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시픽 게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퍼시픽 게임은 오세아니아 지역의 종합 스포츠 대회로, 1963년 피지 수바에서 시작되어 누메아, 포트모르즈비 등 오세아니아 여러 도시에서 4년 주기로 개최된다. 과거에는 사우스 퍼시픽 게임으로 불렸으며, 퍼시픽 게임 위원회가 관리한다. 주요 대회로 퍼시픽 게임과 퍼시픽 미니 게임이 있으며, 2023년 기준 육상, 수영, 축구 등 17개의 핵심 종목과 개최 도시에서 선정하는 20개의 선택 종목으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일본 그랑프리
일본 그랑프리는 1976년 후지 스피드웨이에서 처음 개최된 포뮬러 원 자동차 경주 대회로, 스즈카 서킷과 후지 스피드웨이를 오가며 F1 역사에 중요한 사건들을 만들어냈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취소되었던 2020년과 2021년을 제외하고 2022년부터 스즈카 서킷에서 다시 개최되고 있으며 2024년부터는 봄에 개최될 예정이다. - 196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CONCACAF 선수권 대회
CONCACAF 선수권 대회는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이 주최하는 국가대항 축구 대회이며, 멕시코와 코스타리카가 최다 우승국이다. - 퍼시픽 게임 - 1979년 남태평양 게임
1979년 남태평양 게임은 19개 태평양 국가 또는 영토가 참가하여 18개 스포츠 종목에서 메달 경쟁을 벌인 대회로, 누벨칼레도니가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퍼시픽 게임 - 1983년 남태평양 게임
1983년 남태평양 게임은 서사모아에서 15개국이 참가하여 13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누벨칼레도니가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국제 스포츠 대회 - 올림픽
올림픽은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되어 근대에 부활한 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로, 하계 및 동계 올림픽, 패럴림픽, 청소년 올림픽 등으로 나뉘어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총괄하지만, 개최 비용, 정치적 이용, 도핑, 인권 문제 등의 논란이 있다. - 국제 스포츠 대회 - 아시안 게임
아시안 게임은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회원국이 참가하는 4년 주기 국제 종합 스포츠 대회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시아 국가 간 화합과 스포츠 발전을 위해 창설되어 1980년대 이후 안정화 및 규모가 확대되었다.
퍼시픽 게임 | |
---|---|
개요 | |
종목 | 다양한 종목 |
참가국 | 태평양 지역 국가 |
주기 | 4년 |
창설 | 1963년 |
본부 | 수바, 피지 |
회장 | 비디야 라칸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대회 | |
마지막 대회 | 2023 |
다음 대회 | 2027 |
2. 역사
퍼시픽 게임 개최 아이디어는 1959년 라바울에서 열린 남태평양 위원회 회의에서 피지 대표였던 A.H. 사후 칸 박사가 제안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아이디어는 채택되었고, 1961년 3월 누메아에서 열린 9개 지역 대표 회의에서 첫 번째 게임을 피지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1]
1962년, 남태평양 위원회는 남태평양 게임 위원회를 설립했으며, 최초의 게임은 피지 수바에서 개최되었다. 이후 40년 동안 이 지역 내 12개 국가 및 영토에서 게임이 개최되었는데, 초기에는 3년 간격으로 개최되다가 괌 투몬 게임 이후 4년 간격으로 변경되었다.[1]
18세기 초 유럽 식민주의의 영향으로 1963년 첫 게임 참가국들은 대부분 영국 또는 프랑스의 통치를 받고 있었다. 당시 유일한 독립국이었던 서사모아(현재 사모아)를 제외하고는 영국과 프랑스 국기 및 국가가 행사를 주도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새로운 국가와 국기가 등장했지만, 영어와 프랑스어는 여전히 게임의 공식 언어로 남아 있다.
남태평양 게임은 일요일 경기 일정, 여성 비치 발리볼 선수의 비키니 유니폼 문제 등 종교적 민감성과 관련된 논란을 겪기도 했다.[1] 1995년 타히티 파페에테 게임에서는 프랑스의 핵실험에 대한 항의로 많은 국가들이 보이콧을 하기도 했지만,[2] 1999년 괌 게임에서는 거의 모든 국가가 다시 참여했다.
