색 엔진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학술 및 과학 문헌에 특화된 검색 엔진을 통해서도 찾을 수 있다.
- 구글 학술 검색
- OAIster
- base-search.net[269]
- CORE[270]
많은 OA 저장소들은 콘텐츠를 재조합할 수 있는 경로를 열어두고 있다.
공개 API도 다수 존재한다.
- arXiv API
- Dissemin API
- Unpaywall/oadoi API
- base-search API
오픈 액세스 논문, 저널, 데이터 세트를 위한 여러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한다.
데이터베이스 | 설명 |
---|---|
DOAJ | 완전한 골드 오픈 액세스 저널만 포함 |
PMC | 하이브리드 저널의 논문도 호스팅 |
또한 오픈 액세스 사본으로 아직 검토되지 않은 논문을 호스팅하는 여러 사전 인쇄 서버도 있다.[243][244]
폐쇄형 저널에 게재된 논문의 경우, 일부 저자는 오픈 액세스 저장소에 사후 인쇄본을 보관하여 무료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246][247][248][174][249]
7. 정책 및 의무화
오픈 액세스(Open Access, OA)는 학술 정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을 추구하는 국제적인 움직임이다. 저자에게 논문 처리 비용을 청구하지 않고 오픈 액세스로 발행하는 저널은 다이아몬드[162][74][32] 또는 플래티넘[26][27] OA라고 불린다. 이러한 출판사는 독자나 저자에게 직접 요금을 청구하지 않으므로, 광고 판매, 학술 기관, 학회, 자선가 또는 정부 보조금과 같은 외부 자금 출처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28][29][30] 현재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영향력 지수가 있는 350개 이상의 플래티넘 OA 저널이 있으며, 대부분의 학자에게 APC가 없는 OA 옵션을 제공한다.[31] 다이아몬드 OA 저널은 대부분의 학문 분야에서 이용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소규모(<연간 25편 미만)이며 다국어(38%)일 가능성이 더 높다.[32]
무료 오픈 액세스 저널은 "플래티넘" 또는 "다이아몬드"라고도 불리며, 독자나 저자에게 요금을 부과하지 않는다.[93] 이러한 저널은 보조금, 광고, 회원비, 기부금 또는 자원 봉사 노동을 포함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사용한다.[94][88] 보조금 출처는 대학교, 도서관, 박물관에서 재단, 학회 또는 정부 기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94] 일부 출판사는 다른 출판물이나 보조 서비스 및 제품에서 교차 보조금을 지원할 수 있다.[94] 예를 들어, 라틴 아메리카의 대부분의 APC 없는 저널은 고등 교육 기관의 자금으로 운영되며, 출판을 위해 기관과의 제휴를 조건으로 하지 않는다.[88] 반대로, Knowledge Unlatched는 단행본을 오픈 액세스로 제공하기 위해 자금을 조달한다.[95]
DOAJ[96] 및 Free Journal Network에 APC가 없는 저널이 약 10,000개 등록되어 있다.[97][98]
오픈 액세스 출판은 다음과 같은 변화를 이루면서도 전통적인 동료 심사 품질 기준을 유지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자금 조달 모델이 있다는 전제하에 시작되었다.
- 저널 논문을 구독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대신, 모든 학술 출판물을 무료로 읽을 수 있도록 하고, 출판 요금, 보조금, 또는 온라인 에디션은 무료로 하고 인쇄 에디션에 대해서만 구독료를 청구하는 등 다른 비용 회수 모델로 출판할 수 있다.[122]
- 학술 출판물에 전통적인 저작권 개념을 적용하는 대신, 리브레 또는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122]
오픈 액세스 저널의 장점은 구독하는 도서관과의 제휴에 관계없이 과학 논문에 무료로 접근할 수 있고 일반 대중의 접근성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이는 특히 개발 도상국에서 그러하다. 부다페스트 오픈 액세스 이니셔티브에서는 학계 및 산업계의 연구 비용 절감을 주장했지만,[123] 다른 사람들은 OA가 출판의 총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124] 학술 출판에서 착취에 대한 경제적 인센티브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125]
오픈 액세스 운동은 학술 연구에 대한 접근 제한으로 인한 사회적 불평등 문제와 학술 출판의 경제적 어려움과 지속 불가능성 인식에 의해 동기가 부여되었다.[122][126]
오픈 액세스(주로 그린 및 무료)는 인터넷과 월드 와이드 웹의 출현으로 그 가능성이 열리면서 연구자들에 의해 전 세계적으로 모색되고 제공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흐름은 학술 저널 출판 개혁을 위한 점증하는 운동에 의해 더욱 증가했으며, 골드 및 리브레 OA도 함께 이루어졌다.
자기 보관 의무화 아이디어는 적어도 1998년에 제기되었다.[274] 2003년 이후[275] 정부,[276] 연구 기금 지원 기관,[277] 및 대학[278]과 같은 연구 자금 지원 기관에 의한 오픈 액세스 의무화에 노력이 집중되었다. 일부 출판사와 출판사 협회는 의무 도입에 반대 로비를 벌였다.[279][280][281]
2002년, 사우스햄튼 대학교의 전자 및 컴퓨터 과학 학교는 저자가 학교의 저장소에 자신의 논문 사본을 기증해야 하는 의미 있는 의무적 오픈 액세스 정책을 시행한 최초의 학교 중 하나가 되었다. 그 후 수년 동안 더 많은 기관이 이를 따랐다.[2] 2007년, 우크라이나는 오픈 액세스에 대한 국가 정책을 만든 최초의 국가가 되었고, 2009년에는 스페인이 그 뒤를 이었다. 아르헨티나, 브라질, 폴란드는 현재 오픈 액세스 정책을 개발하는 과정에 있다. 석사 및 박사 학위 논문을 오픈 액세스로 만드는 것은 많은 교육 기관에서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는 의무이다.[2]
자발적인 오픈 액세스 정책의 준수율은 낮은 수준(5% 정도)으로 유지되고 있다.[2] 그러나 의무적이고 더 구체적인 정책, 예를 들어 최대 허용 유예 기간을 명시하는 정책이 더 성공적인 결과를 달성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2][288] 의무적인 오픈 액세스 의무화 정책의 준수율은 기금 지원 기관에 따라 27%에서 91%까지 다양하며, 평균 67%이다.[2][289] 2021년 3월부터 구글 학술검색은 기금 지원 기관의 오픈 액세스 의무화 정책 준수 여부를 추적하고 표시하기 시작했지만, 오픈 라이선스가 아닌 무료 열람 가능 여부만 확인한다.
기존 학술 잡지에서는 독자가 요금을 지불했지만, 오픈 액세스 저널에서는 논문 게재료(Article Processing Charge; APC)라는 비용을 저자(연구자)가 지불하여 출판 비용을 충당하고, 독자가 무료로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연구 기관이나 학회가 출판 경비를 부담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저자와 독자 모두 비용을 지불할 필요가 없다[315]。 대학이나 연구 기관에서 일부를 부담하기 위해 보조를 하는 경우도 있다[316]。 일본의 과학기술진흥기구(JST)가 운영하는 J-STAGE처럼 구독형 저널에 게재되어 있지만, 웹상에서는 무료로 공개되는 경우도 있다[317]。 다만, J-STAGE와 같은 형태를 오픈 액세스라고 부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의의 여지가 있다[325]。 BioMed Central 등은 저소득 국가의 연구자도 투고할 수 있도록, 비용의 일부 또는 전액을 면제하고 있다[318][319]。 이러한 오픈 액세스지에 게재하는 것을 '''골드 오픈 액세스'''라고 부른다[304]。
골드 OA 모델에서는, 출판사가 모든 기사와 관련 콘텐츠를 저널의 웹사이트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출판물에서는, 기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등을 통해 공유 및 재사용하기 위해 라이선스가 공개되어 있다[320]。 APC를 부과하는 소수의 골드 오픈 액세스 저널은, "저자 지불" 모델을 따르고 있지만[321], 이는 골드 OA의 고유한 특성은 아니다[322]。
일정 기간이 지난 논문을 온라인으로 무료 공개하는 방식은 '''엠바고'''라고 불리고 있다. 연구자에 따라서는, 하이브리드와 엠바고도 골드 OA에 포함하는 경우가 있지만[323], 엠바고 방식으로 무료가 되는 것은 오픈 액세스로 인정하지 않는 사람도 있다[324][325]。
오픈 액세스 저널에 게재하지 않고, 자기 보존을 통해 오픈 액세스를 달성하는 방법을 '''그린 오픈 액세스'''라고 한다.[304] 연구자 자신이 연구 성과를 기관 리포지터리나 저자가 관리하는 웹 페이지, 연구 자금을 제공하거나 중개한 연구 기관의 웹 페이지, 또는 누구나 무료로 논문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독립 리포지터리 등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에서 연구 성과를 무료로 공개하는 것이다.[326] 즉, 그린 OA는 독자뿐만 아니라 논문 저자에게도 무상이다. 일부 출판사(5% 미만, 2014년 현재)에서는 출판사가 가진 저작권의 부분적인 무료 라이선스 형태로 제공된다.[327] 보관 장소로는 arXiv나 미국 국립 보건원(NIH)의 PMC가 유명하다. 그러나 게재된 논문은 출판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도 많아, 다른 잡지에 전재 등은 당연히 인정되지 않으므로 자유로운 이용이라는 점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다.[328][329]
하이브리드 오픈 액세스 저널은 오픈 액세스 기사와 클로즈드 액세스 기사가 혼재된 방식이다.[330][331] 이 모델은 구독을 통한 자금 회수를 실시함과 동시에, 저자(또는 연구 스폰서)가 게재료를 지불한 기사에 대해서만 오픈 액세스를 제공한다.[332] 기존의 구독형 학술 잡지이지만 저자가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해당 논문을 오픈 액세스로 할 수 있는 잡지이다.[333] 다만, 하이브리드형은 요금의 독자와 저자로부터의 이중 징수 문제도 있어, 순수한 오픈 액세스라고 할 수 없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334]
저자에게 논문 게재료를 청구하지 않고 오픈 액세스를 공개하는 저널은 다이아몬드[336][337] 또는 플래티넘[338][339]OA라고 불린다. 독자나 저자에게 직접 청구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출판사는 광고, 학술 기관, 학회, 자선가, 정부 보조금 등 외부 자금 지원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340][341][342]。 다이아몬드 OA 저널은 대부분의 분야에서 이용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소규모(연간 25편 미만)이고 다국어(38%)인 경우가 많다.
오픈 사이언스 또는 오픈 리서치의 등장으로 많은 논쟁이 일어났다. 이전까지 학술 성과 발표를 위해 논문 저자는 다양한 논문 제출 시스템과 씨름하며 수많은 시간을 쏟고, 여러 저널이나 회의의 원고 스타일에 맞춰 형식을 변환하고, 피어 리뷰 결과를 기다리는 데 몇 달을 보내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특히 북미와 유럽에서 오픈 액세스와 오픈 사이언스, 오픈 리서치의 개념이 확산되었으며, 그 사회적 및 기술적 전환에 관해 많은 논의가 이루어졌다(라틴 아메리카는 2000년 이전부터 이미 독자적인 오픈 액세스 형식으로 "Acceso Abierto"를 널리 채택하고 있다[360]).
(오픈) 학술 실천 분야에서 정책 입안자와 연구 자금 제공자의 역할이 점점 더 커지고 있으며, 공적 자금으로 이루어지는 연구의 커리어 인센티브나 연구 평가, 비즈니스 모델 등과 같은 문제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361][362][363]。2019년 전후에는 Plan S나 AmeliCA[364](Open Knowledge for Latin America) 등이 학술 커뮤니케이션에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36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을 대표로 한 연구 지원 및 고등 교육 지원은 연구자 수를 증가시키고 학술 논문과 학술 잡지를 증가시켰다[442]。학술 논문의 증가는 학술 잡지에서의 편집 프로세스 증가와 출판 비용 증가를 야기했다. 여기에 출판 업계의 인수 합병에 의한 시장 과점이 원인이 되어 학술 잡지 가격은 폭등했다[443]。1970년경부터 학술 잡지 가격은 매년 10% 정도 상승을 계속했고, 이는 대학 도서관의 구매 예산 증가보다 커서 1990년경에는 큰 문제가 되었다[444]。구독을 중지하는 도서관도 나타나 그것이 더욱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라고 불리는 문제이다[445]。일본의 국립 대학에서도 이 시리얼 위기의 영향을 받아 해외 잡지 수용은 1990년부터 급감했다[446]。대학 도서관은 공동 구매 체제를 확립하여 이 난국을 헤쳐나가려 했다. 이 무렵, 인터넷 발전과 함께 전자 저널이 늘어나기 시작했고, 빅딜(포괄 계약 방식)이라는 계약이 활발하게 맺어졌다[446]。빅딜은, 어떤 출판사가 발행하고 있는 전자 저널 전부 또는 대부분에 액세스할 수 있다는 계약으로, 약간의 요금 추가로 다수의 전자 저널을 열람할 수 있게 된다. 논문 1편당 단가는 낮아지고, 또한 규모가 작은 도서관이라도 대규모 도서관과 동등한 자료에 액세스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시리얼 위기의 구세주로 환영받았다[446][445]。
그러나 빅딜 계약을 맺는 것은 큰 고정비를 떠안게 되어, 예산의 유연성을 잃는 결과를 낳는다. 대규모 기관이 되면 단 하나의 빅딜 계약만으로도 수백만 달러가 든다[447]。또한 빅딜은 도서관의 자료 구매비 전체를 압박하여, 저널 이외의 구매에 악영향을 미친다. 특히 저널이 아닌 단행본 출판이 일반적인 인문 계열 연구에 영향이 크다[447]。히토츠바시 대학 부속 도서관은, 전자 저널 구매 비용에 의해 단행본 예산이 압박받은 것을 하나의 이유로, 전자 저널 계약을 해제했다[448]。게다가 고액의 계약에도 불구하고, 예산 절약을 위해 몇 개의 타이틀을 계약 해제하는 것 등이 불가능하고, "전부 아니면 무"와 같은 형태가 되는 것도 마이너스 포인트이다[449]。오픈 액세스와 깊은 관련이 있는 저널리스트 리처드 포인터는 빅딜을 "뻐꾸기"라고 표현하며, "뻐꾸기는 일단 둥지에 자리를 잡으면 먹이를 다 먹어치우고 다른 둥지 새끼를 쫓아낸다"고 빅딜의 위험성을 지적하고 있다[450]。결국, 빅딜은 일시적인 미봉책에 지나지 않아, 시리얼 위기의 구세주가 되지 못했다[451]。
이러한 학술 잡지의 과점과 가격 폭등이라는 연구 성과의 자유로운 유통을 방해하는 상황을 타개하고자, 1994년, 스티븐 하르나드는 메일링 리스트에 ""라는 제목의 글을 게시했다[454]。출판사가 지배하는 체제를 "전복"시키고, 연구자가 셀프 아카이브를 사용하여 논문을 공개하는 것이 바람직한 모습이라고 설파했다[455][452]。하르나드가 셀프 아카이브의 모범으로 든 것이 E-print archive 였다. 1991년에 로스알라모스 연구소의 폴 긴스퍼그에 의해 시작된 E-print archive는 물리학 분야의 프리프린트 서버로, 게시된 논문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었다。연구자에게 논문 출판이란, 자신의 연구를 세상에 알리고 연구자로서의 평가를 높이기 위한 것이며,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근저에 있었고, 하르나드의 제안도 이에 따른 것이었다[458]。
오픈 액세스 역사에서 SPARC 또한 중요한 원류로 알려져 있다。SPARC는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ARL)가 가격 폭등과 시장 과점에 불만을 품고, 상업 출판사에 대항하기 위해 1998년에 설립한 것으로, 초기에는 경쟁지 발행이 주된 활동이었다。그 목표는, 경쟁 원리에 의해 기존 학술지 가격을 낮추는 것이었다[458]。엘스비어의 Tetrahedron Letters의 대항지로, 미국 화학회와 손잡고 창간한 Organic Letters는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목표로 했던 가격 인하까지는 이르지 못했고, 기존의 대형 출판사를 흔들 정도는 아니었다[458]。
해럴드 바머스를 중심으로, 2000년에 PLoS(Public Library of Science)가 발족했다. PLoS는 상업 출판사에 대해, 출판 후 6개월 이내에 공개 아카이브에 논문을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투고, 구독 등에 대해 보이콧을 실시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3만 명 이상의 연구자로부터 서명이 모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응한 출판사도 보이콧을 실시한 연구자도 존재하지 않았다。
2001년 12월, 오픈 액세스에 관한 첫 국제 회의가 부다페스트에서 개최되었다. 이 회의를 바탕으로 2002년에 공표된 부다페스트 오픈 액세스 이니셔티브(BOAI)는, 오픈 액세스라는 용어를 널리 알리고, 오픈 액세스에 이론적 기반을 부여했다고 말해지는 큰 전환점이었다[461][462]。BOAI에서는 오픈 액세스 실현 방법에 대해, BOAI-I(그린 로드)와 BOAI-II(골드 로드)를 제시하고 있다. BOAI-I은 자신의 웹사이트나 기관 리포지토리를 이용하여 셀프 아카이브를 실시하는 방법으로, 하르나드가 강력하게 제창하고 있는 방법이다. BOAI-II는 오픈 액세스 저널 출판에 의해 오픈 액세스를 달성하는 방법이다。
이와 전후하여 2000년에는, 최초의 오픈 액세스 전문 출판사, BioMed Central이 설립되었고, 2003년에는 PLoS도 오픈 액세스지 PLoS Biology를 발간했다[465]。최초의 오픈 액세스 저널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정설이 없지만, 오픈 액세스를 넓은 의미로 파악하면, 세계 최초의 전자 저널 "New Horizons in Adult Education"가 가장 오래된 오픈 액세스 저널이며, 좁은 의미로는 플로리다 곤충 학회의 "Florida Entomologist"에서, 저자가 비용을 부담하고 독자가 무료로 읽을 수 있다는, 그 후 오픈 액세스 저널로 이어지는 서비스를 1994년에 시작한 것이 원점이라고 생각된다[465][315]。
그 후, 오픈 액세스 운동은 다양한 비판을 받으면서도, 착실히 점유율을 확대하고, 대형 상업 출판사도 참여하는 사태가 되었다. 또한, 메가 저널이라고 불리는 타입의 오픈 액세스 저널도 탄생하고 있다。
미국 국립 보건원(NIH)은 2004년에 NIH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의 성과는 PMC에 무료 공개해야 한다는 권고를 발표했다. 출판 업계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2005년 5월 2일에 이 권고는 시행되었다[467]。그러나 의무 사항은 아니었기 때문에 2년이 지나도 19%만이 논문을 등록했을 뿐이었다. 이러한 상황을 받아들여 의무화 법안이 추진되었고,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세출액 과다를 이유로 거부권을 행사하기도 했지만, 2007년에 법안이 통과되어 지원을 받은 연구의 오픈 액세스는 의무화되었다[468][467]。NIH의 생각은 다른 지원 기관에도 영향을 미쳐 공적 자금으로 얻은 성과는 공개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확산시켰다. 단, 이는 NIH의 자발적인 아이디어가 아니라 SPARC 등이 오픈 액세스 추진을 위해 활동한 결과이다。상업 출판사 측의 반발도 많았고, 엘스비어 등은 2011년에 이 의무화를 무효화하는 법안 Research Works Act (H.R.3699[470])을 제출했다[472]。하지만 다음 해인 2012년부터 학계의 봄이라고 불리는 엘스비어 보이콧 운동이 일어났기 때문에 엘스비어는 해당 법의 지지를 철회했고, 결과적으로 해당 법은 철회되었다. 영국에서는 정부와 공적 지원 기관이 오픈 액세스를 권장하고 있으며, 2012년에는 영국 연구 정보 네트워크(Research Information Network, RIN)가 발표한, 통칭 핀치 보고서가 주목을 받았다. 핀치 보고서는 오픈 액세스 달성을 위한 10가지 제안을 하고 있으며, 재사용 가능성 및 엠바고 기간 문제로 인해 그린 로드가 아닌 골드 로드, 즉 오픈 액세스 저널 및 하이브리드 저널을 추진하고 있다[328][473]。이를 받아 영국 연구 협의회(Research Councils UK, RCUK)는 지원을 받은 연구의 의무화 방침을 발표했다。핀치 보고서는 골드 편향적이라고 비판을 받기도 한다[475][476]。EU에서도 공적 지원을 받은 연구는 오픈 액세스를 의무화하는 움직임이 있다[316]。
스위스의 CERN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이 중심이 되어 추진하고 있는 SCOAP3 (입자 물리학 분야 오픈 액세스 출판 지원 컨소시엄)는 고에너지 물리학 분야의 학술 논문의 오픈 액세스화를 목표로 하는 국제적인 프로젝트이다. SCOAP3가 목표로 하는 오픈 액세스화의 수법은 대학 등의 기관이 지불하던 구독료를 잡지 출판 비용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저자는 비용 부담 없이 오픈 액세스를 실현할 수 있다. 프로젝트 운영은 2014년 1월부터 시작되었다[477][478]。
7. 1. 국제 현황
전 세계적으로 많은 대학, 연구 기관, 연구비 지원 기관들이 오픈 액세스 정책을 도입하고 연구자들에게 오픈 액세스 출판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러한 오픈 액세스 의무화 정책은 연구 성과의 공개를 촉진하고, 학술 정보의 자유로운 유통을 보장하는 데 기여한다.[272]연구 자금 지원 기관과 대학교는 여러 방식으로 자금 지원을 하고 있으며, 지원하는 연구가 최대한의 영향력을 미치기를 원한다.[129] 이를 위해 연구 자금 지원 기관은 지원하는 연구에 대한 오픈 액세스를 기대하기 시작했다. 많은 기관들(모든 영국 연구 위원회 포함)은 이미 오픈 액세스 의무를 채택했으며, 다른 기관들도 이와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ROARMAP 참조).