태평양 게임 위원회는 스포츠를 통해 태평양 지역 국가 간의 친선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 제12회 남태평양 게임(피지 수바)에서는 32개 스포츠 종목이 도입되었고, 기업 후원과 미디어 홍보를 통해 대중의 관심과 참여를 높였다.
제13회 태평양 게임(사모아 아피아)은 1963년 이후 13번째로 개최되었다. 그러나 올림픽과 달리[3], 이 게임은 사모아에 9200만달러의 부채를 남길 것으로 예상되었다.[4] 이러한 부채 상황에도 불구하고, 2015 태평양 게임 유치 신청이 이어졌고, 결국 파푸아뉴기니 포트모르즈비가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게임 개최 비용 상승(10억달러 이상)과 물류 부담은 국가들의 개최 능력을 위협하고 있다.[5]
2. 1. 개념
퍼시픽 게임 개최 아이디어는 1959년 라바울에서 열린 남태평양 위원회 회의에서 피지 대표 중 한 명이었던 A.H. 사후 칸 박사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아이디어는 채택되었고, 1961년 3월 누메아에서 열린 9개 지역 대표 회의에서 첫 번째 게임을 피지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하였다.[1]2. 2. 창설
남태평양 게임 개최 아이디어는 1959년 라바울에서 열린 남태평양 위원회 회의에서 피지 대표 중 한 명이었던 A.H. 사후 칸 박사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아이디어는 채택되었고, 1961년 3월 누메아에서 열린 9개 지역 대표 회의에서 첫 번째 게임을 피지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1]1962년, 남태평양 위원회는 남태평양 게임 위원회를 설립했으며, 최초의 게임은 피지 수바에서 개최되었다. 이후 40년 동안, 이 지역 내 12개 국가 및 영토에서 게임이 개최되었다. 초창기에는 3년 간격으로 게임이 개최되었으나, 괌 투몬 게임 이후 4년 간격으로 변경되었다.[1]
2. 3. 현대의 게임
1962년 남태평양 위원회가 남태평양 게임 위원회를 설립하면서, 첫 번째 게임이 피지 수바에서 개최되었다. 이후 40년 동안 이 지역 12개 국가 및 영토에서 게임이 개최되었는데, 초기에는 3년 간격으로 개최되다가 괌 투몬 게임 이후 4년 간격으로 변경되었다.18세기 초부터 시작된 유럽 식민주의의 영향으로, 1963년 첫 게임 참가국들은 대부분 영국 또는 프랑스의 통치를 받고 있었다. 이로 인해 영국과 프랑스 국기 및 국가가 행사를 지배하여 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1] 서사모아(현재 사모아)는 당시 유일한 독립국이었기 때문에, 주권을 가진 국기와 국가를 가진 유일한 국가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새로운 국가와 국기가 등장했지만, 영어와 프랑스어는 여전히 게임의 공식 언어로 남아 있다.
다른 스포츠 행사와 마찬가지로, 남태평양 게임도 논란을 겪었다. 일요일에 경기 일정을 잡는 문제와 여성 비치 발리볼 선수의 비키니 유니폼을 보수적인 복장으로 변경해야 했던 종교적 민감성 문제가 있었다.[1] 그러나 쿡 제도(뉴질랜드), 아메리칸 사모아(미국), 프랑스령 폴리네시아(프랑스)와 같이 다른 대국이나 세속적인 국가와 느슨하게 연관된 국가들은 비교적 온건한 입장을 보였다.
1995년 타히티 파페에테 게임에서는 프랑스의 핵실험에 대한 항의로 많은 국가들이 보이콧을 결정하기도 했다.[2] 그러나 1999년 괌 게임에서는 거의 모든 국가가 다시 참여했다.
태평양 게임 위원회는 스포츠를 통해 태평양 지역 국가 간의 친선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 제12회 남태평양 게임(피지 수바)에서는 32개 스포츠 종목이 도입되었고, 기업 후원과 미디어 홍보를 통해 대중의 관심과 참여를 높였다.
제13회 태평양 게임(사모아 아피아)은 1963년 이후 13번째로 개최되었다. 그러나 올림픽과 달리[3], 이 게임은 사모아에 9200만달러의 부채를 남길 것으로 예상되었다.[4]
이러한 부채 상황에도 불구하고, 2015 태평양 게임 유치 신청이 이어졌고, 결국 파푸아뉴기니 포트모르즈비가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게임 개최 비용 상승(10억달러 이상)과 물류 부담은 국가들의 개최 능력을 위협하고 있다.[5]
3. 퍼시픽 게임 위원회
1962년, 남태평양 위원회는 남태평양 게임 위원회를 설립했으며, 최초의 게임은 피지 수바에서 개최되었다. 이후 40년 동안, 이 지역 내 12개 국가 및 영토에서 게임이 개최되었다. 초창기에는 3년 간격으로 게임이 개최되었으나, 괌에서 투몬 게임이 개최된 후 4년 간격으로 변경되었다.
18세기 초부터 시작된 유럽의 식민주의의 결과, 1963년 최초의 게임에 참가한 많은 국가들이 주로 영국 또는 프랑스의 영토 통치를 받았다. 이로 인해 영국과 프랑스 국기 및 국가가 행사를 지배하고, 우승 국가를 위해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 혼란이 발생했다. 서사모아(현재 사모아)는 당시 유일한 독립 섬 국가였기 때문에, 주권을 가진 국기와 국가를 가진 유일한 국가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막 태동하는 국가들이 점차 자국의 주권을 획득하면서 식민지 과거로부터 벗어나려 했고, 새로운 국가와 국기가 등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어와 프랑스어는 게임의 공식 언어로 남아 있다.[1]
다른 스포츠 행사와 마찬가지로, 남태평양 게임 역시 약간의 논란을 겪었다. 현재까지 지속되는 사소한 분쟁은 일요일에 이벤트 일정을 잡는 것이다. 태평양 전역에서 기독교의 안식일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시간에 일정을 잡는 것은 좋지 않게 여겨질 수 있다. 이벤트 자체도 종교적 민감성에 영향을 받았는데, 특히 여성의 공식 유니폼인 비키니가 더 보수적인 복장으로 바뀌어야 했던 비치 발리볼이 그러했다.[1]
다른 세계적 및 지역적 사건들도 게임의 역사에 영향을 미치고 형성했다. 1995년, 타히티 파페에테에서 게임이 개최되었을 때, 많은 국가들이 태평양에서 프랑스의 핵실험에 대한 직접적인 항의로 보이콧을 결정했다.[2] 그러나 게임은 1999년 괌에서 개최된 다음 행사에서 거의 완전한 지역 참여로 돌아왔다.
태평양 게임 위원회의 헌장에 따르면, 첫 번째 목표는 "인종, 종교 또는 정치에 관계없이 스포츠 교류를 통해 태평양 지역 국가의 국민들 사이에 친족적 우정과 형제애의 유대를 만드는 것"이다. 게임은 남태평양 국가와 국민들 사이에서 스포츠를 장려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시작되었다.[1] 50년의 역사를 거쳐, 남태평양 위원회는 그 이름을 ''태평양 공동체''로 변경했다.[1]
퍼시픽 게임의 관리 기구는 퍼시픽 게임 위원회이다. 게임 위원회 깃발은 매 게임 종료 시 차기 개최국에 수여된다. 태평양 및 오세아니아 국가들의 확장과 경제 성장에 따라, 남태평양 게임 위원회는 이 지역의 변화와 우리 사회에서 스포츠의 변화하는 위치를 고려하여 헌장을 현대화하고 개정하기로 결정했으며, 이에 따라 위원회는 2007년에 새로운 헌장을 채택했다.
현재 위원회 회장은 피지 출신의 비드야 라칸이다.
3. 1. 회원 협회
태평양 게임 위원회는 태평양 공동체 회원국 및 영토 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국가별 복합 스포츠 기구들을 회원으로 한다.[1] 현재 22개 회원국이 있으며, 이 중 15개국이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회원국이다.[1] 핏케언 제도는 태평양 공동체 회원국 중 태평양 게임 위원회의 회원이 아닌 유일한 국가이며, 노퍽 섬은 태평양 공동체 회원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위원회 회원으로 가입되었다.2014년 7월, 오세아니아 국가 올림픽 위원회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가 2015년 태평양 게임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하기로 투표했다. 이들은 럭비 세븐스, 요트, 태권도 및 역도에서만 참가할 수 있었다. 뉴질랜드는 2019년 남자 축구 대회에 U-23 팀으로 참가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6]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는 이후 초청 형식으로 계속 참가하고 있다.