점점 더 많은 대학교들이 연구자들이 발표한 논문을 저장할 수 있는 기관 저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일부 오픈 액세스 옹호자들은 기관 저장소가 자금 지원 기관의 오픈 액세스 의무에 대응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130]
2005년 5월, 16개의 주요 네덜란드 대학교가 협력하여 DAREnet (디지털 학술 저장소)을 출범시켜 47,000편 이상의 연구 논문을 공개했다.[131] 2008년 6월 2일부터 DAREnet은 학술 포털 NARCIS에 통합되었다.[132] 2019년까지 NARCIS는 모든 네덜란드 대학교, KNAW, NWO 및 여러 과학 연구소에서 발행한 360,000건의 오픈 액세스 출판물에 대한 접근을 제공했다.[133]
2011년, 북미의 여러 대학교들이 오픈 액세스 정책 기관 연합(COAPI)을 결성했다.[134] COAPI는 교수가 오픈 액세스 정책을 수립했거나 시행 중이던 21개 기관에서 시작하여 현재 거의 50개의 회원 기관을 보유하고 있다.
2012년, 하버드 오픈 액세스 프로젝트는 대학 오픈 액세스 정책에 대한 우수 사례 지침을 발표하여,[135] 출판사로부터 허가를 받지 않고도 대학이 교수진의 연구를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권리 보유 정책에 중점을 두었다. 2023년 11월 현재, 권리 보유 정책은 점점 더 많은 수의 영국 대학교에서도 채택되고 있다.
2013년, 9개의 호주 대학교 그룹은 호주 오픈 액세스 전략 그룹(AOASG)을 결성하여 호주의 오픈 액세스 분야에서 옹호, 협력, 인식 제고, 리더십 및 역량 구축을 수행했다.[136] 2015년, 이 그룹은 뉴질랜드의 8개 대학교를 모두 포함하도록 확장되어 오스트랄라시아 오픈 액세스 지원 그룹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37] 이후 전략에 대한 강조점을 반영하여 오스트랄라시아 오픈 액세스 전략 그룹으로 다시 이름이 변경되었다.
정보 전문가로서 사서는 종종 오픈 액세스를 적극적으로 옹호하고 활동한다. 이러한 사서들은 오픈 액세스가 도서관이 학술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려는 노력을 훼손하는 가격 및 권한 장벽을 제거하고, 연속 간행물 위기 해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139]
많은 도서관 협회는 주요 오픈 액세스 선언에 서명하거나 자체적으로 선언을 만들었다. 예를 들어,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은 오픈 액세스에 대한 성명을 발표했다.[141] 연구 도서관 협회는 학술 정보에 대한 접근성 증가의 필요성을 문서화했으며, 학술 출판 및 학술 자원 연합(SPARC)의 주요 설립자였다.[142][143]
대부분의 대학에서 도서관은 대학 교수진의 학술 연구에 대한 무료 접근을 제공하는 기관 저장소를 관리한다. 캐나다 연구 도서관 협회는 모든 캐나다 대학 도서관에 기관 저장소를 개발하는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145]
2013년, 오픈 액세스 운동가 에런 스워츠는 사후에 미국 도서관 협회의 제임스 매디슨 상을 수상했는데, 이는 그가 "정부의 공공 참여와 동료 심사를 거친 학술 논문에 대한 제한 없는 접근을 옹호한"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147][148]
많은 대학, 연구 기관 및 연구 기금 지원 기관이 연구자에게 연구 출판물을 오픈 액세스로 공개하도록 요구하는 의무를 채택했다.[272] 예를 들어, 영국 연구 위원회(Research Councils UK)는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오픈 액세스 의무 지원에 약 6000만파운드를 지출했다.[273]
미국에서는 NIH 공공 접근 정책에 따라 2008년부터 국립 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의 자금 지원을 받는 연구를 설명하는 논문을 출판 후 12개월 이내에 PubMed Central (PMC)을 통해 대중에게 무료로 제공해야 한다. 2022년, 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의 과학기술정책실은 12개월간의 금수 조치를 철폐하라는 각서를 발표했다.[282] 2025년 말까지, 미국 연방 기관은 미국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는 연구의 결과로 생산된 모든 결과(논문, 문서 및 데이터)를 출판 즉시 대중에게 공개하도록 요구해야 한다.[283]
2023년, 유럽 연합 이사회는 유럽 위원회와 회원국이 연구 출판을 위해 오픈 액세스 및 비영리 모델을 구현할 것을 권고했다.[284]
2024년, 게이츠 재단은 "사전 인쇄 중심" 오픈 액세스 정책을 발표하고 APC 지불을 중단할 의사를 밝혔다.[285] 같은 해, 일본 정부 또한 2025년 4월부터 정부 자금 지원 연구가 기관 사전 인쇄 저장소에서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도록 요구하는 그린 오픈 액세스 정책을 발표했다.[286]
2021년 3월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100개 이상의 연구 기금 지원 기관과 800개의 대학교에서 오픈 액세스 의무화 정책을 등록했다.[287]
7. 2. 대한민국 현황
대한민국 정부는 국가 차원의 오픈 액세스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연구비 지원 기관들은 오픈 액세스 출판을 장려하고 있다.[467][468] 더불어민주당은 학술 정보의 공공성과 접근성 강화를 지지하며, 오픈 액세스 확산을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8. 불평등과 오픈 액세스
SPARC와 같은 단체들은 대부분의 과학 연구가 정부 보조금을 통해 납세자의 자금으로 이루어지므로, 납세자는 연구 결과에 접근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한다.[152] 오픈 액세스는 개발도상국 과학자, 의료 전문가 및 기관에게 특히 중요한데, 이들은 학술 문헌 접근에 필요한 자원이 부족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155]
SciELO[156]와 같은 많은 오픈 액세스 프로젝트는 국제 협력을 포함한다. Bioline International은 개발도상국 출판사를 돕는 비영리 단체이며, 경제학 연구 논문(RePEc)은 여러 국가의 자원 봉사자들이 참여하는 협력적 노력이다. 캐나다의 공공 지식 프로젝트는 오픈 저널 시스템(OJS)이라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157][158]
하지만 주요 상업용 인용 색인 데이터베이스는 유럽 및 북미 이외의 저널에 대한 평가 기준과 표현을 왜곡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현대 과학 출판 시스템에서 성 불평등 또한 여전히 존재한다. 정치학, 경제학, 신경학 등 많은 분야에서 남성을 선호하는 성별 차이가 발견된다.[290] 오픈 액세스(OA) 출판은 여성 연구자의 가시성을 높이고, 성별에 따른 인용 격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OA 출판은 비 OA 출판에 비해 접근성이 높아 출판물의 가시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291]
2022년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오픈 액세스(OA) 논문은 고소득 국가의 저자들이 작성했으며, 저소득 국가 저자들은 거의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292] 플로리다 대학교의 에밀리오 브루나(Emilio Bruna)는 "오픈 액세스의 가장 큰 아이러니 중 하나는 전 세계 저자들에게 과학 문헌을 읽을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지만, 그들이 같은 저널에 출판하는 것을 배제하게 된다는 점"이라고 지적한다.[293]
9. 국가별 현황
- 호주
- 오스트리아
- 벨기에
- 캐나다
- 덴마크
- 프랑스
- 독일
- 그리스
- 헝가리
- 인도
- 아일랜드
- 이탈리아
- 일본
- 네덜란드
- 뉴질랜드
- 노르웨이
- 폴란드
- 포르투갈
- 러시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스페인
- 스웨덴
- 우크라이나
참조
[1]
웹사이트
Open Access Overview
http://legacy.earlha[...]
2014-11-29
[2]
웹사이트
Policy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open access
https://unesdoc.unes[...]
2019-04-14
[3]
논문
Plant Dermatitis
https://www.emed.the[...]
Emerg Med Clin North Am
2024
[4]
논문
The Toxic Principle of the Poison Ivy
https://pubs.acs.org[...]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934
[5]
논문
Degrees of secrecy in an open environment. The case of electronic theses and dissertations
http://www.essachess[...]
[6]
논문
Directory of Open Access Books Goes Live
http://lj.libraryjou[...]
[7]
뉴스
Terms and conditions for the use and redistribution of Sentinel data
https://scihub.coper[...]
European Space Agency
2020-06-28
[8]
논문
National differences in dissemination and use of open access literature
2022-08-09
[9]
웹사이트
DOAJ: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http://doaj.org/doaj[...]
2013-05-01
[10]
논문
Dramatic Growth of Open Access
2018-12-31
[11]
웹사이트
PMC full journal list download
https://www.ncbi.nlm[...]
2019-03-10
[12]
웹사이트
NLM Catalog
https://www.ncbi.nlm[...]
2019-03-10
[13]
논문
Open access publishing and author-pays business models: a survey of authors' knowledge and perceptions
2006
[14]
서적
Open Access and the Humanities
https://www.cambridg[...]
Cambridge Core
2020-12-30
[15]
논문
What does 'green' open access mean? Tracking twelve years of changes to journal publisher self-archiving policies
https://dspace.lboro[...]
2019-08-28
[16]
웹사이트
Subject Guides: Copyright: Keeping Control of Your Copyright
https://libguides.ms[...]
2024-04-22
[17]
웹사이트
Leveraging Elsevier's Creative Commons License Requirement to Undermine Embargoes
https://digitalcommo[...]
2024-04-22
[18]
논문
Hybrid open access—A longitudinal study
2016
[19]
문서
Suber
[20]
문서
Suber
[21]
웹사이트
Wellcome Trust and COAF Open Access Spend, 2014-15
https://wellcometrus[...]
2019-10-27
[22]
웹사이트
Open access double dipping policy
https://www.cambridg[...]
2018-03-12
[23]
논문
Growth of hybrid open access, 2009–2016
2017
[24]
웹사이트
Open choice vs open access: Why don't "hybrid" journals qualify for the open access fund?
https://www.lib.sfu.[...]
SFU Library
2020-07-26
[25]
논문
The state of OA: a large-scale analysis of the prevalence and impact of Open Access articles
2018-02-13
[26]
논문
An Interview with Jeffrey Beall on Open Access Publishing
[27]
서적
Introduction to Scientific Publishing
Springer
[28]
논문
Is Diamond Open Access the Future of Open Access?
https://theijournal.[...]
2019-06-25
[29]
논문
Subsidizing truly open access
2016-06-17
[30]
웹사이트
Diamond Open Access, Societies and Mission
https://scholarlykit[...]
2019-06-25
[31]
논문
The Rise of Platinum Open Access Journals with Both Impact Factors and Zero Article Processing Charges
2022
[32]
간행물
OA Diamond Journals Study. Part 1: Findings
https://zenodo.org/r[...]
2021-03-09
[33]
논문
Sci-Hub provides access to nearly all scholarly literature
https://greenelab.gi[...]
2019-05-21
[34]
논문
Gold, green, and black open access
2017
[35]
논문
We've failed: Pirate black open access is trumping green and gold and we must change our approach
2017
[36]
논문
Who's downloading pirated papers? Everyone
https://www.science.[...]
2016-04-28
[37]
논문
Looking into Pandora's Box: The Content of Sci-Hub and its Usage
2017-04-21
[38]
논문
Copyright compliance and infringement in ResearchGate full-text journal articles
2017-07-01
[39]
논문
Scholarly Sharing via Twitter: #icanhazpdf Requests for Health Sciences Literature
2016-04-01
[40]
논문
Sci-Hub's cache of pirated papers is so big, subscription journals are doomed, data analyst suggests
https://www.science.[...]
2017-07-27
[41]
웹사이트
Gratis and Libre Open Access
http://nrs.harvard.e[...]
2008
[42]
서적
[43]
서적
[44]
논문
Preprints in Scholarly Communication: Re-Imagining Metrics and Infrastructures
2019
[45]
논문
The FAIR Guiding Principles for scientific data management and stewardship
2016-03-15
[46]
논문
Cloudy, increasingly FAIR; revisiting the FAIR Data guiding principles for the European Open Science Cloud
2017-01-01
[47]
웹사이트
European Commission embraces the FAIR principles
https://www.dtls.nl/[...]
2016-04-20
[48]
웹사이트
G20 Leaders' Communique Hangzhou Summit
https://europa.eu/ra[...]
[49]
웹사이트
Hecho En Latinoamérica. Acceso Abierto, Revistas Académicas e Innovaciones Regionales
http://www.clacso.or[...]
[50]
논문
The (ir)rational consideration of the cost of science in transition economies
2018
[51]
논문
Are Funder Open Access Platforms a Good Idea?
[52]
논문
Estimating Open Access Mandate Effectiveness: The MELIBEA Score
https://eprints.soto[...]
[53]
서적
Future of Scholarly Publishing and Scholarly Communication : Report of the Expert Group to the European Commission.
https://publications[...]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9-01-30
[54]
웹사이트
AmeliCA before Plan S – The Latin American Initiative to develop a cooperative, non-commercial, academic led, system of scholarly communication
https://blogs.lse.ac[...]
2019-08-08
[55]
논문
From Coalition to Commons: Plan S and the Future of Scholarly Communication
[56]
논문
The growth of open access publishing in geochemistry
https://www.scienced[...]
2020-09-01
[57]
웹사이트
Journal metadata
https://doaj.org/
[58]
논문
Take Another Look at the Instructions for Authors
[59]
논문
Who Should Own Scientific Papers?
[60]
논문
RoMEO Studies 4: An Analysis of Journal Publishers" Copyright Agreements
http://eprints.rclis[...]
[61]
논문
Copyright Contradictions in Scholarly Publishing
[62]
논문
Why Full Open Access Matters
[63]
논문
Academic Freedom: A Lawyer's Perspective
http://sro.sussex.ac[...]
[64]
간행물
Open Access Publishing: A Literature Review
2014
[65]
간행물
Creative Commons Licenses: Empowering Open Access
2016-03-10
[66]
논문
The Changing Copyright Landscape in Academic Publishing
https://zenodo.org/r[...]
[67]
논문
From the Field: Elsevier as an Open Access Publisher
[68]
논문
The Reinterpretation of the Visibility and Quality of New Policies to Assess Scientific Publications
[69]
서적
Open Access Survey: Exploring the Views of Taylor & Francis and Routledge Authors
https://files.taylor[...]
Taylor & Francis/Routledge
[70]
웹사이트
OA journal business models
http://oad.simmons.e[...]
[71]
웹사이트
Jisc supports Subscribe to Open model
https://www.research[...]
2020-10-06
[72]
웹사이트
The Sustainability of Open Access Publishing Models Past a Tipping Point
https://web.archive.[...]
2017-04-26
[73]
웹사이트
How Much Do Top Publishers Charge for Open Access?
http://openscience.c[...]
2017-04-26
[74]
간행물
Diamond Open Access in the quest for interdisciplinarity and excellence
2017-08-31
[75]
서적
Open access
MIT Press
2012
[76]
간행물
Influence of open access journals on the research community in Journal Citation Reports
[77]
웹사이트
An efficient journal
http://blogs.harvard[...]
2019-10-27
[78]
웹사이트
Article processing charges
https://www.nature.c[...]
Nature Communications
2019-10-27
[79]
웹사이트
Publishing options
https://www.nature.c[...]
Nature
[80]
간행물
Publication fees for open access journals: Different disciplines-different methods
2013-12
[81]
간행물
Article Processing Charges in OA Journals: Relationship between Price and Quality
[82]
간행물
APC Pricing
Figshare
[83]
웹사이트
Developing an Effective Market for Open Access Article Processing Charges.
https://wellcome.ac.[...]
2019-08-28
[84]
웹사이트
APCs—Mirroring the Impact Factor or Legacy of the Subscription-Based Model?
https://pub.uni-biel[...]
2019-08-28
[85]
웹사이트
Setting a fee for publication
https://elifescience[...]
2019-10-27
[86]
웹사이트
Ubiquity Press
https://www.ubiquity[...]
2019-10-27
[87]
간행물
Disrupting the Subscription Journals" Business Model for the Necessary Large-Scale Transformation to Open Access
[88]
간행물
Ten Hot Topics around Scholarly Publishing
2019-03-11
[89]
간행물
Growth of Hybrid Open Access
[90]
간행물
The 'Total Cost of Publication" in a Hybrid Open-Access Environment: Institutional Approaches to Funding Journal Article-Processing Charges in Combination with Subscriptions
http://eprints.white[...]
2019-09-09
[91]
간행물
Is Open Access Affordable? Why Current Models Do Not Work and Why We Need Internet-Era Transformation of Scholarly Communications
[92]
간행물
International disparities in open access practices in the Earth Sciences
https://ese.arphahub[...]
2021-06-10
[93]
뉴스
Diamond Open Access – UA Magazine
https://www.ua-magaz[...]
UA Magazine
2018-05-11
[94]
웹사이트
No-fee open-access journals
http://www.earlham.e[...]
2008-12-14
[95]
간행물
Knowledge Unlatched:A Global Library Consortium Model for Funding Open Access Scholarly Books
2014
[96]
웹사이트
DOAJ search
https://doaj.org/sea[...]
2019-06-30
[97]
웹사이트
Introducing the Free Journal Network – community-controlled open access publishing
https://blogs.lse.ac[...]
2019-05-17
[98]
웹사이트
Is the EU's open access plan a tremor or an earthquake?
https://sciencebusin[...]
2019-05-17
[99]
웹사이트
A Reality Check on Author Access to Open Access Publishing
https://blogs.plos.o[...]
2019-10-27
[100]
웹사이트
Is it True that Most Open Access Journals Do Not Charge an APC? Sort of. It Depends.
https://scholarlykit[...]
2019-10-27
[101]
간행물
Preprint Déjà Vu
[102]
보고서
The Evolving Preprint Landscape: Introductory Report for the Knowledge Exchange Working Group on Preprints
https://doi.org/10.1[...]
[103]
간행물
On the Origin of Nonequivalent States: How We Can Talk about Preprints
[104]
간행물
Preprints in Scholarly Communication: Re-Imagining Metrics and Infrastructures
[105]
간행물
Ten simple rules to consider regarding preprint submission
[106]
논문
On the Value of Preprints: An Early Career Researcher Perspective
[107]
논문
Does It Take Too Long to Publish Research?
[108]
논문
Reproducibility in Research: Systems, Infrastructure, Culture
[109]
웹사이트
ASAPbio FAQ
http://asapbio.org/p[...]
2019-08-28
[110]
웹사이트
SHERPA/RoMEO
http://www.sherpa.ac[...]
2019-08-28
[111]
논문
What Does "Green" Open Access Mean? Tracking Twelve Years of Changes to Journal Publisher Self-Archiving Policies
https://dspace.lboro[...]
2019-08-28
[112]
웹사이트
Journal embargo finder
https://www.elsevier[...]