2018년, 위원회는 오세아니아의 다른 지역에 대한 "준회원" 범주를 만들었다.[7] 회원 자격의 잠재적 후보에는 부건빌 자치구, 이스터 섬, 서뉴기니, 하와이 및 크리스마스 섬이 포함된다.[8]
국가 | 기구 | 웹사이트 |
---|---|---|
아메리칸사모아 | 아메리칸사모아 국가 올림픽 위원회 (ASNOC) | asnoc.org |
쿡 제도 | 쿡 제도 스포츠 및 국가 올림픽 위원회 (CISNOC) | oceaniasport.com/cookis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가 올림픽 위원회 (FSMNOC) | oceaniasport.com/fsm |
피지 | 피지 스포츠 및 국가 올림픽 위원회 협회 (FASANOC) | fijiolympiccommittee.com |
괌 | 괌 국가 올림픽 위원회 (GNOC) | oceaniasport.com/guam |
키리바시 | 키리바시 국가 올림픽 위원회 (KNOC) | oceaniasport.com/kiribati |
마셜 제도 | 마셜 제도 국가 올림픽 위원회 (MINOC) | oceaniasport.com/marshalls |
나우루 | 나우루 올림픽 위원회 | oceaniasport.com/nauru |
누벨칼레도니 | 누벨칼레도니 영토 올림픽 및 스포츠 위원회 (CTOS) | www.ctos.nc |
니우에 | 니우에 섬 스포츠 및 영연방 경기 연맹 (NISCGA) | oceaniasport.com/niue |
노퍽 섬 | 노퍽 섬 아마추어 스포츠 & 영연방 경기 연맹 | sportingpulse.com/assoc_page.cgi?assoc=3852 |
북마리아나 제도 | 북마리아나 아마추어 스포츠 협회 | sportingpulse.com/assoc_page.cgi?assoc=3859 |
팔라우 | 팔라우 국가 올림픽 위원회 (PNOC) | oceaniasport.com/palau |
파푸아뉴기니 | 파푸아뉴기니 스포츠 연맹 & 국가 올림픽 위원회 (PNGSFOC) | oceaniasport.com/png |
사모아 | 사모아 스포츠 및 국가 올림픽 위원회 협회 (SASNOC) | oceaniasport.com/samoa |
솔로몬 제도 | 솔로몬 제도 국가 올림픽 위원회 (NOCSI) | oceaniasport.com/solomon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올림픽 위원회 (COPF) | www.copftahiti.com |
토켈라우 | 토켈라우 스포츠 연맹 | sportingpulse.com/assoc_page.cgi?assoc=3861 |
통가 | 통가 스포츠 협회 및 국가 올림픽 위원회 (TASANOC) | oceaniasport.com/tonga |
투발루 | 투발루 스포츠 및 국가 올림픽 위원회 협회 (TASNOC) | oceaniasport.com/tuvalu |
바누아투 | 바누아투 스포츠 및 국가 올림픽 위원회 협회 (VASANOC) | oceaniasport.com/vanuatu |
왈리스 푸투나 | 왈리스 푸투나 제도 영토 올림픽 및 스포츠 위원회 (CTOSWF) | wallisetfutuna.franceolympique.com |
4. 역대 대회
연도 | 회차 | 개최 도시 | 주최 협회 | 종목 | 세부 종목 | 참가 팀 | 시작 날짜 | 종료 날짜 | 참가 선수 | 종합 우승국 |