2019-05-17
[113]
논문
Green open access policies of scholarly journal publishers: a study of what, when, and where self-archiving is allowed
2014-05-01
[114]
서적
Open access: what, where, when, how and why
https://eprints.soto[...]
Macmillan Reference
2020-01-06
[115]
논문
Delayed open access: An overlooked high-impact category of openly available scientific literature
2013
[116]
논문
Scientific Journal Publishing: Yearly Volume and Open Access Availability
https://eric.ed.gov/[...]
2020-01-06
[117]
논문
Open Access Self-Archiving: An Author Study
http://cogprints.org[...]
2019-08-28
[118]
논문
The Post-Embargo Open Access Citation Advantage: It Exists (Probably), It's Modest (Usually), and the Rich Get Richer (of Course)
2016-08-22
[119]
웹사이트
The evidence fails to justify publishers' demand for longer embargo periods on publicly-funded research.
https://blogs.lse.ac[...]
2020-01-06
[120]
웹사이트
Global scientific community commits to sharing data on Zika
https://wellcome.ac.[...]
Wellcome
2016-02-10
[121]
간행물
About
https://www.mja.com.[...]
Australasian Medical Publishing Company
2019-06-12
[122]
문서
2012
[123]
웹사이트
The Life and Death of an Open Access Journal: Q&A with Librarian Marcus Banks
http://poynder.blogs[...]
2018-05-23
[124]
뉴스
Gold open access in practice: How will universities respond to the rising total cost of publication?
http://blogs.lse.ac.[...]
2018-05-23
[125]
뉴스
Reasoning and Interest: Clustering Open Access - LePublikateur
https://www.lepublik[...]
2018-06-05
[126]
논문
The academic, economic and societal impacts of Open Access: an evidence-based review
2016-09-21
[127]
웹사이트
Periodicals Price Survey 2005: Choosing Sides
http://lj.libraryjou[...]
2017-10-18
[128]
논문
Diffusion of Treatment Research: Does Open Access Matter?
http://decisionscien[...]
2008-04-22
[129]
웹사이트
DFID Research: DFID's Policy Opens up a World of Global Research
http://www.dfid.gov.[...]
[130]
웹사이트
How To Integrate University and Funder Open Access Mandates
http://openaccess.ep[...]
[131]
뉴스
Dutch academics declare research free-for-all
https://www.theregis[...]
Jan Libbenga
2005-05-11
[132]
웹사이트
Portal NARCIS
http://www.narcis.in[...]
[133]
웹사이트
Open and closed access scholarly publications in NARCIS per year of publication
https://www.narcis.n[...]
2019-02-26
[134]
웹사이트
Coalition of Open Access Policy Institutions (COAPI) – SPARC
http://www.sparc.arl[...]
2015-10-20
[135]
웹사이트
Good practices for university open-access policies
https://cyber.harvar[...]
2016-10-04
[136]
웹사이트
About the AOASG
http://aoasg.org.au/[...]
2013-02-05
[137]
웹사이트
Australian Open Access Support Group expands to become Australasian Open Access Support Group
http://aoasg.org.au/[...]
2015-08-17
[138]
뉴스
Creative Commons Australia partners with Australasian Open Access Strategy Group
2016-08-31
[139]
논문
Removing the Barriers to Research: An Introduction to Open Access for Librarians
https://dash.harvard[...]
2018-06-20
[140]
간행물
Capturing the Benefits of Open Access in Interlibrary Loan
https://scholarworks[...]
2015
[141]
웹사이트
IFLA Statement on Open Access (2011)
https://www.ifla.org[...]
2019-03-06
[142]
웹사이트
Scholarly Publishing and Academic Resources Coalition
http://www.sparc.arl[...]
2013-08-15
[143]
웹사이트
Open Access for Scholarly Publishing
http://scu.edu.au/li[...]
2014-05-19
[144]
웹사이트
ALA Scholarly Communication Toolkit
http://www.ala.org/a[...]
2005-09-08
[145]
웹사이트
CARL – Institutional Repositories Program
http://www.carl-abrc[...]
2013-06-07
[146]
논문
The Library Publishing Coalition: organizing libraries to enhance scholarly publishing
http://insights.uksg[...]
2019-09-02
[147]
웹사이트
Aaron Swartz to receive posthumous 'Freedom of Information' award for open access advocacy
https://www.theverge[...]
2013-03-24
[148]
웹사이트
James Madison Award
http://www.ala.org/a[...]
Ala.org
2013-03-24
[149]
웹사이트
Entire library journal editorial board resigns, citing 'crisis of conscience' after death of Aaron Swartz
https://www.theverge[...]
2014-01-01
[150]
웹사이트
Journal's Editorial Board Resigns in Protest of Publisher's Policy Toward Authors
http://chronicle.com[...]
2013-03-27
[151]
웹사이트
My short stint on the JLA Editorial Board
http://chrisbourg.wo[...]
2013-03-23
[152]
웹사이트
ATA | The Alliance for Taxpayer Access
http://www.taxpayera[...]
2007-09-27
[153]
웹사이트
Open Access: Basics and Benefits
https://web.archive.[...]
2012-02-13
[154]
논문
The Open Access Advantage
[155]
논문
Benefits of open access to researchers from lower-income countries: A global analysis of reference patterns in 1980–2020
2024
[156]
웹사이트
Scientific Electronic Library Online
http://www.scielo.or[...]
2005-08-31
[157]
논문
The case for open source appropriate technology
[158]
간행물
Open Design-Based Strategies to Enhance Appropriate Technology Development
http://nciia.org/sit[...]
2018-07-25
[159]
논문
The state of OA: a large-scale analysis of the prevalence and impact of Open Access articles
2018-02-13
[160]
논문
Open Access to the Scientific Journal Literature: Situation 2009
[161]
논문
Open access journal content found in commercial full-text aggregation databases and journal citation reports
[162]
논문
The diamond model of open access publishing: Why policy makers, scholars, universities, libraries, labour unions and the publishing world need to take non-commercial, non-profit open access serious
[163]
웹사이트
Open access to research publications reaching 'tipping point'
http://europa.eu/rap[...]
europa.eu
2013-08-25
[164]
웹사이트
Proportion of Open Access Peer-Reviewed Papers at the European and World Levels—2004–2011
http://www.science-m[...]
Science-Metrix
2013-08-25
[165]
논문
Half of 2011 papers now free to read
[166]
웹사이트
Area-wide transition to open access is possible: A new study calculates a redeployment of funds in Open Access
https://www.mpg.de/9[...]
Max Planck Gesellschaft
2017-05-12
[167]
논문
A Study of Innovative Features in Scholarly Open Access Journals
[168]
웹사이트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https://doaj.org/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2019-02-26
[169]
Q
Q99410785
[170]
웹사이트
Institutions' open access over time: Evolution of green and gold OA
https://storage.goog[...]
Curtin Open Knowledge Initiative
2021-10-13
[171]
서적
Gold Open Access 2013-2018: Articles in Journals (GOA4)
https://waltcrawford[...]
Cites & Insights Books
2019-08-30
[172]
논문
The state of OA: A large-scale analysis of the prevalence and impact of Open Access articles
[173]
URL
https://www.scopus.c[...]
2024-08-01
[174]
웹사이트
"Registry of Open Access Repositories (ROAR)"
http://roar.eprints.[...]
2012-10-30
[175]
웹사이트
Browse by Repository Type
http://roar.eprints.[...]
2019-02-26
[176]
논문
How open science helps researchers succeed
2016-07-07
[177]
논문
The open access advantage considering citation, article usage and social media attention
2015-05-01
[178]
논문
Open access, readership, citation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scientific journal publishing
2011-03-30
[179]
논문
Does open access lead to increased readership and citation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rticles published in APS journals
2010
[180]
논문
Open access publishing, article downloads, and citations: randomised controlled trial
2008-07-31
[181]
웹사이트
Maximising the Return on the UK's Public Investment in Research – Open Access Archivangelism
http://openaccess.ep[...]
2011-12-03
[182]
웹사이트
Can Researchers Bank on Citation Analysis?
http://www.garfield.[...]
Current Comments
1988-10-31
[183]
웹사이트
Call to All Mathematicians
http://cr.yp.to/bib/[...]
2001-05-15
[184]
논문
Who needs access to research? Exploring the societal impact of open access
http://journals.open[...]
2020-01-03
[185]
논문
Attention! A study of open access vs non-open access articles
https://figshare.com[...]
2020-01-03
[186]
arXiv
Citing and Reading Behaviours in High-Energy Physics. How a Community Stopped Worrying about Journals and Learned to Love Repositories
[187]
서적
The culture of Open Access: researchers' views and responses
Chandos
2006
[188]
논문
The state of OA: a large-scale analysis of the prevalence and impact of Open Access articles
2018-02-13
[189]
웹사이트
The Open Access citation advantage: Studies and results to date
https://eprints.soto[...]
2020-01-03
[190]
논문
The academic, economic and societal impacts of Open Access: an evidence-based review
2016-09-21
[191]
논문
The open access advantage for studies of human electrophysiology: Impact on citations and Altmetrics
2021-06-01
[192]
웹사이트
Online or Invisible? Steve Lawrence; NEC Research Institute
http://citeseer.ist.[...]
2011-12-03
[193]
논문
Open access publishing, article downloads, and citations: randomised controlled trial
[194]
논문
Open access, readership, citation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scientific journal publishing
[195]
웹사이트
Effect of OA on citation impact: a bibliography of studies
http://opcit.eprints[...]
2011-12-03
[196]
웹사이트
The Open Access citation advantage: Studies and results to date
https://eprints.soto[...]
2020-01-03
[197]
논문
The open access advantage for studies of human electrophysiology: Impact on citations and Altmetrics
2021-06-01
[198]
논문
Citation Advantage of Open Access Articles
2006-05-16
[199]
논문
Open access versus subscription journals: a comparison of scientific impact
2012-07-17
[200]
논문
Amplifying the impact of open access: Wikipedia and the diffusion of science
[201]
논문
Do blog citations correlate with a higher number of future citations? Research blogs as a potential source for alternative metrics
2014-01-15
[202]
논문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 Access and Altmetrics
https://www.ideals.i[...]