---|---|---|---|---|---|---|---|---|---|---|
1963 | 1차 | 수바 | 10 | 58 | 13 | 8월 29일 | 9월 8일 | 646 | ||
1966 | 2차 | 누메아 | 12 | 86 | 14 | 12월 8일 | 12월 18일 | 1200 | ||
1969 | 3차 | 포트모르즈비 | 15 | 95 | 12 | 8월 13일 | 8월 23일 | 1150 | ||
1971 | 4차 | 파페에테 | 17 | 117 | 14 | 8월 25일 | 9월 5일 | 2000 | ||
1975 | 5차 | 투몬 | 16 | 119 | 13 | 8월 1일 | 8월 10일 | 1205 | ||
1979 | 6차 | 수바 | 18 | 129 | 19 | 8월 28일 | 9월 8일 | 2672 | ||
1983 | 7차 | 아피아 | 15 | 97 | 13 | 9월 5일 | 9월 16일 | 2500 | 누벨칼레도니 | |
1987 | 8차 | 누메아 | 18 | 159 | 12 | 12월 8일 | 12월 20일 | 1650 | 누벨칼레도니 | |
1991 | 9차 | 포트모르즈비 | 17 | 164 | 16 | 9월 7일 | 9월 21일 | 2000 | ||
1995 | 10차 | 파페에테 | 25 | 253 | 12 | 8월 25일 | 9월 5일 | 2000 | 누벨칼레도니 | |
1999 | 11차 | 산타리타 | 22 | 233 | 21 | 5월 29일 | 6월 12일 | 3000+ | 누벨칼레도니 | |
2003 | 12차 | 수바 | 32 | 309 | 22 | 6월 28일 | 7월 12일 | 5000 | 누벨칼레도니 | |
2007 | 13차 | 아피아 | 33 | 305 | 22 | 8월 25일 | 9월 8일 | 5000 | 누벨칼레도니 | |
2011 | 14차 | 누메아 | 27 | 305 | 22 | 8월 27일 | 9월 10일 | 4300 | 누벨칼레도니 | |
2015 | 15차 | 포트모르즈비 | 28 | 300 | 24 | 7월 4일 | 7월 18일 | 3700 | ||
2019 | 16차 | 아피아 | 26 | 322 | 24 | 7월 7일 | 7월 20일 | 3500 | 누벨칼레도니 | |
2023 | 17차 | 호니아라 | 24 | 342 | 24 | 11월 19일 | 12월 2일 | 5000 | 누벨칼레도니 | |
2027 | 18차 | 피라에 | 24 | 미정 | 24 | 7월 24일 | 8월 8일 | 미정 | ||
2031 | 19차 | 누쿠알로파 | 24 | 미정 | 24 | 미정 | 미정 | 미정 |
5. 참가국
참가국 |
---|
6. 경기 종목
태평양 게임 위원회는 2017년 12월 기준으로 37개 종목을 승인했다.[10] 2023년 대회부터는 최대 24개 종목이 치러진다.[10]
2007년 대회에서는 양궁, 육상, 배드민턴, 야구, 농구, 비치 발리볼, 보디빌딩, 복싱, 크리켓, 축구, 골프, 하키, 유도, 론볼, 넷볼, 파워리프팅, 7인제 럭비, 럭비 리그, 요트, 사격, 소프트볼, 스쿼시, 서핑, 수영, 탁구, 태권도, 테니스, 터치 럭비, 트라이애슬론, 바아(아웃리거 카누), 배구, 역도, 레슬링이 실시되었다.
과거 종목으로는 럭비 15인제(럭비 7인제로 대체)와 수중 사냥(1999년 마지막 경기)이 있다. 2009년 퍼시픽 미니 게임에는 럭비 리그 7인제(럭비 리그 9인제로 대체)도 포함되었다.
6. 1. 핵심 종목 (2023년 기준, 17개)
태평양 게임 위원회는 2017년 12월 기준으로 37개의 스포츠를 승인했다.[10] 2023년 게임부터 핵심 종목 수는 17개로 정해졌으며, 이 종목들은 매 대회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10] 요트와 트라이애슬론은 2016년에, 양궁은 2021년에 핵심 종목으로 추가되었다.[10][11]2023년 게임까지의 각 핵심 종목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종목 (세부 종목) | 개최 횟수 | 개최 연도 | ||
---|---|---|---|---|
양궁 | 8회 | 1971–1975, 1995, 2003–2011, 2019–현재 | ||
육상 | 모든 대회 | 1963–현재 | ||
농구 | (5x5) | 모든 대회 | 1963–현재 | |
(3x3) | 2회 | 2019–현재 | ||
복싱 | 모든 대회 | 1963–현재 | ||
축구 | 16회 | 1963–1995, 2003–현재 | ||
골프 | 15회 | 1969–현재 | ||
유도 | 12회 | 1969–1979, 1987, 1995–2011, 2019–현재 | ||
아웃리거 카누 ((va'a)) | 8회 | 1995–현재 | ||
럭비 세븐스 | 6회 | 1999–현재 | ||
요트 | 14회 | 1969–1979, 1987–현재 | ||
수영 | 16회 | 1963–1979, 1987–현재 | ||
탁구 | 모든 대회 | 1963–현재 | ||
태권도 | 8회 | 1995–현재 | ||
테니스 | 모든 대회 | 1963–현재 | ||
트라이애슬론 | 8회 | 1995–현재 | ||
배구 | (실내) | 모든 대회 | 1963–현재 | |
(비치) | 7회 | 1999–현재 | ||
역도 | 16회 | 1966–현재 | ||
6. 2. 선택 종목
태평양 게임 위원회는 2017년 12월 기준으로 37개 종목을 승인했다. 태평양 게임 헌장에 따라 2023년 게임부터는 최대 24개 종목이 치러진다.[10] 핵심 종목 수는 17개로 정해졌으며, 매 대회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10] 요트와 트라이애슬론은 2016년에, 양궁은 2021년에 핵심 종목으로 추가되었다.[10][11]2023년 게임까지의 각 핵심 종목은 다음과 같다.
종목 (세부 종목) | 그림 | 개최 횟수 | 개최 연도 |
---|---|---|---|
양궁 | 8회 | 1971–1975, 1995, 2003–2011, 2019–현재 | |
육상 | 모든 대회 | 1963–현재 | |
농구 (5x5) | 모든 대회 | 1963–현재 | |
농구 (3x3) | 2회 | 2019–현재 | |
복싱 | 모든 대회 | 1963–현재 | |
축구 | 16회 | 1963–1995, 2003–현재 | |
골프 | 15회 | 1969–현재 | |
유도 | 12회 | 1969–1979, 1987, 1995–2011, 2019–현재 | |
아웃리거 카누 ((va'a)) | 8회 | 1995–현재 | |
럭비 세븐스 | 6회 | 1999–현재 | |
요트 | 14회 | 1969–1979, 1987–현재 | |
수영 | 16회 | 1963–1979, 1987–현재 | |
탁구 | 모든 대회 | 1963–현재 | |
태권도 | 8회 | 1995–현재 | |
테니스 | 모든 대회 | 1963–현재 | |
트라이애슬론 | 8회 | 1995–현재 | |
배구 (실내) | 모든 대회 | 1963–현재 | |
배구 (비치) | 7회 | 1999–현재 | |
역도 | 16회 | 1966–현재 |
과거 종목으로는 럭비 15인제(럭비 7인제로 대체)와 수중 사냥(1999년 마지막 경기)이 있다.
종목 | 그림 | 개최 횟수 | 연도 |
---|---|---|---|
럭비 유니온 | -- | 9회 | 1963–1971, 1979–1995 |
수중 사냥 | -- | 4회 | 1971–1975, 1995–1999 |
2009년 퍼시픽 미니 게임에는 럭비 리그 7인제(현재 럭비 리그 9인제로 대체)도 포함되었다.
'''참고:'''
- 3x3 형식은 2017년 미니 게임에 포함된 후 2019년 농구의 추가 세부 종목으로 추가되었다.
- 배구와 비치 발리볼 종목은 15번째 게임 입찰 이후, 16번째 게임에서 최대 종목 수가 28개에서 26개로 줄어들면서, 게임 프로그램의 목적으로 하나의 스포츠로 나열되었다.
- 넷볼은 여성 경기만 있다.
- 터치 럭비는 선택 종목이지만, 터치 럭비를 선택하는 경우 남성, 여성 및 혼성 토너먼트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2007년 대회에서는 다음 종목들이 실시되었다.