2020-01-03
[203]
arXiv
The Journal Impact Factor: A Brief History, Critique, and Discussion of Adverse Effects
[204]
논문
Let's Move beyond the Rhetoric: It's Time to Change How We Judge Research
[205]
논문
The impact factor of an open access journal does not contribute to an article's citations
2017-03-02
[206]
웹사이트
The Leiden Manifesto for Research Metrics
http://www.leidenman[...]
2019-08-28
[207]
웹사이트
Plan S implementation guidelines
https://www.coalitio[...]
2019-08-28
[208]
논문
Peer Review: Troubled from the Start
[209]
논문
The Royal Society and the Prehistory of Peer Review, 1665–1965
https://kar.kent.ac.[...]
2019-08-28
[210]
논문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on emergent and future innovations in peer review
2017-11-29
[211]
논문
The state of the art in peer review
https://academic.oup[...]
2018-10-01
[212]
논문
Peer-review experiments tracked in online repository
https://www.nature.c[...]
2019-03-04
[213]
논문
Technical and social issue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preprints in the life sciences
[214]
논문
The preregistration revolution
2018-03-12
[215]
논문
What is open peer review? A systematic review
2017-08-31
[216]
논문
A manifesto for reproducible science
2017-01-10
[217]
논문
A Link is not Enough – Reproducibility of Data
2019-07-01
[218]
논문
A Manifesto for Reproducible Science
http://dare.uva.nl/p[...]
[219]
논문
A Layered Framework for Considering Open Science Practices
[220]
논문
Point of View: How Open Science Helps Researchers Succeed
[221]
논문
Peer Review Quality and Transparency of the Peer-Review Process in Open Access and Subscription Journals
2016-01-29
[222]
논문
Reliable novelty: New should not trump true
2019-02-12
[223]
논문
Open-access mega-journals
2017-03-13
[224]
논문
Comments on "Factors affecting global flow of scientific knowledge in environmental sciences" by Sonne et al. (2020)
https://www.scienced[...]
2020-06-15
[225]
논문
Predatory journals: no definition, no defence
2019-12-12
[226]
논문
Hijacked Journals: An Emerging Challenge for Scholarly Publishing
https://academic.oup[...]
2016-06-01
[227]
논문
Hijacked journals, hijacked web-sites, journal phishing, misleading metrics, and predatory publishing: actual and potential threats to academic integrity and publishing ethics
2016-06-24
[228]
논문
'Predatory" Open Access: A Longitudinal Study of Article Volumes and Market Characteristics
[229]
논문
Is Predatory Publishing a Real Threat? Evidence from a Large Database Study
[230]
논문
Who's Afraid of Peer Review?
[231]
논문
Format Aside: Applying Beall's Criteria to Assess the Predatory Nature of Both OA and Non-O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s
[232]
논문
Potential Predatory and Legitimate Biomedical Journals: Can You Tell the Difference? A Cross-Sectional Comparison
[233]
웹사이트
I confess, I wrote the Arsenic DNA paper to expose flaws in peer-review at subscription based journals
http://www.michaelei[...]
2013-10-03
[234]
논문
Pay-to-View Blacklist of Predatory Journals Set to Launch
[235]
논문
Blacklists and Whitelists to Tackle Predatory Publishing: A Cross-Sectional Comparison and Thematic Analysis
[236]
논문
Publish Peer Reviews
[237]
뉴스
The Open Access Irony Awards: Naming and shaming them
https://duncan.hull.[...]
2012-02-15
[238]
웹사이트
Whatever happened to the Academic Spring? (Or the irony of hiding papers on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behind a paywall)
https://oxfamblogs.o[...]
2013-08-07
[239]
논문
Open Access to Publications to Expand Participation in Archaeology
http://osf.io/v9kfy/
2020-10-29
[240]
논문
Practicing What You Preach: Evaluating Access of Open Access Research
2018-03-02
[241]
웹사이트
How ironic are the open access irony awards?
https://eve.gd/2013/[...]
2013-10-21
[242]
웹사이트
Browse by Year
http://roar.eprints.[...]
Registry of Open Access Repositories
[243]
논문
Preprints in medical research: Progress and principles
2018-04-16
[244]
논문
Preprints: What Role do These Have in Communicating Scientific Results?
[245]
웹사이트
A List of Preprint Servers
https://researchprep[...]
2017-03-09
[246]
서적
Open access and the humani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247]
웹사이트
"The Green Road to Open Access: A Leveraged Transition"
http://eprints.ecs.s[...]
2007
[248]
논문
The Access/Impact Problem and the Green and Gold Roads to Open Access
[249]
웹사이트
Demystifying Open Access Workshop
http://epublications[...]
2015-05-18
[250]
웹사이트
SPARC Europe – Embargo Periods
http://sparceurope.o[...]
2015-10-18
[251]
웹사이트
"Scholarly Journals at the Crossroads: A Subversive Proposal for Electronic Publishing"
http://www.arl.org/b[...]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2011-12-03
[252]
뉴스
Poynder On Point: Ten Years After
http://www.infotoday[...]
Information Today
2011-12-03
[253]
웹사이트
"Re: when did the Open Access movement officially begin"
http://users.ecs.sot[...]
American Scientist Open Access Forum
2011-12-03
[254]
웹사이트
SHERPA/RoMEO – Publisher copyright policies & self-archiving
http://www.sherpa.ac[...]
Sherpa.ac.uk
2011-12-03
[255]
웹사이트
Evaluating Institutional Repository Deployment in American Academe Since Early 2005: Repositories by the Numbers, Part 2
http://www.dlib.org/[...]
2019-03-10
[256]
논문
Institutional Repositories, Open Access and Copyright: What Are the Practices and Implications?
http://eprints.rclis[...]
2019-07-11
[257]
논문
The Journal Coverage of Web of Science and Scopus: A Comparative Analysis
[258]
논문
Comparison of PubMed, Scopus, Web of Science, and Google Scholar: Strengths and Weaknesses
[259]
논문
Google Scholar, Scopus and the Web of Science: A Longitudinal and Cross-Disciplinary Comparison
https://eprints.mdx.[...]
2021-03-27
[260]
간행물
On the Dominance of Quantitative Evaluation in 'Peripheral" Countries: Auditing Research with Technologies of Distance
2016-05-28
[261]
문서
Publications in journals listed in the WoS has a large effect on the UK [[Research Excellence Framework]]. Bibliographic data from Scopus represents more than 36% of assessment criteria in [[Times Higher Education World University Rankings|THE rankings]].
[262]
웹사이트
Clarivate Analytics will provide citation data during REF 2021 - REF 2021
https://www.ref.ac.u[...]
2020-01-04
[263]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19: methodology
https://www.timeshig[...]
2020-01-04
[264]
서적
2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 Publishing
[265]
웹사이트
Budapest Open Access Initiative, FAQ
http://www.earlham.e[...]
Earlham.edu
2011-12-03
[266]
웹사이트
Open Journal Systems
http://pkp.sfu.ca/?q[...]
Public Knowledge Project
2012-11-13
[267]
웹사이트
Welcome - ROAD
http://road.issn.org[...]
2017-05-12
[268]
웹사이트
Research Guides: Open Access: Finding Open Access Content
http://mcphs.libguid[...]
2017-05-12
[269]
웹사이트
BASE - Bielefeld Academic Search Engine | What is BASE?
http://www.base-sear[...]
2018-01-16
[270]
웹사이트
Search CORE
https://core.ac.uk/s[...]
2016-03-11
[271]
논문
A survey of scholarly journals using open journal systems
2010-06-14
[272]
문서
Suber
[273]
웹사이트
RCUK Open Access Block Grant analysis - Research Councils UK
http://www.rcuk.ac.u[...]
2018-02-12
[274]
웹사이트
Re: Savings from Converting to On-Line-Only: 30%- or 70%+ ?
https://www.southamp[...]
University of Southampton
[275]
웹사이트
"(#710) What Provosts Need to Mandate"
http://listserver.si[...]
Listserver.sigmaxi.org
[276]
웹사이트
Recommendations For UK Open-Access Provision Policy
http://www.ecs.soton[...]
Ecs.soton.ac.uk
1998-11-05
[277]
웹사이트
Open Access
http://www.rcuk.ac.u[...]
2015-12-19
[278]
웹사이트
About the Repository – ROARMAP
https://web.archive.[...]
2011-12-03
[279]
웹사이트
PRISM – a new lobby against open access
http://scienceblogs.[...]
2013-10-17
[280]
웹사이트
Science-Journal Publishers Take Fight Against Open-Access Policies to Congress
http://chronicle.com[...]
2013-10-17
[281]
웹사이트
Publishers Blast New Open Access Bill, FASTR
http://www.publisher[...]
2013-02-15
[282]
웹사이트
OSTP Issues Guidance to Make Federally Funded Research Freely Available Without Delay {{!}} OSTP
https://www.whitehou[...]
2022-08-25
[283]
웹사이트
White House requires immediate public access to all U.S.-funded research papers by 2025
https://www.science.[...]
[284]
논문
EU council's 'no pay' publishing model draws mixed response
https://www.nature.c[...]
2023-06-02
[285]
논문
Will the Gates Foundation's preprint-centric policy help open access?
https://www.nature.c[...]
Nature Publishing Group
2024-04-04
[286]
논문
Japan's push to make all research open access is taking shape
2024-05-30
[287]
웹사이트
Browse by Policymaker Type
http://roarmap.eprin[...]
[288]
논문
Developing strategies to ensure compliance with funders' open access policies
2015-03-05
[289]
웹사이트
Compliance with the first funder open access policy in Australia
http://informationr.[...]
2020-06-15
[290]
논문
Gender Differences in Authorship of Critical Care Literature
2020-04-01
[291]
논문
Open Access Publishing Probabilities Based on Gender and Authorship Structures in Vietnam
2021-10-05
[292]
논문
Assessing the effect of article processing charges on the geographic diversity of authors using Elsevier's "Mirror Journal" system
2022-02-04
[293]
논문
Open-access publishing fees deter researchers in the global south
https://www.nature.c[...]
2022-02-16
[294]
웹사이트
Policy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open access
https://unesdoc.unes[...]
2012
[295]
웹사이트
Open Access Overview
http://legacy.earlha[...]
[296]
뉴스
Terms and conditions for the use and redistribution of Sentinel data
https://scihub.coper[...]
European Space Agency
2014-07
[297]
논문
Degrees of secrecy in an open environment. The case of electronic theses and dissertations
http://www.essachess[...]
[298]
웹사이트
Open Access Overview
http://legacy.earlha[...]
[299]
논문
Directory of Open Access Books Goes Live
http://lj.libraryjou[...]
[300]
웹사이트
オープンアクセスに関する声明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09-03-16
[301]
웹사이트
オープンアクセス特設サイト
http://www.lib.okaya[...]
岡山大学
[302]
논문
電子ジャーナル時代の新用語「オープンアクセス:大学図書館の立場から」
https://www.nii.ac.j[...]
国立情報学研究所
2009-10
[303]
웹사이트
ブダペスト・オープンアクセス・イニシアティヴから10年:デフォルト値を「オープン」に
http://www.budapesto[...]
ブダペスト・オープンアクセス・イニシアティヴ
2012-09-12
[304]
문서
栗山 2010
[305]
웹사이트
オープンアクセスとは
http://www.kulib.kyo[...]
京都大学
[306]
웹사이트
Bethesda Statement on Open Access Publishing
http://legacy.earlha[...]
アーラム大学
2003-06-20
[307]
웹사이트
Berlin Declaration
http://openaccess.mp[...]
マックス・プランク研究所
[308]
문서
倉田 2007
[309]
웹사이트
ブダペスト・オープンアクセス・イニシアティヴから10年:デフォルト値を「オープン」に
http://www.budapesto[...]
ブダペスト・オープンアクセス・イニシアティヴ
2012-09-12
[310]
문서
佐藤 2013
[311]
웹사이트
DOAJ: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http://doaj.org/doaj[...]
2013-05-01
[312]
논문
Dramatic Growth of Open Access
2018-12-31
[313]
웹사이트
PMC full journal list download
https://www.ncbi.nlm[...]
[314]
웹사이트
NLM Catalog
https://www.ncbi.nlm[...]
[315]
문서
国立大学図書館協会 学術情報委員会 学術情報流通検討小委員 2014
[316]
문서
横井 2013
[317]
문서
倉田 2007
[318]
간행물
商業出版社のオープン・アクセス戦略
https://www.nii.ac.j[...]
国立情報学研究所
2015-04-11
[319]
웹사이트
BioMed Central のオープンアクセス出版 in 第5回 SPARC Japan セミナー2009「オープンアクセスのビジネスモデルと研究者の実際」
https://www.nii.ac.j[...]
国立情報学研究所
2015-04-11
[320]
웹사이트
Open Access Overview
http://legacy.earlha[...]
2014-11-29
[321]
간행물
Open access publishing and author-pays business models: a survey of authors' knowledge and perceptions
2006
[322]
간행물
Introduction, or why open access? (Chapter 1) - Open Access and the Humanities
https://www.cambridg[...]
2020-12-30
[323]
문서
横井 2013
[324]
문서
倉田 2007
[325]
간행물
Open Accessはどこまで進んだのか(2) オープンアクセスはいかに実現されてきたのか
https://www.nii.ac.j[...]
国立情報学研究所
2015-04-11
[326]
간행물
What does 'green' open access mean? Tracking twelve years of changes to journal publisher self-archiving policies
https://dspace.lboro[...]
2019-08-28
[327]
간행물
What does 'green' open access mean? Tracking twelve years of changes to journal publisher self-archiving policies
https://dspace.lboro[...]
2019-08-28
[328]
문서
佐藤 2013
[329]
문서
倉田 2007
[330]
간행물
Hybrid open access—A longitudinal study
2016
[331]
문서
Suber
2012
[332]
문서
Suber
2012
[333]
문서
横井 2013
[334]
간행물
Open Accessはどこまで進んだのか(1) オープンアクセス メガジャーナルと学術出版システム転覆提案
https://www.nii.ac.j[...]
国立情報学研究所
2015-04-11
[335]
간행물
The state of OA: a large-scale analysis of the prevalence and impact of Open Access articles
2018-02-13
[336]
간행물
The diamond model of open access publishing: Why policy makers, scholars, universities, libraries, labour unions and the publishing world need to take non-commercial, non-profit open access serious
[337]
간행물
Diamond Open Access in the quest for interdisciplinarity and excellence
2017-08-31
[338]
간행물
An Interview with Jeffrey Beall on Open Access Publishing
[339]
서적
Introduction to Scientific Publishing
[340]
간행물
Is Diamond Open Access the Future of Open Access?
https://theijournal.[...]
2019-06-25
[341]
간행물
Subsidizing truly open access
2016-06-17
[342]
웹사이트
Diamond Open Access, Societies and Mission
https://scholarlykit[...]
2019-06-25
[343]
간행물
Sci-Hub provides access to nearly all scholarly literature
https://greenelab.gi[...]
2019-05-21
[344]
간행물
Gold, green, and black open access
2017
[345]
간행물
We've failed: Pirate black open access is trumping green and gold and we must change our approach
2017
[346]
간행물
Who's downloading pirated papers? Everyone
http://www.sciencema[...]
2019-05-17
[347]
간행물
Looking into Pandora's Box: The Content of Sci-Hub and its Usage
2017-04-21
[348]
간행물
Copyright compliance and infringement in ResearchGate full-text journal articles
2017-07-01
[349]
간행물
Scholarly Sharing via Twitter: #icanhazpdf Requests for Health Sciences Literature
2016-04-01
[350]
간행물
Sci-Hub's cache of pirated papers is so big, subscription journals are doomed, data analyst suggests
http://www.sciencema[...]
2019-05-17
[351]
웹사이트
Gratis and Libre Open Access
http://nrs.harvard.e[...]
2011-12-03
[352]
서적
[353]
서적
[354]
웹사이트
Policy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open access
https://unesdoc.unes[...]
2019-04-14
[355]
간행물
Preprints in Scholarly Communication: Re-Imagining Metrics and Infrastructures
2019
[356]
간행물
The FAIR Guiding Principles for scientific data management and stewardship
2016-03-15
[357]
간행물
Cloudy, increasingly FAIR; revisiting the FAIR Data guiding principles for the European Open Science Cloud
https://content.iosp[...]
2019-07-31
[358]
웹사이트
European Commission embraces the FAIR principles
https://www.dtls.nl/[...]
2019-07-31
[359]
웹사이트
G20 Leaders' Communique Hangzhou Summit
https://europa.eu/ra[...]
2019-07-31
[360]
웹사이트
Hecho En Latinoamérica. Acceso Abierto, Revistas Académicas e Innovaciones Regionales
http://www.clacso.or[...]
2020-08-31
[361]
간행물
Are Funder Open Access Platforms a Good Idea?
[362]
간행물
Estimating Open Access Mandate Effectiveness: The MELIBEA Score
https://eprints.soto[...]
2019-08-28
[363]
웹사이트
Future of Scholarly Publishing and Scholarly Communication : Report of the Expert Group to the European Commission.
https://publications[...]
2019-08-28
[364]
웹사이트
AmeliCA before Plan S – The Latin American Initiative to develop a cooperative, non-commercial, academic led, system of scholarly communication
https://blogs.lse.ac[...]
2019-08-08
[365]
간행물
From Coalition to Commons: Plan S and the Future of Scholarly Communication
[366]
웹사이트
Journal metadata
https://doaj.org/
2019-05-18
[367]
간행물
Take Another Look at the Instructions for Authors
[368]
간행물
Who Should Own Scientific Papers?
[369]
간행물
'RoMEO Studies 4: An Analysis of Journal Publishers" Copyright Agreements'
http://eprints.rclis[...]
2019-09-09
[370]
간행물
Copyright Contradictions in Scholarly Publishing
[371]
간행물
Why Full Open Access Matters
[372]
간행물
Academic Freedom: A Lawyer's Perspective
http://sro.sussex.ac[...]
2019-08-28
[373]
간행물
Open Access Publishing: A Literature Review
2014
[374]
간행물
Creative Commons Licenses: Empowering Open Access
2016-03-10
[375]
간행물
The Changing Copyright Landscape in Academic Publishing
https://zenodo.org/r[...]
2020-02-04
[376]
간행물
Elsevier as an Open Access Publisher
[377]
간행물
The Reinterpretation of the Visibility and Quality of New Policies to Assess Scientific Publications
[378]
간행물
Open Access Survey: Exploring the Views of Taylor & Francis and Routledge Authors
[379]
웹사이트
OA journal business models
http://oad.simmons.e[...]
2015-10-20
[380]
웹사이트
Jisc supports Subscribe to Open model
https://www.research[...]
2020-10-06
[381]
웹사이트
The Sustainability of Open Access Publishing Models Past a Tipping Point
http://openscience.c[...]
2017-04-26
[382]
웹사이트
Journal metadata
https://doaj.org/
2019-05-18
[383]
웹사이트
How Much Do Top Publishers Charge for Open Access?
http://openscience.c[...]
2017-04-26
[384]
간행물
The diamond model of open access publishing: Why policy makers, scholars, universities, libraries, labour unions and the publishing world need to take non-commercial, non-profit open access serious
[385]
간행물
Diamond Open Access in the quest for interdisciplinarity and excellence
2017-08-31
[386]
서적
Open access
MIT Press
2012
[387]
서적
Gold Open Access 2013-2018: Articles in Journals (GOA4)
https://waltcrawford[...]
Cites & Insights Books
2019-08-30
[388]
웹사이트
Journal metadata
https://doaj.org/
2019-05-18
[389]
웹사이트
An efficient journal
http://blogs.harvard[...]
2019-10-27
[390]
웹사이트
Article processing charges
https://www.nature.c[...]
Nature Communications
2019-10-27
[391]
논문
Publication fees for open access journals: Different disciplines-different methods
2013-12
[392]
논문
Article Processing Charges in OA Journals: Relationship between Price and Quality
[393]
논문
APC Pricing
Figshare
[394]
웹사이트
Developing an Effective Market for Open Access Article Processing Charges.
https://wellcome.ac.[...]
2019-08-28
[395]
논문
APCs—Mirroring the Impact Factor or Legacy of the Subscription-Based Model?
https://pub.uni-biel[...]
2019-08-28
[396]
웹사이트
Setting a fee for publication
https://elifescience[...]
2019-10-27
[397]
웹사이트
Ubiquity Press
https://www.ubiquity[...]