종목 |
---|
양궁 |
육상 |
배드민턴 |
야구 |
농구 |
비치 발리볼 |
보디빌딩 |
복싱 |
크리켓 |
축구 |
골프 |
하키 |
유도 |
론볼 |
넷볼 |
파워리프팅 |
7인제 럭비 |
럭비 리그 |
요트 |
사격 |
소프트볼 |
스쿼시 |
서핑 |
수영 |
탁구 |
태권도 |
테니스 |
터치 럭비 |
트라이애슬론 |
바아 (아웃리거 카누) |
배구 |
역도 |
레슬링 |
6. 3. 과거 종목
2023년 게임까지의 각 핵심 종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종목 (세부 종목) | 개최 횟수 | 개최 연도 | ||
---|---|---|---|---|
양궁 | 8회 | 1971–1975, 1995, 2003–2011, 2019–현재 | ||
육상 | 모든 대회 | 1963–현재 | ||
농구 | (5x5) | 모든 대회 | 1963–현재 | |
(3x3) | 2회 | 2019–현재 | ||
복싱 | 모든 대회 | 1963–현재 | ||
축구 | 16회 | 1963–1995, 2003–현재 | ||
골프 | 15회 | 1969–현재 | ||
유도 | 12회 | 1969–1979, 1987, 1995–2011, 2019–현재 | ||
아웃리거 카누 | 8회 | 1995–현재 | ||
럭비 세븐스 | 6회 | 1999–현재 | ||
요트 | 14회 | 1969–1979, 1987–현재 | ||
수영 | 16회 | 1963–1979, 1987–현재 | ||
탁구 | 모든 대회 | 1963–현재 | ||
태권도 | 8회 | 1995–현재 | ||
테니스 | 모든 대회 | 1963–현재 | ||
트라이애슬론 | 8회 | 1995–현재 | ||
배구 | (실내) | 모든 대회 | 1963–현재 | |
(비치) | 7회 | 1999–현재 | ||
역도 | 16회 | 1966–현재 | ||
'''2007년 대회 실시 종목'''
7. 기타
- 2009년 이전에는 사우스 퍼시픽 게임으로 알려져 있었다.
- 퍼시픽 게임은 1963년 수바 대회를 시작으로 2023년 호니아라 대회까지 개최되었으며, 차기 대회는 2027년 피라에 대회이다.
- 퍼시픽 미니 게임은 1981년 호니아라 대회를 시작으로 2022년 사이판 대회까지 개최되었으며, 차기 대회는 2025년 코로르 대회이다.
- 퍼시픽 게임은 아프리카 국가 올림픽 위원회 연합, 범 아메리카 스포츠 기구,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유럽 올림픽 위원회와 함께 국가 올림픽 위원회 연합을 구성한다.
참조
[1]
뉴스
Bikinis out, Shorts in at Beach Volleyball
http://www.niufm.com[...]
Pacific Radio News - Niue FM
2007-08-29
[2]
뉴스
French tests: Opposition grows
http://www10.antenna[...]
World Information Service on Energy
2007-02-19
[3]
웹사이트
Article by CBRE regarding increase to gross domestic product and real estate values as a result of the 2004 Athens Olympics
http://www.cbre.com/[...]
CBRE
2007-09-03
[4]
뉴스
Games puts Samoa in debt
http://www.radioaust[...]
ABC Radio Australia
2007-09-03
[5]
웹사이트
PNG risks losing right to host 2015 Pacific Games
http://www.radioaust[...]
ABC Radio Australia
2012-08-22
[6]
웹사이트
Promising U-23 group heading to Samoa
https://www.nzfootba[...]
New Zealand Football
2019-07-01
[7]
웹사이트
Australia and New Zealand involvement in Pacific Games expected to grow further
https://www.insideth[...]
2012-10-30
[8]
웹사이트
West Papua, Hawaii and Christmas Island mooted as future Pacific Mini Games participants
https://www.insideth[...]
2012-10-30
[9]
웹사이트
Solomon Islands eyes 'long-lasting legacy' as counts down to Pacific Games
https://www.aljazeer[...]
2023-11-17
[10]
웹사이트
Pacific Games: Sports Program Review
http://websites.spor[...]
2018-02-08
[11]
웹사이트
Archery: The discipline now "compulsory sport"
https://www.archyspo[...]
2021-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