2019-10-27
[398]
웹사이트
Wellcome Trust and COAF Open Access Spend, 2014-15
https://wellcometrus[...]
2019-10-27
[399]
웹사이트
Open access double dipping policy
https://www.cambridg[...]
2018-03-12
[400]
논문
Disrupting the Subscription Journals" Business Model for the Necessary Large-Scale Transformation to Open Access
[401]
논문
Ten Hot Topics around Scholarly Publishing
2019-03-11
[402]
논문
Growth of Hybrid Open Access
[403]
논문
The 'Total Cost of Publication" in a Hybrid Open-Access Environment: Institutional Approaches to Funding Journal Article-Processing Charges in Combination with Subscriptions
http://eprints.white[...]
2019-09-09
[404]
논문
Is Open Access Affordable? Why Current Models Do Not Work and Why We Need Internet-Era Transformation of Scholarly Communications
[405]
논문
The diamond model of open access publishing: Why policy makers, scholars, universities, libraries, labour unions and the publishing world need to take non-commercial, non-profit open access serious
[406]
논문
Diamond Open Access in the quest for interdisciplinarity and excellence
2017-08-31
[407]
뉴스
Diamond Open Access - UA Magazine
https://www.ua-magaz[...]
2018-05-11
[408]
웹사이트
No-fee open-access journals
http://www.earlham.e[...]
2008-12-14
[409]
논문
Ten Hot Topics around Scholarly Publishing
2019-03-11
[410]
논문
Knowledge Unlatched:A Global Library Consortium Model for Funding Open Access Scholarly Books
2014
[411]
웹사이트
DOAJ search
https://doaj.org/sea[...]
2019-06-30
[412]
웹사이트
Introducing the Free Journal Network – community-controlled open access publishing
https://blogs.lse.ac[...]
2019-05-17
[413]
웹사이트
Is the EU's open access plan a tremor or an earthquake?
https://sciencebusin[...]
2019-05-17
[414]
웹사이트
A Reality Check on Author Access to Open Access Publishing
https://blogs.plos.o[...]
2019-10-27
[415]
웹사이트
Is it True that Most Open Access Journals Do Not Charge an APC? Sort of. It Depends.
https://scholarlykit[...]
2019-10-27
[416]
논문
Preprint Déjà Vu
[417]
논문
The Evolving Preprint Landscape: Introductory Report for the Knowledge Exchange Working Group on Preprints
[418]
논문
On the Origin of Nonequivalent States: How We Can Talk about Preprints
[419]
논문
Preprints in Scholarly Communication: Re-Imagining Metrics and Infrastructures
[420]
논문
Ten simple rules to consider regarding preprint submission
[421]
문서
上田・倉田 編著 2013
[422]
논문
Open access: The true cost of science publishing
Nature
2013-03-27
[423]
문서
時実 2005
[424]
논문
On the Value of Preprints: An Early Career Researcher Perspective
[425]
논문
Does It Take Too Long to Publish Research?
[426]
논문
Reproducibility in Research: Systems, Infrastructure, Culture
[427]
웹사이트
ASAPbio FAQ
http://asapbio.org/p[...]
2019-08-28
[428]
논문
On the Value of Preprints: An Early Career Researcher Perspective
[429]
웹사이트
SHERPA/RoMEO
http://www.sherpa.ac[...]
2019-08-28
[430]
논문
What Does "Green" Open Access Mean? Tracking Twelve Years of Changes to Journal Publisher Self-Archiving Policies
https://dspace.lboro[...]
2019-08-28
[431]
웹사이트
Journal embargo finder
https://www.elsevier[...]
2019-05-17
[432]
논문
Green open access policies of scholarly journal publishers: a study of what, when, and where self-archiving is allowed
2014-05-01
[433]
간행물
Open access: what, where, when, how and why
https://eprints.soto[...]
Macmillan Reference
2020-01-06
[434]
논문
Delayed open access: An overlooked high-impact category of openly available scientific literature
2013
[435]
논문
Scientific Journal Publishing: Yearly Volume and Open Access Availability
https://eric.ed.gov/[...]
2020-01-06
[436]
논문
Ten Hot Topics around Scholarly Publishing
2019-03-11
[437]
논문
Open Access Self-Archiving: An Author Study
http://cogprints.org[...]
2019-08-28
[438]
논문
The Post-Embargo Open Access Citation Advantage: It Exists (Probably), It's Modest (Usually), and the Rich Get Richer (of Course)
2016-08-22
[439]
웹사이트
The evidence fails to justify publishers' demand for longer embargo periods on publicly-funded research.
https://blogs.lse.ac[...]
2020-01-06
[440]
웹사이트
Global scientific community commits to sharing data on Zika
https://wellcome.ac.[...]
Wellcome
2020-01-06
[441]
웹사이트
About
https://www.mja.com.[...]
Australasian Medical Publishing Company
2019-06-12
[442]
문서
上田・倉田 編著 2013
[443]
논문
科学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動向 -科学ジャーナルを取り巻く状況-
https://hdl.handle.n[...]
科学技術政策研究所 科学技術動向研究センター
2001-11
[444]
논문
シリアルズ・クライシスと学術情報流通の現在:総括と課題
https://doi.org/10.1[...]
科学技術振興機構
[445]
문서
ポインダー 2011
[446]
논문
ビッグディールは大学にとって最適な契約モデルか?
https://www.nii.ac.j[...]
情報・システム研究機構国立情報学研究所
2010-05
[447]
문서
ポインダー 2011
[448]
문서
倉田 2007
[449]
문서
倉田 2007
[450]
문서
ポインダー 2011
[451]
문서
ポインダー 2011
[452]
문서
佐藤 2013
[453]
문서
栗山 2010
[454]
문서
国立大学図書館協会 学術情報委員会 学術情報流通検討小委員 2014
[455]
웹사이트
THE SUBVERSIVE PROPOSAL (Stevan Harnad (1994))日本語訳
http://drf.lib.hokud[...]
デジタルリポジトリ連合
2015-04-12
[458]
간행물
機関リポジトリ:大学図書館の新しい挑戦
https://dl.ndl.go.jp[...]
日本図書館協会
[459]
웹사이트
ポインダーの視点: 10年を経て
https://www.nii.ac.j[...]
国立情報学研究所
2015-04-12
[461]
간행물
Budapest Open Access Initiativeの思想的背景とその受容
https://hdl.handle.n[...]
[462]
간행물
オープンアクセスの理念と現状
https://k-ris.keio.a[...]
放送大学ICT活用・遠隔教育センター
[465]
간행물
オープンアクセスジャーナルの現状
https://hdl.handle.n[...]
大学図書館研究編集委員会
2007-08
[467]
간행물
研究助成機関のオープンアクセス(OA)ポリシー : 各国の状況
http://id.nii.ac.jp/[...]
日本女子大学国語国文学会
2011-02
[468]
뉴스
NIHのパブリックアクセス方針義務化等の内容を含んだ法案が成立
https://current.ndl.[...]
国立国会図書館
2007-12-27
[470]
웹사이트
H.R.3699 - 112th Congress (2011-2012): Research Works Act
https://www.congress[...]
미국의회도서관
2015-04-13
[472]
웹사이트
なぜエルゼビアはボイコットを受けるのか
http://user.keio.ac.[...]
慶應義塾大学
2015-04-13
[473]
보고서
学術情報流通の現状と課題の整理のために― 検討の報告 ―
http://www.janul.jp/[...]
国立大学図書館協会
2013-06
[475]
간행물
ハーナッド氏らがFinchレポートに反論するプレプリントを公開、セルフアーカイブ義務化は機関リポジトリへの論文登載率に影響を与えると主張
https://current.ndl.[...]
国立国会図書館
2012-11-02
[476]
간행물
ゴールドOAに偏重した英国のOA方針に対する批判と提言
https://current.ndl.[...]
国立国会図書館
2013-10-24
[477]
간행물
オープンアクセスプロジェクトSCOAP3が2014年1月から運用開始
https://current.ndl.[...]
国立国会図書館
2013-12-06
[478]
웹사이트
SCOAP3
https://www.nii.ac.j[...]
国立情報学研究所
2015-04-12
[479]
웹인용
Open Access Overview
http://legacy.earlha[...]
2014-11-29
[480]
문서
"저작권 인식과 학술정보의 오픈 액세스에 관한 연구"
[481]
웹인용
그린 오픈 액세스 출판이란? – 한눈에 보는 장단점!
https://www.enago.co[...]
2024-04-05
[482]
문서
"저작권 인식과 학술정보의 오픈 액세스에 관한 연구"
[483]
문서
"저작권 인식과 학술정보의 오픈 액세스에 관한 연구"
[484]
저널
An Interview with Jeffrey Beall on Open Access Publishing
[485]
서적
Introduction to Scientific Publishing
[486]
저널
The diamond model of open access publishing: Why policy makers, scholars, universities, libraries, labour unions and the publishing world need to take non-commercial, non-profit open access serious
http://triplec.at/in[...]
[487]
웹인용
Moving towards an open access future: the role of academic libraries
https://studysites.u[...]
2018-03-16
[489]
웹인용
The Sustainability of Open Access Publishing Models Past a Tipping Point
http://openscience.c[...]
2017-04-26
[490]
웹인용
Gratis and Libre Open Access
http://nrs.harvard.e[...]
2011-12-03
[491]
서적
[492]
서적
[493]
논문
"저작권 인식과 학술정보의 오픈 액세스에 관한 연구"
[494]
저널
Publication fees for open access journals: Different disciplines-different methods
2013-12
[495]
웹인용
BASE - Bielefeld Academic Search Engine
http://www.base-sear[...]
2018-10-30
[496]
웹사이트
Budapest Open Access Initiative, FAQ
http://www.earlham.e[...]
2011-12-03
[497]
웹사이트
Open Journal Systems
http://pkp.sfu.ca/?q[...]
Public Knowledge Project
2012-11-13
[498]
웹인용
Welcome - ROAD
http://road.issn.org[...]
[499]
웹인용
Archived copy
https://oalibrary.or[...]
2017-12-15
[500]
웹인용
Research Guides: Open Access: Finding Open Access Content
http://mcphs.libguid[...]
[501]
저널
A survey of scholarly journals using open journal systems
http://src-online.ca[...]
2010-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